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32B1 - 퍼팅 연습기 - Google Patents

퍼팅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532B1
KR101229532B1 KR1020100116814A KR20100116814A KR101229532B1 KR 101229532 B1 KR101229532 B1 KR 101229532B1 KR 1020100116814 A KR1020100116814 A KR 1020100116814A KR 20100116814 A KR20100116814 A KR 20100116814A KR 101229532 B1 KR101229532 B1 KR 10122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roll tape
exerciser
tape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209A (ko
Inventor
엄정태
Original Assignee
엄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태 filed Critical 엄정태
Priority to KR102010011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공을 홀컵에 홀인시키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타격 위치, 방향, 힘에 관계없이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 원래 위치에 정확하게 리턴되도록 함과 더불어 골퍼의 타격에 대한 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퍼팅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되며 일단부에 힘을 가하면 그 힘에 비례하여 풀렸다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두루마리 테이프를 포함하는 퍼팅 케이스;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 가이드에 축 결합된 구름롤러를 포함하는 퍼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퍼팅 연습기{putting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팅(putting)에 대한 정확도를 숙련시키기 위해 실내에서 간편하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한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란 그린 상에서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홀컵에 넣기 위한 스포츠 경기로서, 경기 시에는 최저 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선수가 이기는 경기이다.
이러한 골프는 여타 스포츠 경기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자세와 반복적인 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스포츠 경기이다.
이때, 골프 경기에 있어, 티잉 그라운드에서의 정확한 방향과, 궤적 및 비거리를 갖도록 골프공을 날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온그린 상태에서 홀컵을 향하여 골프공을 굴리는 퍼팅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퍼팅은 물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정확한 타점의 형성은 임팩트 순간에 스퀘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퍼팅 순간의 물리적 요인으로는 퍼팅 스트록의 궤적과 임팩트 순간의 퍼터 헤드 방향 및 임팩트의 위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것으로서, 퍼팅 스트록의 궤적은 방향성에 영향을 끼치며 직선으로 퍼터 헤드를 뺐다가 다시 직선으로 퍼터 헤드를 밀고 나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때, 퍼팅의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요건 및 자세라 할 수 있는 퍼팅 스트록의 궤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퍼터 헤드의 직선 후퇴와 직선 전진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서, 대다수의 골퍼는 이와 같은 직선 운동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퍼팅 연습기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의 퍼팅 연습기는 3~5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인조매트를 이용하여 골프공을 원하는 지점으로 굴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인조매트에는 직선의 줄무늬 또는 퍼팅 스트로크 분석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정교한 퍼팅을 연습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퍼팅 연습기는 인조 형태로 형성된 그린부와, 상기 그린부의 홀인 지점 위치에서 홀컵이 상측 개구 상태로 매립된 구도를 이루고 있다.
이때, 그린부의 홀인 지점에 해당되는 일측 단부에서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고, 그린부의 외곽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골프공을 퍼팅 위치로 리턴 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퍼팅 연습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종래의 퍼팅 훈련을 보조하기 위해 제안된 그린부와 홀컵이 마련된 퍼팅 연습기는 골퍼의 부단한 반복연습에 따른 경험상의 기술 습득을 꾀하는 것으로서, 골퍼 자신의 퍼팅이 얼마나 정확한지 또는 현재의 타격에 대한 방향 및 힘의 분배가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획일적인 반복 퍼팅 연습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골퍼의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다소 부족함이 있었던 것이다.
둘째, 골프공을 타격한 후에, 골프공이 리턴되기는 하지만, 최초 자리로 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퍼터로 골프공을 움직여야 하는 등 번거로운 준비 작업이 요구되었다.
게다가, 골프공이 홀컵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에는 골퍼가 직접 골프공을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공을 홀컵에 홀인 시키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타격 위치, 방향, 힘에 관계없이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 원래 위치에 정확하게 리턴되도록 함과 더불어 골퍼의 타격에 대한 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퍼팅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되며 일단부에 힘을 가하면 그 힘에 비례하여 풀렸다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두루마리 테이프를 포함하는 퍼팅 케이스;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 가이드에 축 결합된 구름롤러를 포함하는 퍼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퍼팅 케이스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 회전되도록 지지판에 축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대응된 지지판에는 회전눈금이 표시되어 몸체에 대한 회전 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에는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퍼팅구와 퍼팅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되, 상기 스토퍼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일단부와 스토퍼 사이에는 퍼터의 백 스윙 궤적을 표시해주는 눈금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면에는 구름롤러가 구르는 거리표시매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구름롤러에는 골프공 커버가 덮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는 롤러 가이드와의 축 결합에 있어서, 베어링이 더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타격의 위치, 힘, 방향에 관계없이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 항상 원래 자리로 리턴되기 때문에, 골퍼의 연습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된다.
