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442B1 -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442B1
KR101229442B1 KR1020060108012A KR20060108012A KR101229442B1 KR 101229442 B1 KR101229442 B1 KR 101229442B1 KR 1020060108012 A KR1020060108012 A KR 1020060108012A KR 20060108012 A KR20060108012 A KR 20060108012A KR 101229442 B1 KR101229442 B1 KR 10122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ral acceleration
vehicle
control system
suspension
accel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285A (ko
Inventor
윤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10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4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하는 롤링현상을 현가장치의 댐핑력 조절을 통해 제어하는 현가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타 제어시스템과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속과 조향각을 이용하여 산출된 횡가속도 정보와, 타 제어시스템에서 얻은 다른 횡가속도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현가제어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차속 및 조향각을 측정하는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와, 측정된 차속 및 조향각을 이용해 제 1 횡가속도 정보를 얻고, 차량의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외부의 횡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롤링 제어를 위해 상기 제 1 횡가속도 정보와 제 2 횡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횡가속도, 조향각, 차속, 통신, ESP, 제어기, 센서

Description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SUSPENSION CONTROL SYSTEM AND ROLL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SYSTEM}
도 1은 종래 현가제어시스템의 차량 롤링제어를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특히, 차량의 롤링제어를 위한 현가제어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가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롤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 조향각 센서 14: 차속 센서
20: 제어기 22: 제 1 제어블록
24: 제 2 제어블록 26: 선택블록
40: 현가장치 50: EPS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를 제어하는 현가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하는 롤링현상을 현가장치의 댐핑력 조절을 통해 제어하는 현가제어시스템 및 그 현가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롤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현가제어시스템'은 현가장치의 댐핑력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차량 선회시의 롤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의미한다.
차량이 선회할 때, 특히, 급격하게 조향핸들이 조작될 때, 차체는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는 방향의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흔히 롤 또는 롤링이라 부른다.
근래, 연속 댐핑 가변시스템(CDC; Continuous Damping System)으로 칭해지는 현가제어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는데, 이 현가제어시스템은 연성(soft) 감쇠로부터 강성(hard) 감쇠에 이르기까지 감쇠력 곡선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롤링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현가제어시스템은 롤링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센서들(2, 4) 및 제어기(6)를 구비한다. 센서들, 즉, 조향각 센서(2)와 차속 센서(4)는 선회중인 차량의 조향각 및 차속을 측정하며, 제어기(6)는 측정된 조향각과 차속을 이용하여 횡가속도를 산출하여, 그 횡가속도를 기초로 하여, 현가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쇽업소버의 댐핑력을 제어한다.
차량 선회시의 롤율(roll rate)은 차량에 유발되는 횡가속도 변화량에 비례 하므로, 종래의 현가제어시스템은 조향각 센서와 차속 센서에서 측정된 조향각 및 차속을 계산하여 차량의 횡가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차량 선회시의 롤링을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롤링을 제어한다. 아래의 수학식 1에는 차량의 롤링을 예측하는 두가지 방식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6080508810-pat00001
방식 1):
여기에서, p=롤율(roll rate), j=단위시간당 횡가속도 변화량, θ=조향각, v= 차속)
방식 2):
Figure 112006080508810-pat00002
여기에서, p=롤율(roll rate), j=단위시간당 횡가속도 변화량, u=조향각속도(steering angle rate), v= 차속)
전술한 방식 1) 및 방식 2)는 모두 조향각과 차속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의 계산을 통해 단위시간당 횡가속도 변화량 및 차량의 롤링을 예측함으로써 구현되는데, 이러한 방식들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 특성 또는 차량의 종류 등 여러가지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부정확한 롤링 제어를 야기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타 제어시스템과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속과 조향각을 이용하여 산출된 횡가속도 정보와, 타 제어시스템에서 얻은 다른 횡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현가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 가능여부에 따라, 자체 계산된 횡가속도 정보와 외부에서 얻은 다른 횡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차량의 롤링을 제어하는 롤링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은, 차량의 차속 및 조향각을 측정하는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와, 측정된 차속 및 조향각을 이용해 제 1 횡가속도 정보를 얻고, 차량의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외부의 횡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차량의 롤링 제어를 위해 상기 제 1 횡가속도 정보와 제 2 횡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은, 예컨대, ESP와 같은 고가의 타 제어시스템이 함께 차량에 탑재된 경우, 타 제어시스템의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하고 그 횡가속도 정보를 차량 롤링의 예측에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차량의 롤링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횡가속도 센서를 갖는 별도의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지 않은 차량에서는, 자체 구비된 차속 센서와 조향각 센서의 측정값만을 차량의 롤링제어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제동 및/또는 조향 제어시스템과 같은 차량의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 현가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롤링을 제어하는 롤링제어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롤링제어방법은,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로부터 차속 및 조향각에 대한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횡가속도 센서를 갖는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차속 및 조향각을 계산하여 얻어진 제 1 횡가속도 정보만으로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횡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1)은 조향각 센서(12), 차속 센서(14), 그리고 제어기(20) 등을 포함한다.
