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173B1 -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173B1
KR101228173B1 KR1020120027731A KR20120027731A KR101228173B1 KR 101228173 B1 KR101228173 B1 KR 101228173B1 KR 1020120027731 A KR1020120027731 A KR 1020120027731A KR 20120027731 A KR20120027731 A KR 20120027731A KR 101228173 B1 KR101228173 B1 KR 10122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ngle
brush
movable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213A (ko
Inventor
홍정욱
Original Assignee
홍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욱 filed Critical 홍정욱
Priority to KR102012002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1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눈썹을 화장할 때 사용하는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결합되어서 각도조절되어지는 솔대의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각도 조절부의 뒤틀림 또는 각도 조절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해소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마스카라액을 묻혀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솔대가 뚜껑으로부터 회동자재되어 각도조절되는 솔대에 있어서,
솔대는 고정부재의 격판으로 형성되어진 고정솔대의 선단 U자형활동홈을 이룸과 동시에 내측면 중심에는 가동솔대의 가동힌지부의 힌지구멍에 끼워지는 힌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 주변에 가동솔대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유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힌지부와;
가동솔대의 후단부에, 상기 고정힌지부의 힌지돌기가 끼워지는 힌지구멍이 양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힌지구멍에 대하여 동심원을 이룸과 동시에 등간격을 이루어서 고정힌지부의 각도유지홈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힌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A structure for angle comtrol of mascara brush rod}
본 발명은 속눈썹을 화장할 때 사용하는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결합되어서 각도조절되어지는 솔대의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각도 조절부의 뒤틀림 또는 각도 조절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해소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는 눈을 화장을 통해 아름답게 꾸미게 된다.
눈의 화장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대표적인 눈 화장은 마스카라를 이용한 속눈썹 화장이다.
속눈썹 화장에 사용되어지는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길고 짙게 보이도록 꾸미는데 쓰이는 화장품으로써, 속눈썹이 대개 위 아래 방향으로 곧게 뻗어 있기 때문에 웨이브를 형성하여 속눈썹을 아름답게 해 주는 화장도구이다.
상기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바르는 방법은 브러시에 묻은 내용물의 양을 조절한 후, 시선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속눈썹의 뿌리 쪽으로부터 쓰다듬어 내리듯이 빗어주면서 발라주고 다음엔 브러시를 아래에서 위로 치켜올리듯이 빗어면서 발라준다.
상기와 같이 빗질을 하듯이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바를 때 브러시를 지그재그로 퉁기듯이 올려주면 마스카라액이 속눈썹에 대하여 더욱 잘 발라져 뚜렷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속눈썹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하고 싶다면 한올씩 섬세하게 바라 깨끗하고 또렷한 눈매를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 및 방식으로 사용되는 마스카라의 일반적인 구조는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브러시가 장착된 마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마스카라는 브러시에 내용물을 적당량 묻힌 다음에 브러시를 돌려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브러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두가닥의 철심에 나이론모(모브러시)를 놓고 나사선 모양으로 일정횟수 꼬아서된 나이론브러시와, 고무를 원료로 성형한 러버브러시를 솔대에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 대분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마스카라는 브러시가 장착되어진 솔대가 곧게 뻗어 있는 구조이어서 브러시모가 속눈썹에 대하여 평행하기 위치하여야 속눈썹을 가지런히 빗어 올릴 수 있는데, 마스카라의 브러시모가 속눈썹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팔을 어깨에 수평하도록 들어올려야 하는 자세가 불안전 할 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또는 협소한 장소에서의 속눈썹 화장시 불편함을 많이 느껴야 했다.
상기와 같은 편함을 해소하려면 팔을 덜 들어올린 상태에서 속눈썹 화장을 해야 하는데, 팔을 덜 들어올린 상태에서 속눈썹 화장을 할 경우, 솔대가 콧등에 닿아 솔대에 묻어 있는 마스카라액이 콧등에 닿는다.
상기 속눈썹 화장은 기초화장을 마치고, 콤팩트, 화운데이션, 등의 색조화장을 마친 상태에서 속눈썹 화장을 하는 것이어서 화장을 고쳐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속눈썹 화장은 브러시가 속눈썹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어야 속눈썹을 가지런히 빗어 올릴 수 있는데, 속눈썹 화장을 하는 동안 팔을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 또렷하면서 아름다운 속눈썹 화장을 도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개발된 마스카라브러시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74515호 "마스카라 도포구 용기"가 있다.