둘째, 지지판 상에 퍼팅 케이스가 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퍼팅 케이스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 회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골프공 타격에 대한 힘, 방향에 따라 퍼팅 케이스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퍼는 타격 자세, 타격 위치, 타격 힘 등을 인지하여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토퍼에 의해 퍼팅구와 퍼팅 케이스 간에 가변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고, 그 간격에 의해 퍼팅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두루마리 테이프에는 퍼터의 백 스윙 위치에 대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퍼터에 대한 백 스윙 궤적에 따라 골프공이 나아가는 거리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골퍼의 퍼팅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으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퍼팅 케이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퍼팅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구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에서, 퍼팅 케이스의 회전에 따른 퍼팅구의 방향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에서, 퍼터의 궤적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퍼팅 연습기는 크게 거리표시매트(100)와, 지지판(200)과, 퍼팅 케이스(300)와, 퍼팅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표시매트(100)는 후술하는 퍼팅구(400)의 구름롤러가 구르는 부위이며, 구름롤러가 구르는 거리를 알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지지판(200)은 퍼팅 케이스(300)가 설치되는 부위이며, 거리표시매트(100)의 두께와 동일한 판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판(200)에는 회전공(210)이 형성되며, 지지판(200)의 후단부에는 퍼팅 케이스(300)의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회전 눈금이 표시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판(200)의 저면에는 지지판(2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흡착부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퍼팅 케이스(300)는 퍼팅구(400)를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체(310)와 두루마리 테이프(320)와, 복원스프링(3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퍼팅 케이스(3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복원스프링(321) 및 두루마리 테이프(320)가 감길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310)의 일측에는 두루마리 테이프(320)가 몸체(310)의 내,외부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311)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310)는 일체로 형성되기보다는 내부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공되며, 분리된 어느 몸체(310)의 내측에는 지주(312)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310)의 내부에는 두루마리 테이프(320) 및 복원스프링(321)이 감기기 위한 스풀(313)이 제공되며, 상기 스풀(313)은 몸체(310)의 지주(312)에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310)의 타측에는 지지판(200)에 축 결합되기 위한 통공(314)이 상,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314)은 지지판(200)의 회전공(210)에 통하게 된다.
또한, 몸체(310)의 타측 단부 즉,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표시부(315)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315)는 지지판(200)의 회전 눈금에 대응되며, 퍼팅 케이스(300)의 회전각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표시부(315)의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회전눈금 표시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한편, 두루마리 테이프(320)는 몸체(31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풀(313)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설치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320)가 스풀(313)에 직접 감기는 것은 아니며, 스풀(313)에 설치된 복원스프링(321)에 연결된 후 감기게 된다.
이때, 복원스프링(321)은 스풀(313)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며, 판스프링으로 제공된다.
상기 복원스프링(321)은 태엽, 줄자 등의 원리와 유사하다. 즉, 일정한 힘에 의해 두루마리 테이프(320)가 풀리더라도 복원스프링(321)의 복원력에 의해 두루마리 테이프(320)는 다시 말려 스풀(313)에 감기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320)의 재질 역시 판스프링임이 바람직하나, 그의 탄성력은 복원스프링(321)에 비해 약하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루마리 테이프(320)의 선단부에는 두루마리 테이프(320)와 탈착 가능하게 눈금 테이프(330)가 결합된다.
상기 눈금테이프(330)는 퍼터의 백 스윙에 대한 궤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퍼터를 백 스윙한 거리에 따라 골프공이 나아가는 거리가 달라지므로, 이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눈금테이프(330)는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며, 눈금테이프(330)가 몸체(31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눈금테이프(330)에는 스토퍼(34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340)는 몸체(310)의 출입구(311)를 간섭하여 눈금테이프(330)가 몸체(31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퍼팅구(400)와 퍼팅 케이스 간(300)에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사람마다 체격이 다르기 때문에 퍼터의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골퍼의 체형에 맞게 퍼터의 백 스윙 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340)는 눈금테이프(330) 상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눈금테이프(330)는 두루마리 테이프(3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지만, 눈금테이프(330)와 두루마리 테이프(3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퍼팅구(400)는 골퍼가 타격을 가하는 부위로서, 롤러 가이드(410)와, 구름롤러(420)와, 골프공 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가이드(410)는 구름롤러(420)의 구름을 가이드 하며, 구름롤러(420)와 두루마리 테이프(320)를 연결하는 매개체이다.
