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09B1 -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09B1
KR101228809B1 KR1020110077221A KR20110077221A KR101228809B1 KR 101228809 B1 KR101228809 B1 KR 101228809B1 KR 1020110077221 A KR1020110077221 A KR 1020110077221A KR 20110077221 A KR20110077221 A KR 20110077221A KR 101228809 B1 KR101228809 B1 KR 10122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symbols
unit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앙키 안두리
오클리 이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7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공개한다.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를 복수개의 판별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도형 및 색상과 같은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서 입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 시마다 다양한 패턴의 기호의 조합을 랜덤하게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지켜보고 있더라도, 쉽게 패스워드를 유추할 수 없도록 하여 패스워드에 대한 보안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password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다양한 패턴의 복수개의 기호가 동시에 판별 구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패스워드 입력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각종 장치들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각종 장치 중에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승인되어야, 장치 고유의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가 다수 포함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패스워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부를 통해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장치의 일예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핸드폰이나 도어락 등의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로 패스워드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 전체를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하고,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해당 구역을 대표하는 기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가 표시된 판별 구역에 매칭된 입력부의 영역 또는 버튼을 터치함에 의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해당 구역을 대표하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숫자나 문자 또는 특수문자들 중 지정되는 한 가지 패턴의 기호가 이용된다. 즉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기호가 숫자로 지정되거나 문자로 지정된다. 또한 대부분의 장치는 항시 지정된 패턴의 동일한 기호가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기호가 숫자로 지정된 경우에,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는 항상 동일한 숫자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패스워드가 변경되지 않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항상 입력부의 동일한 위치를 접촉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아닌 주변의 다른 사람이 입력부에 남아 있는 지문 또는 마모된 흔적을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입력부 상의 터치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패스워드를 부당하게 획득하기에 용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도1 에 도시되어 있다.
도1 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장치를 나타내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11-00061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1 에 따른 기존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터치패드(10) 상의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표시되는 숫자와 특수문자의 위치가 변경된다. 즉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는 항상 동일한 숫자 및 특수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에 비하여 숫자와 특수문자의 위치가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변경되므로, 지문 등에 의한 패스워드 유출 가능성이 낮으므로 보안성이 높다.
그러나 숫자 및 특수문자의 위치가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숫자로 구성된 패스워드는 주변의 다른 사람이 숫자를 직접 확인하여 기억하기 용이한 패스워드로 볼 수 있다. 비록 도1 에도 숫자 이외에 두 개의 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전화기와 같은 장치에서 숫자와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호이므로 다른 사람이 기억하기 용이하기로는 숫자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도2 는 기존의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2 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2-0002231호에 개시된 패스워드 보호 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표시되는 기호의 위치가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변경될 뿐만 아니라, 기호로 사용되는 패턴이 통상적인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을 패스워드로 입력 가능한 기호로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을 기호로서 이용하므로, 다른 사람이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지켜보더라도 암기가 어려우므로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1 및 도2 에 도시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표시되는 기호의 위치가 변경되고,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불규칙 도형을 기호로서 이용하여 다른 사람이 패스워드를 부당한 방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지켜본 사람이 패스워드를 기억하여 부당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개선되지 않았다. 즉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주변의 다른 사람이 1회만 지켜보더라도, 패스워드가 다른 사람에게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구비하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전체가 복수개의 판별 영역으로 구분되어 패스워드 선택 화면이 구성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 중 미리 지정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가 디스플레이 된 판별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입력 수단을 조작함에 의해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상기 패스워드 입력 장치가 활성화 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는 각각 복수개의 서로 다른 기호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패턴이 호출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들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선택된 상기 복수개의 기호들이 조합되는 단계, 상기 조합된 복수개의 기호들이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중 대응하는 판별 구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호들이 조합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기호들 중 미리 지정된 둘 이상의 패턴의 기호들이 서로 조합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나머지 패턴의 기호들은 개별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패턴은 숫자 패턴, 문자 패턴, 도형 패턴 및 색상 패턴 중 둘 이상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호들이 조합되는 단계는 상기 패스워드로 이용되지 않는 다른 패턴이 추가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패스워드 입력 장치에 저장하는 패스워드 