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197B1 -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197B1
KR101228197B1 KR1020120073082A KR20120073082A KR101228197B1 KR 101228197 B1 KR101228197 B1 KR 101228197B1 KR 1020120073082 A KR1020120073082 A KR 1020120073082A KR 20120073082 A KR20120073082 A KR 20120073082A KR 101228197 B1 KR101228197 B1 KR 10122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ransfer
remained
sit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경
Original Assignee
이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경 filed Critical 이보경
Priority to KR102012007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실물과 똑같이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함으로써, 유구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a) 전사 이전 및 복원할 유구를 예비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유구의 표면층을 경화 처리한 후 FRP를 도포하여 유구 표면층을 1차 전사하는 단계, (c) 상기 유구 표면층이 1차 전사된 FRP(가(假) 형틀)를 복수로 절단하여 분할한 후 상자에 보관하는 단계, (d)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가(假) 형틀을 바닥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가(假) 형틀을 복원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가(假) 형틀이 정 위치에 복원된 후 토층이 전사된 상기 가(假) 형틀의 표면 위에 전사약품을 도포하여 2차 전사하는 단계, (f) 상기 2차 전사작업이 완료된 표면에 FRP를 도포하여 본(本)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g) 상기 본(本) 형틀이 뒤집어 진 상태에서 상기 본(本) 형틀의 외부에 수혈유구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유구 지지대를 제작하는 단계, (h) 상기 수혈유구의 바닥면이 아래로 가도록 상기 유구 지지대를 바닥에 세운 다음, 상기 본(本) 형틀 안쪽에 있는 상기 가(假) 형틀을 제거하는 단계 및, (i) 상기 유구 지지대가 외부에 설치된 상기 본(本) 형틀을 방수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시 보호각 내에 안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Method of restoration mold and relocation of building site remained}
본 발명은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실물과 동일하게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할 수 있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생활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한 국토개발 사업에는 도로시설 확충을 위한 도로공사, 산업시설을 위한 토지 구획정리, 택지 조성공사, 국가시설 기반공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토개발 사업이 시행되기 전 고고학적인 조사가 진행되고,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된 모든 자료를 기록으로 보존하고 이들 자료를 학술적으로는 물론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발굴조사의 성과에 따라 개발지역에 대한 보존, 중요 요구에 대한 이전·복원, 개발사업의 진행 등의 과정으로 구분되어 시행된다.
이 과정 중 중요 유구에 대한 이전·복원은 개발사업으로 인해 소멸되는 고고학적 자료를 주변 인근으로 이전하여 복원함으로써 일반인을 위한 교육적인 자료는 물론, 연구자들의 학술적인 자료로 유구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문화재는 민족이 이룩한 유무형의 모든 문화적 소산을 포괄하는 보존 가치가 있는 문화 유산을 일컫는다. 이중 매장문화재는 땅속이나 바다 밑에 들어 있어 잘 알 수 없으나, 최근 들어 국토 개발과 같은 토지 변경 과정에서 밖으로 실체를 드러내게 되며 발굴 조사를 통해 그 모습이 확인된다. 매장문화재는 유구와 유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구는 흔적이 남아있는 옛터로 주거지, 고분, 건물지, 요지(가마터) 등이 포함된다.
매장문화재는 오랜 시간 동안 땅속에서 변화하는 환경 속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깨지고 부서진 것들도 많지만 아주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고고학자들은 그 성격을 밝히기 위해 정밀한 조사를 하여 역사를 새로 쓸 수도 있게 된다. 매장문화재를 발굴하여 중요유적이 나오면 사적이나 지방기념물로 지정·보존하고, 중요한 유물은 국보나 보물로 지정하기도 한다.
