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19B1 -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19B1
KR101227919B1 KR1020110050439A KR20110050439A KR101227919B1 KR 101227919 B1 KR101227919 B1 KR 101227919B1 KR 1020110050439 A KR1020110050439 A KR 1020110050439A KR 20110050439 A KR20110050439 A KR 20110050439A KR 101227919 B1 KR101227919 B1 KR 10122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motion
output
user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934A (ko
Inventor
한경식
Original Assignee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9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나 스마트TV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메뉴선택(메뉴 네비게이션)을 위한 화면전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리모컨의 모션센서(예: 자이로센서)를 IPTV 등에 구현된 3차원 UI와 연동시킴으로써, 리모컨 몸체의 방향성 이동에 대응하여 3차원 UI도 연동되어 회전하여, 메뉴 선택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using interworking between 3-dimension user interface and motion sensor}
본 발명은 IPTV나 스마트TV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메뉴선택(메뉴 네비게이션)을 위한 화면전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리모컨의 모션센서(예: 자이로센서)를 IPTV 등에 구현된 3차원 UI(User Interface)와 연동시킴으로써 리모컨 몸체의 방향성 이동에 대응하여 3차원 UI도 연동되어 회전하여, 메뉴 선택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IPTV나 스마트TV 등에서는 복잡한 버튼으로 구성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뉴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며, 복잡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사용시 사용자의 불편함과 절차가 번잡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버튼와 키패드 등을 대신하여 트랙볼 인터페이스와 터치패드 내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등을 많이 이용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즉, 핸드헬드장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면상에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손가락을 긋는 방식인 터치 인터페이스와, 몸체는 고정한 상태에서 트랙볼 소자를 굴리는 방식의 트랙볼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다양하고 복잡한 메뉴에 대한 간단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유저인터페이스를 복잡하게 구성하는 경우는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트랙볼 인터페이스와 터치 인터페이스는 종래에 제조되어 사용되던 방식의 간단한 리모컨에 비해 제조상에 공정이 복잡하며, 상당한 비용 부담이 수반되는 문제점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리모컨의 구성이나 사용자의 기기 사용능력에 상관없이 메뉴 네비게이션 조작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컨의 자이로센서를 IPTV상에 구현된 3차원 UI와 연동시킴으로써, 리모컨 몸체를 회전시키면, 그에 대응하여 메뉴 UI인 3차원 UI도 연동되어 회전하여, 메뉴 선택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뉴의 회전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면이 나타나면, 그 안에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여 클릭함으로써, 손쉽게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변경없이 3차원 UI를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사용자에 적응적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은, 리모컨의 자이로센서가 사용자에 의한 방향이동에 따른 방향성을 나타내는 모션신호를 캡쳐하여 IPTV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IPTV의 제어부가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특징점으로부터 모션신호의 방향성으로 기출력된 3차원 UI를 회전시키는 제 2 단계; 제어부가 특징점으로부터의 3차원 UI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애플리케이션 추출이 완료되면, 원격제어장치가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신호를 대기하는 제 31 단계; 구동신호 입력시, 원격제어장치는 구동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 32 단계; 영상표시장치의 표시제어부는, 원격제어장치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면, 3차원 UI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 3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에 있어서, 3차원 UI는 직육면체의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향성은 상, 하, 좌, 우, 회전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특징점은, 기본값(Default) 또는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출력된 3차원 UI의 위치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각 면에 아이콘이 형성되는 3차원 UI을 이용한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자이로센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방향이동에 따른 