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26B1 -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26B1
KR101229226B1 KR1020110048352A KR20110048352A KR101229226B1 KR 101229226 B1 KR101229226 B1 KR 101229226B1 KR 1020110048352 A KR1020110048352 A KR 1020110048352A KR 20110048352 A KR20110048352 A KR 20110048352A KR 101229226 B1 KR101229226 B1 KR 10122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ipe
anchor
shank
chai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0434A (en
Inventor
이지원
장준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26B1/en
Publication of KR2012013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6Weights attached to mooring lines or chain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한 벨 마우스에서 호오즈 파이프 내부로 슬라이딩 가이더를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앵커의 발묘 작업시 생크 부분이 보다 자연스럽게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신속한 해상 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의 선수부(10) 중앙에서 외부로 돌출된 벨 마우스(12)와, 상기 벨 마우스(12)와 교통 가능하고 앵커의 유출/입을 허용하도록 선수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호오즈 파이프(16), 및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를 통해 이동 가능한 체인(18)을 매개로 지지되는 생크(20)를 구비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는 내부에 상기 벨 마우스(12)를 향해 선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슬라이딩 가이더(26)를 설치하며,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출몰은 계류시 외부로 빠져 나오고, 발묘시 앵커의 생크(20)와 플루크(24) 사이의 결합부위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 수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sliding guider to the inside of the hose pipe from the bell mouse located at the bow of the hull to the outside, and through this, the shank portion can enter the inside of the hose pipe more naturally when the anchoring work is carried out. The aim is to make the drawing work easier an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work so that the ship can be dispatched quickly.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ell mouse 1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10 of the hull, and the bow portion 10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bell mouse 12 and to allow the outflow / mouth of the anchor ) And a shank 20 supported through a chain 18 movable through the hose pipe 16, wherein the hose pipe 16 is provided. Sliding guider 26 that can be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toward the bell mouse 12 is installed inside, the appearance of the sliding guider 26 relative to the hose pipe 16 exits to the outside during mooring, Upon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shank 20 and the fluke 24 of the sea anchor, it is housed inside the hose pipe 16.

Description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선수부의 호오즈 파이프 내에서 외부로 출몰하여 앵커의 생크 부분을 가이드하는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recovery device of a ship, and more particularly, it is not only to facilitate the drawing work by installing a structure for guiding the shank portion of the anchor to the outside by hovering outside in the hose pipe of the hull bow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retrieval apparatus for a ship that can greatly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ship.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과 같이 해상에서 부양되는 각종 구조물은 계류장치의 일종인 앵커(Anchor)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앵커는 바람이나 조류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항하여 정박한 선체를 일정한 반경의 수역 내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게 해 주거나 긴급 상황의 발생시 선체의 운항을 중지시키는 응급 조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In general, various structures supported by the sea, such as ships or offshore structures, are provided with anchors, which are a kind of mooring apparatus, and these anchors have a constant radius of water in which the hull anchored against external forces caused by wind or tidal currents is anchored.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mergency control, which allows the user to stay safely inside 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ull in case of emergency.

이와 같은 앵커는 스톡 앵커(Stock anchor)와 스톡리스 앵커(Stockless anchor)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스톡 앵커는 선체와 체인(Chain)을 매개로 연결되는 생크(Shank)와, 상기 생크의 하단부에 대략 직교하게 형성된 중량체의 플루크(Fluke), 및 상기 생크의 상단부에서 생크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계류시 해저면을 파고들어 파지력을 생성하는 스톡(Stock)을 구비한다. 상기 스톡 앵커는 생크와 스톡에 의한 외형적 특징에 따라 십자묘(十字錨)라 지칭되고 주로 소형 선박에서 사용된다. Such anchor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stock anchors and stockless anchors. First, the stock anchor has a shank connected via a hull and a chain, a heavy weight Fluke formed approximately orthogonally to a lower end of the shank, and an intersecting shank at an upper end of the shank.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stock (Stock) to create a gripping force by digging into the sea bottom when mooring. The stock anchors are called cruciforms according to their external characteristics by shank and stock and are mainly used in small ships.