종래의 유구 이전복원 방법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형틀로 본을 떠 이전하는 방법과, 이형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내부의 형태를 떠서 복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은 유구를 이전 복원함에 있어 유구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많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0813497호(등록일: 2008.03.0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실물과 똑같이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함으로써, 유구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혈유구를 경화처리 및 1차 전사하여 가(假) 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가(假) 형틀을 분할 및 보관한 후, 추후 상기 가(假) 형틀을 복원하고, 상기 가(假) 형틀의 전사 표면에 2차 전사하여 본(本) 형틀을 제작한 후 상기 가(假) 형틀을 제거한 다음 전시 보호각에 안치하고, 유구 표면정리 및 유실부를 복원하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a) 전사 이전 및 복원할 유구를 예비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유구의 표면층을 경화 처리한 후 FRP를 도포하여 유구 표면층을 1차 전사하는 단계, (c) 상기 유구 표면층이 1차 전사된 FRP(가(假) 형틀)를 복수로 절단하여 분할한 후 상자에 보관하는 단계, (d)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가(假) 형틀을 바닥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가(假) 형틀을 복원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가(假) 형틀이 정 위치에 복원된 후 토층이 전사된 상기 가(假) 형틀의 표면 위에 전사약품을 도포하여 2차 전사하는 단계, (f) 상기 2차 전사작업이 완료된 표면에 FRP를 도포하여 본(本)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g) 상기 본(本) 형틀이 뒤집어 진 상태에서 상기 본(本) 형틀의 외부에 수혈유구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유구 지지대를 제작하는 단계, (h) 상기 수혈유구의 바닥면이 아래로 가도록 상기 유구 지지대를 바닥에 세운 다음, 상기 본(本) 형틀 안쪽에 있는 상기 가(假) 형틀을 제거하는 단계 및, (i) 상기 유구 지지대가 외부에 설치된 상기 본(本) 형틀을 방수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시 보호각 내에 안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j) 상기 본(本) 형틀의 유구 표면에 손상 또는 유실된 부분을 토양과 토양경화제를 도포하여 복원하거나, 또는 강력접착제를 이용하여 토양을 복원한 후 아크릴 물감을 이용하여 토질 표면과 유사한 색으로 연출하는 단계, (k) 상기 전시 보호각과 상기 본(本) 형틀의 유구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우레탄이나 나무판을 이용하여 보강 및 충진한 후, 상기 (j)단계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예비조사는 유구의 실측 작업, 사진촬영, 3D 스캔을 통한 정밀 실측을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가(假) 형틀을 철사를 사용하여 매듭지어 묶어주는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구 지지대는 아연도금된 철제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유구 지지대와 상기 수혈유구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유리섬유와 FRP를 도포하여 접합할 수 있고, 상기 수혈유구의 뒷면에 수분 차단을 위해 방수페인트를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실물과 똑같이 전사 이전하여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의 토질이나 형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당시 사용되던 표면을 그대로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물과 똑같이 재현된 복제유물을 직접 관람객들이 느끼고 가까이 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우리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보다 입체적으로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제로 사용하는 우레탄 대신에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2는 예비조사 단계로, 발굴 출토 수혈유구 전경과 정밀 실측 작업 전경의 사진
도 3 및 도 4는 수혈유구 표면층 경화처리 및 1차 전사 작업 전경의 사진
도 5 및 도 6은 유구 분할 및 보관 전경의 사진
도 7은 가(假) 형틀 복원 전경의 사진
도 8은 2차 전사 작업의 사진
도 9는 본(本) 형틀 제작용 FRP 혼합 모습과 FRP를 이용한 본(本) 형틀 제작 모습의 사진
도 10은 유구 지지대 제작 모습의 사진
도 11은 유리섬유에 FRP수지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사진
도 12는 유구 바깥쪽 부분에 방수페인트를 도포하는 사진
도 13은 유구 안쪽의 가(假) 형틀 전경과 해체 모습의 사진
도 14는 가(假) 형틀이 해체된 유구 모습의 사진
도 15는 유구 이동 및 보호각 내 유구 안착 모습의 사진
도 16은 전시 보호각 내 유구 안치 상태의 사진
도 17은 전사면 마감처리 작업 및 전사면 세척 작업의 사진
도 18은 유실부 복원 작업 및 이격부 충진 작업의 사진
도 19는 측면부 복원 작업 및 전사면 접합 작업의 사진
도 20은 측면부 보강 및 이격부 표면정리의 사진
도 21은 유실부 복원 작업 및 이격부 충진 작업의 사진
도 22는 유구 복원 후 세부 근경 및 유구 복원 보호용 유리 안착 후 전경의 사진
도 23은 수혈유구 내 복제유물 설치 모습의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상기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조사(S110), 수혈유구 표면층 경화처리 및 1차 전사(S120), 유구 분할 및 보관(S130), 가(假) 형틀 복원(S140), 2차 전사(S150), 본(本) 형틀 제작(S160), 유구 지지대 제작 설치(S170), 가(假) 형틀 해체(S180), 전시보호각 안치(S190), 유구 표면정리(S200), 유실부 복원(S210), 작업과정 기록 및 정리(S220)를 포함하고 있다.