설정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패스워드 설정 단계는 것을 사용자가 패스워드 상기 입력부를 조작함에 의해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의 복수개의 기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패턴 중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있는지 판별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있다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당 기호가 상기 패스워드로 선택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없다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에서 하나의 패턴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패스워드에 기호가 추가될지 여부가 판별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에 추가될 기호가 없다면 설정된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에 추가될 기호가 있다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에서 하나의 패턴이 선택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 장치는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는 입력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전체를 복수개의 판별 영역으로 구분하여 패스워드 선택 화면이 구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와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을 위해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 각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를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 상기 패스워드 선택 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상기 조합된 복수개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입력 값을 판별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 및 상기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상기 입력값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매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값이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는 패스워드 입력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를 복수개의 판별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도형 및 색상과 크기 같은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서 입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 시마다 다양한 패턴의 기호의 조합을 랜덤하게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지켜보고 있더라도, 쉽게 패스워드를 유추할 수 없도록 하여 패스워드에 대한 보안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1 은 기존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2 는 기존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서 패스워드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4 는 도3 의 다양한 패턴의 기호 중 패스워드로 선택된 기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5 는 도3 의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장치를 나타낸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서 패스워드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3 에서 (a)는 숫자 패턴을 나타내고, (b)는 도형 패턴을 나타내며, (c)는 문자 패턴을 나타낸다. 그리고 (d)는 색상 패턴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도2 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과 유사하게, 숫자, 문자, 특수문자 뿐만 아니라 도형과 색상 등의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3 에서는 일예로 4가지 패턴의 기호를 도시하였으나, 크기의 선택 등의 추가적인 패턴의 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치가 지원하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 중 사용자가 패스워드로 설정하고자하는 기호를 패턴의 종류에 무관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숫자 패턴의 기호와 도형 패턴의 기호 및 색상 패턴의 기호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패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3(c) 의 문자 패턴의 기호는 일반적으로 핸드폰 등에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법으로서, 3개의 문자가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기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c) 에서 J, K, L의 3개의 문자는 비록 3개의 문자로 도시되어 있으나 패스워드 입력 시에 하나의 기호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3(c) 와 달리 각각의 문자가 하나의 기호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3(c) 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문자의 순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순서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나, 하나의 기호에 대응하는 문자의 개수 및 순서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즉 도3(a) 내지 도3(c)에서는 숫자 패턴의 기호와 도형 패턴의 기호 및 문자 패턴(상기한 바와 같이, 문자 패턴의 기호는 3개의 문자를 하나의 기호로 인식)의 기호가 각각 10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패턴이 5개의 기호만을 구비하여도,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정할 수 있는 패스워드의 개수는 매우 많다.
도4 는 도3 의 다양한 패턴의 기호 중 패스워드로 선택된 기호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4 에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로 먼저 도3(b) 의 도형 패턴에서 동그라미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도3(d) 의 색상 패턴에서 빨간색을 선택한 후, 다시 도3(b) 의 도형 패턴에서 삼각형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도3(a) 의 숫자 패턴에서 숫자 3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4 에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로 4개의 기호를 패스워드로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패스워드의 길이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패턴에서 패스워드로 사용될 모든 기호를 선택하여도 되며, 서로 다른 패턴에서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 가지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 설정 시에 착오를 일으키지 않도록 각 패턴 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가지 패턴이 패스워드로 이용되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먼저 4가지 패턴 중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의 패턴을 선택하고, 이후 해당 패턴 내에서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를 선택한다. 이후 다음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동일 패턴 내에 있다면 사용자는 현재 패턴에서 그대로 다음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를 선택한다. 그러나 다음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동일 패턴 내에 없다면 사용자는 다시 4가지 패턴 중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의 패턴을 선택한 후에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를 선택한다.
이렇게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의 패턴을 먼저 선택하는 것은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패스워드로 사용하는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를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를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동시에 모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 중 원하는 기호를 선택하기 용이하다면 동시에 모든 기호를 디스플레이 해도 무방하다.
