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391B1 -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 Google Patents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391B1
KR101228391B1 KR1020057001822A KR20057001822A KR101228391B1 KR 101228391 B1 KR101228391 B1 KR 101228391B1 KR 1020057001822 A KR1020057001822 A KR 1020057001822A KR 20057001822 A KR20057001822 A KR 20057001822A KR 101228391 B1 KR101228391 B1 KR 101228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value
sub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513A (ko
Inventor
고빈다스와미센실
레빈제프리에이
라로카주디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5Statistical coding, e.g. Huffman, run length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압축해제에서의 적절한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압축이 사용될 경우,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조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조합물을 압축해제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PARAMETER SELECTION IN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발명의 배경
I.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압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 (DCT)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압축해제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압축은 멀티미디어의 핵심 인자이다. 효과적인 디지털 압축은 비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임의의 디지털 통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압축기술에 대한 일 애플리케이션은 영화산업이다.
수 십년 동안, 영화산업은 전 국가 및 전 세계에 걸쳐 지리적으로 다양한 극장으로 프로그램 자료 (program material) 을 전달하기 위하여 셀룰로이드 필름의 복제, 배급, 및 프로젝션에 의존해 왔다. 대부분, 필름 자료의 배급 방법 및 메커니즘은 수 십년동안 비교적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필름 복제 및 배급 프로세스는 매우 우수한 품질의 카메라 음화 (camera negative) 로부터 마스터 필름 카피를 생성하는 단계, 마스터 필름 카피로부터 배급 음화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배급 음화로부터 배급 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필름을 배급하는데 요구되는 카피의 수 또는 릴리스의 사이즈에 의존하여, 더 많은 중간 단계들 또는 각각의 단계에서 생성되는 다중의 카피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 후, 배급 프린트 ("양화 (positives)" 로도 공지되어 있음) 가 물리적인 수단에 의해 다양한 극장으로 배급되며, 필름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비록 배급 프로세스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지만, 고유의 한계가 있다. 필름에 대한 셀룰로이드 자료의 사용 및 필름 매체의 대역폭 제한으로 인해, 고성능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래밍을 제공하는 능력에 제약이 존재한다. 또한, 다수의 필름 복제물을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데, 각 장편 필름의 각 카피에 대하여 수백 달러의 비용이 들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증가하는 극장 위치에 다량의 셀룰로이드 필름을 물리적으로 배급하는 것과 관련되는 비용, 복잡도, 및 지연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존하는 필름 배급 문제에 대한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규하고 신생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는 위성 송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품질의 오디오/비디오 (AV) 신호를 "실시간" 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레이트 요건 (bps 단위) 은 약 15 억 bps 이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레이트는 단일 프로그램을 송신하는데에도 전체 위성과 등가인 용량을 요구하는데, 이는 엄청나게 고비용이다. 따라서, 위성 송신은 고품질의 AV 자료를 배급하는데 상업적으로도 성장할 수 없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프로그래밍 자료도 디지털 포맷으로 전기적으로 저장된다는 배급 개념을 이끌어 냈다. 디지털 이미지는 다양한 자성 매체 또는 컴팩트 광학 디스크를 통해 배급되거나 유선, 광섬유, 무선, 또는 위성 통신 시스템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저장 매체는 약 4.5 기가바이트 (GB) 내지 약 18 GB 범위의 저장 용량을 가진다. 그러나, 이미지 트랙용으로 약 40 Mbps와 오디오 및 제어 정보용으로 약 8 Mbps 의 평균 이미지 압축 비트 레이트를 갖는 평균 2 시간 분량의 영화는 약 45 GB 의 저장 공간을 요한다. 따라서, 비록 높은 저장 용량의 DVD-ROM 디스크가 구현되더라도, 2 시간 영화는 적절한 용량에 대하여 다수의 DVD-ROM 디스크의 사용을 요한다.
고품질 전자 이미지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 요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압축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이미지 신호들의 품질을 보존하면서 현저한 압축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디지털 동적 이미지 압축 기술은, 인코딩된 이산 코사인 변환 (DCT) 계수 데이터의 서브-블록 및 적응 사이즈 (adaptively sized) 의 블록을 이용한다. 이하, 이 기술은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ABSDCT) 방법이라고 한다. 적응 블록 사이즈는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정보용으로 존재하는 리던던시 (redundancy) 를 이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그 기술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 5,021,891 호인 "적응 블록 사이즈 이미지 압축 방법 및 시스템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DCT 기술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 5,107,345 호인 "적응 블록 사이즈 이미지 압축 방법 및 시스템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산 쿼드트리 변환 (Discrete Quadtree Transform) 기술과 결합된 ABSDCT 기술의 사용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 5,452,104 호인 "적응 블록 사이즈 이미지 압축 방법 및 시스템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시스템은, 이미지의 각 프레임이 임의의 다른 프레임의 내용에 관계없이 인코딩되는 인트라프레임 (intraframe) 인코딩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은 이산 코사인 변환 후의 양자화를 포함한다. 또한, 종종, 상이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상이한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대하여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압축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해제는 인버스 양자화 (inverse quantization) 를 포함하며, 상이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상이한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대하여 사용된다.
통상적인 이산 코사인 변환에서, 각 데이터 블록의 사이즈는 고정되며, 각 데이터 블록의 양자화 및 인버스 양자화에 대하여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ABSDCT 가 구현되면, 데이터 블록들은 이산 코사인 변환용의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조합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이 분할되는 방법에 따라, 각 데이터 블록의 양자화에 대하여 상이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데이터 블록이 분할되는 방법에 따라, 각 데이터 블록의 인버스 양자화에 대하여 상이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압축해제 중에 인버스 양자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싱되는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공지되는 것이 요구된 다.
발명의 요약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보안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요구를 해결한다. 좀더 자세하게, 실시형태들은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기술을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의 압축해제 중에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의 선택을 가능케 한다. 그 선택은 데이터의 픽셀 위치 및 블록 사이즈 할당에 기초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일 장치 및 방법은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들)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 및 방법은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시켜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양자화 파라미터는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하는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그 장치 및 방법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장치 및 방법은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데이터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명령들이 로딩되는데, 여기서, 제 1 세트의 명령은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제 2 세트의 명령은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제 3 세트의 명령은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일 장치는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는 압축된 정보를 디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디코딩 수단은 이미지 압축해제 수단 및 오디오 압축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이미지 압축해제 수단은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압축해제 수단은 압축 오디오 정보를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일 장치 및 방법은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데이터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 및 방법은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 및 방법은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와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블록은 16×16 데이터 블록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는,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비트; 만약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들로 분할되었다고 제 1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2 비트; 및 만약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들로 분할되었다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4×4 서브-블록이 2×2 서브-블록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3 비트를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대상을 나타낸다.
도 1 은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인코더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3d 는 16×16 블록 이미지에 대한 블록 및 서브-블록 분할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4b 는 블록 사이즈 할당 데이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5d 는 블록 사이즈 할당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6c 는 이미지 픽셀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Y-X 인덱스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이미지 압축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디코더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이미지 압축해제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10b 는 블록 사이즈 할당 데이터 오더링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11b 는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한 블록 선택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 한 것이다.