방향성을 나타내는 모션신호를 캡쳐되면, IPTV로 전송하는 리모컨;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모션신호의 방향성으로 기출력된 3차원 UI를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IPTV;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IPTV는,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특징점으로부터 모션신호의 방향성에 따른 3차원 UI가 사용자에게 구현될 위치를 판단한 뒤, 3차원 UI를 특징점으로부터 모션신호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위치판단모듈; 특징점으로부터의 위치판단모듈에 의한 회전에 따라 츨력되는 3차원 UI상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구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구현모듈은 애플리케이션 추출이 완료된 후 그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신호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3차원 UI는 직육면체의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향성은 상, 하, 좌, 우, 회전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특징점은 기본값(dfault)으로 설정되거나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출력된 3차원 UI의 위치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리모컨과 IPTV간의 신호 송수신은 적외선 또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은, 리모컨의 자이로센서를 IPTV 상에 구현된 3차원 UI와 연동시킴으로써, 리모컨 몸체를 좌, 우, 상, 하, 회전의 어느 한 방향을 제공하면, 그에 대응하여 메뉴 UI인 3차원 UI도 회전하여 표시됨으로써 메뉴 선택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은, 해당 메뉴의 회전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면이 나타나면, 그 안에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여 클릭함으로써, 손쉽게 메뉴를 변경하고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은,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필요없이 3차원 UI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메뉴 UI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리모컨에 대한 모션신호 캡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텔레비전 화면(20)의 3차원 UI(30)와 리모컨(10)의 모션센서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화면전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리모컨(10)에 대한 모션신호 캡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전환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시스템은 리모컨(10), IPTV(20), 3차원 UI(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3차원 UI(30)는 3차원의 형상으로 보이도록 IPTV(20)의 화면에 제시되는데, 각각의 면은 기능 아이콘이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제시되어 있다. 3차원 UI(30)는 IPTV(20)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제공한다.
먼저, 리모컨(1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은 자이로센서(11), MCU(12), 입력버튼(13), 제 1 무선송수신부(1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원격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리모컨(Remote control device)를 전제로 발명에 대한 설명을 전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원격제어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자이로센서(11)는 모션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다. 자이로센서(11)는 리모컨(10)에 실장되어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10) 방향 이동에 따른 모션을 대기한다. 자이로센서(11)는 방향성에 따른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다양한 동작감지 센서로 변형가능하다.
여기서, 리모컨(10)의 방향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와 같이 상, 하, 좌, 우의 4축과 개별 방향의 회전임을 전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3차원 UI(30)는 [도 1]에 도시된 육면체 형태의 큐브(cube)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 또는 육면체보다 많은 면으로 구현된 입체형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리모컨(10)의 방향성은 6축 내지는 그 이상으로도 설정가능하다.
한편, 자이로센서(11)는 리모컨(10)에 설치된 구성이며, 바람직하게는 리모컨(10)에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0)의 바디를 이동 내지 회전하는 조작을 실행하면 자이로센서(11)는 이와 같은 사용자 조작의 방향성을 검출한다. 이처럼 사용자 조작에 따른 리모컨(10)의 모션 정보가 입력되면, 리모컨(10)은 방향성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신호를 생성하여 MCU(Micro Control Unit, 12)로 전송한다.
리모컨(10)의 MCU(12)는 자이로센서(11)에 의한 모션신호 캡쳐가 완료되면 그 캡쳐된 모션신호를 제 1 무선송수신부(14)로의 전송요청신호 전송을 통하여 IPTV(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버튼(13)은 후술할 3차원 UI(3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유닛이다. 입력버튼(13)은 사용자에 의한 IPTV(10)의 일반적 설정 메뉴인 채널 변환, 음향 설정 등을 위한 다수의 버튼에 추가하여, 구동신호 입력 버튼을 더 구비하여 형성된다.
