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497B1 -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497B1
KR100813497B1 KR1020070103918A KR20070103918A KR100813497B1 KR 100813497 B1 KR100813497 B1 KR 100813497B1 KR 1020070103918 A KR1020070103918 A KR 1020070103918A KR 20070103918 A KR20070103918 A KR 20070103918A KR 100813497 B1 KR100813497 B1 KR 10081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yer
remains
transfer
unsatura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중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주)한빛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조형 filed Critical (주)한빛조형
Priority to KR102007010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2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producing a copy from an origi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1/00Artists' hand tools for sculpturing, kneading, carving, engraving, guilloching or embossing;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6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using a modelling surface, e.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44C3/082Stamping or bending comprising a cutting out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적지 발굴 이후, 전사단계, 이전단계, 및 복원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단계는, 유적지 발굴 후 현장에 보존된 유구를 정리하고, 정리된 유구에 대해 사진촬영과 정밀실측을 실시하는 1단계와, 상기 1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유구 표면을 전사하기 위해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경화층이 형성된 유구의 토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전사된 유구 표면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수틀을 제작하는 3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과 상기 3단계에서 형성된 수틀을 절단기를 사용하여 소정 크기별로 절단하고, 복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숫자나 문자를 기재하는 4단계와, 상기 4단계에서 절단되어 개별화된 상기 경화층 및 수틀을 상기 유구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 뒤집어서 불규칙한 흙을 균일하게 정리한 후, 상기 경화층을 재차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는 5단계와,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비닐을 덮은 후,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적지, 전사, 복원,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Description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Method of transcripting and restoring stratum}
본 발명은 유적지 발굴 이후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현장의 보존과 이의 학술적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구를 경화 처리하여 유구 표면층에 대해 수틀을 제작함과 함께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함으로써 박물관 또는 전시관 등으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 복원시키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표수나 지하수 등의 침식과 관리 부주의 및 관람객의 외부 접촉으로 인한 피해로 발굴 당시의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지층의 파손은 많은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데 오류를 범하는 한편, 번거롭게 정확히 실측해서 원형 복원시 유구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유구를 사진촬영과 정밀실측을 실시하고 실측도면에 표시하여 원형복원시 유구의 형태가 변형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유적지 발굴 이후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출된 현장이 보존과 이의 학술적 활용을 용이하게 함으로 유구를 화공 약품을 이용하여 경화 처리하고 상기 유구를 표면층에 수틀을 제작하고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여 박물관 또는 전시관 등에 용이하게 이동하여 복원시키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유적지 발굴 이후, 전사단계, 이전단계, 및 복원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단계는
유적지 발굴 후 현장에 보존된 유구를 정리하고, 정리된 유구에 대해 사진촬영과 정밀실측을 실시하는 1단계;와
상기 1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유구 표면을 전사하기 위해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경화층이 형성된 유구의 토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전사된 유구 표면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수틀을 제작하는 3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과 상기 3단계에서 형성된 수틀을 절단기를 사용하여 소정 크기별로 절단하고, 복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숫자나 문자를 기재하는 4단계;와
