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21B1 -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21B1
KR101229221B1 KR1020120083678A KR20120083678A KR101229221B1 KR 101229221 B1 KR101229221 B1 KR 101229221B1 KR 1020120083678 A KR1020120083678 A KR 1020120083678A KR 20120083678 A KR20120083678 A KR 20120083678A KR 101229221 B1 KR101229221 B1 KR 10122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put
user
blocking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복
Original Assignee
(주)세영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영통신 filed Critical (주)세영통신
Priority to KR102012008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 스마트폰의 전원이 온(ON)에 따라, 터치스크린으로의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통화 버튼이 입력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미리 저장된 초기치 프로세스들 중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1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2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서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 매칭되는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 중 어느 하나 것이라도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스마트폰으로의 호 발신을 제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Method for blocking user's unintended call request based on smart-phone}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반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스크린의 특성상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등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한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통화 요청을 차단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젊은 사람뿐만 아니라, 노인, 아이들도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출력부인 디스플레이와 입력부인 터치모듈이 하나로 제공되는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출고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나, 일반적으로 6.5 내지 11인치와 같이 대형 화면으로 제공됨으로 인해 주머니나 가방에 넣을 경우 잘못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가 더욱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가 의도치 않게 수신자로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전화 통화가 잘못 걸리는 경우,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부수적으로 회선 사용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통화요청 정보 제공방법(METHOD OF OFFERING INFORMATIOM OF DEMANDING MESSAGE) (특허출원번호 제10-1997-0067816호)
2.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 calling display message and apparatus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351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의 특성상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등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한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통화 요청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통화료가 소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통화요청에 대해 상대방에서 이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대방 인지에 따른 통화거부를 통해 발신자가 잘못된 통화요청이 가고 있음을 재차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통화요청을 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발신 스마트폰의 전원이 온(ON)에 따라, 터치스크린으로의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통화 버튼이 입력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미리 저장된 초기치 프로세스들 중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1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2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서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 매칭되는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 중 어느 하나 것이라도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스마트폰으로의 호 발신을 제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 스마트폰의 전원이 온(ON) 되면, 제어부가 시스템 메모리 영역으로 입력 모니터링 모듈을 로딩한 뒤,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을 위해 입력 모니터링 모듈을 웨이크-업(wake-up)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하는 제 3-1 단계;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호 차단/진행 모듈로 전달하는 제 3-2 단계; 및 호 차단/진행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호 발신을 차단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제 3-2 단계는,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통화 요청에 대한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며, 상기 3-3 단계는, 상기 호 차단/진행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호 발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제 3-2 단계는,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매칭되는 것이 없거나,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상기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입력을 모두 포함하나 중간에 다른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통화 요청에 대한 의도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하는 제 3-1 단계;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알림 모듈로 전달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알림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통화오류 정보 표시와 함께 호 발신을 진행하며, 통화 오류 정보를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 3-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상기 제 3-3 단계에서의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의 통화 오류 정보 전송시, 상기 알림 모듈이 상기 발신 스마트폰의 ID를 함께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수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오류 정보 노출에 의한 통화 거부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 스마트폰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4 단계;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스마트폰으로 부저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5 단계; 및 상기 알림 모듈이 스피커로 부저음을 발생시켜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원치 않는 통화 발신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려 스스로 호 발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 3-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터치스크린의 특성상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등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한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통화 요청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통화료가 소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통화요청에 대해 상대방에서 이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대방 인지에 따른 통화거부를 통해 발신자가 잘못된 통화요청이 가고 있음을 재차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잘못된 통화요청을 끊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에서의 발신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통화요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방에 대한 전화통화 요청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문자메시지 전송, 그리고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요청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발신 스마트폰(10), 이동통신망(20),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 그리고 수신 스마트폰(4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에서의 발신 스마트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스마트폰(10)은 터치스크린(11), 제어부(12), 시스템 메모리(13), 송수신부(14), 스피커(15) 그리고 저장부(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시스템 메모리(13)에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 호 차단/진행 모듈(13c), 알림 모듈(13d)이 로딩 된다.