1. 예비조사( S110 )
상기 예비조사는 유구의 전사 이전 작업 전 자료조사와 현장기록을 목적으로 유구의 구조형식, 상태조사 및 사진촬영을 통하여 보존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고자료 및 학술 사적인 자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보존처리 과정 및 방법 결정의 중요한 단계로 현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서술하여 자료로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예비조사는 유구의 종류, 연대, 유구의 보존상태, 유구의 크기, 유구의 형태 및 특징 등에 대해 조사하고, 복원위치, 공사기간, 조성규모, 공사범위 등을 계획 및 수립한다. 그리고 발굴조사 후 합성수지를 이용한 표면 경화처리 전에 사진촬영과 실측을 실시함으로써 전사이전의 자료를 확보하고, 전사작업 후 복원작업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촬영 시 단면의 층이 정확히 나타날 수 있도록 정밀 촬영하며, 사진으로 나타낼 수 없는 미세한 부분은 3D 스캔(Scan)을 실시한다.
참고로, 도 2는 발굴 출토 수혈유구 전경(왼쪽)과 정밀 실측 작업 전경(오른쪽)의 사진이다.
2. 수혈유구 표면층 경화처리 및 1차 전사( S120 )
상기 예비조사를 한 후에는 경화 처리를 한다.
지하에 매몰되어 습한 상태에 놓여있던 유물이나 유구들은 자연에 노출되어 건조되면서 급격히 수축 또는 균열되어 손상된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구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한 경화제를 선택하여 경화 처리하여야 한다. 하지만 유구는 지하수의 영향도 거의 없을뿐더러 가마 유구의 특성상 표면이 열 처리되어 유구 자체에 수분을 거의 내포하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유구 내부에 경화제를 침투시키지 않고, 3% 이내 저농도로 희석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수지(예를 들어, 상품명: Primal MC-76)으로 분무하여 표면에만 경화 처리를 할 수 있다.
단, 여기에서 특별히 주의하여야 할 점은 Primal MC-76은 고농도가 되면 처리된 표면에 흑화 현상과 함께 광택이 날 우려가 있어 예비실험을 통해 안전성 검토 후 사용하도록 한다.
사용되는 수지는 습윤 면에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화속도가 빠른 특징이 있다. 사용된 수지는 물과 혼합하여 10% 점도로 희석한 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토층 단면에 도포한다. 일반적으로 붓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스프레이를 이용하는 것이 수지를 표면에 고르고 빠르게 도포시킬 수 있으며, 미세한 부분까지 수지 도포가 용이하다. 1차로 수지를 도포하여 완전히 경화된 후 토층 단면에 생긴 흠이나 구멍 등에 부분적으로 수지를 보강하여 주위와 높이를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즈 등을 이용하여 높이를 맞추어 줄 수도 있다. 수지가 완전히 경화된 후 고무헤라나 붓을 이용하여 2차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를 도포하며 거즈를 이용하여 외형 틀을 제작한다. 이때, 탈크(Talc)를 섞음으로써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거즈는 접착력을 강화시켜 줄 뿐만 아니라 강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다. FRP수지 도포와 함께 강도 유지를 위해 유리섬유(Glass Cross)를 이용하여 표면층 도포를 실시한다. 이때 굴곡면의 경우에는 솔과 붓으로 찍어 눌러 완벽하게 접착되도록 처리하며, 유구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면 일부분에는 촉을 제작한다.