상기 4단계에서 절단되어 개별화된 상기 경화층 및 수틀을 상기 유구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 뒤집어서 불규칙한 흙을 균일하게 정리한 후, 상기 경화층을 재차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는 5단계;와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비닐을 덮은 후,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와 5단계의 경화처리는 스프레이건을 구비한 에어콘프레샤를 이용하여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다수 회 반복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6단계는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단계는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기 이전에, 석고를 더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복원단계는
소정 크기별로 절단되어 개별화된 전사면을 각각 배치시킬 수 있는 골격 프레임을 제작하는 7단계;와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도포층 및 상기 암틀은 비닐을 걷어내어 분리시키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가 함유된 상기 배접층은 알콜을 살포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수틀과 암틀을 상기 경화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8단계;와
유구 표면의 전사면이 되는 상기 8단계에서 분리된 경화층을 상기 골격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인접하는 두 경화층의 경계선 부위의 골격 프레임 상에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도포한 후 두 인접 경화층을 접착시키며, 접착된 부위에는 발굴지의 흙을 뿌린 후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도포하는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적지 발굴 이후, 전사단계, 이전단계, 및 복원단계로 이루어지 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복원시 유구의 형태가 변형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하고 유구를 보호하는 측면과 이의 상업적 또는 교육적 이용이라는 세가지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술적 연구에 필요한 관찰도 할 수 있고 관리부족이나 관람객들의 접촉에 의한 파손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유구를 화공 약품을 이용하여 경화 처리하고 상기 유구를 표면층에 수틀을 제작하고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여 박물관 또는 전시관 등에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적지 지층을 실측 그대로 전사하여 복원함으로써 역사 유물에 대한 현장감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구는 구체적으로 유적지 발굴 후 유적지 지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덕이나 곡식 저장터 또는 기둥터 등등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적지 발굴 이후 유구 토층 표면을 전사단계, 이전단계, 및 복원단계로 나누어, 유적지의 지층을 전사하고, 그 전사물을 안전하게 이전하여, 전시관 등 원하는 복원지에 실측 그대로 복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각 단계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전사단계는 유구 토층 표면을 경화재를 사용해서 실측 형상 그대로 형상화시켜 전사면을 만들고, 그 전사면의 위아래에 수틀과 암틀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사 단계의 1단계로서, 유적지 발굴 후 현장에 보존된 유구를 솔이나 붓 등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정리하고, 정리된 유구에 대해서는 사진촬영과 정밀실측을 실시하고 실측도면에 표시하여 원형복원시 유구의 형태가 변형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1단계가 완료된 후 2단계로서, 상기 유구 표면을 원형 그대로 전사하기 위해 경화 처리를 실시하여 유구 토층 표면 상에 경화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경화처리에 사용되는 경화재는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이다. 이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에어콘퓨레샤를 사용하여 스프레이건으로 수십회 이상 반복 살포하여 토층의 부스러짐이 없도록 토층표면을 견고하게 경화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전사단계에 있어서, 3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유구 복원시 파손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2단계에서 유구 표면이 전사된 경화층 위를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으로, 전사된 유구 표면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수틀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틀은 유구 표면이 전사된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 경화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후 복원 단계시에는 상기 경화층에서 분리되어 필요없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닐은 수틀 또는 암틀 내에 개재되어 이후 작업자가 상기 비닐을 걷어냄으로써 수틀과 암틀을 상기 경화층으로부터 아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배접 작업이 완료된 전사면이 하중에 견딜 수 있고, 전사면의 구조가 변하지 않게 된다.
전사 단계의 4단계는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과 상기 3단계에서 형성된 수틀을 절단기를 사용하여 소정 크기별로 절단하고, 복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숫자나 문자를 기재하는 단계이다. 4단계에서의 절단 작업은 유구를 복원할 시 유구 형상이 변화되지 않도록 가능한 한 특정 유구 부분을 전체가 하나의 개별 전사면이 될 수 있도록 절단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화덕이 있었던 유구 표면 부위가 하나의 개별 전사면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절단 작업을 한다.