이하에서는 시스템 메모리(13)에 로딩되는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 호 차단/진행 모듈(13c) 및 알림 모듈(13d)을 중심으로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은 발신 스마트폰(10)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12)에 의해 시스템 메모리(13) 영역으로 로딩된다.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은 로딩 후, 제어부(12)에 의한 터치스크린(11)으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을 위한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 상으로의 통화 버튼 입력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16)에 저장한다.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 버튼 입력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저장부(16)에서 추출한 뒤,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한다. 여기서 입력 프로세스는 입력 내역의 각 입력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것을 의미한다.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호 차단/진행 모듈(13c)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입력 프로세스 분석을 위해 저장부(16)에 미리 저장된 초기치 프로세스들 중 제 1 실시 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상술한 초기치 프로세스들과 입력 프로세스가 정확하게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각 초기치 프로세스의 중간에 다른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등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한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호 차단 및 진행을 수행한다. 즉,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경우,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호 발신을 진행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 한편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호 발신을 차단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
알림 모듈(13d)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통화오류 정보 표시와 함께 호 발신을 진행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하며, 통화 오류 정보를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 여기서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의 통화 오류 정보 전송시 발신 스마트폰(10)의 ID를 함께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수신 스마트폰(40)의 사용자가 통화 오류 정보를 보고 통화 거부 설정에 따라, 수신 스마트폰(40)이 이동통신망(20)을 통해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발신 스마트폰(10)으로 부저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스마트폰(10) 상의 알림 모듈(13d)은 스피커(15)로 부저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원치 않는 통화 발신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림으로써, 발신 스마트폰(10) 사용자가 발신되고 있는 호를 스스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스마트폰(10)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12)는 시스템 메모리(13) 영역으로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을 로딩한 뒤, 터치스크린(11)으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을 위해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을 웨이크-업(wake-up)한다(S11).
단계(S11) 이후,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 상으로의 통화 버튼 입력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16)에 저장한다(S12).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통화 버튼 입력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저장부(16)에서 추출한 뒤,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한다(S13).
단계(S13) 이후,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호 차단/진행 모듈(13c)로 전달한다(S14). 여기서 입력 프로세스 분석을 위해 저장부(16)에 미리 저장된 초기치 프로세스들 중 제 1 실시 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로는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 통화 버튼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상술한 초기치 프로세스들과 입력 프로세스가 정확하게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각 초기치 프로세스의 중간에 다른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등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한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호 차단 및 진행을 수행한다(S15).
즉,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경우,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호 발신을 진행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S16).
한편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호 발신을 차단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S17).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스마트폰(10)의 전원이 온(ON)되면, 제어부(12)는 시스템 메모리(13) 영역으로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을 로딩한 뒤, 터치스크린(11)으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을 위해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을 웨이크-업(wake-up)한다(S21).
단계(S21) 이후, 입력 모니터링 모듈(13a)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 상으로의 통화 버튼 입력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16)에 저장한다(S22).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통화 버튼 입력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저장부(16)에서 추출한 뒤,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한다(S23).
단계(S23) 이후,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은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호 차단/진행 모듈(13c)로 전달한다(S24).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지 호 차단/진행 모듈(13c)이 호 발신을 진행하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13b)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알림 모듈(13d)은 호 차단 알림을 수행한다(S25).
즉,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알림 모듈(13d)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통화오류 정보 표시와 함께 호 발신을 진행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하며, 통화 오류 정보를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 전송한다(S26). 여기서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의 통화 오류 정보 전송시 발신 스마트폰(10)의 ID를 함께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단계(S26) 이후, 수신 스마트폰(40)의 사용자가 통화 오류 정보를 보고 통화 거부 설정에 따라, 수신 스마트폰(40)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로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송한다(S27).
단계(S27) 이후, 통화오류 서비스서버(30)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발신 스마트폰(10)으로 부저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S28).
이에 따라, 발신 스마트폰(10) 상의 알림 모듈(13d)은 스피커(15)로 부저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원치 않는 통화 발신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린다(S29).
