KR101229583B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83B1
KR101229583B1 KR1020110006296A KR20110006296A KR101229583B1 KR 101229583 B1 KR101229583 B1 KR 101229583B1 KR 1020110006296 A KR1020110006296 A KR 1020110006296A KR 20110006296 A KR20110006296 A KR 20110006296A KR 101229583 B1 KR101229583 B1 KR 10122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mobile device
input
mess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954A (ko
Inventor
비앙키 안두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자기장 온-오프 패턴을 결정하는 연산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며,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결정된 자기장 온-오프 패턴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한 후,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하는 기기장치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접촉시킨다. 이로써 모바일 기기에 기입력된 메시지가 접촉된 기기장치에 전송되며, 전송된 메시지에 의하여 다양한 명령 수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An input, receiving device for message input using mobile device, and input method for passco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로의 메시지 입력과 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동작이 별도의 공간과 시간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메시지가 눈으로 센싱될 수 없는 자기장이므로, 공공장소에서 노출되어도 개인 정보, 암호 등이 노출될 위험이 없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장소나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이용하는 암호(패스워드) 입력방식의 경우, 숫자가 표시된 키패드에 암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공공장소나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에서의 암호 입력방법은 여러 측면에서 위험한데, 그 이유는 입력하는 암호를 타인이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또한 입력하는 버튼 등에 사용자 지문이 남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널리 사용되는 휴대 전화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 폰의 등장으로 단순한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전자 기기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충분한 보안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암호를 입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빛을 이용한 암호 입력 기술의 경우, 결국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장치만으로도 빛의 점멸 패턴이 확인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 자체를 암호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 전송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새로운 메시지 입력장치, 이에 대응하는 수신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암호 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새로운 암호 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로서, 상기 입력장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자기장 온-오프 패턴을 결정하는 연산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며,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결정된 자기장 온-오프 패턴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나 터치패널이며,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입력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입력장치를 이용한 암호 입력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는 암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암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암호 수신장치로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발생하며, 온-오프 패턴을 갖는 자기장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수신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을 암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연산부; 및 상기 디코딩된 암호데이터의 가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장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로부터 발생하며, 상기 암호 수신 장치는 상기 암호 가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화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암호 입력 장치; 및 상술한 암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암호 입력 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메시지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이격된 수신장치에 근접하거나, 접촉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상기 수신장치에 의하여 센싱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 메시지로 디코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암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암호의 가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화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한 후,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하는 기기장치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접촉시킨다. 이로써 모바일 기기에 기입력된 메시지가 접촉된 기기장치에 전송되며, 전송된 메시지에 의하여 다양한 명령 수행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입력장치는 암호입력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데, 먼저 모바일 기기로의 암호 입력과 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작이 별도의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노출되는 암호는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므로, 공공장소에서 노출되어도 개인 정보 및 암호 등이 유출될 위험이 없다. 또한, 입력 암호에 대응되는 자기장 패턴을 미리 모바일 기기에 저장시켜 놓는 경우, 암호 입력에 따른 시간 지연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터치패널을 통하여 1234라는 암호를 입력하였을 때 구성 가능한 자기장의 점멸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전자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 예를 들면 공공 장소에서의 개인정보나 암호 입력에 따른 정보 유출 문제, 다수 사용자가 제한된 전자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 지연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사용자 개인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소정의 정보를 먼저 입력하게 한 후, 이를 다시 소정의 전자장치에 이를 메시지로 전송하는 형태의, 모바일 기기 기반 메시지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시지 입력은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 되며,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에는 자기장 발생 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을 이용, 소정의 메시지를 전자장치(특히 자기장 패턴을 구분하여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에 입력하게 되며,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와 수신장치는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접촉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온-오프 패턴은 자기장이 발생하는 횟수, 지속시간, 그리고 발생 간격의 조합 패턴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는 소정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 암호일 수 있으며, 이때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자기장 발생 수단(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을 이용, 모바일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는 자기장 수신기에 소정의 자기장 패턴을 입력한다. 이후 입력된 자기장 패턴은 상기 자기장 수신기를 포함하는 수신장치에서 기정의된 알고리즘에 따라 소정의 문자나 숫자 데이터로 이루어진 메시지로 디코딩된다. 다시 디코딩된 메시지는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디코딩된 정보가 암호인 경우, 문자나 숫자의 조합은 기설정된 암호와 비교되며, 그 비교결과에 따라 입력된 암호의 합치(매칭) 여부가 판단된다.