차속 센서(14)는 예를 들면, 차륜(미도시됨)에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 즉 차량의 주행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또한, 조향각 센서(12)는 예컨대, 차량의 핸들(미도시됨)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차속 센서(14) 및 조향각 센서(12)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전기신호로써 제어기(20)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0)는 제 1 제어블록(22)에서 차속과 조향각을 이용해 횡가속도를 산출하며, 또한, 상기 제 1 제어블록(22)에서는 산출 된 횡가속도를 현가장치(40)의 댐핑력을 조절을 위한 제 1 횡가속도 정보로 가공한다.
한편, 상기한 본 실시예의 제어기(20)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의 중계수단(54)에 의해 외부의 다른 차량안전 제어시스템(50)과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중계수단(54)은 플러그 접속을 통해 두 시스템 간의 통신이 즉시 이루어지게 하는 수단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안전 제어시스템(50; 이하, ESP 시스템으로 칭함)으로는 흔히 '차량 자세 제어시스템'으로 칭해지는 ESP 시스템이 이용된다. 이 ESP 시스템(50)은, 최근 고가의 차량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제동계 및 구동계를 직접 제어하여 차량이 저마찰 노면이나 비대칭 노면을 주행할 때 급제동 또는 급조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현상이나 전복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주행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차량의 안전주행을 위해, ESP 시스템(50)은 요(yaw) 속도센서, 횡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그 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기초로 전술한 제동계 및 구동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1)은 ESP 시스템(50)의 여러 센서들 중에서 횡가속도 센서(52)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하며, 이를 위해, 제어기(20)가 ESP 시스템(50)과 실시간 통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0)는 제 1 제어블록(22)과 제 2 제어블록(24)의 횡가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블록(26)을 갖는다. 이 선택블록(26)에서는 제 1 제어블록(22)과 제 2 제어블록(24)의 제 1 및 제 2 횡가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현가장치(40)의 댐핑력 조절을 위한 실질적인 구동신호로 변환시켜준다.
본 실시예의 현가제어시스템(1)은 전술한 제 1 횡가속도 정보와 제 2 횡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현가장치의 댐핑력 조절 그리고 차량의 롤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ESP 시스템(50)의 차량 탑재 여부, 그리고, 그 제어시스템과 ESP 시스템(50) 간의 통신 가능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은 전술한 현가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롤링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링제어방법은, 차속 및 조향각의 측정 단계(S10)와, ESP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20)와,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이용할 횡가속도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S31, S32)와, 선택된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는 롤링 제어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 단계들(S10, S20, S31, S32, S40)은 모두 차량의 주행 중에 이루어지며, 차량의 주행이 계속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반복적 수행된다.
상기 측정 단계(S10)에서는 차속 센서(14) 및 조향각 센서(12)에서 측정된 차속 및 조향각이 현가제어시스템(1)의 제어기(2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S20)에서는 제어기(20)가 외부의 ESP 시스템(50)과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기(20)가 ESP 시스템(50)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선택 단계(S31)에서 는 차속 센서(14)와 조향각 센서(12)에서 측정된 신호를 계산하여 제 1 횡가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제 1 횡가속도의 정보만을 댐핑력 조절 및 이에 따른 차량의 롤링 제어를 위한 횡가속도 정보로서 선택한다.