도 12 및 13 은 파라미터 선택 모듈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16 은 적절한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일반적으로, 본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블록 내의 픽셀 위치들에 기초하여 압축해제 중에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의 선택을 가능케 한다. 특히,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ABSDCT) 압축이 구현될 경우, 서브-블록들의 상이한 조합의 인버스 양자화를 위하여 적절한 Q_스텝 값이 선택된다. 또한, 만약 주파수 가중이 사용되면, 적절한 FWM 테이블이 또한 인버스 양자화를 위해 선택된다.
ABSDCT 압축 기술과 같은 기술들은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디지털 시네마는, 저장, 송신 및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디지털 전자 표현으로 변환되는 고품질 필름 프로그래밍의 디스플레이 및 전자 배급을 지칭한다.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은 현재의 필름 배급 프로세스의 많은 제한을 극복한다. 디지털 시스템은 셀룰로이드 필름에 의해 경험되는 시간에 대한 품질의 열화에 종속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은 디지털 시스템 그 자체 내에 보안 수단의 구현을 허용함으로써 필름의 불법 복제 및 도용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전자 포맷을 이용한 필름 정보의 배급은 품질의 열화없이 신속하고 저렴한 배급의 잠재력을 실제로 증가시킨다.
디지털 시네마는 극장 시스템, 극장, 복합 극장, 및/또는 상영 시스템과 같 은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래밍의 전자 생성, 압축, 암호화, 및 저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장 또는 복합 극장, 야외 원형극장, 드라이브인 (drive-in) 극장, 시민 강당, 학교 및 특별 식당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서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의 상영에 적용 가능하다.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은 극장 또는 복합 극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다른 타입의 위치, 시스템 및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이라는 용어는 시네마, 텔레비전, 및/또는 다른 상영 시스템 및/또는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필름을 지칭한다. "필름" 이라는 단어는 영화의 전체 또는 일부, 비디오 클립, 커머셜 (commercial), 드라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동영상을 지칭한다. 필름의 이미지 부분은 단일 프레임 (즉, 스틸 이미지), 단일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들의 시퀀스, 또는 단기 또는 장기의 동화상 시퀀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저장 매체" 라는 용어는 버퍼, ROM, RAM, 자성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DVD, 착탈형 하드 드라이브 (RHD), 및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여, 데이터 저장용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는 휴대용 저장 디바이스 또는 고정 저장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무선 채널 및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수용 또는 반송할 수 있는 다양한 기타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암호화" 라는 용어는, 비밀 디지털 값 ("키") 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시퀀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스트림을 스크램블 링, 커버링, 또는 직접 암호화함으로써 비밀 키 값의 정보 없이는 원래의 데이터 시퀀스를 복원하기 매우 어렵게 하는 다수의 암호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스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다양한 수단을 지칭한다.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100) 의 일 실시형태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100) 은 2 개의 메인 시스템, 즉, 적어도 하나의 중앙 설비 또는 허브 (102) 및 적어도 하나의 상영 서브시스템 또는 극장 서브시스템 (104) 을 포함한다. 허브 (102) 및 극장 서브시스템 (104) 는, 본 발명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며 2000년 5월 3일에 동일자로 출원되어 계류 중인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 09/564,174 호 및 제 09/563,880 호와 유사한 설계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허브 (102) 는 프로그램 자료를 그 프로그램의 디지털 형태로 수신 및 변환하는 소스 생성기 (110) 를 포함한다. 디지털 정보는 미리 선택된 포맷을 이용하여 압축되거나 인코더 (120) 에 의해 프로세싱되며, 허브 저장 모듈 (130) 에 의해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자료는 이미지 정보와 오디오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정보는 디지털 이미지 정보와 오디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매니저 (140) 는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그 정보를 소스 생성기 (110), 인코더 (120), 및 허브 저장 모듈 (130) 으로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정보는 인코더 (120) 에 의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그 경우, 허브 (102) 는 조건부 접속 매니저 (150) 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오직 특정 위치 (예를 들어, 극장) 가 특정한 프로그램을 및/또는 특정한 시간에 상영할 것을 인가하도록 특정 전자 키잉 (keying)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비록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스 생성기 (110) 및 인코더 (120) 는 허브 (102) 의 일부이지만, 소스 생성기 (110) 와 인코더 (120) 중 하나 또는 그 모두가 필름 또는 텔레비전 제작 스튜디오와 같은 별도의 시설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데이터는 소스 생성기 (110) 에 의한 변환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다른 디지털 정보 생성 디바이스를 통해 인코더 (120) 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극장 서브시스템 (104) 은, 하나 이상의 강당 모듈 (170) 을 제어하는 극장 매니저 (16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강당 모듈 (170) 은 디코더 (175), 프로젝터 (177) 및 사운드 시스템 (179) 을 포함한다. 극장 매니저 (160) 의 제어에 따라, 압축 디지털 정보는 허브 (102) 로부터 수신되고, 디코더 (175) 에 의해 디코딩되고, (필요할 경우) 암호해독되고, 프로젝터 (177) 및 사운드 시스템 (179) 를 통하여 강당 모듈 (170) 에 의해 재생된다. 압축된 정보는 저장 매체를 통하여 수신될 수도 있으며, 원할 경우,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압축된 정보는 디코딩되기 전에 선택 시퀀스, 사이즈 및 데이터 레이트로서 준비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인코더 (120) 로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은 이미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프레임은 슬라이스 (slice) 로 분할될 수 있으며, 슬라이스는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데이터 블록은 이미지의 최 소 단위인 픽셀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은 정수 개의 슬라이스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각각의 이미지 슬라이스는 16 개의 연속 주사선의 세트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나타낸다. 그 경우,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프레임의 이미지에 대한 16×16 픽셀들의 블록에 대응한다. 또한, 프레임은 짝수 또는 홀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됨으로써 짝수의 절반 프레임 (half frame) 및 홀수의 절반 프레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절반 프레임은 디코더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압축 데이터 정보의 기본 패킷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미지 픽셀은 적색, 녹색 및 청색 (RGB) 컬러 성분 시스템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눈은 휘도의 변화에 더 민감하고 색도 (chrominance) 의 변화에는 덜 민감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YCbCr 컬러 공간이 이미지 픽셀을 나타내기 위하여 비디오 압축에 사용된다. YCbCr 컬러 공간은 RGB 성분들의 선형 변환인데, 여기서, Y 는 색도 성분이고 Cb 및 Cr 은 컬러 성분이다. 만약 일 프레임이 짝수 프레임/홀수 프레임으로 분할되면, 이미지 프레임은 성분 Y, Cb 및 Cr 에 대응하는 3 개의 짝수의 절반 프레임 및 3 개의 홀수의 절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서, 슬라이스는 16 개의 연속 주사선 이외의 연속 주사선들의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컬러 성분들과 동일한 갯수 또는 상이한 갯수를 갖는 상이한 컬러 공간이 이미지 픽셀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16×16 픽셀들의 블록 사이즈 및 YCbCr 컬러 공간이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도 2 는 이미지 압축기 (210), 오디오 압축기 (230) 및 백-엔드 (back-end) 프로세서 (250) 를 포함하는 인코더 (2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인코더 (200) 가 디지털 정보를 수신할 경우, 디지털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는 더 프로세싱되기 전에 프레임 버퍼 (미도시) 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미지 압축기 (210) 는 임의의 수의 압축 기술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압축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압축기 (210) 는 미국특허 제 5,021,891 호, 제 5,107,345 호 및 5,452,104 호에 개시되어 있는 ABSDCT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압축한다.