그리고 스톡리스 앵커는 선체와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생크와, 상기 생크의 하단부에서 생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생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의 양단부에서 생크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플루크를 구비하고서 대략 산(山)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톡리스 앵커에 있어 플루크를 지지하는 아암은 생크에 대해 특정의 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계류시 양쪽 플루크에 있는 빌이 해저면을 파고들어 적정의 파지력을 생성하게 된다. 아울러 스톡리스 앵커는 주로 대형 선박에서 사용된다. And the stockless anchor is connected to the shank through the hull and chain, an arm dispos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hank at the lower end of the shank and rotatab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shank, and the shank at both ends of the arm and It has a fluke protruding in a parallel direction to form an approximately mountain shape. In this case, the arm supporting the fluke in the stockless anchor rotate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shank, so that the bills on both sides of the fluke dig into the sea floor during mooring to produce the proper gripping force. Stockless anchors are also commonly used in large ships.

한편, 상기와 같은 앵커는 선체의 묘쇄공이라 지칭되는 호오즈 파이프(Hawse pipe) 내부에 격납되었다가 계류시 체인과 함께 외부로 빠져 나와 해저로 내려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고속정 또는 고속함과 같이 선수부 중앙에 스톡리스 앵커를 배치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한다. On the other hand, such an anchor is stored in the hose pipe (Hawse pip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crushing hole of the hull, and exits to the outside along with the chain when mooring.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tockless anchor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a bow portion like a conventional high speed boat or a high speed boat.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의 설치가 선체 선수부(51)의 양현에 위치하지 않고 선수부측 중앙에 위치한 고속선의 경우에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 선수부의 선형이 날카로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매립형의 벨 마우스(Bell mouth,53)를 형성하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high speed boat in which the anchor is not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hull bow portion 51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the linear shape of the bow portion is made sharp to reduce resistance, and the buried bell mouth (Bell mouth, 53).

그리고 상기 선수부(51)에는 선박의 갑판(55)으로부터 선수부(51)를 향해 선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호오즈 파이프(57)가 설치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57)의 입구는 상기 벨 마우스(5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ow portion 51 is provided with a hose pipe 57 disposed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hull toward the bow portion 51 from the deck 55 of the ship, the inlet of the hose pipe 57 is the bell It is located above the mouse 53.

또한, 상기 호오즈 파이프(57)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앵커와 연결되는 체인(59)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59)은 종단부에 앵커의 생크(61)를 결합함으로써 앵커의 아암(63)과 플루크(65)는 생크(61)와 함께 체인(59)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inner space of the hose pipe 57, the chain 59 is connected to the anchor so as to be movable, the chain 59 is coupled to the anchor shank 61 of the anchor portion by the end of the anchor The arm 63 and the fluke 65 together with the shank 61 form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chain 59.

따라서 계류시 상기 갑판(55)에 구비된 양묘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인(59)이 풀려지면, 상기 호오즈 파이프(57)를 통해 체인(59)과 함께 앵커가 선수부(51)의 외부로 빠져 나와 해저를 향해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앵커의 사용후 회수시, 즉 발묘시에는 양묘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체인(59)이 감겨져 상기 호오즈 파이프(57)를 통해 갑판(55)을 향해 올라가는 데, 이때 상기 체인(59)과 함께 앵커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hain 59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nursery provided in the deck 55 during mooring, the anchor with the chain 59 is pulled out of the bow portion 51 through the hose pipe 57. It descends towards me and the sea floor. On the contrary, after the use of the anchor is recovered, that is, during the seedling, the chain 59 is wound up through the hose pipe 57 to the deck 55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edling machine, and together with the chain 59 The anchor will rise as well.

