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881B1 -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881B1
KR101227881B1 KR1020110080490A KR20110080490A KR101227881B1 KR 101227881 B1 KR101227881 B1 KR 101227881B1 KR 1020110080490 A KR1020110080490 A KR 1020110080490A KR 20110080490 A KR20110080490 A KR 20110080490A KR 101227881 B1 KR101227881 B1 KR 10122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diagnostic
diagnosis
group
strate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주
조현제
최석우
이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의 제조 공정 진단과 평가를 지원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은 제조 전략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조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IT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및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입력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진단 입력자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상기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의 진단 입력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입수 받은 진단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 입력 정보를 기 설정된 제조 공정 수준 모형에 입력하여, 상기 제조 전략, 상기 제조 조직, 상기 제조 IT, 상기 제조 프로세스, 상기 제조 퍼포먼스의 5가지 관점으로 상기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의 제조 공정의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보 처리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인 기업의 진단 및 평가를 위한 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진단 및 평가를 위한 컨설팅 비용이 감소하게 되며, 온라인을 통해 진단 및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오프라인으로 직접 인원이 투입되어 진단과 평가를 하던 방식에 비하여 컨설팅 비용이 감소하게 되며, 온라인을 통해 기업의 진단 및 평가 자료를 토대로 c-MES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Description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Method and System on Making c-MES Module Ma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any}
본 발명은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의 제조 공정 진단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맞춤형 c-MES 모듈에 대한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공정 성숙모형이란 원재료가 가치가 부여된 완제품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체 가치 사슬이 이상적으로 발전하여 가는 과정을 단계화 한 것으로 이는 제조공정 진단/평가 결과의 분석과 해석의 기준이 된다.
제조기업의 공정 수준 진단 모델의 목적은 중소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자사의 제조공정 수준을 진단/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제조 기업에게는 자사의 제조공정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여 향후 제조 성과 및 제조 경쟁력 향상의 관리 체계로 활용할 수 있는 진단 및 평가 Tool을 제공하고, 정부 측면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의 지원 정책 방향 설정에 앞서, 실제 중소 제조 기업들의 제조공정 수준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사체계를 제공하여 공급자 입장이 아닌 수요자 입장에서 현실적인 c-MES(manufacturing executionsystem) 도입 방법을 찾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기업에게 일방적으로 MES 토털 패키지를 제공하는 경우, 1) 과도한 도입 비용이 생기는 문제, 2) 기업의 시스템 도입 및 활용 역량이 부족하여 현실적인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기업의 제공 공정을 다면적 관점에서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제조 공정 수준별로 그 제조 공정 수준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최적화된 MES 모듈 집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최적화된 MES 모듈 집합이 구성되어야만, 기업 입장에서는 도입 비용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수준에 맞은 MES 시스템이 구성되어, 현실적인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의 제조 공정을 다면적 과점에서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그 공정 수준별로 그 제조 공정 수준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최적화된 MES 모듈 집합의 생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도출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번째 과제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번째 과제는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의 제조 공정 진단과 평가를 지원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이 제조 전략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조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IT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및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대상자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입력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진단 입력자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진단 입력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입수 받은 진단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 입력 정보에 대하여, 상기 진단군, 상기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진단군, 상기 하위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지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 전략, 상기 제조 조직, 상기 제조 IT, 상기 제조 프로세스, 상기 제조 퍼포먼스의 5가지 관점으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제조 공정의 성숙 수준에 대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MES 모듈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생성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MES 모듈 연계 정보는 상기 하위 진단군 단위에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ES 모듈 연계 정보는 상기 하위 진단군별로 사전에 대응되어 있는 하위 진단군별 활동 영역별 MES 기능을 매개로 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ES 기능은 상기 하위 진단군별로 상기 활동 영역별로 제조 공정 수준별로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일 경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별 진단 입력 정보 처리값에 대응되어 적어도 2 이상이 레벨로 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일 경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별 진단 입력 정보 처리값에 대응되어 적어도 2 이상이 레벨로 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가 전략적으로 융합되어 제조 성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조 전략의 수립 및 추진, 제조 전략 성과의 체계적 관리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전략 수립, 제조 전략 추진, 제조 전략 성과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의 주체인 제조 조직에 대해 조직 구조 및 문화, 제조인력들의 마인드와 역량관리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구조와 문화, 제조 인력 마인드, 제조 인력 지식과 스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을 지원하는 IT 인프라 및 어플리케이션 등 IT 기술 자체의 수준과 IT조직의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IT 역량, 제조 IT 인프라, 제조 