일반적으로, 휘도성분과 색도성분 각각은 블록 인터리버 (미도시) 로 전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3a 내지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16 블록이 블록 인터리버로 제공되는데, 이 블록 인터리버는 16×16 블록 내의 이미지 샘플들을 오더링 (order) 하여 DCT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블록 및 합성 서브-블록을 생성한다. 하나의 16×16 DCT 는 제 1 오더링에 적용되고, 4 개의 8×8 DCT 는 제 2 오더링에 적용되고, 16 개의 4×4 DCT 는 제 3 오더링에 적용되고, 64 개의 2×2 DCT 는 제 4 오더링에 적용된다. DCT 동작은 이미지 소스에 내재되어 있는 공간 리던던시를 감소시킨다. DCT 가 수행된 후, 대부분의 이미지 신호 에너지는 작은 DCT 계수들에 집중되기 쉽다.
16×16 블록 및 각각의 서브-블록의 경우, 그 블록 또는 서브-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요구되는 비트의 갯수를 결정하기 위해, 변환된 계수들이 분석된다. 그 후, 인코딩하는데 최소의 비트를 요구하는 블록 또는 서브-블록들의 조합이 이미지 세그먼트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다. 예를 들어, 2 개의 8×8 서브-블록, 6 개의 4×4 서브-블록, 및 8 개의 2×2 서브-블록이 이미지 세그먼트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그 후, 선택된 블록 또는 서브 블록들의 조합은 순서대로 적절하게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압축기 (210) 는, 변환된 계수들을 분석하고 이미지 세그먼트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또는 서브-블록들의 조합을 선택하는 ABSDCT 모듈 (212) 을 포함한다. 또한, ABSDCT 모듈 (212) 은 n×n 블록 내의 블록 사이즈 할당을 나타내는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16×16 데이터 블록의 경우, ABSDCT 모듈 (212) 은, 16×16 블록 내의 블록 사이즈 할당을 나타내는 PQR 정보로서 공지되어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PQR 정보는 16×16 블록이 분할되는 범위를 설명하는 가변 비트폭 데이터이다. PQR 필드의 R-비트는 16×16 블록이 4 개의 8×8 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R 비트가 '0' 이면, 블록 전체가 유지된다. 이 경우, 추가적인 PQR 정보는 불필요하며, PQR 필드는 오직 1 비트 길이이다. 만약 R 비트가 '1' 이면,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16 블록은 4 개의 8×8 블록으로 분할되며, 적어도 4 개의 추가적인 비트가 PQR 필드에 존재한다.
추가적인 4 개의 비트는 'Q' 정보라고 지칭된다. Q 의 각 비트는 8×8 블록을 4 개의 4×4 블록으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Q 의 각 비트가 설정된 경우, 임의의 4×4 블록이 2×2 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P' 의 4 개 이상의 비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16×16 블록 내의 블록 사이즈 할당에 의존하여, PQR 데이터의 길이는 1 내지 21 비트 길이일 수 있다. 만약 모든 8×8 블록이 2×2 블록으로 분할되면, PQR 정보는 21 비트 길이이다. 도 5a 내지 5d 는, 대응하는 PQR 데이터를 갖는 16×16 블록의 일부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에서, PQR = 0 은 16×16 블록이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5b 에서, PQR = 0000 0100 1 은, 16×16 블록이 4 개의 8×8 블록으로 분할되고 8×8 블록 중 하나가 4 개의 4×4 블록으로 분할됨을 나타낸다. 도 5c 에서, PQR = 0110 0000 0101 1 은, 16×16 블록이 4 개의 8×8 블록으로 분할되고 그 중 하나가 4 개의 4×4 블록으로 분할되고 4×4 블록 중 2 개가 4 개의 2×2 블록으로 분할됨을 나타낸다. 도 5d 에서, PQR = 0000 1 은 16×16 블록이 4 개의 8×8 블록으로 분할됨을 나타낸다.
이미지 압축기 (210) 는, n×n 블록 내의 이미지 픽셀들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인덱스 시스템을 결정하는 인덱스 모듈 (214)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들은 복수의 인덱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그 인덱스 시스템 중 하나는 압축 기술에 의존하는 인덱스 모듈 (214) 에 의해 선택된다. 그 경우, 인코더 (120) 및 디코더 (175) 는 복수의 인덱스 시스템을 저장하며, 인덱스 모듈 (214) 은 선택된 인덱스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이미지 픽셀 위치를 나타내는데 하나의 고정 인덱스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a 는 16×16 블록 내의 이미지 픽셀들의 위치를 상기 제 4 오더링으로 나타내는 Y-X 인덱스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비트의 Y 및 X 인덱스의 각 Y, X 세트는 16×16 블록 내의 대응하는 블록 또는 서브-블록의 사분면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6c 는 대응하는 Y, X 인덱스를 갖는 이미지 픽셀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Y3 및 X3 비트는 8×8 블록 사분면을 결정하며, Y2 및 X2 비트는 4×4 블록 사분면을 결정하며, Y1 및 X1 비트는 2×2 블록 사분면을 결정하며, Y0 및 X0 비트는 2×2 서브-블록 내의 이미지 픽셀 위치를 결정한다.
도 7 은 ABSDCT 모듈 (710), 양자화 모듈 (720) 및 가변 길이 코딩 (VLC) 모듈 (730) 을 포함하는 이미지 압축기 (7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ABSDCT 모듈 (710) 은 ABSDCT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공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며, 16×16 데이터 블록에 대한 PQR 정보와 같이 대응하는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로 DCT 계수를 생성한다. 양자화 모듈 (720) 은 DCT 계수를 양자화하며, VLC (730) 는 가변 길이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양자화 DCT 계수를 압축한다. 이미지 압축기 (700) 는, 압축 중에 사용되는 인덱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인덱스 모듈 (74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양자화 모듈 (720) 은 인덱스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 및 블록 사이즈 할당에 기초하는 양자화 단계값 (Q_스텝) 을 이용하여 DCT 계수를 양자화한다. Q_스텝은 프로그램 가능한 양자화 레벨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저장 매체 (미도시) 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컬러 성분 (Y, Cb, Cr) 에 대한 상이한 Q_스텝 값 및 각각의 블록 또는 서브-블록 사이즈 (16×16, 8×8, 4×4 및 2×2) 에 대한 Q_스텝 값들의 상이한 세트가 존 재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 DCT 계수는 인간 눈에 대하여 최적화된 주파수 가중 마스크 (FWM) 과 같은 가중 함수를 이용하여 양자화될 수 있다. ABSDCT 와 결합되어 사용될 경우, 각각의 블록 또는 서브-블록 사이즈 (16×16, 8×8, 4×4 및 2×2) 에 대하여 상이한 FWM 테이블이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성분 Y, Cb, 및 Cr 에 대하여 하나씩인 적어도 3 세트의 FWM 테이블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양자화는 2 개의 승산기에 의해 구현된다. DCT 계수는 블록 또는 서브-블록의 사이즈 및 위치에 기초하여 Q_스텝과 승산될 수도 있다. 그 후, 그 결과는 블록 사이즈 할당에 기초하여 FWM 테이블로부터의 대응하는 픽셀 위치에서의 주파수 가중치와 승산된다.