그런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앵커의 생크(61) 부분은 선수부(51)에 위치한 벨 마우스(53)의 입구측 돌출부와 충돌하면서 큰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호오즈 파이프(57)의 내부로 앵커의 생크(61) 부분이 제대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크(61)의 진입방향을 정위치로 잡아주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데, 이러한 작업에 드는 시간은 고속정의 경우 대략 30분 정도 소요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발묘 작업의 지연은 앵커의 생크(61) 부위중 체인(59)과 연결되는 상단부가 호오즈 파이프(57)의 입구 상부에 맞닿고, 체인(59)과 연결되는 부위의 하부에 위치한 생크(61) 부위는 벨 마우스(53)의 최선단 돌출부에 맞닿는 2점 접촉이 동시에 발생하여 호오즈 파이프(57) 내부로 생크(61)의 진입이 방해받기 때문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However, the shank 61 portion of the anchor in such a series of processes will cause a loud noise while colliding with the inlet protrusion of the bell mouth 53 located in the bow portion (51). In addition, since the shank 61 portion of the anchor does not properly enter the inside of the hose pipe 57, a series of operations for holding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shank 61 in place must be additionally performed. However, this work takes about 30 minutes for a high speed boat. That is, the delay of the drawing work as described above is such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nchor shank 61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in 59 abuts the upper part of the inlet of the hose pipe 57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hain 59. The shank 61 located at is a phenomenon due to the fact that two-point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bell mouth 53 occurs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entry of the shank 61 into the hose pipe 57.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묘시 호오즈 파이프(57)의 내부로 앵커의 생크(61) 부분을 정확하기 집어넣기 위해 추가로 소요되는 시간은 긴급 상황의 발생시 선박의 출동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additional time required to accurately insert the shank 61 portion of the anchor into the inside of the hose pipe 57 at the time of emergence will result in delaying the ship dispatch in case of emergenc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한 벨 마우스에서 호오즈 파이프 내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가이더를 매개로 앵커의 발묘 작업시 생크 부분이 보다 자연스럽게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묘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보다 신속한 해상 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the shank portion of the anchor is more naturally natural when the anchoring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sliding guider installed to be protruded into the hose pipe from the bell mouse located at the bow portion of the hull. The purpose of this method is to facilitate the drawing work and to grea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work by allowing the inside of the pipe to enter the pipe so that the ship can be dispatched more quick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의 선수부 중앙에서 외부로 돌출된 벨 마우스와, 상기 벨 마우스와 교통 가능하고 앵커의 유출/입을 허용하도록 선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호오즈 파이프, 및 상기 호오즈 파이프를 통해 이동 가능한 체인을 매개로 지지되는 생크를 구비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는 내부에 상기 벨 마우스를 향해 선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슬라이딩 가이더를 설치하며, 상기 호오즈 파이프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의 출몰은 계류시 외부로 빠져 나오고, 발묘시 상기 생크와 플루크 사이의 결합부위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ell mous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of the hull, a hose pipe installed inside the bow portion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bell mouse and allow the outflow / mouth of the anchor, and And a shank supported by a chain movable through the hose pipe, the hose pipe having a sliding guider which can be projected out of the hull toward the bell mouth therein, and the sliding to the hose pipe. The hauler of the guider exits to the outside during mooring, and is stored inside the hose pipe upon contact with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hank and the fluk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는 상기 체인과 앵커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중공형 몸체와, 상기 중공형 몸체의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중공형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요(凹)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guider has a hollow body for movably guiding the chain and the anchor, and a lock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hollow body to the outside, the hollow body has an open top It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concave shap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호오즈 파이프는 상기 걸림편을 내부에 삽입시켜 호오즈 파이프 내부에서 걸림편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의 입구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의 최대 출몰 가능한 거리는 상기 선수부에서 벨 마우스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pip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iece to form a long hole for movably coupling the locking piece in the hose pipe, and the maximum appearance of the sliding guider from the inlet of the hose pipe The distance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ell mouse in the bow portion.