도5 는 도3 의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패스워드 선택화면은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부를 통해 용이하게 입력 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입력부의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호에서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입력부에서 확인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버튼을 터치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 또한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패스워드 선택화면이 입력부의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되고,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호에서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입력부에서 확인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버튼을 터치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하나의 기호만을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는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패턴의 기호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5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부가 일반적인 전화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도5 에서 패스워드 선택화면은 입력부의 구성에 대응하여 4행 3열의 매트릭스와 같은 형태의 12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12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는 도3 에 도시된 4개 패턴의 기호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먼저 도5(a) 에 도시된 패스워드 선택화면에서 3번째 행 2번째 열의 판별 구역을 살펴보면, 도3(a) 의 숫자 패턴에서 숫자 7, 도3(c) 의 문자 패턴에서 V, W, X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도3(b) 의 도형 패턴에서 삼각형과 도3(d) 의 색상 패턴에서 빨간색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5(a) 에 도시된 패스워드 선택화면에서 1번째 행 3번째 열의 판별 구역을 살펴보면, 도3(a) 의 숫자 패턴에서 숫자 0, 도3(c) 의 문자 패턴에서 M, N, O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도3(b) 의 도형 패턴에서 육각별과 도3(d) 의 색상 패턴에서 파란색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렇게 각각의 판별 구역에 여러 가지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어도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패턴의 기호를 보고,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영역 또는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의 다른 사람은 동시에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지켜보고 있을지라도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 중 어떤 기호가 패스워드로 설정된 것인지 판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직접 보고 있더라도 패스워드를 유추할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높아진다.
또한 패스워드 입력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패스워드 선택화면의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호의 위치 및 조합이 변경된다.
기호의 위치의 변경을 살펴보면, 도5(a)에서 숫자 패턴의 기호 3은 2행 2열의 판별 구역에 위치하지만, 도5(b) 및 도5(c)에서 숫자 패턴의 기호 3은 각각 1행 1열의 판별 구역 및 2행 3열의 판별구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5(a)에서 도형 패턴의 기호 사각형은 2행 3열 및 4행 2열의 판별 구역에 위치하지만, 도5(b) 에서는 각각 1행 2열 및 4행 2열의 판별 구역에 배치되고, 도5(c) 에서는 2행 1열 및 2행 3열의 판별구역에 배치된다. 또한 숫자 패턴과 도형 패턴 이외에 문자 패턴과 색상 패턴의 기호들 또한 패스워드 입력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기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기호의 조합의 변경을 살펴보면, 도5(a)에서 숫자 패턴의 기호인 1이 디스플레이 되는 3행 1열의 판별 구역에 도형 패턴의 기호인 동그라미, 문자 패턴의 기호 Y, Z, * 및 색상 패턴의 기호인 노랑색이 조합되지만, 도5(b)에서는 숫자 패턴의 기호인 1이 디스플레이 되는 3행 2열의 판별 구역에 도형 패턴의 기호인 동그라미, 문자 패턴의 기호 P, Q, R 및 색상 패턴의 기호인 빨강색이 조합된다.
즉 도5(a) 내지 도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들이 서로 다른 위치 및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호들의 위치 및 조합은 랜덤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각의 판별 구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호는 패스워드 설정 시에 제공되지 않는 패턴을 장치가 임의로 추가하여 조합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도3 에서 도형의 크기에 대한 패턴은 설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5(a) 내지 도5(c)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도형이 디스플레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로 설정한 패턴의 기호가 아니라 장치가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임의로 부여한 패턴이다.