입력버튼(13)으로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MCU(12)는 구동신호를 IPTV(30)로 전송하도록 제 1 무선송수신부(14)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IPTV(20)에 대해 설명을 전개한다. IPTV(20)는 제 2 무선송수신부(21), 제어부(22), 저장부(23), 입출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셋탑박스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IPTV(20)는 입출력부(24)와 나머지 구성요소가 분리되어 셋탑박스에 구비되는 셋탑박스 분리형으로도 변형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IPTV(Internet Protcol Television)를 전제로 설명을 전개하였으나, 스마트TV나 다른 디지털TV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제 2 무선송수신부(21)는 적외선 방식 또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리모컨(10)의 제 1 무선송수신부(14)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으나 리모컨(10)과 IPTV(20) 간의 제어 데이터 송수신은 범용직렬버스(USB)나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22)는 위치판단모듈(22a)과 구현모듈(22b)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위치판단모듈(22a)는 제 2 무선송수신부(21)를 통해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식별된 특징점으로부터 모션신호의 방향에 따른 3차원 UI(30)가 사용자에게 구현될 위치를 판단한다. 이후, 위치판단모듈(22a)은 입출력부(24)로 출력된 3차원 UI(30)를 모션신호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특징점은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되거나 혹은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입출력부(24)로 출력된 3차원 UI(30)의 위치점을 의미한다. 위치판단모듈(22a)는 바람직하게는 리모컨(10)이 물리적으로 경험한 회전과 대응되도록 3차원 UI(30)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10)을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면 3차원 UI(30)도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육면체에서 좌측에 위치해있던 면이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다른 방향의 회전도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구현모듈(22b)은 특징점으로부터의 위치판단모듈(22a)에 의한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3차원 UI(30) 상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부(23)로부터 추출한다. 3차원 UI(30)가 회전하게 되면 방금 전까지 보이지 않던 면이 새로이 화면 정면에 표시되기 마련이다. 그러면, 이 면에 정의되어 있던 아이콘이 그에 따라 새롭게 보이기 시작하며, 구현모듈(22b)은 이에 수반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를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 추출이 완료되면, 구현모듈(22b)은 그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신호가 리모컨(10)으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에 대한 선택 조작을 수행하면, 그에 대응하여 해당 아이콘에 대한 구동신호가 입력되며, 구현모듈(22b)은 이 아이콘에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제로 구현되도록 한다.
저장부(23)는 3차원 UI(30)상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3차원 UI(30)가 직육면체의 큐브 형상인 경우, 6면에는 각 아이콘이 지정되며, 각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부(23)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리모컨(10)에서의 동작감지센서인 자이로센서(11)가 감지한 신호와 3차원 UI(30)의 조작이 연동됨으로써, 리모컨(10) 몸체를 좌, 우, 상, 하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IPTV(20) 상에 표시된 메뉴 UI인 3차원 UI(30)도 좌, 우, 상, 하로 회전되어 메뉴화면이 변경되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차원 UI(30)에서 자신이 원하는 면이 나타나면 그 안에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여 클릭함으로써, 손쉽게 메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하는 화면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 단계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10)의 자이로센서(11)는 사용자가 리모컨(10)의 바디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방향이동을 수반한 모션을 입력할 것을 대기한다.
(S2) 단계 : 사용자가 리모컨(10)의 바디를 물리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 하, 좌, 우, 회전을 비롯한 방향성 정보가 입력되면 자이로센서(11)는 모션신호를 캡쳐하여 MCU(12)로 전송한다.
(S3) 단계 : 단계(S2)의 모션신호 캡쳐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MCU(12)는 제 1 무선송수신부(14)로 전송요청신호를 통한 제어를 통해 단계(S2)에서 캡쳐된 모션신호를 IPTV(30)로 전송한다.
(S4) 단계 : IPTV(30)의 제 2 무선송수신부(21)가,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2)로 전송하면, 제어부(22)는 미리 식별된 특징점(기본값 내지는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특정된 3차원 UI(30)의 위치)으로부터 모션신호의 방향으로 입출력부(24)로 출력된 3차원 UI(30)를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리모컨(10)이 물리적으로 경험한 회전과 대응되도록 3차원 UI(30)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10)을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면 3차원 UI(30)도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육면체에서 좌측에 위치해있던 면이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다른 방향에 대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 단계 : 이후, 제어부(22)는 특징점으로부터의 단계(S4)로의 이동에 따라 출력되는 3차원 UI(3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부(23)로부터 추출한다. 3차원 UI(30)가 회전하게 되면 방금 전까지 보이지 않던 면이 새로이 화면 정면에 표시되기 마련이다. 그러면, 이 면에 정의되어 있던 아이콘이 그에 따라 새롭게 보이기 시작하며, 이에 수반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를 수행한다.