상기 선출원발명은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에 선단에 브러시를 구비한 브러시축을 구비하고, 캡을 닫을 때 상기 브러시축이 상기 입구로부터 용기본체 내에 삽입되는 마스카라 도포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축은 상기 캡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브러시축은 고정부재을 매개로 뚜껑에 고정되어 솔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선출원발명은 캡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에 브러시축의 말단으로 형성된 볼이 위치하여지게 한후, 고정부재를 조립하여 브러시축이 캡에 조립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동자재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선출원발명은 캡으로부터 브러시축이 회동자재되어짐에 따라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도포할 때 발을 많이 들어올리지 않고 속눈썹화장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선출원발명은 캡으로부터 회동자재된 브러시축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회동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브러시를 속눈썹에 갔다 댈 때 흔들림이 발생하는 브러시을 속눈썹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브러시로 속눈썹을 빗어 올릴 때 브러시축에 움직이이 발생하여 속눈썹을 가지런하게 빗어 올릴 수 없었다
또 다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솔대를 구비한 마스카라는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4656호 "마스카라 브러시"가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은 뚜껑에 연장형성되는 고정솔대를 구성하는 원판에 가동솔대의 원판을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너트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의 선등록발명은 고정솔대와 가동솔대가 금속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지는 것이어서, 부식에 의한 마스카라액의 오염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원판의 부피가 커 마스카라 용기의 개구부 직경을 크게해양하는 단점을 가지고있을 뿐만 아니라, 브러시에 도포된 마스카라액을 안정적으로 훌터 낼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원판의 면과 면이 단순 포개어져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비틀림은 물론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각도조절의 기능이 상실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본 발명은 솔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된 속눈썹 화장에 사용되어지는 종래 마스카라의 솔대의 각도 조절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솔대의 고정힌지부에 가동솔대가 가동힌지부가 힌지 결합되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고정솔대로부터 가동솔대가 비틀림 없이 회동하면서 각도 조절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부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져서 야기되는 각도 조절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동솔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각도로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마스카라액을 묻혀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솔대가 뚜껑으로부터 회동자재되어 각도조절되는 솔대의 각도 조절부에 있어서,
상기 솔대의 각도 조절부는 고정부재의 격판으로 형성되어진 고정솔대의 선단 U자형활동홈을 이룸과 동시에 내측면 중심에는 가동솔대의 가동힌지부의 힌지구멍에 끼워지는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 주변에 가동솔대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유지홈들이 힌지돌기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고정힌지부와;
가동솔대의 후단부에, 상기 고정힌지부의 힌지돌기가 끼워지는 힌지구멍이 양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힌지부의 각도유지홈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힌지구멍을 중심으로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가동힌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는,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에 가동솔대(120)가 가동힌지부(220)가 힌지 결합되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고정솔대(110)로부터 가동솔대(120)가 비틀림 없이 회동하면서 각도 조절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부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져서 야기되는 각도 조절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동솔대(1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자유로운 각도로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도 1은 마스카라 브러시의 나타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한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한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의 발췌한 분리 사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200) 구조는, 도 2내지 도3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11)의 격벽(112)에 형성되는 고정솔대(110)와, 마스카라액을 묻혀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도포하는 가동솔대(120)로 이루어 진다.
상기 가동솔대(120)와 고정솔대(110)는 관절식연결되어 가동솔대(120)가 고정솔대(110)로부터 각도 조절되어지게 되고, 솔대(100)는, 고정힌지부(210)와, 가동힌지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은, 상기 고정솔대(1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지되, U자형활동홈(211)을 이룸과 동시에 내측면 중심에 고정솔대(110)의 가동힌지부(220)의 힌지구멍(221)에 끼워지는 힌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211) 주변에 고정솔대(110)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유지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와 연결되는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는, 고정솔대(110)의 후단부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힌지부(210)의 힌지돌기(212)가 끼워지는 힌지구멍(221)이 양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힌지구멍(221)에 대하여 동심원을 이룸과 동시에 등간격을 이루어서 고정힌지부(210)의 각도유지홈(213)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위치고정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솔대(100)의 각도 조절부(200)는 뚜껑(10)에 끼움 설치되어지는 고정부재(111)에 형성된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의 U자형활동홈(211) 윗쪽으로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눌러 끼우면, 고정힌지부(210)에 탄성변형이 일어나면서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에 형성되어진 힌지구멍(221)이 고정솔대(110)의 힌지돌기(212)에 끼움되어져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와,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에 의해 연결되어서 된 마스카라 브러시를 이용하여 속눈썹 화장을 할 때에는 뚜껑(10)을 용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분리해 낸다.