양자화 DCT 계수의 가변 길이 코딩에서, VLC (730) 는 제로 (0) 의 런-렝스 (run-length) 와 함께 넌-제로의 AC 계수값을 허프만 (Huffman) 코딩하기 위한 허프만 엔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허브만 코드는 넌-제로 AC 계수를 선행하는 제로의 갯수 및 그 넌-제로 AC 계수의 사이즈 (표현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갯수의 비트) 를 나타낸다. 따라서, DCT 계수는 제로의 런-렝스들의 상이한 쌍 및 후속하는 넌-제로 AC 계수의 대응하는 사이즈를 생성하기 위해 런-렝스 코딩된다. 여기서, 제로의 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스캐닝 또는 다른 스캐닝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코드가 발생할 확률에 기초하여 상이한 런-렝스 코딩 쌍에게 코드를 할당하기 위하여 테이블들이 사용된다. 더 자주 나타나는 쌍에게는 짧은 코드가 할당되고, 덜 자주 나타나는 쌍에게는 더 긴 코드가 할당된다. 허프만 코드는 AC 계수의 실제 값과 함께 부가되고 송신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이미지 패킷은 고정 길이 DC 값 필드, 가변 길이 PQR 필드 및 가변 갯수의 AC 값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DC 값 필드는 픽셀 블록에 대하여 부호 미표시 DC 오프셋을 포함한다. PQR 필드는 16×16 픽셀 블록이 더 작은 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 및 그 방법을 설명하는 PQR 정보를 포함한다. 이 필드는 길이가 1, 5, 9, 13, 17 또는 21 비트일 수 있다. PQR 이후, AC 값 필드는 허프만 코딩 제로 런-렝스 및 AC 계수값의 사이즈를 포함한다.
도 2 를 다시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디지털 정보의 오디오 부분은 압축을 위하여 오디오 압축기 (230) 로 전달된다. 또한, 오디오 압축기 (230) 는 임의의 갯수의 압축 기술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이미지 정보를 압축할 수도 있다. 그 후, 압축된 디지털 정보는 백-엔드 프로세서 (250) 에 의해 수신 및 프로세싱된다. 예를 들어, 압축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는 다수의 공지된 암호화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도 있다. 압축된 정보는 동기화 정보와 함께 멀티플렉싱되고 패킷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이미지 및 오디오 스트림 정보가 극장 서브시스템 (104) 에서 시간 정렬 방식으로 재생되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정보와 오디오 정보는 멀티플렉싱되는 대신에 별개로 처리되고 별개로 패킷화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된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는 저장매체에 저장되기 위하여 허브 저장 매체 (130) 로 송신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관전할 경우, 프로그램 정보가 검색되고, 극장 매니저 (160) 를 통하여 강당 모듈 (170) 로 전송될 수도 있다. 각각의 강당 모듈 (170) 은 동일한 극장 서브시스템 (104) 에서의 또 다른 강당 모듈 (170) 로부터 다른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강당 모듈들 (170) 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프로세싱 및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강당 모듈 (170) 에서, 원할 경우, 압축된 정보가 암호해독되며, 인코더 (120) 에서 사용된 압축 알고리즘에 인버스인 압축해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디코더 (175) 에 의해 압축해제된다. 예를 들어, 압축해제 프로세스는 가변 길이 디코딩, 인버스 양자화, 인버스 ABSDCT, 및 DCT 블록들을 결합하기 위한 디-인터리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용의 표준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 (아날로그 포맷일 수도 있으며 또는 디지털 포맷일 수도 있음) 되며,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정보는 압축해제되어 이미지 정보와 함께 재생되도록 제공된다.
도 8 은 디코더 (8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코더 (800) 는, 프로젝터 (177) 에 의해 스크린 또는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프로젝션되고 사운드 시스템 (179) 를 이용하여 청각적으로 제공되도록 압축/암호화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디코더 (800) 는 프론트-엔드 (FE) 프로세서 (810), 이미지 압축해제기 (820) 및 오디오 압축해제기 (8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코더 (800) 는 하나 이상의 회로 카드 조립체 상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회로 카드 조립체는, 프로젝터 (177) 상에 또는 그 내부에 또는 그 근방에 탑재되는 자급식 격납장치 (self-contained enclosure) 에 인스톨될 수도 있다.