IT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자원과 제조 IT자원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제조 프로세스 자체의 개선 및 혁신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생산 계획, 자재 조달, 생산 공정, 설비 운영, 재고 관리, 품질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으로 인해 나타나는 최종 제조 프로세스 성과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신뢰성, 반응성, 유연성, 비용 및 자원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있어서, 상기 진단군은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진단군 또는 2 이상의 진단 요소 항목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하위 진단군 또는 상기 진단 요소 항목은 다른 가중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가중치는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에 반영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중치는 AHP 방법을 적용하여 결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인 기업의 진단 평가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조 공정의 성숙도 정도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성숙도가 낮은 제조 공정 요소를 체계적으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제조 공정 성숙 정도를 생성하므로 기존의 오프라인으로 직접 인원이 투입되어 진단과 평가를 하던 방식에 비하여 컨설팅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나아가,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통하여 제조 공정 수준별로 그 제조 공정 수준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최적화된 MES 모듈 집합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 진단군 DB의 일 실시예적 내용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의 일 실시예적 내용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의 일 실시예적 내용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정보 처리 방법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은 제조 진단 시스템,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 MES 모듈 맵핑 엔진, 제조 진단군 DB, 제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활동 영역별 MES 기능 DB,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 및 사용자 관리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제조 진단 시스템은 제조 진단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조 진단 엔진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제조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조 진단군 전송부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진단군에 대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진단 입력 정보를 입수 받는 진단 입력 정보 입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진단 입력 정보를 기 설정된 제조 공정 수준의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 정책 정보로서의 가중치 부여 정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제조 공정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조 공정 수준 평가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은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엔진은 제조 공정에 관련된 진단군, 하위 진단군, 진단 지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가중치 정보 등과 같은 제조 공정 성숙 정책을 입수하는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입수부, 상기 진단 지표 입력값, 하위 진단군별 진단값, 진단군별 진단값 등에 진단 지표별 또는 하위 진단군별 또는 진단군별 가중치 정보를 제조 공정 성숙 정책으로 적용하는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적용부, 상기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적용부가 생성하는 결과에 기 설정된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를 참조하여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MES 모듈 맵핑 엔진은 성기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이 생성하는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입수하는 제조 공정 성숙 수준 입수부와 상기 입수된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와 활동 영역별 MES 기능 DB를 활용하여 제조 공정 성숙 수준별로 MES 모듈에 대한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제조 공정 성숙 수준별 MES 모듈 맵핑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제조 진단군 DB에는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전략 진단군 DB,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조직 진단군 DB,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IT 진단군 DB, 상기 제조 프로세스(process)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프로세스 진단군 DB, 상기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퍼포먼스 진단군 DB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제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에는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성숙 수준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전략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성숙 수준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조직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성숙 수준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IT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상기 제조 프로세스(process) 구성 요소에 대한 성숙 수준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프로세스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상기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구성 요소에 대한 성숙 수준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조 퍼포먼스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에서 예시되듯이 상기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에는 제조 전략 관점의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전략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 제조 조직 관점의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직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 제조 IT 관점의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IT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 제조 프로세스 관점의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프로세스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 및 제조 퍼포먼스 관점의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퍼포먼스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는 사용자별 진단 입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별 진단 입력 정보 DB와 사용자별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상기 공정 성숙 평가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조 진단을 위한 제조 진단군부터 설명한다.
표 1 내지 표 10은 하위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예시적인 것이다. 각 표에는 진단 지표, 진단 지표의 식별자, 점수 및 유형(선택형, 복수 응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단 입력자는 표 1과 같은 하위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해 점수를 선택하고, 점수의 선택이 끝난 하위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상기 진단 입력 정보 입수부를 통해 입수된다.