상기 롤러 가이드(410)는 두루마리 테이프(320), 정확하게는 눈금테이프(330)에 연결된 연결부(411)와, 이 연결부(411)에 형성되며 양측에 격벽(412a)이 형성되어 구름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름롤러(420)는 퍼터의 타격에 의해 거리표시매트(100)를 구르는 부위이며, 구름 작용이 원활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름롤러(420)는 구(球)로 이루어지며, 설치부(412)의 격벽(412a)에 축 결합된다.
이때, 구름롤러(420)는 원활한 구름을 위해, 양측에 베어링(421)이 설치된 후 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름롤러(420)는 골프공으로 직접 제공되어도 무방하지만, 원활한 구름작용을 위해 합성수지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골프공 커버(430)는 상기 구름롤러(420)가 골프공으로 제공되지 않을 경우 시각적으로 골프공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름롤러(420)의 구름을 최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퍼터를 이용해 구름롤러(420)를 직접 타격할 경우, 퍼터와 구름롤러(420) 간에 마찰이 발생하므로 구름롤러(420)의 구름 거리가 최대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때, 골프공 커버(430)는 구름롤러(420)에 직접 닿지는 않고, 격벽(412a)에 고정된다.
즉, 골프공 커버(430)는 퍼터가 직접 타격하는 부위인 것이며, 구름롤러(420)는 골프공 커버(430) 내에서 구름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퍼팅 연습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지지판(200)을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판(200)의 저면에는 흡착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지면에 무리 없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00)의 전방으로 거리표시매트(100)를 깔아 놓는다.
다음으로, 지지판(200)의 회전공(210)에 퍼팅케이스(300)의 통공(314)을 대응시킨 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시킨다.
이때, 퍼팅케이스(300)의 수평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판(200)과 퍼팅케이스(300)의 몸체(310) 사이에는 와셔(W)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두루마리 테이프(320)와 복원스프링(321)을 연결시킨다.
또한, 두루마리 테이프(320)와 눈금 테이프(330)가 개별체로 제공된 경우라면 상호 간에 결합시킨다.
즉, 두루마리 테이프(320)의 선단과, 눈금 테이프(330)의 후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눈금테이프(330)에는 상기 눈금테이프(330)가 퍼팅케이스(300)의 내부로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스토퍼(340)를 결합시킨다.
이때, 스토퍼(340)의 위치는 퍼팅 연습상황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눈금테이프(330)의 선단에 퍼팅구(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방식으로는 체결볼트의 체결 및 리벳팅 등 다양한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퍼팅구(400)의 설치부(412)에는 골프용 커버(430)가 고정되고, 골프공 커버(430)의 내부에서 구름롤러(4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 결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퍼팅 연습기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골퍼가 퍼팅구(400)의 골프공 커버(430)를 타격하면, 구름롤러(420)는 거리표시매트(100) 상에서 전방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때, 퍼팅케이스(300)의 복원스프링(321)은 스풀(313)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스풀(3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두루마리 테이프(320)는 퍼팅케이스(300)의 몸체(3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골퍼의 타격 힘에 비례하여 구름롤러(420)의 구름 거리가 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구름롤러(420)는 전방으로 나아간 후, 복원스프링(321)의 복원력에 의해 두루마리 테이프(320)가 다시 감기게 됨에 따라 바로 후퇴하게 된다.