동작 시, FE 프로세서 (810) 는 극장 매니저 (160) 로부터 도달하는 개별적인 제어 패킷, 이미지 패킷 및 오디오 패킷을 식별 및 분리한다. 제어 패킷은 극장 매니저 (160) 로 송신될 수도 있지만, 이미지 패킷 및 오디오 패킷은 각각 이미지 압축해제기 (820) 및 오디오 압축해제기 (830) 로 송신된다. 여기서, 만약 복수의 인덱스 시스템이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용으로 구현되면, 제어 패킷은 선택된 인덱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판독 및 기입 동작은 버스트 (bursts) 로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디코더 (175) 로부터 직접 프로젝터 (177) 로 데이터를 원활하게 스트리밍하기 위하여 큰 버퍼가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유닛-특정 암호화 키잉 정보의 전송 및 저장을 위하여 암호화 스마트 카드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압축해제기 (820) 는 원할 경우에 암호해독을 수행하며, 압축된 이미지 패킷을 압축해제시키고, 스크린 상에 상영하기 위한 원래의 이미지를 재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작의 결과는 표준 아날로그 RGB 신호를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 (177) 에 제공한다. 암호해독 및 압축해제는 실시간으로 수행되어, 프로그래밍 자료의 실시간 재생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압축해제용으로 사용되는 프로세싱 엘리먼트들은 ASIC 및/또는 하나 이상의 회로 카드 조립체와 같이 이러한 기능을 위해 구성되는 전용 특별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압축해제 프로세싱 엘리먼트는 다양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특별 기능 소프트웨어 및 /또는 펌웨어 프로그래밍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표준 엘리먼트 및/또는 일반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속 이미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함과 동시에 이미지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다수의 ASIC 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압축해제기 (820) 에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은 인코더 (120) 에서 사용된 이미지 압축에 대칭인 이미지 압축해제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도 9 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이미지 압축 (700) 에 대칭인 이미지 압축해제 (9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지 압축해제기 (900) 는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압축해제시키기 위한 가변 길이 디코딩 (VLD) 모듈 (910),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를 인버스 양자화하기 위한 인버스 양자화 모듈 (920), 및 인버스 양자화된 이미지 정보를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공간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인버스 ABSDCT 모듈 (93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압축해제기 (900) 는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픽셀 위치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디코더 (940), 및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VLD 모듈 (910) 은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인버스 양자화 모듈 (920) 은 인버스 양자화를 수행한다. 이미지 압축기 (700) 에서의 양자화가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기 때문에, 이미지 압축해제기 (900) 에서의 인버스 양자화 또한 블록 사이즈 할당에 기초한다. 특히, 적절한 Q_스텝을 결정하기 위하여 n×n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이 사용된다. 또한, 만약 이미지 압축기 (700) 에서의 양자화가 가중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면,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 및 데이터 어드레스는 적절한 FWM 테이블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비록 도 9 에는 어드레스 모듈 (940) 및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이 양자화 모듈 (930) 과 별도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어드레스 모듈 (940) 과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중 하나 또는 그 모두는 양자화 모듈 (930) 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어드레스 모듈 (940) 과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양자화 모듈 (930) 과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드레스 모듈 (940) 과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중 하나 또는 그 모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인버스 양자화는 2 개의 승산기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데이터 위치 정보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인버스 Q_스텝 값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승산기는 그 데이터를 Q_스텝 값과 승산시킨다. 동시에, 데이터 위치 정보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는 또한 적절한 FWM 테이블 및 제 2 인버스 양자화 승산기의 검색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그 후, 제 2 승산기는 제 1 승산기의 결과를 FWM 값과 승산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어드레스 디코더 (940) 는 도 6a 내지 6c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Y-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한다. 따라서, 양자화 파라미터의 선택은 Y-X 인덱스 시스템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16×16 블록 데이터의 경우, Y 및 X 인덱스는 데이터 위치에 기초하여 가변 PQR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가변 PQR 값은 적절한 Q_스텝 및 FWM 테이블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도 10a 및 10b 는 어드레스 디코더 (940) 에 의해 디코딩되는 데이터 위치에 기초하여 PQR 비트 Q0 내지 Q3 및 P0 내지 P3 의 오더링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a 및 11b 는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8×8 및 4×4 블록 선택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Q0 는 (Y3, X3) = (0, 0) 에 대응하고, Q1 는 (Y3, X 3) = (0, 1) 에 대응하고, Q2 는 (Y3, X3) = (1, 0) 에 대응하고, Q3 는 (Y3, X3) = (1, 1) 에 대응한다. P0-0, P0-1, P0-2 및 P0-3 은 (Y3, X3) = (0, 0) 에 대하여 각각 (Y2, X2) = (0, 0), (0, 1), (1, 0), 및 (1, 1) 에 대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P1-0, P1-1, P1-2 및 P1-3 은 (Y3, X3) = (0, 1) 에 대하여 각각 (Y2, X2) = (0, 0), (0, 1), (1, 0), 및 (1, 1) 에 대응하며, P2-0, P2-1, P2-2 및 P2-3 은 (Y3, X3) = (1, 0) 에 대하여 각각 (Y2, X2) = (0, 0), (0, 1), (1, 0), 및 (1, 1) 에 대응하며, P3-0, P3-1, P3-2 및 P3-3 은 (Y3, X3) = (1, 1) 에 대하여 각각 (Y2 , X2) = (0, 0), (0, 1), (1, 0), 및 (1, 1) 에 대응한다.
Y-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디코더 (940) 는 16×16 블록 데이터의 각 픽셀 위치에 대한 Y-X 인덱스를 결정한다.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은 어드레스 디코더로부터 Y-X 인덱스를 수신하며, 또한, 16×16 블록에 대한 PQR 정보를 수신한다. Y-X 인덱스 및 PQR 정보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선택 모듈 (950) 은 PQR 값을 결정하고, 적적한 Q_스텝 및 FWM 테이블을 선택한다. 그 후, 양자화 모듈 (930) 은 선택된 Q_스텝 및 주파수 가중값을 이용하여 압축해제 이미지 데이터를 양자화시킬 수 있다.
도 12 는 멀티플렉서 (MUX; 1210 내지 1260) 및 어레이 (1270) 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선택 모듈 (12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은 멀티플렉서 (MUX; 1310 내지 1330) 및 어레이 (1370) 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선택 모듈 (1300) 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파라미터 선택 모듈 (1200 및 1300) 에서, 어레이 (1270 및 1370) 각각은 Q0 내지 Q3 비트 및 각각의 Q0 내지 Q3 비트에 대한 P0 내지 P3 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어레이 (1270 및 1370) 의 값은 초기에 디폴트 값 (예를 들어, 제로 (0)) 으로 설정한다. 일단 PQR 정보가 수신되면, 파라미터 선택 모듈 (1200 및 1300) 은 대응하는 필드에 PQR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가변 PQR 값의 제 1 값 또는 R 값은 PQR 정보로부터의 R 비트이다. 또한, MUX (1210) 및 MUX (1310) 는,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각각 가변 PQR 값의 제 2 값 또는 Q 값을 선택한다.
파라미터 선택 모듈 (1200) 에서, MUX (1220 내지 1250) 은 Y2 및 X2 인덱스에 기초하여 P 비트를 각각 선택한다. 그 후, 가변 PQR 값의 제 3 값 또는 P 값이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260) 에 의해 선택된다. 다른 방법으로, 파라미터 선택 모듈 (1300) 에서, P0, P1, P2 또는 P3 중 하나에 대응하는 P 비트의 세트가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320) 에 의해 선택된다. 그 후, 제 3 값 또는 P 값이 Y2 및 X2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330) 에 의해 선택된다.
도 14 는 데이터의 16×16 블록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방법 (14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방법 (1400) 은 Y-X 인덱스에 기초하여 가변 PQR 값을 결정하는 단계 (1410) 및 가변 PQR 값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 (1450) 를 포함한다. R 값은 PQR 정보의 제 1 값 또는 R 비트로부터 직접 선택된다 (단계 1412).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210) 에 의해 Q 값이 선택된다 (단계 1414). 예를 들어, 만약 (Y3, X3) = (0, 1) 이면, 그 값은 Q1 필드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Y3 , X3 인덱스 및 Y2, X2 인덱스에 기초하여 P 값이 선택된다 (단계 1416).
일 실시형태에서, MUX (1220 내지 1250) 각각은 Y2, X2 인덱스에 기초하여 P 필드로부터의 값을 각각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만약 (Y2, X2) = (1, 1) 이면, MUX (1220 내지 1250) 은 각각 P0-3, P1-3, P2-3 및 P3-3 필드로부터의 값을 각각 선택한다. 그 후,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220 내지 1250) 중 하나로부터 MUX (1260) 에 의해 P 값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Y3, X3) = (0, 1) 의 경우, MUX (1230) 으로부터 P1-3 이 선택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Y3 및 X3 인덱스에 기초하여 MUX (1320) 에 의해 P 값들의 세트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만약 (Y3, X3) = (0, 1) 이면, P1 에 대응하는 P 값들이 선택되며, P1-0, P1-1, P1-2 및 P1-3 필드로부터의 값들이 출력된다. 그 후, Y2 및 X2 인덱스에 기초하여 P 필드들 중 하나로부터 MUX (1330) 에 의해 P 값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Y2, X2) = (1, 1) 의 경우, P1-3 필드로부터의 값이 선택된다.
