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09B1 - 개선된 헤드 미러 - Google Patents

개선된 헤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09B1
KR101227909B1 KR1020110067064A KR20110067064A KR101227909B1 KR 101227909 B1 KR101227909 B1 KR 101227909B1 KR 1020110067064 A KR1020110067064 A KR 1020110067064A KR 20110067064 A KR20110067064 A KR 20110067064A KR 101227909 B1 KR101227909 B1 KR 10122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ead
reflector
pair
concav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83A (ko
Inventor
양희찬
Original Assignee
양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찬 filed Critical 양희찬
Priority to KR102011006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9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4Mirror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헤드 미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미러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 상기 오목거울부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 및 상기 오목거울부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반사경; 및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코걸이 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헤드 미러{Improved Head Mirror}
본 발명은 개선된 헤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반사경과 결합되는 헤드 밴드 대신 진료자의 귀에 착탈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재 또는 안경을 사용하여 진료자가 착용이 편리하고 양호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종래 헤드 밴드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진료자가 느끼는 두통, 땀과 그로 인한 악취, 머릿결의 헝클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는 개선된 헤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반사경의 관찰 구멍 대신 진료자가 양쪽 눈을 동일한 시야 및 동일한 시력으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한 쌍의 관찰용 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환자의 환부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자가 진찰 시 눈의 피로감 또는 불편함이 상당히 완화되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빠른 노안의 진행이 크게 늦춰져 눈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환부 상태를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찰 및 처치할 수 있는 개선된 헤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이비인후과, 외과 등에서는 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정확히 확인 및 진찰하기 위해 헤드 미러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는 통상적으로 헤드 반사경과 이러한 헤드 반사경을 고정하기 위한 헤드 밴드가 사용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는 헤드 밴드(1); 관찰 구멍(4a)을 구비한 반사경(4); 상기 헤드 밴드(1)에 상기 반사경(4)을 절첩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2); 및 상기 힌지부재(2)의 풀림 및 조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3)로 구성된다.
상술한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에서는, 반사경(4)이 오목거울 형상을 구비하여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킨다. 그에 따라, 진료자(사용자)는 반사경(4)에 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조사되는 환부를 관찰 구멍(4a)을 통해 직접 관찰 및 확인하여 환부의 상태나 위치 등을 직접 관찰 및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는 헤드 밴드(1)가 고정된 사이즈를 가져 상이한 머리 사이즈를 갖는 진료자가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헤드 밴드(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이 1994년 10월 21일자에 박자룡에 의해 “의료용 헤드 미러”라는 고안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94-27571호로 출원되어 1996년 5월 17일자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96-13366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헤드 미러를 개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반사경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 밴드(10); 및 상기 헤드 밴드(10)에 고정 결합된 반사경(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반사경(20)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22), 상기 오목거울부(22)에서 반사된 빛이 조사된 환부의 화상이 나타나는 평면거울부(24), 및 상기 오목거울부(22)의 둘레 부근에 제공되는 관찰 구멍(22a)을 포함한다. 평면거울부(24)의 테두리는 고정 프레임(26)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에서, 진료자(사용자)는 오목거울부(22)에 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조사되는 환부를 관찰 구멍(22a)을 통해 직접 관찰 및 확인하며, 환자 또는 보호자 등도 평면거울부(24)에 나타나는 환부의 화상을 통해 환부의 진행 상태나 위치 등을 직접 관찰 및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에서, 반사경(20)은 연결부재(20a)에 의해 헤드 밴드(1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12) 상에 제공되는 체결부(18), 및 상기 체결부(18)와 상하 이동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16)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12)의 일단부에는 돌출부재(12a)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재(12a)는 길이 조절부재(14)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14a)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함으로써 헤드 밴드(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에서는, 고정부재(12)의 돌출부재(12a)와 길이 조절부재(14)의 복수의 결합공(14a)을 사용하여 헤드 밴드(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진료자의 상이한 머리 사이즈에 대응하는 것이 하여 상술한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100)에서는, 반사경(20)을 구성하는 평면거울부(24)을 사용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 등도 환부의 진행 상태나 위치 등을 직접 관찰 및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1. 헤드 밴드(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진료자는 자신의 머리 사이즈에 맞는 헤드 밴드(10)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헤드 밴드(10)는 진료자의 머리 둘레 전체를 감싸게 되어 착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쾌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2. 진료자가 헤드 밴드(10)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두통, 땀과 그로 인한 악취, 머릿결의 헝클어짐 등이 발생하며,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3. 진료자는 한쪽 눈으로는 오목거울부(22)에 형성된 관찰 구멍(22a)을 통해 그리고 다른 쪽 눈으로는 직접 환부를 관찰 및 확인하므로, 진료자의 눈은 상당한 피로감 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진료자의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다. 특히, 진료자가 고령인 경우일수록 이러한 눈 건강의 문제가 더욱 더 심각해진다.