본 발명은 선체 선수부의 선형이 날카로운 형태이면서 선수부 중앙에 앵커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속정 또는 고속함 등과 같은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에 적합한 것으로서, 발묘 작업시 앵커의 생크 부분이 호오즈 파이프의 출구를 통해 선수부의 외부로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더에 의해 벨 마우스의 입구에 부딪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호오즈 파이프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발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앵커의 회수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을 통해 비상시 신속한 해상 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목적하는 바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the anchor recovery device of the ship, such as a high speed boat or a high speed boat in which the linear shape of the hull bow portion is sharp and anchorable to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Through the sliding guider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w portion can naturally enter the inside of the hose pipe without hitting the entrance of the bell mous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drawing 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erformance of the intended purpose by enabling a quick maritime dispatch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recovery of the anchor.

또한, 본 발명은 앵커의 발묘 작업시 생크 부분이 선체의 선수부로 돌출된 벨 마우스 입구에 부딪치지 않게 하여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줄임과 더불어 종래 생크 부분과 벨 마우스 입구부위에서 수반되는 충돌에 의한 앵커의 손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앵커의 내구 수명의 연장을 통한 설비의 사용 기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noise by preventing the shank portion from hitting the bell mouth inlet protruding into the bow portion of the hull during the drawing work of the anchor, and of the anchor by the collision involved in the conventional shank portion and the bell mouth inlet. Damage can be eliminated more aggressively, providing an economic advantage that can maximize the service life of the facility by extending the endurance life of the anchor.

도 1은 종래 선박의 앵커에 대한 발묘 작업시 수반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2와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발묘시 앵커와 슬라이딩 가이더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호오즈 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 가이더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계류시 앵커와 슬라이딩 가이더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묘의 과정중에 앵커와 슬라이딩 가이더 사이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drawing work for the anchor of the conventional vessel.
2 and 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for the anchor recovery apparatus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nchor and the sliding guider during seeding.
3 is a view partially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liding guider inside the hose pipe;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nchor and the sliding guider during mooring.
5 is a view showing a contact state between the anchor and the sliding guider during the process of draw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는 매립형 벨 마우스를 구비한 선박에 적용되는 것인 바, 고속정 또는 고속함과 같이 선체 선수부(10)의 선형이 날카로운 선박의 경우, 상기 선수부(10) 중앙에 매립형의 벨 마우스(12)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선수부(10)에는 갑판(14)으로부터 선수부(10)를 향해 선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호오즈 파이프(16)가 설치되며,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는 상기 벨 마우스(12)의 상부에 위치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nchor recovery device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hip having a buried bell mouse, in the case of a ship having a sharp linear hull 10, such as a high speed boat or a high speed ship, A buried bell mouth 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10, and the bow portion 16 of the hull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hull toward the bow portion 10 from the deck 14. ) Is installed, the inlet of the hose pipe 16 is located above the bell mouth (12).

그리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앵커와 연결되는 체인(18)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18)은 일단부가 선체의 갑판(14)에 설치된 양묘기(도시안됨)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앵커의 생크(20)와 결합됨으로써 앵커의 아암(22)과 플루크(24)를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 chain 18 connected to an anchor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using an internal space of the hose pipe 16, and the chain 18 has one end of a nursery (not shown) installed at the deck 14 of the hu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anchor shank 20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arm 22 and the fluke 24 of the anchor.