참고로, 도 3의 왼쪽 사진은 수혈유구 표면층을 경화 처리하는 모습이고, 도 3의 오른쪽 사진과 도 4의 왼쪽 사진은 전사면 1차 전사 작업 전경의 사진이고, 도 4의 오른쪽 사진은 전사면 경화 및 1차 전사 후 전경의 사진이다.
3. 유구 분할 및 보관( S130 )
수지가 완전히 경화처리된 표면 토층면은 분리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복원시 유구 표면에 인위적인 처리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적정한 구획의 수량으로 분할한다. 이는 분리시 표면토층이 최대한 잔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방법으로 전사면이 토압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알맞은 크기로 구획하여 절단한 후 분리한다. 분리된 전사 표면은 소도구를 사용하여 복원시 표면처리가 원활히 표현될 수 있는 정도의 흙만을 남기고 제거한다.
필요없는 부분의 흙이 제거되고 충분히 건조시킨 전사면은 분할된 규격에 따라 제작된 나무상자에 보관하여 복원장소가 지정되기 전까지 전사면의 휨, 표면경화제 황변 현상 등의 훼손이 진행되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조절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한다.
참고로, 도 5는 1차 전사 유구의 분할 전경(왼쪽)과 분할 유구 표면층 분리 수습 전경(오른쪽)의 사진이고, 도 6은 유구 전사 표면 분할 후 전경(왼쪽)과 전사이전 유구 보관 전경(오른쪽)의 사진이다.
4. 가(假) 형틀 복원( S140 )
원형 수혈유구의 본형태가 나타나도록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가(假) 형틀을 바닥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접합한다. 접합면은 FRP 형틀에 타공을 하여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철사를 사용하여 매듭지어 단단히 묶어주는 방법으로 가형틀 복원 처리를 한다.
참고로, 도 7은 가(假) 형틀 복원 전경의 사진이다.
5. 2차 전사( S150 )
가(假) 형틀이 정 위치에 복원된 후 토층면 좌우를 원 상태로 복원하기 위하여 토층 전사된 표면 위에 다시 2차 전사작업을 실시한다. 우선, 전처리 작업으로 수지를 도포하기 전에 붓, 소도구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정리한다. 또한 1차 토층 전사 작업시 토층이 박락되어 토층이 결손된 부위에는 따로 보관했던 토양으로 보완작업을 한다. 이는 수지가 토층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전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1차 토층 전사면이 건조되어 균열이 생기거나 박락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에탄올과 수분을 희석한 용액을 1차 전사면에 충분히 도포한다.
2차 전사작업 시 전사약품은 예를 들어, TOMARK NS-10을 사용한다. 다른 에폭시(Epoxy) 수지계열의 토층 전사약품과 비교하여 접착성과 탄성이 우수하고 균열 및 박락 현상 방지 효과에 뛰어나며 습기가 있는 표면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무황변성이며 경화속도가 빠르고 경화된 후에도 전사면이 유연하며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2차 토층전사작업은 토층 전사면의 토양을 재전사하는 방법으로 일반 토양의 전사와는 달리 1차 토층 전사면의 상태에 따라 전사면이 찢어지거나 탈락 되는 등 훼손의 우려가 높아 전사 작업시에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도 8은 2차 전사 작업의 사진이다.
6. 본(本) 형틀 제작( S160 )
2차 전사작업이 완료된 표면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를 사용하여 형틀을 제작한다. FRP 수지는 에포비아 FRP RF-1051를 사용하였으며, 제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에포비아 FRP RF-1051의 배합
에포비아 FRP RF-1051은 열경화성 수지로서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므로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중량비 98:2로 한다. 이때, 경화제의 비율에 따라 경화시간이 조절되며 적정량보다 많이 배합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적정비율로 배합한다(도 9의 왼쪽 사진 참조).