전사단계의 5단계로서, 상기 4단계에서 절단되어 개별화된 상기 경화층 및 수틀을 상기 유구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 뒤집어서 불규칙한 흙을 균일하게 정리한 후, 상기 경화층을 재차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한다. 재 경화처리 함으로써 유구 전사면이 더욱 견고하게 경화되어 그 형상이 안전하게 보존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사단계의 6단계는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비닐을 덮은 후,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암틀을 제작함으로써, 유구 전사면이 상기 수틀과 암틀에 의해 그 형상을 안전하게 유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사단계의 6단계는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6단계는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기 이전에, 중요한 유구 부분 예를 들면, 화덕 부분이나 곡장 저장터 등의 부분의 파손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석고를 더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처리는 스프레이건을 구비한 에어콘프레샤를 이용하여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다수 회 반복 분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서의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가 유리 섬유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틀과 암틀을 더욱 견고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이전 단계는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암틀과 수틀을 통해 유구 표면의 전사면인 상기 경화층을 원형 그대로 안전하게 이전시키는 단계로서, 개별화된 암틀과 수틀을 복원 순서와 위치 등을 고려해서 케이스 등에 수납해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복원 단계는 골격 프레임을 제작하고, 수틀과 암틀을 분리시켜, 원하는 복원 위치에 전사면을 배치하여 접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원 단계를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단계는 우선, 소정 크기별로 절단되어 개별화된 전사면을 각각 배치시킬 수 있는 골격 프레임을 제작한다(7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골격 프레임을 유구 표면이 전사된 경화층을 복원시키는 스테이지(stage)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목재로 이루어진 각재 또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도포층 및 상기 암틀은 비닐을 걷어내어 분리시키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가 함유된 상기 배접층은 알콜을 살포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수틀과 암틀을 상기 경화층으로부터 분리시킨다(8단계). 상기 알콜을 배접층에 살포하면 배접층에 함유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알콜이 반응하여 배접층이 쉽게 분리될 수 있게된다.
계속해서, 유구 표면의 전사면이 되는 상기 8단계에서 분리된 경화층을 상기 골격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인접하는 두 경화층의 경계선 부위의 골격 프레임 상에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도포한 후 두 인접 경화층을 접착시키며, 접착된 부위에는 발굴지의 흙을 뿌린 후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도포하여 전사면 복원한다(9단계).
본 발명의 복원 단계에서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는 두 인접 경화층을 골격 프레임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며, 두 인접 경화층을 완벽하게 연결시키기 효과를 얻기 위해 두 경화층의 경계선 부위에 유적지 발굴시 채취된 유적지 흙을 뿌려준다. 그 다음,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경계선 부위의 흙에 도포시키면 흙이 접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적용된 수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적용된 암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 복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유구 전사면이 복원된 골격 프레임의 사시도, (b)는 인접 유구 전사면간의 접착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 복원 방법에 있어서 접착 방법을 설명하는 상세 단면도.

Claims (6)

  1. 유적지 발굴 이후, 전사단계, 이전단계, 및 복원단계로 이루어지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단계는
    유적지 발굴 후 현장에 보존된 유구를 정리하고, 정리된 유구에 대해 사진촬영과 정밀실측을 실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유구 표면을 전사하기 위해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경화층이 형성된 유구의 토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전사된 유구 표면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수틀을 제작하는 3단계;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과 상기 3단계에서 형성된 수틀을 절단기를 사용하여 소정 크기별로 절단하고, 복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숫자나 문자를 기재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절단되어 개별화된 상기 경화층 및 수틀을 상기 유구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 뒤집어서 불규칙한 흙을 균일하게 정리한 후, 상기 경화층을 재차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로 경화 처리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비닐을 덮은 후,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와 5단계의 경화처리는 스프레이건을 구비한 에어콘프레샤를 이용하여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다수 회 반복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는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된 경화층 위에 한지와 밀풀을 사용하여 배접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살포해서 배접층을 형성하고, 상기 배접층 위에 비닐을 덮고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는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순차적으로 도포하기 이전에, 석고를 더 도포하여 상기 수틀과 동일한 크기의 암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단계는