즉, 앵커는 상기 체인(18)의 종단부와 결합되는 자루 형태의 생크(20)와, 상기 생크(20)의 하측 종단부에서 특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22), 및 상기 아암(22)의 양단부에서 대략 상기 생크(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루크(2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체인(18)은 갑판(14)에 설치된 양묘기와 앵커의 생크(20) 종단부 사이를 연결하여 양묘기의 작동을 매개로 앵커를 수중으로 내리는 계류 작업 또는 반대로 선체로 끌어 올리는 발묘 작업을 각각 가능하게 해 준다. That is, the anchor is a bag-shaped shank 2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hain 18, the arm 22 is rotatably coupled at a specific angle at the lower end of the shank 20, and the At both ends of the arm 22 there is provided a fluke 24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ank 20. At this time, the chain 18 is connected between the nursery installed on the deck 14 and the end of the shank 20 of the anchor to the mooring operation to lower the anchor in wat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nursery, or the drawing work to pull up to the hull on the contrary It makes each possible.

한편,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는 내부에 상기 벨 마우스(12)를 향해 선체 외부로 출몰 가능한 별도의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이더(26)를 설치하는 바,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호오즈 파이프(16)의 전 부위중 상기 벨 마우스(12)에 인접한 입구 내부에 국한된 위치에서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에 대해 외부로 출몰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최대 출몰 가능한 거리는 상기 선수부(10)에서 벨 마우스(12)의 돌출 길이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ose pipe 16 has a sliding guider 26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toward the bell mouse 12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sliding guider 26 ) Is movably installed outwardly relative to the hose pipe 16 at a position confined inside the inlet adjacent to the bell mouth 12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hose pipe 16.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possible distance of the sliding guider 26 from the inlet of the hose pipe 16 is set lar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ell mouth 12 in the bow portion 10.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계류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8) 및 생크(20)와 함께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로부터 선체 외부로 빠져 나오는 반면에, 발묘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8) 및 생크(20)와 함께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측 내부로 수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8) 및 생크(20)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중공형 몸체(26a)와, 상기 중공형 몸체(26a)의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에 대해 지지되는 걸림편(26b)을 구비한다. Accordingly, the sliding guider 26 exits from the inlet of the hose pipe 16 together with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at the time of mooring,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are stored inside the inlet side of the hose pipe 16. To this end, the sliding guider 26 has a hollow body 26a for movably guiding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as shown in FIG. 3 and an outer side at the side of the hollow body 26a. It has a locking piece (26b) protruding into the support to the hose pipe (16).

또한,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는 상기 걸림편(26b)을 내부에 삽입시킴으로써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에서 걸림편(26b)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장공(16a)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장공(16a)은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에서 내부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이동 스트로크만큼의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단면의 형태로 보아 상부가 개방된 요(凹)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중공형 몸체(26a)로 설정됨으로써, 그 내부에서 상기 체인(18)과 생크(2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양측 외부에서 걸림편(26b)을 형성하여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에 형성된 장공(16a)과의 결합을 통해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hose pipe 16 forms a long hole 16a for movably guiding the locking piece 26b inside the hose pipe 16 by inserting the locking piece 26b therein. In this case, the long hole 16a is formed to have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stroke of the sliding guider 2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let of the hose pipe 16 to the inside. In particular, the sliding guider 26 is set as a hollow body 26a having a yaw-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which the top is open in the form of a cross section, whereby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therein. ) Guides the movement, and the engaging pieces 26b are formed on both sides to enable smooth movement through engagement with the long holes 16a formed in the hose pipe 16.

따라서 계류시 상기 갑판(14)에 구비된 양묘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인(18)이 풀려지면,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를 통해 체인(18)과 함께 앵커가 선수부(10)의 외부로 나와 해저를 향해 하강함으로써 정박에 필요한 파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부터 입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호오즈 파이프(16)의 설치각에 따라 수반되는 자중에 의한 힘을 매개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Therefore, if the chain 18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nursery provided in the deck 14 during mooring, the anchor with the chain 18 through the hose pipe 16 to the outside of the bow 10 Descending towards the sea floor generates the gripping force required for anchoring. At this time, the sliding guider 26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hose pipe 16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That is, the sliding guider 26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ce of the self-weight accompany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hose pipe 16.