4. 환자의 환부는 관찰 구멍(22a) 또는 평면거울부(24)만을 통해서만 관찰되므로 환부를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96-133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반사경과 결합되는 헤드 밴드 대신 진료자의 귀에 착탈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재 또는 안경을 사용하여 진료자가 착용이 편리하고 양호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종래 헤드 밴드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진료자가 느끼는 두통, 땀과 그로 인한 악취, 머릿결의 헝클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는 개선된 헤드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반사경의 관찰 구멍 대신 진료자가 양쪽 눈을 동일한 시야 및 동일한 시력으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한 쌍의 관찰용 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환자의 환부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자가 진찰 시 눈의 피로감 또는 불편함이 상당히 완화되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빠른 노안의 진행이 크게 늦춰져 눈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환부 상태를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찰 및 처치할 수 있는 개선된 헤드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헤드 미러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 상기 오목거울부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 및 상기 오목거울부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반사경; 및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코걸이 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헤드 미러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 상기 오목거울부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 및 상기 오목거울부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반사경; 및 안경부재, 상기 안경부재의 상부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 및 상기 안경부재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안경부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헤드 미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헤드 미러가 진찰자의 코를 이용하여 진료자의 귀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진료자의 머리 사이즈와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헤드 미러가 진찰자의 머리 둘레에 전혀 접촉하지 않으므로 머릿결의 헝클어짐을 피할 수 있으며,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2. 진료자가 헤드 미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두통 발생이 억제되거나 최소화된다. 특히, 진료자가 여름철에 헤드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 땀 발생 및 그에 따른 악취 등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3. 진료자는 한 쌍의 관찰 창을 통해 환부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진료자가 진찰시 눈의 피로감 또는 불편함이 상당히 완화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빠른 노안의 진행을 크게 늦춰져 눈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진료자가 고령인 경우일수록 눈의 건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4. 진료자는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한 쌍의 관찰 창 또는 한 쌍의 관찰 창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 가능한 볼록렌즈를 통해 환자의 환부 상태를 확대 관찰해 더욱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찰 및 확인할 수 있다.
5. 진찰자가 근시 또는 원시인 경우 진찰자의 눈 상태에 맞는 오목 렌즈 또는 볼록 렌즈를 안경부재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정상 시력으로 환부 진찰 및 처치가 가능하다. 또한, 진찰자가 정상 시력인 경우, 안경부재에 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의 헤드 미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진찰자의 진찰 또는 처지 시에 헤드 미러에 사용되는 환부에서 반사되는 헤드 램프의 지나치게 밝은 빛 또는 강한 빛을 상당히 차단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노안 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헤드 미러를 개선한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반사경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 중 반사경에 제공되는 한 쌍의 관찰 창이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 중 반사경에 제공되는 한 쌍의 관찰 창이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222), 상기 오목거울부(222)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229), 및 상기 오목거울부(222)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226)으로 구성되는 반사경(220); 및 고정부재(212), 상기 고정부재(212)의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218), 상기 고정부재(212)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코걸이 부재(215), 및 상기 고정부재(212)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214)로 구성되는 장착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220)은 상기 반사경(220)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220a)가 힌지부재(202)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12)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광원(미도시)은 헤드 미러(200)와 별개로 제공되는 램프로 구현되거나 또는 헤드 미러(200)와 일체로 장착되는 헤드 램프(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는 반사경(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사경(220)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222)를 구비한다. 오목거울부(222)의 양측 하부에는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229)이 제공된다. 또한, 오목거울부(222)의 상부 테두리는 고정 프레임(226)에 장착된다. 이러한 오목거울부(222)는 그 전체가 불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1 오목 거울부(222a)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목거울부(222)는 불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1 오목 거울부(222a), 및 상기 한 쌍의 관찰 창(229) 둘레에 제공되며, 반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2 오목 거울부(222b)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오목 거울부(222a)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강하게 반사시키고, 제 2 오목 거울부(222b)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매우 약하게 반사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관찰 창(229) 및 제 2 오목 거울부(222b)를 사용하면 진찰자가 환부를 관찰할 때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진찰 중 진료실 동정이나 또는 환자의 다른 움직임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상술한 고정 프레임(226)은 일측 단부에 반사경(220)을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228)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프레임(226)이 하나의 손잡이부재(228)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고정 프레임(226)이 양측 단부에 반사경(220)을 회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부재(228)의 사용은 선택사양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인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에서, 오목거울부(222)의 양측 하부에는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229)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관찰 창(229)은 진찰자가 종래 기술의 관찰 구멍(22a) 대신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관찰 창(229)을 사용하는 경우, 진찰자는 양쪽 눈을 모두 같은 시야 및 같은 시력으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관찰 창(229)은 종래 기술의 관찰 구멍(22a)에 비해 관찰 면적이 상대적으로 훨씬 더 넓기 때문에 장시간 환부를 관찰하더라도 눈에 피로감을 훨씬 덜 느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에서, 반사경(220)에 사용되는 한 쌍의 관찰 창(229)은 그 자체가 볼록렌즈(23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b 참조). 