추가적으로 도5(a) 내지 도5(c) 를 살펴보면, 숫자 패턴의 기호나 문자 패턴의 기호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으나, 도형 및 숫자 패턴의 기호는 중복이 되는 기호들이 있다. 예를 들어 도5(a) 에서 빨간색의 색상 패턴 기호는 2행 1열의 판별 구역 및 3행 2열의 판별 구역에 중복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도5(c) 에서 오각형의 도형 패턴 기호는 1행 2열의 판별 구역 및 3행 2열의 판별 구역에 중복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장치는 해당 패턴 내의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패스워드로 취급하여 패스워드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그라미의 도형 패턴 기호와 빨간색의 색상 패턴 기호, 삼각형의 도형 패턴 기호 및 3의 숫자 패턴 기호를 패스워드로 선택한 경우에 도5(a) 의 패스워드 선택화면에서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5(a) 의 패스워드 선택화면에서 가장 먼저 입력되어야 할 패스워드 기호인 동그라미는 2행 2열의 판별 구역 및 3행 1열의 판별 구역에 중복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사용자는 동그라미 기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동그라미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두 개의 판별 구역 중 어느 쪽의 판별 구역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영역 또는 버튼을 터치하더라도, 장치는 첫 번째 패스워드인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입력값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빨간색의 기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2행 1열의 판별 구역 및 3행 2열의 판별 구역 중 어떤 판별 구역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영역 또는 버튼을 터치하더라도 정상적으로 패스워드가 인가되는 것으로 장치는 판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서는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와 판별 구역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영역 또는 버튼이 반드시 1:1로 매치되지는 않을 수 있다.
도5 에서는 일예로 각각의 판별 구역에서 도3(b) 의 도형 패턴과 도3(d) 의 색상 패턴이 조합되고, 도3(a) 의 숫자 패턴과 도3(c) 의 문자 패턴은 독립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숫자 패턴이나 문자 패턴이 색상 패턴과 조합될 수도 있다.
기존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하나의 기호만이 표시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패턴의 기호를 조합할지라도 다른 사람이 패스워드를 인식하기 용이하였다. 그러나 도5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여러 가지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패스워드가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장치는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200), 기능부(300) 및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장치로 명령, 데이터 및 패스워드 등의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입력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버튼 및 복수개의 접촉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와 같은 장치 외부에 추가되는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제어부(400)에서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패스워드 선택화면을 입력부의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장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장치 외부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기능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장치가 수행해야하는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비록 일부 장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이지만,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를 구비하는 장치 대부분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목적이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장치를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이미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장치 본연의 기능은 디스플레이부(200)와 무관하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실제 장치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부(300)가 장치에 제공된다. 기능부(300)의 일예로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능부(300)는 장치에 따라서는 제어부(4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부(100)에서 인가되는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부(200)와 기능부(3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어부(400)는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디스플레이부(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패스워드 선택화면이 입력부의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메모리부(410), 패턴 조합부(420), 디스플레이 제어부(430), 입력 신호 판별부(440), 매핑부(450) 및 기능 제어부(460)를 구비한다.
메모리부(41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들을 저장하여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이후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한 패스워드가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패턴 조합부(420)는 패스워드 선택화면을 구성하고, 메모리부(410)에 저장된 다양한 패턴의 기호들을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마다 인가받아 서로 다르게 조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5(a) 내지 도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마다 패스워드 선택 화면의 복수개의 판별구역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는 기호들의 위치 및 종류를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높인다.
디스플레이 제어부(430)는 패턴 조합부(420)에서 다양한 패턴의 기호들이 조합되어 생성된 패스워드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인가한 입력 데이터나 기능부(300)의 동작 상태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입력 신호 판별부(44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한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력 값을 판별한다. 매핑부(450)는 메모리부(100)에 저장된 패스워드를 호출하여 입력 신호 판별부(440)에서 판별된 입력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기능 제어부(4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데이터가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이후 기능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가 저장된 패스워드와 동이하면, 기능부(300)를 제어하여 지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입력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최근에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touch panel display)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터치패널 디스플레이가 각종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면, 사용자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첩촉하여 각종 명령 및 데이터를 장치로 입력 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가 입력부(10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 내지 도6 을 참조하여, 도7 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된다(S111). 여기서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는 사용자가 장치로 장치를 사용하고자 함을 통지하여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일예로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터치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400)의 패턴 조합부(420)는 우선 복수개의 판별 구역으로 패스워드 선택 화면을 구성한다(S112). 그리고 메모리부(410)에 저장된 복수개의 패스워드 패턴을 호출한다(S113). 그리고 호출된 복수개의 패스워드 패턴을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선택화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판별 구역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조합한다(S114). 이후 패스워드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로 디스플레이 된다(S115).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0)에 디스플레이된 패스워드 선택화면에서 패스워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판별 구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판별구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00)의 영역 또는 버튼을 터치함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입력한다(S116). 입력 신호 판별부(440)는 입력부(100)를 통해 인가된 입력 데이터의 입력 값을 확인한다(S117).