    소정 크기별로 절단되어 개별화된 전사면을 각각 배치시킬 수 있는 골격 프레임을 제작하는 7단계;
    상기 우레탄과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 도포층 및 상기 암틀은 비닐을 걷어내어 분리시키고,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가 함유된 상기 배접층은 알콜을 살포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수틀과 암틀을 상기 경화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8단계;
    유구 표면의 전사면이 되는 상기 8단계에서 분리된 경화층을 상기 골격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인접하는 두 경화층의 경계선 부위의 골격 프레임 상에 불포화폴리에스텔 수지를 도포한 후 두 인접 경화층을 접착시키며, 접착된 부위에는 발굴지의 흙을 뿌린 후 폴리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화제를 도포하는 9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KR1020070103918A 2007-10-16 2007-10-16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KR10081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18A KR100813497B1 (ko) 2007-10-16 2007-10-16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18A KR100813497B1 (ko) 2007-10-16 2007-10-16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497B1 true KR100813497B1 (ko) 2008-03-13

Family

ID=3939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918A KR100813497B1 (ko) 2007-10-16 2007-10-16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4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09B1 (ko) 2010-06-18 2012-04-09 윤주영 구조물 문화재의 이전방법
KR101143254B1 (ko) * 2011-02-10 2012-05-14 성덕모 유구 이전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
KR101228247B1 (ko) 2012-07-04 2013-01-30 이보경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
KR101228197B1 (ko) 2012-07-04 2013-01-30 이보경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KR102114462B1 (ko)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출토유물의 입체 분리형 보관틀 제작을 위한 현장 보존처리 방법
KR102162691B1 (ko) * 2019-05-20 2020-10-07 서진문화유산(주) 발굴유구 전사 및 재전사 복원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39A (ko) * 2001-07-11 2001-08-30 김태훈 유리섬유와 수지를 이용한 지층 보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39A (ko) * 2001-07-11 2001-08-30 김태훈 유리섬유와 수지를 이용한 지층 보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09B1 (ko) 2010-06-18 2012-04-09 윤주영 구조물 문화재의 이전방법
KR101143254B1 (ko) * 2011-02-10 2012-05-14 성덕모 유구 이전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
KR101228247B1 (ko) 2012-07-04 2013-01-30 이보경 대형 유구 원형 이전 복원 방법 및 그 형틀
KR101228197B1 (ko) 2012-07-04 2013-01-30 이보경 유구 전사 이전 및 형틀 복원 방법
KR102162691B1 (ko) * 2019-05-20 2020-10-07 서진문화유산(주) 발굴유구 전사 및 재전사 복원 방법
KR102114462B1 (ko) * 2019-11-26 2020-05-25 대한민국 출토유물의 입체 분리형 보관틀 제작을 위한 현장 보존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497B1 (ko) 지층 전사 및 복원 방법
CN103266781A (zh) 基于3d技术的历史建筑砖雕修复方法
US20150191920A1 (en) Methods, Apparatus and Kits for Measuring and Cutting Irregular Shaped Items
US8865284B2 (en) Fabric mosaic el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810632B2 (en) Simulated stone block and aged artist's canvas articles and method
GB2525249A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CN206551774U (zh) 一种新型滴胶贴纸
US2572580A (en) Method for prefabricating glass block panels
DE202013105933U1 (de) Schichtenverbund mit mineralischem Werkstoff und Glas
CN114352063A (zh) 一种古建筑木雕构件保护修复施工工艺
DE102013114856A1 (de) Schichtenverbund mit mineralischem Werkstoff und Gla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05004815A3 (en) Soil bonding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pplication
JP2012048062A (ja) 立体剥ぎ取り標本の作製方法
US20060019041A1 (en) Tile with simulated antique brick appearance,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tiles with simulated antique brick appearance
WO2015142203A1 (en) Paving slab, paving slabs production method and paving slab obtained using the method
Schwartzbaum et al. Earthquake damage to works of art in the Friuli region of Italy
JP3633804B2 (ja) 土ブロック展示表面の表面仕上げ方法
KR100633001B1 (ko) 토층 경화 처리 방법
US2068396A (en) Covering material and process of
CN106628710B (zh) 低温储罐的保温层施工方法
JPS58122868A (ja) 台紙表貼りユニツトタイルの製造方法
KR20140060268A (ko) 곡면용 단열재와 그 단열재 시공방법
JPH07100969B2 (ja) タイル張り工法
CN110905178A (zh) 一种刮板及其薄法施胶的方法
CN103352552A (zh) 一种墙面漆壁纸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