이와 달리, 디코딩된 메시지가 자동판매기의 음료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기가 구비된 전자장치인 자동판매기는 음료 정보에 따라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암호가 입력 메시지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암호 입력 장치는 암호나 주문과 같은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자기장 온-오프 패턴으로 코딩하는 연산부(110); 상기 코딩된 자기장 온-오프 패턴에 따라 자기장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제어부(120)에 의하여 제어되며,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100)는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패널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문자/숫자를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암호나 메시지를 입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되는 암호 조합은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으로 코딩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입력 장치는 입력된 암호를 자기장 온-오프 패턴으로 코딩하는 연산부(11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숫자가 1에 해당하는 경우, 자기장 패턴은 자기장의 온(on) 상태가 1초간 유지되는 패턴으로, 입력된 숫자가 2에 해당하는 경우 온-오프가 각각 1초간 유지되는 패턴으로 코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입력 방법에서는 입력된 숫자나 문자에 따라 각각 구별되는 자기장 온-오프(점멸, on-off) 패턴이 결정되며, 상기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의 온-오프 시간, 횟수, 지속시간, 간격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사람의 육안이나 촬상장비로는 식별할 수 없는 자기장을 이용, 입력되는 암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특히, 암호 입력의 장소, 시간과 입력된 암호가 다시 자기장으로 변형되는 입력되는 장소,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 암호가 입력됨에 따라 암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입력 장치는 또한 상기 결정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130) 및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1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130)은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솔레노이드로 전류를 인가시킴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자기장 발생 수단(130)은 솔레노이드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온-오프 패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입력수단(100)을 통하여 1234라는 암호를 입력하였을 때 구성 가능한 자기장 온-오프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2, 3, 4라는 암호 숫자 각각에 대하여 1초간 온, 0.5초 간격으로의 온-오프-온, 0.25초간의 3회 온-오프, 2초간의 온으로 자기장 온-오프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자기장 온-오프 패턴은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한 후에도 연속적으로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로 미리 암호를 입력한 후, 이를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으로 변환시킨 경우,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자기장이 온-오프되는 모바일 기기를 별도 수신장치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에 소정 패턴의 자기장을 암호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신장치는 연속되는 자기장의 점멸 패턴을 구분하고, 이를 다시 암호 형태로 디코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신 장치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입력 장치는 키패드나 터치패널로 암호를 입력한 후, 별도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소정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발생하는 기술구성을 개시한다. 이 경우, 개인적인 공간이나 가려진 환경에서 암호를 모바일 기기에 입력하고, 다시 암호 입력이 요구되는 공공 장소에서만 이를 자기장 발생 형태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면, 별도의 변환 버튼이나 아이콘 등을 사용자가 입력한 순간부터 입력된 암호가 소정 패턴이 자기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바일 기기인 암호 입력 장치에 대응되는 별도의 암호 수신장치를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수신장치는 상술한 암호 입력 장치에 대응하는 암호 수신 장치로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술한 암호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 패턴을 센싱하는 센싱부(310); 상기 수신된 자기장 패턴을 암호로 디코딩하는 연산부(320); 및 상기 디코딩된 암호의 맞고, 그름(가부)를 결정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320)는 암호 입력장치에 구비된 도 1의 연산부(110)와 달리 수신장치에 구비된 구성요소로서, 암호 입력장치의 연산부는 제 1 연산부, 수신장치의 연산부는 제 2 연산부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10)는 소정 패턴으로 반복되어 입력되는 자기장 패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상기 연산부(제 2 연산부)는 센싱부(31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받아, 이를 입력암호로 디코딩한다. 상기 연산부(320)는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자외선 패턴에 기초하여 암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연산부(320)는 입력되는 자외선 온-오프 패턴을 입력암호로 디코딩하고, 제어부(330)는 디코딩된 입력암호와 기설정된 암호가 매칭되는지를 비교,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30)는 기설정된 암호가 저장된 메모리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호 수신 장치는 상기 암호 가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신장치는 고정된 터미널이거나 또는 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등을 통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간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며, 이 경우, 수신장치와 입력장치 사이의 접촉 또는 근접 접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암호 입력 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암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단계들로 전개되는 메시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암호가 메시지로 입력되는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모바일 기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암호와 같은 메시지가 입력되는 단계(S100)가 개시된다. 상기 암호 입력은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나 터치패널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입력된 암호에 대응되는 자기장 온-오프 패턴이 결정되는데(S200), 자기장 온-오프 패턴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연산부에 의하여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되며, 입력되는 숫자나 문자에 따라 상이한 자기장 점멸, 지속시간, 주기, 횟수 등의 자기장 온-오프 패턴이 결정된다. 이후, 상기 결정된 자기장 온-오프 패턴에 따라 상기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발생하며(S300), 이는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암호 입력장치의 일 요소인 자기장 발생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는 솔레노이드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이격되며, 소정의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을 센싱할 수 있는 암호 수신장치로 수신되어, 센싱된다(S400). 이때 상기 센싱은 모바일 기기는 암호 수신장치와 접촉하거나, 소정 거리 미만으로 근접한 경우에만 수행되며, 이로써 비록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수신장치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모바일 기기만이 유효한 메시지 입력 장치로 인정된다. 