반대로 발묘시 양묘기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체인(18)이 감겨지면,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 체인(18)과 함께 슬라이딩 가이더(26)도 함께 수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앵커의 생크(20)는 그 상단부위가 상기 체인(18)과 함께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로부터 외부로 빠져 나온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종단부에 대해 1점 접촉의 방식으로 지지되므로 인해, 상기 생크(20)는 전 부위는 벨 마우스(12)를 포함한 선수부(10)의 어떤 부위와도 충돌하지 않게 된다. 이어 앵커의 생크(20)는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종단부를 향해 들려 올라가는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슬라이딩 가이더(26)의 몸체(26a)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chain 18 is 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nursery during drawing, the sliding guider 26 is also stored together with the chain 18 into the hose pipe 16. In this process, the shank 20 of the anchor is in the manner of one-point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sliding guider 26 whose upper end portion exits from the hose pipe 16 together with the chain 18. Due to being supported, the shank 20 will not collide with any part of the bow 10, including the bell mouse 12. Subsequently, the shank 20 of the anchor enters the body 26a of the sliding guider 26 while pivoting in the upward direction toward the end of the sliding guider 26.

이러한 과정이 더욱 진행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몸체(26a) 내로 체인(18)과 함께 생크(20)의 진입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양묘기에 의한 체인(18)이 더욱 당겨지는 동작을 통해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 상기 체인(18)과 생크(20)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도 함께 수납되고, 이후 앵커의 아암(22)과 플루크(24) 부위만이 선수부(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지지된다. 즉, 발묘시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생크(20)와 플루크(24) 사이의 결합부위와의 접촉에 따른 작용력을 제공받아 상기 체인(18)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This process is further progressed, and the entrance of the shank 20 together with the chain 18 into the body 26a of the sliding guider 26 is followed by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chain 18 by the dresser further. The sliding guider 26, including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is also housed inside the ozone pipe 16, and then only the arm 22 and the fluke 24 portions of the anchor 10 are located in the bow portion 10. ) Is supported a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sliding, the sliding guider 26 is provided with an action force due to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shank 20 and the fluke 24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hain 18. ) Can be stored inside.

이 결과, 발묘시 상기 체인(18)과 생크(20)는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로부터 외부로 출몰된 슬라이딩 가이더(26)를 매개로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를 향해 정확한 위치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외부로 출몰된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선단부에 국한하여 체인(18)과 생크(20) 사이의 연결부위가 지지될 수 있으므로 선수부(10)는 물론 벨 마우스(12)와의 불필요한 접촉이 배제되어 충돌에 의한 이상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enter the correct posi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hose pipe 16 through the sliding guider 26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hose pipe 16 at the time of drawing.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hain 18 and the shank 20 can be supported only in the tip portion of the sliding guider 26, whic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bow 10 and the bell mouse 12 can be supported. Unnecessary contact is eliminat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 due to the collision as well a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drawing wor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선수부 12-벨 마우스
14-갑판 16-호오즈 파이프
16a-장공 18-체인
20-생크 22-아암
24-플루크 26-슬라이딩 가이더
26a-몸체 26b-걸림편
10-player 12-bell mouse
14-deck 16-hose pipe
16a-Song 18-Chain
20-shank 22-arm
24-Fluke 26-Sliding Guider
26a-body 26b-jam

Claims (4)