아래 표 1은 에포비아 FRP RF-1051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2053683811-pat00001
2) 에포비아 FRP RF-1051 수지 도포 및 경화
표면에 유리섬유(Glass wool)를 덧대어 전 처리를 한 다음, 3차례에 걸쳐 FRP를 도포한다. 에포비아 FRP RF-1051은 점도가 낮아 거의 물의 점도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순수한 FRP 수지는 도포작업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양이 많아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FRP가 흘러내리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탈크(Talc)를 혼합하여 점도를 높여주어 도포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3) 형틀 보강재 사용
유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강재료는 유리섬유(Glass wool)를 사용한다. 먼저, 파이버 글라스(Fiber glass)인 로빙 크로스(Roving cross)를 형틀 면에 부착한 후 FRP를 이용해 3차례에 걸쳐 FRP를 도포한다. 형틀 제작 시 보강재로 사용한 로빙 크로스(Roving cross)는 마찰이나 충격, 긁힘에 강하고 기초 원료인 Glass의 물성으로 솔벤트나 산 등에 강하며 온도, 습도에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7. 유구 지지대 제작 설치( S170 )
원형 수혈유구를 바닥에 세우기 위해 형틀을 뒤집어 아연도금된 철제앵글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을 제작한다. 도금된 철제는 오랜 시간을 경과해도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적인 재료로 발굴 당시 도면을 검토하여 유구 면의 고도가 발굴 당시와 같도록 사전 조사를 한 후, 수혈유구의 형틀을 뒤집어 발굴도면을 참고로 하여 유구 지지대가 받쳐줄 위치에 높이 차를 측정, 계산하여 기록한다. 그 후, 철제구조물의 높이대로 재단한 후 레이저 수직계 등을 사용하여 가로길이, 수직상태 등을 맞추어 각각에 맞는 구조물 틀에 경납땜 방법으로 접합한다(도 10 참조)
이를 다시 수혈유구 뒷면에 이미 만들어진 철제 구조물과 접합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접합은 형틀제작 방법과 같이 유리섬유에 FRP수지를 도포하여 접합하며, 접합작업은 최소 3회 이상 실시하여 철제구조물과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도 11 참조).
또한 유구 바닥부분은 유구가 복원장소에 안착 되었을 때 바닥으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수분을 차단하고자 검은색의 방수페인트를 3회 이상 도포한다(도 12 참조).
8. 가(假) 형틀 해체( S180 )
유구 외부에 유구 지지대가 완성된 후 다시 유구 바닥면이 아래로 가도록 뒤집는다. 그 후, 안쪽에 있던 가(假) 형틀을 차례대로 분리하여 제거한다. 먼저, 가(假) 형틀의 여러 조각을 서로 이어주고 있는 철사를 잘라내고 차례로 분리하되 처음부터 강한 힘을 주어 떼어내면 형틀 아래쪽에 있는 토층면이 떨어져나오는 등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래의 토층면을 세심하게 관찰하면서 서서히 분리한다.
2차 토층 전사면과 본(本) 형틀 사이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였으나, 접착력이 약하여 떨어진 부분에는 유리섬유(Glass wool)를 덮댄 후 접착제를 다시 도포하여 형틀과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굴곡으로 생긴 들뜬 공간은 에폭시 레진(Epoxy-Resin)을 충진하여 빈틈없이 접합 복원한다. 또한, 이동이나 보관 중 토층의 박락되는 부분이나 기존에 토층이 결실된 부분에 보충작업을 하기 위하여 수혈유구 주위의 토양을 수습하여 밀폐 보관한다.
참고로, 도 13은 유구 안쪽의 가(假) 형틀 전경과 해체 모습의 사진이고, 도 14는 가(假) 형틀이 해체된 유구 모습의 사진이다.
9. 전시보호각 안치( S190 )
형태복원작업이 완료된 수혈유구를 전시 보호각에 안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한다.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방수작업을 실하여 바닥으로부터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수분은 1차적으로 유구 형틀 표면에 방수페인트를 3회에 걸쳐 도포, 2차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처리로써 차단한다.
유구의 이동은 카고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전시보호각 내부에 안착 시 발굴 당시의 방위 및 형태를 고려하여 안착한다.