제조전략 수립 -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 수준 -진단 지표-A1 점수 선택형
(1) 제조전략이 없음 0
(2) 부정기적으로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음 2
(3) 정기적(1~2년)으로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나 명시화되어 있지 않음 4
(4) 명시화된 정기적(1~2년)인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음 7
(5) (4) + 전략의 범위가 기업외 파트너까지 포함하고 있음 10
제조전략 수립 -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전사적 경영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 -진단 지표-A2-(1) 점수 선택형
(1) 연계 안됨 0
(2) 대체로 낮음 2
(3) 보통 4
(4) 대체로 높음 7
(5) 매우 높음 10
제조전략 수립 -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공급망 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 -진단 지표-A2-(2) 점수 선택형
(1) 연계 안됨 0
(2) 대체로 낮음 2
(3) 보통 4
(4) 대체로 높음 7
(5) 매우 높음 10
제조전략 수립 -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고객관리 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진단 지표-A2-(3) 점수 선택형
(1) 연계 안됨 0
(2) 대체로 낮음 2
(3) 보통 4
(4) 대체로 높음 7
(5) 매우 높음 10
제조전략 수립 -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제조전략과 정보화 전략과의 연계-진단 지표-A2-(4) 점수 선택형
(1) 연계 안됨 0
(2) 대체로 낮음 2
(3) 보통 4
(4) 대체로 높음 7
(5) 매우 높음 10
제조전략 수립 - 부문별 세부 전략 수립 수준 - 진단 지표-A3 점수 선택형
(1) 전사적 제조전략 및 부문별 세부전략이 없음 0
(2) 부문별로 제조전략은 존재하나 상호간에 연계되어 있지 않음 2
(3) 전사적 제조전략이 부문별 조정 없이 수립되어서 부문별 세부 전략으로 구체화되지 못함 4
(4) 전사적 제조전략이 부문별 조정을 통해 수립되고 있음 7
(5) 전사적 제조전략이 부문별 조정을 통해 수립되었고, 부문별 세부전략으로 구체화되어 있음 10
제조전략 수립 - 제조전략 수립 프로세스의 체계화 수준-진단 지표-A4 점수 복수 응답
(1) 장기적(2~3년) 전략을 마련 2
(2) 제조전략 수립 과정에서 경쟁업체의 데이터를 활용 2
(3) 제조전략 수립 과정에서 체계적 위험분석(재무적, 기술적, 사회적, 시장 위험 요소)을 실시 2
(4) 장단기 제조전략 수립에 공정 및 기술의 능력과 한계를 고려 2
(5) 제조전략 수립 과정에서 검토를 위한 피드백 과정을 수행 2
(6) 제조전략 수립에 신기술을 포함한 장래의 경쟁환경과 역량을 고려 2
(7) 제조전략 수립과정에서 예산에 대해 고려 2
* 선택할 때마다 2점씩 추가, 10점이 넘으면 10점으로 처리함
제조전략 추진 -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도출 수준 -진단 지표-A5 점수 선택형
(1) 네 10
(2) 아니오 0
제조전략 추진-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및 평가 수준-진단 지표-A6 점수 선택형
(1) 실행과제를 도출하지 않음
(2) 실행과제를 도출하나 우선순위를 선정 및 평가하지 않음 4
(3) 실행과제를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선정 및 평가함 6
(4) 실행과제를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예산, 일정계획 및 추진체계를 수립함 8
(5) (4) + 부문별로 체계적으로 실행과제들이 수행중임 10
제조전략 추진 -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수행 수준-진단 지표-A7 점수 선택형
(1) 계획 대비 30% 미만 0
(2) 계획 대비 30% 이상 2
(3) 계획 대비 50% 이상 4
(4) 계획 대비 70% 이상 7
(5) 계획 대비 90% 이상 10
제조전략 성과관리 - 제조전략 성과평가 체계 수립 및 실행 수준-진단 지표-A8 점수 선택형
(1) 현재 없으며, 앞으로도 예정 없음 0
(2) 현재 없으나 구축할 예정임 4
(3) 현재 구축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흡 7
(4) 현재 구축되어 있고 체계적으로 실행 중 10
제조전략 성과관리 - 제조전략 달성을 위한 목표 설정 수준-진단 지표-A9 점수 선택형
(1) 목표를 설정하지 않음 0
(2) 전사단위만 관리 2
(3) 본부 혹은 공장단위 4
(4) 부서 단위 6
(5) 팀 단위 8
(6) 팀 하위 단위(파트별, 인력별 등) 10
제조전략 성과관리 - 제조전략 성과측정지표 정의 및 성과관리 수준-진단 지표-A10 점수 선택형
(1) 성과지표가 정의되어 있지 않음 0
(2) 성과지표들은 정의되어 있으나 이를 통해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음 2
(3) 성과지표들은 정의되어 있으며 부서단위로 개별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음 4
(4) 제조부문 전사적으로 성과지표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제조부문 전사단위에서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음 7