또한, 제어기(20)가 EPS 시스템(5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선택 단계(S32)에서는 ESP 시스템(50)으로부터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얻어, 그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댐핑력 조절 및 이에 따른 차량의 롤링 제어를 위한 횡가속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롤링 제어단계(S40)에서는 선택된 횡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가장치의 댐핑 구동력을 조절하고, 이 조절을 통해 차량의 롤링이 제어되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가제어시스템(1)은, 자체의 차속 센서(14) 및 조향각 센서(12)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해 제 1 횡가속도 정보를 구해 이를 차량의 롤링 제어에 이용할 수 있는 한편, EPS 시스템(50)이 탑재되는 차량에서는 상기 EPS 시스템(50)과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하여, 그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해 보다 신뢰성 있는 차량의 롤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현가제어시스템과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하는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 EPS 시스템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ABS 시스템 등 횡가속도 센서를 갖는 다양한 제어시스템이 현가제어시스템과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 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안전제어시스템 등, 횡가속도 센서를 갖는 타 제어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서, 그 타 제어시스템과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차량의 롤링제어를 할 수 있는 한편, 차량 안전제어시스템 등이 탑재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기존의 방식으로 차량의 롤링제어를 할 수 있어, 고가 및 중저가의 차량 모두에서 차량의 롤링제어기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차량에 탑재되고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하는 롤링현상을 현가장치의 댐핑력 조절을 통해 제어하는 현가제어시스템이며,
    상기 현가제어시스템에 포함되고 차량의 차속 및 조향각을 측정하는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와;
    상기 현가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측정된 차속 및 조향각을 이용해 제 1 횡가속도 정보를 얻고, 상기 차량의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외부의 횡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횡가속도 정보와 상기 제 2 횡가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블록은, 상기 차량에 상기 횡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타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횡가속도 정보의 이용을 선택하여 상기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고, 상기 차량에 횡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타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횡가속도 정보의 이용을 선택하여 상기 제 1 횡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제어시스템.
  2.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하는 롤링현상을 현가장치의 댐핑력 조절을 통해 제어하는 현가제어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롤링제어방법이며,
    상기 현가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로부터 차속 및 조향각에 대한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횡가속도 센서를 갖는 타 제어시스템이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현가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차속 센서와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측정된 차속 및 조향각을 계산하여 얻어진 제 1 횡가속도 정보만으로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 제어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횡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2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가장치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링제어방법.
KR1020060108012A 2006-11-02 2006-11-02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KR10122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12A KR101229442B1 (ko) 2006-11-02 2006-11-02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12A KR101229442B1 (ko) 2006-11-02 2006-11-02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285A KR20080040285A (ko) 2008-05-08
KR101229442B1 true KR101229442B1 (ko) 2013-02-06

Family

ID=3964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12A KR101229442B1 (ko) 2006-11-02 2006-11-02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455A (zh) * 2014-02-20 2014-06-1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车辆弯道悬架调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1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반능동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KR100592518B1 (ko) * 2005-06-22 2006-06-26 주식회사 만도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1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반능동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KR100592518B1 (ko) * 2005-06-22 2006-06-26 주식회사 만도 차량 안정성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285A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070B1 (ko) 도로경사 추정 시스템
JP4895132B2 (ja) 車両の横滑り防止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と制御方法
KR101646113B1 (ko) 도로 구배 연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변속 제어 장치
KR101623258B1 (ko) 롤 안정화 시스템의 토크를 제어하는 방법
KR100726907B1 (ko) 차량의 불안정한 주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408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vehicle movement
JP2004138605A (ja) 車両のフロート角度の決定方法及び装置
JP5762647B2 (ja) 後輪軸操舵システムを有する自動車用の装置および自動車の制御方法
KR101213620B1 (ko) 휠 횡가속도를 이용한 차량 자세 제어장치
KR101208369B1 (ko) 차량 경로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1229442B1 (ko) 현가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롤링 제어방법
KR101152296B1 (ko) 차량 안전성 제어시스템
KR100998231B1 (ko) 선회 차량의 자세 제어방법
KR101299103B1 (ko) 전자제어현가장치 및 그의 댐퍼제어방법
JP2009067377A (ja) 車両判定装置
KR101459683B1 (ko)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04115011A (ja) ヨーレートに影響を与えることによって走行特性を調整する方法
KR100535306B1 (ko) 차량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조절방법
KR100907868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80088052A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의 이종타이어 감지 장치 및 이에적합한 감지 방법
KR100769525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0773A (ko) 차량 제어 시스템
JP6641715B2 (ja) 道路勾配推定装置及び道路勾配推定方法
KR101365008B1 (ko) 차량 자세 제어방법
KR101194984B1 (ko) 수직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abs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