그 후, 적절한 FWM 테이블 및 Q_스텝의 선택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만약 PQR = 000 이면, 16×16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단계 1452 및 단계 1454). 만약 PQR = 001 이면, 8×8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단계 1456 및 1458). 만약 PQR = 011 이면, 4×4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단계 1460 및 1462). 그렇지 않으면, 2×2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단계 1464).
도 15 는 데이터의 16×16 블록에 대한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방법 (1500) 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Q_스텝 또는 그 Q_스텝 및 FWM 테이블 모두 일 수도 있다. 16×16 블록의 각 픽셀 데이터에 대하여, R =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510). 만약 값 R = 0 이면, 16×16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된다 (단계 1520). 만약 값 R ≠ 0 이면, Y3 및 X3 에 대응하는 Q 비트가 획득되며 (단계 1530), 획득된 값 Q =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540). 만약 값 Q = 0 이면, 8×8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된다 (단계 1550). 만약 값 Q ≠ 0 이 면, Y3 및 X3 에 대응하는 사분면에 대한 Y2 및 X2 에 대응하는 P 비트가 획득되며 (단계 1560), 획득된 값 P =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570). 만약 값 P = 0 이면, 4×4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된다 (단계 1580). 그렇지 않으면, 2×2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된다 (단계 1590).
다른 방법으로, 도 16 은 16×16 블록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방법 (1600) 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방법 (150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화 파라미터는 Q_스텝 또는 그 Q_스텝 및 FWM 테이블 모두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사분면 또는 서브-블록에 대하여 결정되는 바와 같이 FWM 테이블 및/또는 Q_스텝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매체가 사용된다. 먼저, 데이터가 이미지 블록의 제 1 픽셀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1610). 만약 데이터가 제 1 픽셀 데이터이면, R =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615). 만약 R = 0 이면, 16×16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되며, 16×16 블록의 나머지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블록 1620). 만약 데이터가 제 1 픽셀 데이터가 아니면, 또는, R ≠ 0 이면, 파라미터가 데이터의 픽셀 위치에 대하여 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1625). 만약 공지되면, 공지된 파라미터가 선택된다 (블록 1630). 여기서, 파라미터 선택이 대응하는 픽셀 위치용으로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저장매체가 체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저장매체는 룩업 테이블일 수도 있다.
만약 파라미터가 공지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픽셀 위치가 결정되는 8×8 사 분면 또는 서브-블록이 Y3 및 X3 인덱스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블록 1635). 만약 대응하는 Q = 0 이면, 8×8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되며, 대응하는 8×8 사분면에서의 나머지 데이터용으로 저장된다 (블록 1640 및 블록 1645). 만약 Q ≠ 0 이면, 데이터의 픽셀 위치가 결정되는 4×4 사분면 또는 서브-블록이 Y2, X2, Y3 및 X3 인덱스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단계 1650). 만약 대응하는 P = 0 이면, 4×4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되며, 대응하는 4×4 사분면에서의 나머지 데이터용으로 저장된다 (블록 1655 및 블록 1660). 만약 P ≠ 0 이면, 2×2 FWM 테이블 및 Q_스텝이 선택되며, 4×4 사분면의 서브-블록 또는 대응하는 2×2 사분면에서의 데이터용으로 저장된다 (블록 1665).
따라서, 데이터의 픽셀 위치 및 블록 사이즈 할당에 기초하여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압축해제기 (900) 은 적절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고 인버스 양자화시킨다. 인버스 양자화 이후, 원래의 이미지 정보를 복원하기 위하여 인버스 ABSDCT 가 수행된다.
압축해제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며, 아날로그 신호들은 프로젝터 (177) 에 출력된다. 다른 방법으로, 디지털-아날로그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는 프로젝터 (177) 로 압축해제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원할 경우, 오디오 압축해제기 (830) 는 암호해독을 수행하며, 극장의 스피커 또는 오디오 사운드 모듈 (179) 상으로의 제공을 위해 원래의 오디오를 재조합시킨다. 이러한 동작의 결과는 표준 라인 레벨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모듈 (179) 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압축해제기 (820) 와 유사하게, 오디오 압축해제는 오디오 압축용으로 중앙 허브 (102) 에서 사용되는 것과 대칭인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및 데이터 트랙은 이미지 프로그램에 시간 동기화될 수도 있거나, 직접 시간 동기화없이 비동기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단지 예시적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경우,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은 필요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이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구문의 임의의 조합을 표현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독립변수,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내용을 수신 및/또는 전달함으로써 하드웨어 회로 또는 다른 코드 세그먼트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정보, 독립변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송신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캐리어에 의해 변조되는 신호 또는 캐리어파로 구현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등) 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실행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플로피 디스켓, 컴팩트 디스크 CD-ROM, 및 광학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 (RF) 링크를 포함한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네트워크 채널 링크, 광섬유 링크, 공중 링크, 전자기 링크, RF 링크 등과 같은 송신 매체를 통하여 전파될 수 있는 다양한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또한, 재생 모듈 (173) 과 디코더 (175) 는 단일의 재생-디코더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인코딩은 차동 쿼드트리 변환과 같이 다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디코딩은 인버스 차동 쿼드트리 변환을 포함한다. 또한, 블록이 PQR 정보로 분할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0 이 아닌 1 인 비트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X 및 Y 인덱스의 비트값이 인버스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n×n 데이터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n×m 블록 (여기서, n ≠ m) 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데이터 블록 사이즈가 존재할 경우에 양자화 파라미터가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의존하면, 본 발명은 그 양자화 파라미터 대신에 파라미터의 선택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하려는 것이지 특허청구 범위의 범위를 제한 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는 다른 타입의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다수의 대체예, 변경예, 및 변형예를 분명히 알 수 있다.

Claims (44)

  1.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로서,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가변 길이 디코더; 및
    상기 가변 길이 디코더에 커플링되어,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인버스 양자화 모듈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파라미터 선택 모듈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은, 상기 파라미터 선택 모듈에 커플링되어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되,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에 커플링되어,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파라미터 선택 모듈을 더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디코더에 커플링되어,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되,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에 커플링되어,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인버스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모듈을 더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Q_스텝과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Q_스텝과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은,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Q_스텝과 승산하여, 제 1 승산값을 생성하는 제 1 승산기; 및
    상기 제 1 승산기에 커플링되어, 상기 제 1 승산값을 상기 선택된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로부터의 값과 승산하는 제 2 승산기를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0.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 방법으로서,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시켜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14.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로서,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시켜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Q_스텝과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선택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이 Q_스텝과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 양자 모두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수단은,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Q_스텝과 승산하여, 제 1 승산값을 생성하는 제 1 승산 수단; 및
    상기 제 1 승산값을 상기 선택된 주파수 가중 마스크 테이블로부터의 값과 승산하는 제 2 승산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20.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머신에 의해 실행가능한 상기 명령들은,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명령;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명령; 및
    상기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기 위한 제 3 세트의 명령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기록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명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세트의 명령은,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머신 판독가능 기록 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세트의 명령은, 상기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기록 매체.