참고로, 도 15는 유구 이동 및 보호각 내 유구 안착 모습의 사진이고, 도 16은 전시 보호각 내 유구 안치 상태의 사진이다.
10. 유구 표면정리( S200 )
2차 토층 전사가 이루어지고 유구의 이동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토층이 떨어져 나가거나 기존에 유실된 토층을 복원하는 표면 정리작업을 한다. 또한 표면에 다시 토양경화제(예를 들어, PRIMAL MC-76)를 도포하여 토양층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참고로, 도 17은 전사면 마감처리 작업 및 전사면 세척 작업의 사진이다.
11. 유실부 복원( S210 )
유구가 안착 된 후 콘크리트로 제작된 유구 보호 구조물과의 사이에 이격부 또는 유구의 토층 표면에 토양층이 떨어져 나간 부분은 발굴 당시에 수습하여 보관했던 토양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복원한다.
참고로, 도 18은 유실부 복원 작업 및 이격부 충진 작업의 사진이고, 도 19는 측면부 복원 작업 및 전사면 접합 작업의 사진이다.
또한, 유구 보호용 콘크리트로 제작된 구조물과 복원 유구에 발생된 이격부분에는 우레탄이나 나무판 등을 이용하여 보강, 충진하여 복원하였으며, 토사가 유실된 부분은 강력접착제를 이용하여 토양을 복원한 후 아크릴 물감을 이용하여 토질 표면과 유사한 색으로 연출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0은 측면부 보강 및 이격부 표면정리의 사진이고, 도 21은 유실부 복원 작업 및 이격부 충진 작업의 사진이다.
12. 작업과정 기록 및 정리( S220 )
작업내용의 기록은 유구 복원 작업 전, 후 현장을 조사하고 정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전체작업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이 기록은 보고서 작성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내용을 상세히 기록한다. 사진촬영은 수혈유구 복원 작업 이전·중·이후와 작업 상황별로 촬영하여 보고서 작성 시 활용한다. 처리과정에서 있었던 모든 작업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은 보존처리의 윤리 규범이며 향후 유구의 보존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참고로, 도 22는 유구 복원 후 세부 근경 및 유구 복원 보호용 유리 안착 후 전경의 사진이고, 도 23은 수혈유구 내 복제 유물 설치 모습의 사진이다.
복제 유물은 출토 당시의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출토된 상태 및 위치를 지정하여 수혈유구 내에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구 보강제로 사용하는 우레탄 대신에 생석회와 황토의 혼합물(예를 들어, 생석회 : 황토 = 1 : 3∼10 정도의 비율)을 사용하여, 우레탄 사용시 발생하는 화재위험과 하중에 의한 부피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유구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동일한 주거지의 고고학적 속성을 유지하도록 유구의 표면을 실물과 똑같이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전사 이전 및 복원할 유구를 예비조사하는 단계;
    (b) 상기 유구의 표면층을 경화 처리한 후 FRP를 도포하여 유구 표면층을 1차 전사하는 단계;
    (c) 상기 유구 표면층이 1차 전사된 FRP(가(假) 형틀)를 복수로 절단하여 분할한 후 상자에 보관하는 단계;
    (d)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가(假) 형틀을 바닥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가(假) 형틀을 복원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가(假) 형틀이 정 위치에 복원된 후 토층이 전사된 상기 가(假) 형틀의 표면 위에 전사약품을 도포하여 2차 전사하는 단계;
    (f) 상기 2차 전사작업이 완료된 표면에 FRP를 도포하여 본(本)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g) 상기 본(本) 형틀이 뒤집어 진 상태에서 상기 본(本) 형틀의 외부에 수혈유구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유구 지지대를 제작하는 단계;
    (h) 상기 수혈유구의 바닥면이 아래로 가도록 상기 유구 지지대를 바닥에 세운 다음, 상기 본(本) 형틀 안쪽에 있는 상기 가(假) 형틀을 제거하는 단계; 및
    (i) 상기 유구 지지대가 외부에 설치된 상기 본(本) 형틀을 방수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시 보호각 내에 안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은,
    (j) 상기 본(本) 형틀의 유구 표면에 손상 또는 유실된 부분을 토양과 토양경화제를 도포하여 복원하거나, 또는 강력접착제를 이용하여 토양을 복원한 후 아크릴 물감을 이용하여 토질 표면과 유사한 색으로 연출하는 단계;
    (k) 상기 전시 보호각과 상기 본(本) 형틀의 유구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우레탄이나 나무판을 이용하여 보강 및 충진한 후, 상기 (j)단계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조사는 유구의 실측 작업, 사진촬영, 3D 스캔을 통한 정밀 실측을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가(假) 형틀을 철사를 사용하여 매듭지어 묶어주는 방법으로 결합하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구 지지대는 아연도금된 철제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유구 지지대와 상기 수혈유구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유리섬유와 FRP를 도포하여 접합하고,