한편, 단계(S25) 상에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경우, 호 차단/진행 모듈(13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수신 스마트폰(40)으로 호 발신을 진행하도록 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S3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발신 스마트폰
11: 터치스크린
12: 제어부
13: 시스템 메모리
13a: 입력 모니터링 모듈
13b: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
13c: 호 차단/진행 모듈
13d: 알림 모듈
14: 송수신부
15: 스피커
16: 저장부
20: 이동통신망
30: 통화오류 서비스서버
40: 수신 스마트폰

Claims (11)

  1. 발신 스마트폰의 전원이 온(ON)에 따라, 터치스크린으로의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하는 제 1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통화 버튼이 입력되기 전까지의 입력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미리 저장된 초기치 프로세스들 중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1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2 시계열적 입력순서,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통화 버튼 입력에 의한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서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에 매칭되는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분석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시계열적 입력 순서 중 어느 하나 것이라도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스마트폰으로의 호 발신을 제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 스마트폰의 전원이 온(ON) 되면, 제어부가 시스템 메모리 영역으로 입력 모니터링 모듈을 로딩한 뒤,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역을 모니터링을 위해 입력 모니터링 모듈을 웨이크-업(wake-up)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하는 제 3-1 단계;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호 차단/진행 모듈로 전달하는 제 3-2 단계; 및
    호 차단/진행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호 발신을 차단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3-2 단계는,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매칭되는 것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통화 요청에 대한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며,
    상기 3-3 단계는,
    상기 호 차단/진행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호 발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수신자 번호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전화걸기 버튼 입력, 주소록 선택 입력, 주소록 리스트에서 수신자 선택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초기치 프로세스는,
    전원버튼 입력, 통화기록 선택 입력, 그리고 통화 버튼 입력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입력 단위에 대한 시계열적 입력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제 3-2 단계는,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매칭되는 것이 없거나, 상기 입력 프로세스가 상기 다수의 초기치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입력을 모두 포함하나 중간에 다른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가 통화 요청에 대한 의도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내역에서 입력 프로세스를 추출하는 제 3-1 단계;
    상기 입력 프로세스 분석모듈이 입력 프로세스 분석에 따라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를 판단한 뒤, 판단 결과를 알림 모듈로 전달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알림 모듈이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요청 의도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스마트폰으로 통화오류 정보 표시와 함께 호 발신을 진행하며, 통화 오류 정보를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제 3-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3-3 단계에서의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의 통화 오류 정보 전송시,
    상기 알림 모듈이 상기 발신 스마트폰의 ID를 함께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수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오류 정보 노출에 의한 통화 거부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 스마트폰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로 통화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4 단계;
    상기 통화오류 서비스서버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 스마트폰으로 부저음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5 단계; 및
    상기 알림 모듈이 스피커로 부저음을 발생시켜 상기 발신 스마트폰 사용자의 원치 않는 통화 발신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려 스스로 호 발신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 3-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KR1020120083678A 2012-07-31 2012-07-31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KR10122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678A KR101229221B1 (ko) 2012-07-31 2012-07-31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678A KR101229221B1 (ko) 2012-07-31 2012-07-31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21B1 true KR101229221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678A KR101229221B1 (ko) 2012-07-31 2012-07-31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045A (ko) * 2009-05-29 2012-01-25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용량 조절 시스템 또는 유체 주입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045A (ko) * 2009-05-29 2012-01-25 에머슨 클리메이트 테크놀로지즈 인코퍼레이티드 용량 조절 시스템 또는 유체 주입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1826A1 (en) Method for Quickly Starting Application Service, and Terminal
JP2016533110A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40023082A (ko) 수신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JP2016533110A5 (ko)
JP6250871B2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264945A (ja) 機能設定装置、電子機器、電子機器の機能設定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の機能設定方法
EP1739937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495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20090002940A (ko)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1229221B1 (ko) 무선통신 기반의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통화요청 차단 방법
US20160196420A1 (en) Electronic system and device unlock method of the same
JP2013176000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1046283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devices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KR20100091626A (ko) 스팸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23142B2 (en) Call priority for mobile devices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US10623552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end users
US8744527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terminating communication notification handling at a communication device
KR101371184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착신자 상황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6434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알람 설정 방법
KR10053563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스케쥴 정보 알림 방법
KR1006643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1308817B1 (ko) 임시 모닝콜 제공을 위한 단말기 그리고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