선체의 선수부(10) 중앙에서 외부로 돌출된 벨 마우스(12)와, 상기 벨 마우스(12)와 교통 가능하고 앵커의 유출/입을 허용하도록 선수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호오즈 파이프(16), 및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를 통해 이동 가능한 체인(18)을 매개로 지지되는 생크(20)를 구비하는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는 내부에 상기 벨 마우스(12)를 향해 선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슬라이딩 가이더(26)를 설치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출몰은 계류시 외부로 빠져 나오고, 발묘시 앵커의 생크(20)와 플루크(24) 사이의 결합부위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는 체인(18)과 생크(20)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중공형 몸체(26a)와, 상기 중공형 몸체(26a)의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걸림편(26b)을 구비하고, 상기 호오즈 파이프(16)는 상기 걸림편(26b)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공(16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
Bell mouse 1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w portion 10 of the hull, and a hose pipe 16 installed inside the bow portion 1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bell mouse 12 and allow the outflow / mouth of the anchor. In the anchor recovery apparatus of the ship having a shank 20 supported by the chain 18, which is movable through the hose pipe 16,
The hose pipe 16 is provided with a sliding guider 26 which can be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toward the bell mouth 12 therein, and the appearance of the sliding guider 26 with respect to the hose pipe 16 When mooring out, it i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hose pipe 16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between the shank 20 and the plug 24 of the anchor when the anchoring, the sliding guider 26 is a chain A hollow body 26a for movably guiding the 18 and the shank 20, and a locking piece 26b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hollow body 26a to the outside, wherein the hose pipe ( 16 is the anchor recovery device of the ship,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ong hole (16a) for movably coupling the engaging piece (26b).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26a)는 상부가 개방된 요(凹)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body (26a) is an anchor recovery apparatus of a 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yaw shape with the top op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오즈 파이프(16)의 입구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가이더(26)의 최대 출몰 거리는 상기 선수부(10)에서 벨 마우스(12)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ximum hauling distance of the sliding guider (26) from the inlet of the hose pipe (16)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bell mouth (12) in the bow portion (10).
KR1020110048352A 2011-05-23 2011-05-23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KR101229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52A KR101229226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52A KR101229226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34A KR20120130434A (en) 2012-12-03
KR101229226B1 true KR101229226B1 (en) 2013-02-01

Family

ID=4751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52A KR101229226B1 (en) 2011-05-23 2011-05-23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034B1 (en) * 2013-04-19 2014-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hip bell mouth of installation structure
CN110733605A (en) * 2019-04-04 2020-01-31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Ship anchor storage device and method
CN112478057B (en) * 2020-11-05 2022-03-0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Ship anchor system for 40000-ton self-unloading ship
CN113602423B (en) * 2021-10-11 2021-12-10 南通麒麟重工机械有限公司 Intelligent anchoring equipment for wind-proof transverse guy cable of large mechanical sh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92U (en) * 1993-08-03 1995-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nchor chain locking device for mooring buo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92U (en) * 1993-08-03 1995-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nchor chain locking device for mooring bu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34A (en)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9850B1 (en) Floating type wind turbine generation apparatus
KR20210082125A (en) floating drilling
JP6360060B2 (en) Hull for mov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for moving and installing a floating platform using the hull
KR101229226B1 (en) Apparatus for heaving anchor in vessel
KR20120125719A (en) Cable Clench Structure Equipped to the Chain Locker of Anchoring System for Ship
KR102095210B1 (en) Mooring installations for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KR102209053B1 (en) Mooring Apparatus
EP3251942A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KR101384034B1 (en) Ship bell mouth of installation structure
KR20150021305A (en) Sliding type floating power plant mooring apparatus
US4303037A (en) Single point mooring system
KR20120064914A (en) Mooring apparatus for floating body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CN102427996A (en) An anchor positioning system
KR101194573B1 (en) Anchor housing system
JP6820697B2 (en) Mooring method of floa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JP5600848B2 (en) Scale rotation device for streamline tow rope, especially with streamline scale
KR20140002178U (en) 4 4 point mooring apparatus of refloat vessel
KR20170140449A (en) Towing hooks for ships
KR101503279B1 (en) Drill ship having a arrangement structure of mooring apparatus
KR100516140B1 (en) Towing system
KR101781205B1 (en) Loading method of the moorig chain on the rig
KR102507440B1 (en) Underwater rope collector
KR101732364B1 (en) Turret structure for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6765B1 (en) Anchoring system for ship 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