    상기 수혈유구의 뒷면에 수분 차단을 위해 방수페인트를 도포하는,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KR1020120073082A 2012-07-04 2012-07-04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KR10122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82A KR101228197B1 (ko) 2012-07-04 2012-07-04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82A KR101228197B1 (ko) 2012-07-04 2012-07-04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197B1 true KR101228197B1 (ko) 2013-01-30

Family

ID=4784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82A KR101228197B1 (ko) 2012-07-04 2012-07-04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462B1 (ko)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출토유물의 입체 분리형 보관틀 제작을 위한 현장 보존처리 방법
KR102162691B1 (ko) * 2019-05-20 2020-10-07 서진문화유산(주) 발굴유구 전사 및 재전사 복원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97B1 (ko) 2007-10-16 2008-03-13 (주)한빛조형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97B1 (ko) 2007-10-16 2008-03-13 (주)한빛조형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91B1 (ko) * 2019-05-20 2020-10-07 서진문화유산(주) 발굴유구 전사 및 재전사 복원 방법
KR102114462B1 (ko)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출토유물의 입체 분리형 보관틀 제작을 위한 현장 보존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iz et al. Seismic rehabilitation of sixteenth-and seventeenth-century rammed earth–built churches in the Andean highlands: Field and laboratory study
KR101228197B1 (ko)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Bizzarri et al. The use of traditional mud-based masonry in the restoration of the iron age site of Salūt (Oman). A way towards mutual preservation
Döpper The reuse of tombs in the necropolis of Bat, Sultanate of Oman
Obłuski Ghazali Site Presentation Project 2012–2014: Preliminary Results
Wegner Abydos
Terlikowski et al. Approach to conservation of irregular stone masonry based on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the Black Sea basin
Cancino et al. Seismic retrofitting using local materials and expertise at a church in Kuñotambo, Peru
Davis Archaeology at the white monastery, 2005–2010
Mauro Restoration project
KR101228247B1 (ko)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
Petzet Anastylosis or reconstruction-The conservation concept for the remains of the Buddhas of Bamiyan
Szafrański DEIR EL-BAHARI. THE TEMPLE OF HATSHEPSUT SEASON 2004/2005
Daniels Graveyard Memorials
Marcus et al. Conservation and structural stabilization of al Hayla tower in the Liwa Oasis, Abu Dhabi
Soni et al. Conservation Practices: Depleting Values and Lifespan of Heritage
Kinzel et al. Conserving Zubarah: towards a conservation strategy for A1 Zubarah Archaeological Site, Qatar (poster)
Toköz Conservation and presentation of Greco-Roman temple remains in Western Anatolia: A critical assessment on selected examples through the concept of Anastelosis
Martin 3 Newsround
Kuraszkiewicz et al. Saqqara: research 2018
Parenti Building Archaeology in Jordan. Preliminary Report on the 2009–2011 Surveys at Umm as-Surab
Mallinson Report on the 1987 Excavations: Investigation of the Small Aten Temple
Shykuts et al. Investigation of ground and foundation condition influence on the Spaso-Preobrozhenskaya church constructions in Polotsk
Gelin New French-Kuwaiti Research in the Hellenistic Fortress of Failaka-Ikaros
Bizzarri et al. Traditional masonry and archaeological restoration. A case study from Salūt, Om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