이후 매핑부(450)는 입력 신호 판별부(440)에서 확인된 입력값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한다(S118). 판별결과 입력값이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매핑부(450)는 기능 제어부(460)가 기능부(300)를 제어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 제어부(460)를 활성화한다. 그러나 판별결과 입력값이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으면, 매핑부(450)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패스워드 입력 실패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부(430)로 입력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한 도7 은 패스워드가 메모리부(4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패스워드는 다양한 패턴의 기호가 패스워드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패스워드 설정 방법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도8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패스워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8 을 참조하면, 패스워드 설정 방법은 먼저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를 발생한다(S211).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는 패스워드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되어야 하며, 발생되는 빈도가 높지 않은 이벤트이다. 따라서, 패스워드 입력 과정과 달리 사용자는 입력부(100)를 단순하게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된 방식으로 조작하여야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치가 도7 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 의해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승인된 상태에서만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400)의 패턴 조합부(420)는 메모리부(410)에 저장된 복수개의 패턴의 기호들을 호출한다(S212). 그리고 호출된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이 먼저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부(430)를 제어한다(S213). 그러나 패턴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에 하나의 패턴을 먼저 디스플레이 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복수개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패턴에서 패스워드로 설정하고자 하는 기호가 있는지 판별한다(S214). 현재 패턴에서 선택할 기호가 없다면, 사용자는 다른 패턴의 기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다른 패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패턴을 선택한다(S215). 그러나 현재 패턴에서 선택할 기호가 있다면, 사용자는 해당 기호가 선택되도록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패스워드를 선택한다(S216). 그리고 패스워드 선택을 완료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217). 패스워드로 이용될 기호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경우도 있으나, 기호의 개수가 정해 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즉 패스워로 사용되는 기호의 개수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패스워드 선택을 완료하는 경우에는 그동안 설정된 패스워드를 메모리부(410)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S218). 그러나 사용자가 패스워드 선택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다시 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S215).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 선택을 완료하면 곧바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패스워드가 잘못 설정되어 저장되면 추후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패스워드를 재확인하여 이전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메모리부(410)에 저장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07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구비하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전체가 복수개의 판별 영역으로 구분되어 패스워드 선택 화면이 구성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숫자 패턴, 문자 패턴, 도형 패턴 및 색상 패턴 중 둘 이상의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 중 미리 지정된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가 디스플레이 된 판별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의 입력 수단을 조작함에 의해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상기 패스워드 입력 장치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는
    각각 복수개의 서로 다른 기호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패턴이 호출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들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선택된 상기 복수개의 기호들과 상기 패스워드로 이용되지 않는 다른 패턴이 조합되는 단계;
    상기 조합된 복수개의 기호들이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중 대응하는 판별 구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가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중 적어도 두개의 상기 판별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판별 영역 중 어떠 판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데이터라도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호들이 조합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기호들 중 미리 지정된 둘 이상의 패턴의 기호들이 서로 조합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나머지 패턴의 기호들은 개별적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입력 방법은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패스워드 입력 장치에 저장하는 패스워드 설정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패스워드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패스워드 상기 입력부를 조작함에 의해 패스워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의 복수개의 기호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패턴 중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있는지 판별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있다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당 기호가 상기 패스워드로 선택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로 사용될 기호가 없다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에서 하나의 패턴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패스워드에 기호가 추가될지 여부가 판별되는 단계;
    상기 패스워드에 추가될 기호가 없다면 설정된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에 추가될 기호가 있다면, 상기 복수개의 패턴에서 하나의 패턴이 선택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방법.