이후 상기 센싱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은 다시 암호(숫자, 문자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디코딩되며 (S500), 상기 디코딩된 암호 데이터는 저장된 암호 데이터와 비교되며, 매칭 여부에 따라 암호 입력의 가부가 결정된다(S6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을 이용, 암호를 입력한다. 따라서, 암호를 자신의 휴대전화를 통하여 미리 입력하고, 다시 휴대전화를 수신 장치에 간단히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암호입력과 매칭 사이에 시간 간격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암호입력의 보안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입력 장치, 수신 장치 및 시스템 등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화(휴대전화)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로서, 상기 입력장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자기장 온-오프 패턴을 결정하는 연산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며, 자기장이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 수단;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결정된 자기장 온-오프 패턴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나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수단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장치.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장치를 이용한 암호 입력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는 암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암호 입력장치.
  7. 제 6항에 따른 암호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암호 수신장치로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발생하며, 온-오프 패턴을 갖는 자기장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수신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을 암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연산부; 및
    상기 디코딩된 암호데이터의 가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 수신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 수신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수신 장치는 상기 암호 가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 수신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 수신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모바일 기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메시지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대응되는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이격된 수신장치에 근접하거나, 접촉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이 상기 수신장치에 의하여 센싱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자기장의 온-오프 패턴이 메시지로 디코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암호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디코딩된 암호의 가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패턴의 자기장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KR1020110006296A 2011-01-21 2011-01-2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KR10122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296A KR101229583B1 (ko) 2011-01-21 2011-01-2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296A KR101229583B1 (ko) 2011-01-21 2011-01-2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54A KR20120084954A (ko) 2012-07-31
KR101229583B1 true KR101229583B1 (ko) 2013-02-05

Family

ID=4671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296A KR101229583B1 (ko) 2011-01-21 2011-01-2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029A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퀸텟시스템즈 자기장 통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242A (ja) * 1991-09-25 1993-04-02 Nec Corp コードレス端末
JPH05187167A (ja) * 1992-01-10 1993-07-27 Ee S I Kk 棚収納物の管理装置
KR20020070704A (ko) * 2001-03-02 2002-09-11 주식회사 펄스텍 자기장 유도 무선 통신 장치
KR20060012755A (ko) * 2004-08-04 2006-02-09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인체 통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242A (ja) * 1991-09-25 1993-04-02 Nec Corp コードレス端末
JPH05187167A (ja) * 1992-01-10 1993-07-27 Ee S I Kk 棚収納物の管理装置
KR20020070704A (ko) * 2001-03-02 2002-09-11 주식회사 펄스텍 자기장 유도 무선 통신 장치
KR20060012755A (ko) * 2004-08-04 2006-02-09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인체 통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54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19058B (zh) 身份认证、身份授权方法及装置
CA2969493C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authentication
EP29362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verification
US10411901B2 (en) Multi-user strong authentication token
EP29409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KR20210071055A (ko)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200086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139205A (zh) 支付验证方法、终端和服务器
US2015031961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oice service
KR101229583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메시지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CN109219003A (zh) 信息加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334529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音频设备
CN106022151B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1218969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암호 입력,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CN105451201A (zh) 移动终端及其远程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103231A (zh) 对应用进行安装管理的方法及装置
KR101084971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암호 입력장치, 수신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암호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호 입력방법
KR101981992B1 (ko) 가상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7133531A (zh) 应用锁的使用提醒方法和装置
KR101691172B1 (ko)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CN107229845A (zh) 终端上的插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1734146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서버 장치
KR101625747B1 (ko) 다중 선택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691171B1 (ko)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정보 처리 방법
CN110286867A (zh) 一种控制显示卡片信息的方法、装置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