볼록렌즈(230)로 구현되는 한 쌍의 관찰 창(229)을 사용하면, 환부의 화상(이미지)의 확대가 가능하므로 진찰자는 환자의 환부 상태를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진찰 및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렌즈(230)의 배율은 대략 1.5 내지 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는 장착부재(21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210)는 고정부재(212)를 구비한다. 고정부재(212)의 전방면에는 체결부(218)가 제공되고, 하부면에는 코걸이 부재(215)가 제공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1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재(210)는 고정부재(212)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쌍의 레그부재(21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레그부재(214)는 진찰자의 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코걸이 부재(215) 및 레그부재(214)의 사용은 진찰자가 헤드 미러(200)를 사용할 때 고정부재(212)가 진찰자의 이마 또는 머리 둘레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진찰자가 장시간 헤드 미러(200)를 착용하더라도 두통 발생이 억제되거나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특히 진료자가 여름철에 헤드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 땀 발생 및 그에 따른 악취 등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반사경(220)과 고정부재(212)는 반사경(220)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220a)와 힌지부재(20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진찰자가 진료시에는 반사경(220)을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진료가 끝나거나 환자와의 대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사경(220)을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환자의 얼굴을 직접 대면한 상태로 대화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는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222), 상기 오목거울부(222)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229), 및 상기 오목거울부(222)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226)으로 구성되는 반사경(220); 및 안경부재(213), 상기 안경부재(213)의 상부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218), 및 상기 안경부재(213)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214)로 구성되는 장착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220)은 상기 반사경(220)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220a)가 힌지부재(202)에 의해 상기 안경부재(213)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광원(미도시)은 헤드 미러(200)와 별개로 제공되는 램프로 구현되거나 또는 헤드 미러(200)와 일체로 장착되는 헤드 램프(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의 반사경(22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의 반사경(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의 장착부재(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미러(200)는 장착부재(21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210)는 안경부재(213)를 구비한다. 안경부재(213)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경부재(213)는 진찰자의 시력이 원시 또는 근시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안경알(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을 구비하거나 또는 진찰자의 시력이 정상인 경우 안경알을 구비하지 않은 소위 무테 안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안경부재(213)의 상부 전방면에는 체결부(218)가 제공된다. 또한, 장착부재(210)는 안경부재(213)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214)를 구비한다. 이러한 안경부재(213)는 코걸이 부재(미도시) 및 한 쌍의 레그부재(214)에 의해 진찰자의 코에 걸쳐친 상태로 진찰자의 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진찰자가 헤드 미러(200)를 사용할 때 안경부재(213)는 진찰자의 이마 또는 머리 둘레에 직접 접촉하는 대신 코와 귀에 걸쳐진 상태로 사용되므로 진찰자가 장시간 헤드 미러(200)를 착용하더라도 두통 발생이 억제되거나 최소화되며, 특히 진료자가 여름철에 헤드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 땀 발생 및 그에 따른 악취 등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반사경(220)과 안경부재(213)는 반사경(220)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220a)와 힌지부재(20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진찰자가 진료시에는 반사경(220)을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진료가 끝나거나 환자와의 대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사경(220)을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환자의 얼굴을 직접 대면한 상태로 대화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미러(200)를 사용하면, 진료자가 착용이 편리하고 양호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두통 발생이 억제 또는 최소화되고, 땀 발생 및 그에 따른 악취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진료자가 진찰시 눈의 피로감 또는 불편함이 상당히 완화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빠른 노안의 진행이 크게 늦춰져 눈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환부 상태를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진찰 및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 헤드 밴드 2,202: 힌지부재 3,14: 조절부재 4: 반사경
4a,22a: 관찰 구멍 10: 헤드 밴드 12,212: 고정부재
12a: 돌출부재 14a: 결합공 16: 체결부재 18,218: 체결부
20,220: 반사경 20a,220a: 연결부재 22,222: 오목거울부
24: 평면거울부 26,226: 고정 프레임 100,200: 헤드 미러
210: 장착부재 213: 안경부재 214: 레그부재 214a: 단차부
215: 쿠션부재 228: 손잡이부재 229: 관찰 창 230: 볼록렌즈
240: 포켓부재

Claims (10)

  1. 헤드 미러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 상기 오목거울부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 및 상기 오목거울부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반사경; 및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면에 제공되는 코걸이 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찰 창은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헤드 미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그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 각각에 상기 반사경을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헤드 미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거울부는 불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1 오목 거울부, 및 상기 한 쌍의 관찰 창 둘레에 제공되며, 반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2 오목 거울부로 구성되는 헤드 미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의 배율은 1.5 내지 3배인 헤드 미러.