(S6) 단계 : 단계(S5)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추출이 완료되면, IPTV(20)의 제어부(22)는 위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신호가 리모컨(10)으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S7) 단계 : 리모컨(10)의 입력버튼(13)으로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리모컨(10)은 상술한 동일한 방식으로 IPTV(20)의 제어부(22)로 구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어부(22)가 입출력부(24)로 3차원 UI(3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리모컨 11: 자이로센서
12: MCU 13: 입력버튼
14: 제 1 무선송수신부 20: IPTV
21: 제 2 무선송수신부 22: 제어부
22a: 위치판단모듈 22b: 구현모듈
23: 저장부 24: 입출력부
30: 3차원 UI

Claims (8)

  1. 원격제어장치(10)와 영상표시장치(20) 간의 데이터 통신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각 면에 아이콘이 형성되는 3차원 UI(30)를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모션센서(11)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공되는 방향이동에 대응하여 방향성을 나타내는 모션신호를 캡쳐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표시제어부(22)가 상기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식별된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모션신호의 방향성에 대응하여 기출력된 상기 3차원 UI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표시제어부(22)가 상기 특징점으로부터의 상기 3차원 UI의 회전의 결과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UI(30)는 직육면체의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향성은 상, 하, 좌, 우, 회전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신호를 대기하는 제 31 단계;
    상기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 32 단계;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표시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으로부터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3차원 UI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 3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특징점은 기본값(default) 또는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출력된 상기 3차원 UI의 위치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방법.
  5.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각 면에 아이콘이 형성된 3차원 UI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기기 방향이동에 대응하여 그 방향성을 나타내는 모션신호를 모션센서에서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모션센서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10);
    상기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션신호의 방향성에 대응하도록 기출력된 상기 3차원 UI를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20)는,
    상기 모션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모션신호의 방향성에 대응하여 상기 3차원 UI가 사용자에게 제시될 위치를 판단한 뒤, 상기 3차원 UI를 상기 특징점으로부터 상기 모션신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위치판단모듈(22a);
    상기 특징점으로부터의 위치판단모듈에 의한 회전에 따라 츨력되는 3차원 UI상에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구현모듈(22b);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기본값(default) 또는 이전 모션신호에 의해 출력된 상기 3차원 UI의 위치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KR1020110050439A 2011-05-27 2011-05-27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KR10122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39A KR101227919B1 (ko) 2011-05-27 2011-05-27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39A KR101227919B1 (ko) 2011-05-27 2011-05-27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934A KR20120131934A (ko) 2012-12-05
KR101227919B1 true KR101227919B1 (ko) 2013-02-07

Family

ID=4751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439A KR101227919B1 (ko) 2011-05-27 2011-05-27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4346B (zh) * 2012-12-24 2016-11-23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终端、遥控器及三维播放模式下显示器的调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89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89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934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7832B (zh) 一种移动终端的手势捕捉方法及装置
US8441388B2 (en) Remote control devices and methods
KR101220037B1 (ko) 전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EP2677759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665124B (zh) 基于机顶盒的学习型遥控系统及学习遥控方法
KR100818990B1 (ko) 움직임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3123693A1 (zh) 多模式遥控器的遥控控制方法、遥控器、用户终端及系统
EP334393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120154276A1 (en)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CN103702160A (zh) 无线手势遥控控制指令的生成方法及无线遥控器
US11367258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215426A (zh) 基于平板电脑、智能手机控制的智能电视机顶盒
JP201511504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062488A1 (en) Three-dimensional air mouse and display used together therewith
EP3564792B1 (e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84493B1 (ko)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KR101227919B1 (ko) 3차원 ui와 모션센서를 연동한 화면전환 시스템 및 화면전환 방법
CN104581325A (zh) 无线智能遥控器
CN10526120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遥控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CN202565422U (zh) 基于机顶盒的学习型遥控系统
CN111093030B (zh) 一种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277072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amera of the display device
US20130335323A1 (en) Cursor control device and system
CN101017408A (zh) 基于空间位置测量的指点方法和系统
WO2021218111A1 (zh) 确定搜索字符的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