이후, 스토퍼(340)는 몸체(310)의 출입구(311)에 걸려 간섭이 되어, 퍼팅구(400)의 후퇴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정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기는 구름롤러(420)에 대한 단순 타격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퍼팅 자세 등을 교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된 도 6a는 퍼팅의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골퍼가 퍼팅을 했을 때, 골프공의 방향이 어느 쪽으로 나아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즉, 퍼팅의 정확도에 따라 퍼팅 케이스(30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지지판(200)의 회전눈금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골퍼는 이를 인지하여 최적의 퍼팅 감각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b는 퍼터의 백 스윙 궤적에 따라 구름롤러(420)가 어느 정도 굴러 가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특징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퍼팅구(400)와 퍼팅 케이스(300) 사이에는 스토퍼(340)에 의해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만큼 외부로 노출된 눈금테이프(330)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퍼터의 백 스윙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골프공 커버(430)에 가해지는 타격 힘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퍼팅 감각을 숙련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팅 연습기에 의하면 골퍼의 타격 조건에 관계없이 골프공의 위치가 바로 원위치 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골퍼의 편의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퍼팅의 방향성에 대한 감각을 숙련시킬 수 있고, 퍼터의 백 스윙 궤적에 대한 감각을 숙련할 수 있으므로, 막연한 퍼팅 연습이 아니라 퍼팅의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숙련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100 : 거리표시 매트 200 : 지지판
210 : 회전공 300 : 퍼팅 케이스
310 : 몸체 311 : 출입구
312 : 지주 313 : 스풀
314 : 통공 315 : 표시부
320 : 두루마리 테이프 321 : 복원 스프링
330 : 눈금 테이프 340 : 스토퍼
400 : 퍼팅구 410 : 롤러 가이드
411 : 연결부 412 : 설치부
412a : 격벽 420 : 구름롤러
421 : 베어링 430 : 골프공 커버
W : 와셔

Claims (7)

  1.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되며 일단부에 힘을 가하면 그 힘에 비례하여 풀렸다가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두루마리 테이프를 포함하는 퍼팅 케이스;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롤러 가이드에 축 결합된 구름롤러를 포함하는 퍼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퍼팅 케이스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 회전되도록 지면에 고정된 지지판에 축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대응된 지지판에는 회전눈금이 표시되어 몸체에 대한 회전 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에는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퍼팅구와 퍼팅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되, 상기 스토퍼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의 일단부와 스토퍼 사이에는 퍼터의 백 스윙 궤적을 표시해주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지면에는 구름롤러가 구르는 거리표시매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구름롤러에는 골프공 커버가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루마리 테이프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롤러는 롤러 가이드와의 축 결합에 있어서, 베어링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KR1020100116814A 2010-11-23 2010-11-23 퍼팅 연습기 KR10122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14A KR101229532B1 (ko) 2010-11-23 2010-11-23 퍼팅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14A KR101229532B1 (ko) 2010-11-23 2010-11-23 퍼팅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09A KR20120055209A (ko) 2012-05-31
KR101229532B1 true KR101229532B1 (ko) 2013-02-04

Family

ID=4627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14A KR101229532B1 (ko) 2010-11-23 2010-11-23 퍼팅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9364B1 (en) * 2012-08-14 2013-09-10 Keir De Anda Golf training aid
KR101676340B1 (ko) * 2016-02-11 2016-11-15 주식회사 월드조인 퍼팅 근력기를 이용한 퍼팅 근력 향상 방법
KR200490058Y1 (ko) * 2018-03-30 2019-11-05 박상선 퍼팅 연습기구
KR200495058Y1 (ko) * 2019-09-25 2022-02-23 정군화 퍼팅 연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218Y1 (ko) * 1992-03-16 1994-09-15 윤승섭 스윙 연습용 골프매트
KR19990025043U (ko) * 1997-12-16 1999-07-05 박종영 퍼팅 연습기
KR200343046Y1 (ko) 2003-11-12 2004-02-25 윤덕중 퍼팅연습용 골프공
KR20050098426A (ko) * 2004-04-07 2005-10-12 한석일 퍼팅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218Y1 (ko) * 1992-03-16 1994-09-15 윤승섭 스윙 연습용 골프매트
KR19990025043U (ko) * 1997-12-16 1999-07-05 박종영 퍼팅 연습기
KR200343046Y1 (ko) 2003-11-12 2004-02-25 윤덕중 퍼팅연습용 골프공
KR20050098426A (ko) * 2004-04-07 2005-10-12 한석일 퍼팅 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09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975B2 (en) Golf club and method of use
US3885796A (en)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KR100694855B1 (ko) 실내 퍼팅 연습기
KR101229532B1 (ko) 퍼팅 연습기
WO2006062310A1 (en) Apparatus for putting correcting and training
CN106714913B (zh) 高尔夫推杆矫正装置
US3472075A (en) Golf simulation system
US7159864B1 (en) Golf game apparatus
KR101870150B1 (ko) 골프용 퍼팅연습장치
KR101046790B1 (ko) 퍼팅 가이드 골프공
KR20170027643A (ko) 거리별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495058Y1 (ko) 퍼팅 연습장치
US9314684B2 (en) Putting training aid
US2862714A (en) Golf tee and practice device
KR200414543Y1 (ko) 골프퍼팅연습장치
US5028051A (en) Putting practice device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US10576344B1 (en) Golfball rebounder
AU2004100843A4 (en) Golf Putting and Training Aid
KR200369782Y1 (ko) 퍼팅 연습용 눈금 매트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US20210387069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golf putting acuracy
KR200343046Y1 (ko) 퍼팅연습용 골프공
KR100629966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