  6. 헤드 미러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환부로 반사시키는 오목거울부, 상기 오목거울부의 양측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환부를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창, 및 상기 오목거울부의 상부 테두리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반사경; 및
    안경부재, 상기 안경부재의 상부 전방면에 제공되는 체결부, 및 상기 안경부재의 양쪽 측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레그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후면에 제공되는 연결부재가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안경부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미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찰 창은 볼록렌즈로 구현되는 헤드 미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그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 각각에 상기 반사경을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헤드 미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거울부는 불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1 오목 거울부, 및 상기 한 쌍의 관찰 창 둘레에 제공되며, 반투명 은색 반사막으로 구현되는 제 2 오목 거울부로 구성되는 헤드 미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의 배율은 1.5 내지 3배인 헤드 미러.
KR1020110067064A 2011-07-06 2011-07-06 개선된 헤드 미러 KR10122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64A KR101227909B1 (ko) 2011-07-06 2011-07-06 개선된 헤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64A KR101227909B1 (ko) 2011-07-06 2011-07-06 개선된 헤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3A KR20130005583A (ko) 2013-01-16
KR101227909B1 true KR101227909B1 (ko) 2013-01-30

Family

ID=478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64A KR101227909B1 (ko) 2011-07-06 2011-07-06 개선된 헤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9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523A (ja) * 2006-03-07 2007-09-20 Micronics Kk 電子額帯装置
JP4587244B2 (ja) * 2000-12-21 2010-11-24 郁生 長山 額帯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7244B2 (ja) * 2000-12-21 2010-11-24 郁生 長山 額帯鏡
JP2007236523A (ja) * 2006-03-07 2007-09-20 Micronics Kk 電子額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3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8664B (en) Eyewear for relief of computer vision syndrome
KR102335562B1 (ko) 건강 질환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83496B1 (ko) 소프트 콘택트 렌즈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US20050039240A1 (en) Multi-usage eyewear supportable on a cap
KR101227909B1 (ko) 개선된 헤드 미러
KR101010756B1 (ko) 다리 없는 안경
KR20190014737A (ko)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US20070035694A1 (en) Light filtering nonprescription temporary reading glasses
CN207427401U (zh) 一种辅助睡眠的vr眼镜
KR101972667B1 (ko) 피부 절개술을 진행한 환자용 머리 고정형 안경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US6582073B1 (en) Visual field occluder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eyeglasses
JP3149021U (ja) テレビやパソコン等を見るとき目が疲れにくい円筒形状の筒2連フレーム。
CN110101504A (zh) 适用于高度近视白内障术后屈光度可调整防护眼罩
KR20010109902A (ko) 시력 교정용 마스크를 겸하는 수면 안대
CN218547157U (zh) 防起雾眼镜架
KR102545796B1 (ko) 다기능 조리개 핀홀안경조립체
CN214434774U (zh) 一种具有良好舒适性的强脉冲光治疗用眼罩
KR200290663Y1 (ko) 착용이 편안한 외다리 안경테
JP3318183B2 (ja) 使い勝手のよい多機能眼鏡
CN220237159U (zh) 一种角膜遮蔽镜
KR20190011986A (ko) 이중으로 빛을 차단시키는 안대
KR200208581Y1 (ko) 시력 교정용 마스크를 겸하는 수면 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