  23.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로서,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젝터;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는 사운드 시스템; 및
    적어도 상기 프로젝터에 커플링되는 디코더를 구비하되,
    상기 디코더는,
    상기 프로젝터에 커플링되어,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는 이미지 압축해제기; 및
    상기 사운드 시스템에 커플링되어, 압축된 오디오 정보를 상기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는 오디오 압축해제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압축해제기는,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가변 길이 디코더;
    상기 가변 길이 디코더에 커플링되어,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인버스 양자화 모듈; 및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에 커플링되어, 상기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를 상기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로 인버스 이산 코사인 변환시키는 인버스 적응 블록 사이즈 이산 코사인 변환 모듈을 구비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스 양자화 모듈에 커플링되어,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파라미터 선택 모듈을 더 구비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7.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디코더에 커플링되어,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되,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29.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로서,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는 수단;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는 수단; 및
    압축된 오디오 정보를 상기 압축해제된 오디오 정보로 압축해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압축해제시키는 수단은,
    압축된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하여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선택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길이 디코딩된 데이터 블록을 인버스 양자화시키는 수단; 및
    상기 인버스 양자화된 데이터를 상기 압축해제된 이미지 정보로 인버스 이산 코사인 변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이미지 정보를 압축해제시키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 블록 내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된 어드레스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이미지 및 오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33.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블록의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단계;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Y 및 X 인덱스와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블록은 16×16 데이터 블록이며,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는,
    상기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비트;
    상기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으로 분할됨을 상기 제 1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2 비트들; 및
    상기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으로 분할됨을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4×4 서브-블록이 2×2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3 비트들을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Y 및 X 인덱스와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가변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가변값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값의 제 1 값을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1 비트로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2 비트들을 포함하면,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2 비트들 중 하나를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값의 제 2 값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2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을 상기 가변값의 제 2 값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3 비트들을 포함하면,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3 비트들 중 하나를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값의 제 3 값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3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을 상기 가변값의 제 3 값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16×16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8×8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8×8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4×4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4×4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상기 4×4 서브-블록의 상기 2×2 서브-블록에 대한 2×2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16×16 블록에 대한 16×16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기 데이터 블록 내의 데이터 위치에 대하여 공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기 데이터 위치에 대하여 공지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8×8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한 8×8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4×4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한 4×4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상기 4×4 서브-블록의 상기 2×2 서브-블록에 대한 2×2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방법.
  39.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로서,
    데이터 블록의 어드레스를 Y 및 X 인덱스 시스템에 기초하여 Y 및 X 인덱스로 디코딩하는 수단;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Y 및 X 인덱스와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블록은 16×16 데이터 블록이며,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는,
    상기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비트;
    상기 16×16 데이터 블록이 8×8 서브-블록으로 분할됨을 상기 제 1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2 비트들; 및
    상기 대응하는 8×8 서브-블록이 4×4 서브-블록으로 분할됨을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트가 나타내면, 대응하는 4×4 서브-블록이 2×2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제 3 비트들을 포함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Y 및 X 인덱스와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가변값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가변값에 기초하여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값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가변값의 제 1 값을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1 비트로서 결정하는 수단;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2 비트들을 포함하면,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2 비트들 중 하나를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값의 제 2 값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2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을 상기 가변값의 제 2 값으로서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3 비트들을 포함하면,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의 제 3 비트들 중 하나를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값의 제 3 값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블록 사이즈 할당 정보가 제 3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을 상기 가변값의 제 3 값으로서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16×16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8×8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8×8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4×4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4×4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상기 4×4 서브-블록의 상기 2×2 서브-블록에 대한 2×2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16×16 데이터 블록에 대한 16×16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1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기 데이터 블록 내의 데이터 위치에 대하여 공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기 데이터 위치에 대하여 공지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8×8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8×8 서브-블록에 대한 8×8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2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데이터가 상기 Y 및 X 인덱스에 기초하여 위치되는 상기 4×4 서브-블록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면, 상기 4×4 서브-블록에 대한 4×4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고, 상기 제 3 비트가 일정한 비트값이 아니면, 상기 4×4 서브-블록의 상기 2×2 서브-블록에 대한 2×2 파라미터를 선택 및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는 장치.
KR1020057001822A 2002-07-30 2003-07-30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KR101228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983802P 2002-07-30 2002-07-30
US60/399,838 2002-07-30
US10/630,511 2003-07-29
US10/630,511 US6975773B1 (en) 2002-07-30 2003-07-29 Parameter selection in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PCT/US2003/024152 WO2004036501A2 (en) 2002-07-30 2003-07-30 Parameter selection in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689A Division KR20100113645A (ko) 2002-07-30 2003-07-30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13A KR20050024513A (ko) 2005-03-10
KR101228391B1 true KR101228391B1 (ko) 2013-01-31

Family

ID=328531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689A KR20100113645A (ko) 2002-07-30 2003-07-30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KR1020057001822A KR101228391B1 (ko) 2002-07-30 2003-07-30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689A KR20100113645A (ko) 2002-07-30 2003-07-30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6975773B1 (ko)
EP (1) EP1525562B1 (ko)
JP (1) JP4819361B2 (ko)
KR (2) KR20100113645A (ko)
CN (1) CN1320504C (ko)
AU (1) AU2003298536B2 (ko)
CA (1) CA2493757A1 (ko)
DK (1) DK1525562T3 (ko)
ES (1) ES2598403T3 (ko)
HK (1) HK1079317A1 (ko)
HU (1) HUE028871T2 (ko)
MX (1) MXPA05001144A (ko)
PT (1) PT1525562T (ko)
TW (1) TWI314302B (ko)
WO (1) WO20040365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773B1 (en) * 2002-07-30 2005-12-13 Qualcomm, Incorporated Parameter selection in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US7126955B2 (en) 2003-01-29 2006-10-24 F5 Networks, Inc. Architecture for efficient utilization and optimum performance of a network
US8116374B2 (en) 2004-05-07 2012-02-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ransform size syntax element for video decoding
US8159940B1 (en) 2004-11-11 2012-04-17 F5 Networks, Inc. Obtaining high availability using TCP proxy devices
GB0504570D0 (en) * 2005-03-04 2005-04-13 Falanx Microsystems A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US20060222186A1 (en) * 2005-04-05 2006-10-05 Paige Robert F Multi-channel audio switch
US7783781B1 (en) 2005-08-05 2010-08-24 F5 Networks, Inc. Adaptive compression
KR100799904B1 (ko) * 2005-11-16 2008-01-31 엠텍비젼 주식회사 역 양자화기, 역 양자화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275909B1 (en) 2005-12-07 2012-09-25 F5 Networks, Inc. Adaptive compression
US7882084B1 (en) 2005-12-30 2011-02-01 F5 Networks, Inc. Compression of data transmitted over a network
US8711925B2 (en) * 2006-05-05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quantization
US9418450B2 (en) 2006-08-31 2016-08-16 Ati Technologies Ulc Texture compression techniques
US8417833B1 (en) 2006-11-29 2013-04-09 F5 Networks, Inc. Metacodec for optimizing network data compression based on comparison of write and read rates
JP4901772B2 (ja) * 2007-02-09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装置
US8897359B2 (en) 2008-06-03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quantization for enhancement layer video coding
KR20100095992A (ko) * 2009-02-23 2010-09-01 한국과학기술원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부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US10897625B2 (en) * 2009-11-20 2021-0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lock artifact suppression in video coding
US8879632B2 (en) * 2010-02-18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Fixed point implementation for geometric motion partitioning
MX353107B (es) * 2010-04-09 2017-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codificador de imagen en movimiento y dispositivo decodificador de imagen en movimiento.