이후 고정솔대(110)의 고정부재(111)가 끼움 설치되어진 뚜껑(10)을 기울여 각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뚜껑(10)을 회전시킬 때 고정솔대(110)의 고정힌지부(210) 힌지돌기(212)를 중심으로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가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가동힌지부(220)의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돌기(222)가 고정힌지부(210)의 양측 내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각도유지홈(213)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지게 되고, 위치하는 부위에 따라 조절각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솔대(100)를 구성하는 가동솔대(120)의 각도조절되어진 상태에서 속눈썹 화장을 하게 되는데, 가동솔대(120)에 형성된 브러시(121)를 속눈썹에 수평이 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뚜껑(10)이 아래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거나 수직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마스카라브러시를 파지한 상태의 자세가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솔대가 콧등 위로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되어지지 않아 화장을 할 때 마스카라액이 콧등에 닿게 되는 것을 해소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뚜껑 100 : 솔대
110 : 고정솔대 111 : 고정부재
120 : 가동솔대 121 : 브러시
200 : 각도 조절부 210 : 고정힌지부
211 : U자형활동홈 212 : 힌지돌기
213 : 각도유지홈 220 : 가동힌지부
221 : 힌지구멍 222 : 위치고정돌기

Claims (2)

  1. 용기에 수용된 마스카라액을 묻혀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솔대가 뚜껑으로부터 회동자재되어 각도조절되는 솔대(100)의 각도 조절부(200)에 에 있어서,
    상기 솔대(100)의 각도 조절부(200)는 고정부재(111)의 격판(112)으로 형성되어진 고정솔대(110)의 선단 U자형활동홈(211)을 이룸과 동시에 내측면 중심에는 가동솔대(120)의 가동힌지부(220)의 힌지구멍(221)에 끼워지는 힌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212) 주변에 가동솔대(120)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유지홈(213)들이 힌지돌기(212)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고정힌지부(210)와;
    가동솔대(120)의 후단부에, 상기 고정힌지부(210)의 힌지돌기(212)가 끼워지는 힌지구멍(221)이 양측면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힌지부(210)의 각도유지홈(213)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위치고정돌기(222)가 상기 힌지구멍(221)을 중심으로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가동힌지부(2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2. 삭제
KR1020120027731A 2012-03-19 2012-03-19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KR10122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31A KR101228173B1 (ko) 2012-03-19 2012-03-19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31A KR101228173B1 (ko) 2012-03-19 2012-03-19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456A Division KR101228255B1 (ko) 2010-03-24 2010-03-24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솔대를 구비한 마스카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213A KR20120031213A (ko) 2012-03-30
KR101228173B1 true KR101228173B1 (ko) 2013-01-30

Family

ID=4613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31A KR101228173B1 (ko) 2012-03-19 2012-03-19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780B1 (ko) * 2012-07-13 2014-07-08 김태연 각도 조절형 어플리케이터
US10398215B2 (en) 2017-03-02 2019-09-03 Aa R&D Llc Adjustable end mascara brush
US10610005B2 (en) 2017-03-02 2020-04-07 Aa R&D Llc Adjustable end mascara
KR102029133B1 (ko) * 2019-03-26 2019-10-07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속눈썹 고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74A (ko) * 1998-07-31 2000-02-15 장지일 치간 칫솔
KR200292879Y1 (ko) *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27311Y1 (ko) * 2006-07-12 2006-09-25 최일규 브러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치간 브러쉬
JP3154656U (ja) * 2009-08-06 2009-10-22 真千子 古川 マスカラブラシ及びマスカラ化粧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74A (ko) * 1998-07-31 2000-02-15 장지일 치간 칫솔
KR200292879Y1 (ko) *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27311Y1 (ko) * 2006-07-12 2006-09-25 최일규 브러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치간 브러쉬
JP3154656U (ja) * 2009-08-06 2009-10-22 真千子 古川 マスカラブラシ及びマスカラ化粧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213A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440Y1 (ko) 변형 가능한 마스카라 브러쉬
KR2011010722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솔대를 구비한 마스카라
EP2330941B1 (en) Ergonomic mascara applicator
JP4085069B2 (ja) 化粧品の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228173B1 (ko)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KR200459831Y1 (ko) 마스카라 브러시
US9877567B2 (en) Ergonomic cosmetic applicator
JP6416127B2 (ja) 3次元プロファイルを備えたステム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US20140109928A1 (en) Ergonomic Cosmetic Groomer
KR101378398B1 (ko) 얼굴의 넓은 면과 좁은 면을 동시에 사용가능한 화장용 브러쉬
JP3154656U (ja) マスカラブラシ及びマスカラ化粧具
KR200424787Y1 (ko) 브러쉬모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카라 브러쉬
KR20150072777A (ko) 아이라이너 및 아이섀도우 겸용 눈 화장 도구
KR10128957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스카라의 솔대
KR101158251B1 (ko) 마스카라 솔대의 각도 조절부 구조
KR20090002622U (ko) 스프링 브러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카라
KR200462506Y1 (ko) 마스카라 도포기
KR101826516B1 (ko) 빗살 간격 조절이 용이한 속눈썹 빗
TWM493300U (zh) 塗抹器
KR200492534Y1 (ko) 마스카라
TW201501665A (zh) 符合人體工學之化妝刷
CN211533095U (zh) 一种含有抗菌丝易清洗的轮廓刷
CN202396744U (zh) 多功能梳子
CN205106734U (zh) 一种上妆效果好的粉扑
KR200484159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 마스카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