  7.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인가받는 입력부;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미지가 출력되는 화면 전체를 복수개의 판별 영역으로 구분하여 패스워드 선택 화면이 구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숫자 패턴, 문자 패턴, 도형 패턴 및 색상 패턴 중 둘 이상의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의 기호와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을 위해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패턴 각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와 상기 패스워드로 이용되지 않는 다른 패턴을 조합하는 패턴 조합부;
    상기 패스워드 선택 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각각에 상기 조합된 복수개의 기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입력 값을 판별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 및
    상기 패스워드 입력 동작 시에 상기 입력값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매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핑부는
    상기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기호가 상기 복수개의 판별 영역 중 적어도 두개의 상기 판별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개의 판별 영역 중 어떠 판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값이라도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합부는
    상기 메모리부에서 각각 복수개의 서로 다른 기호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패턴을 호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판별 구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패턴 각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들이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복수개의 기호들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값이 상기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 장치.
KR1020110077221A 2011-08-03 2011-08-03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22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21A KR101228809B1 (ko) 2011-08-03 2011-08-03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21A KR101228809B1 (ko) 2011-08-03 2011-08-03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809B1 true KR101228809B1 (ko) 2013-01-31

Family

ID=4784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221A KR101228809B1 (ko) 2011-08-03 2011-08-03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74B1 (ko) * 2013-09-09 2014-02-10 주성민 가상입력수단을 이용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101627453B1 (ko) * 2015-02-13 2016-06-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 유출 방지를 위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장치 및 그 잠금 해제 방법
US10127372B2 (en) 2014-02-14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47476B1 (ko) * 2021-03-31 2022-01-05 (주)엔오원 버튼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52674B1 (ko) * 2021-04-23 2022-10-11 주식회사 지이씨랩 도형 및 색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747A (ko) * 2003-09-0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 장치 및 그방법
JP2008225742A (ja) * 2007-03-12 2008-09-25 Something Good:Kk 暗証番号入力装置
KR101039909B1 (ko) * 2010-04-19 2011-06-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킹에 강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747A (ko) * 2003-09-0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 장치 및 그방법
JP2008225742A (ja) * 2007-03-12 2008-09-25 Something Good:Kk 暗証番号入力装置
KR101039909B1 (ko) * 2010-04-19 2011-06-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킹에 강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874B1 (ko) * 2013-09-09 2014-02-10 주성민 가상입력수단을 이용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US10127372B2 (en) 2014-02-14 201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963555B2 (en) 2014-02-14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27453B1 (ko) * 2015-02-13 2016-06-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 유출 방지를 위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장치 및 그 잠금 해제 방법
KR102347476B1 (ko) * 2021-03-31 2022-01-05 (주)엔오원 버튼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52674B1 (ko) * 2021-04-23 2022-10-11 주식회사 지이씨랩 도형 및 색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7928B2 (en) Preventing the discovery of access codes
KR100806521B1 (ko) 셀 매칭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1228088B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10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user password
KR101228809B1 (ko)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20120120013A1 (en) Method for encoded input and control by fingerprint
US8850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evice passcode security
US8810365B2 (en) Random location authentication
KR101885836B1 (ko) 이미지 패스워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73093B1 (ko) 단말기 상에서 기밀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US9710627B2 (en) Computer implemented security method and system
KR101122197B1 (ko) 터치 위치 해킹에 의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가상키패드 표시 방법
KR101307952B1 (ko) 디지털 장치 및 잠금 상태 해제 방법
KR101627453B1 (ko) 암호 유출 방지를 위한 모바일 기기의 잠금 장치 및 그 잠금 해제 방법
JP2008225742A (ja) 暗証番号入力装置
KR101100324B1 (ko) 훔쳐보기에 의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가상키패드 표시 방법
KR20050022576A (ko) 비밀번호 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JP2005078251A (ja) 文字入力方法
KR102411909B1 (ko) Hmd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20374507A1 (en) Improv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data input and authentication
KR20180067082A (ko) 다이얼식 가상 보안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GB2444285A (en) Keypad with random key layout
KR101836625B1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CN106682462A (zh) 一种触摸屏解锁方法及终端
KR101558897B1 (ko) 비밀 채널을 이용한 비밀 번호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