BR112012026391B1 (pt) 2010-04-13 2020-12-15 Ge Video Compression, Llc Herança em amostra de arranjo em subdivisão multitree
CN106358045B (zh) 2010-04-13 2019-07-19 Ge视频压缩有限责任公司 解码器、解码方法、编码器以及编码方法
TWI815295B (zh) 2010-04-13 2023-09-11 美商Ge影像壓縮有限公司 樣本區域合併技術
CN106412608B (zh) 2010-04-13 2019-10-08 Ge视频压缩有限责任公司 用于解码、生成数据流的方法和解码器
CN108366264B (zh) * 2010-06-04 2022-08-26 索尼公司 图像处理设备和方法
WO2012081609A1 (ja) * 2010-12-14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フィルタ装置、復号装置、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US9807395B2 (en) 2011-01-18 2017-10-31 Dolby International Ab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inverse transform shifting memory
AU2016219700B2 (en) * 2011-01-18 2018-06-28 Dolby International Ab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inverse transform shifting memory
US20120183048A1 (en) * 2011-01-18 2012-07-19 Louis Joseph Kerofsky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multiple clipping
US20120183047A1 (en) 2011-01-18 2012-07-19 Louis Joseph Kerofsky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inverse transform clipping
US20120183045A1 (en) * 2011-01-18 2012-07-19 Louis Joseph Kerofsky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including clipping
US9201652B2 (en) * 2011-05-03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translation of entropy encoded software embedded within a memory hierarchy
TWI605702B (zh) * 2011-11-08 2017-11-1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視訊解碼裝置
CN103458460B (zh) 2012-05-31 2017-04-12 国际商业机器公司 对信号数据进行压缩和解压缩的方法和装置
KR101367777B1 (ko) * 2012-08-22 2014-03-06 주식회사 핀그램 적응 이미지 압축시스템 및 그 방법
US8751832B2 (en) * 2013-09-27 2014-06-10 James A Cashin Secure system and method for audio processing
WO2015103646A1 (en) * 2014-01-06 2015-07-09 Panamorph, Inc.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11350015B2 (en) 2014-01-06 2022-05-31 Panamorph, Inc.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230156153A (ko) * 2014-03-24 2023-11-13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고차 앰비소닉스 신호에 동적 범위 압축을 적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BR112018007925A2 (pt) 2015-11-06 2018-10-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dequantização de coeficiente de transformada, e dispositivo de decodificação
WO2019061475A1 (en) * 2017-09-30 2019-04-04 SZ DJI Technology Co., Ltd. IMAGE PROCES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104A (en) 1990-02-27 1995-09-19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WO2001035673A1 (en) * 1999-11-08 2001-05-17 Qualcomm Incorporated Variance based adaptive block size dct image compression
WO2001041443A1 (en) * 1999-12-02 2001-06-0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WO2001056298A1 (en) * 2000-01-28 2001-08-02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based image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875A (ja) * 1984-08-08 1986-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ベ−シツクセル式全探索ベクトル量子化符号化器
US5241395A (en) * 1989-08-07 1993-08-3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Adaptive transform coding using variable block size
US5107345A (en) 1990-02-27 1992-04-21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US5021891A (en) 1990-02-27 1991-06-04 Qualcomm, Inc.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JP3093233B2 (ja) * 1990-03-16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H0583566A (ja) * 1991-09-24 1993-04-02 N T T Data Tsushin Kk 画像符号化装置
US5764807A (en) * 1995-09-14 1998-06-09 Primacomp, Inc. Data compression using set partitioning in hierarchical trees
US6233017B1 (en) * 1996-09-16 2001-05-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media compression system with adaptive block sizes
JPH1118087A (ja) * 1997-06-20 1999-01-2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データの変換装置および変換方法
US20020056081A1 (en) * 1999-12-02 2002-05-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AU2002335743A1 (en) * 2001-09-14 2003-04-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udio distributor
US6975773B1 (en) * 2002-07-30 2005-12-13 Qualcomm, Incorporated Parameter selection in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104A (en) 1990-02-27 1995-09-19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block size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WO2001035673A1 (en) * 1999-11-08 2001-05-17 Qualcomm Incorporated Variance based adaptive block size dct image compression
WO2001041443A1 (en) * 1999-12-02 2001-06-0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WO2001056298A1 (en) * 2000-01-28 2001-08-02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based image com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525562T (pt) 2016-11-08
EP1525562B1 (en) 2016-08-17
AU2003298536B2 (en) 2009-12-10
EP1525562A2 (en) 2005-04-27
JP4819361B2 (ja) 2011-11-24
US7593582B2 (en) 2009-09-22
MXPA05001144A (es) 2005-05-16
WO2004036501A3 (en) 2004-07-08
WO2004036501A2 (en) 2004-04-29
KR20100113645A (ko) 2010-10-21
WO2004036501A8 (en) 2004-08-19
AU2003298536A1 (en) 2004-05-04
US20060034532A1 (en) 2006-02-16
TWI314302B (en) 2009-09-01
US6975773B1 (en) 2005-12-13
US20070248274A1 (en) 2007-10-25
ES2598403T3 (es) 2017-01-27
JP2006516072A (ja) 2006-06-15
TW200426712A (en) 2004-12-01
CN1320504C (zh) 2007-06-06
CN1672177A (zh) 2005-09-21
DK1525562T3 (en) 2016-09-19
KR20050024513A (ko) 2005-03-10
HUE028871T2 (en) 2017-01-30
HK1079317A1 (en) 2006-03-31
CA2493757A1 (en) 2004-04-29
US7388993B2 (en)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391B1 (ko) 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에서의 파라미터 선택
KR101150576B1 (ko) 디지털 이미지 인코딩
KR100881038B1 (ko) 디지털 이미지를 워터마킹하는 장치 및 방법
JP4571412B2 (ja) ディジタル画像中のエラー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TWI276360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in a digit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01

Effective date: 201209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