(5) 제조부문 전사단위 뿐만 아니라 핵심 파트너들의 성과지표까지 정의하여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음 10
제조전략 성과관리 - 제조전략 성과평가 결과 모니터링 수준-진단 지표-A11 점수 선택형
(1) 공식적인 검토작업은 없음 0
(2) 문제발생 시에만 일부 검토 및 원인분석 작업이 존재함 4
(3) 공식적으로 검토 및 원인분석 작업을 수행하지만 정기적이지 않음 7
(4) 일반화되어 정기적으로 평가와 검토 및 원인분석이 이루어짐 10
제조전략 성과관리 - 제조전략 성과평가 Feedback 수준-진단 지표-A12 점수 선택형
(1) 평가 결과에 대한 개선작업이 전혀 없음 0
(2) 개선작업은 최소화함 4
(3) 개선작업이 이루어지나 비정기적으로 가끔 발생함 7
(4) 일반화되어 지속적인 개선작업이 이루어짐 10
상기 표 1 내지 표 15은 제조 전략에 대한 진단군의 예시가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에 대한 진단군도 이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단군을 구성하는 하위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을 구성하는 진단 요소 항목은 서로 동일한 가중치를 가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각 하위 진단군 또는 진단 요소 항목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전문가 집합에 대한 AHP 설문 조사로 설문에 기초하여 각 항목별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이 일 실시예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기는 제조 공정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를 구성하는 제조 전략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제조 조직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제조 IT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제조 프로세스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 제조 퍼포먼스 수준 평가 가중치 부여 정책 DB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입수부는 상기 가중치 정보를 제조 공정 성숙 정책으로 입수한다.
하기 표 16부터 표 18은 제조 전략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하위 진단군에 대한 AHP 설문 조사 결과를 처리한 가중치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가중치도 이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조전략 수립 진단 요소 항목 가중치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 수준 0.2087
제조 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전사적 경영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 0.1670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공급망 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 0.1452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고객관리 전략과 제조전략과의 연계 0.1470
제조전략과 타 전략과의 연계 수준 - 제조전략과 정보화 전략과의 연계 0.1452
부문별 세부 전략 수립 수준 0.0835
제조전략 수립 프로세스의 체계화 수 0.1035
제조전략 추진 진단 요소 항목 가중치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도출 수준 0.2778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 실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및 평가 수준 0.3333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수행 수준 0.3889
제조 전략 성과관리 진단 요소 항목 가중치
제조전략 성과평가 체계 수립 및 실행수준 0.2426
제조전략 달성을 위한 목표 설정 수준 0.1507
제조전략 성과측정지표 정의 및 성과관리 수준 0.1820
제조전략 성과평가 결과 모니터링 수준 0.1820
재조전략 성과평가 Feedback 수준 0.2426
하기 표 19 상기 제조 전략 진단군을 구성하는 직하위 하위 에 대한 AHP 설문 조사 결과를 처리한 가중치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에 대한 진단군도 이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영역 하위 진단군 가중치
제조전략 제조전략 수립 0.2526
제조전략 추진 0.4819
제조전략 성과관리 0.2655
이와 같은 형태로 하기 표 20 내지 표 23에서는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하위 진단군별 가중치가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영역 하위 진단군 가중치
제조조직 제조조직 구조 및 문화 0.3304
제조인력 마인드 0.4018
영역 하위 진단군 가중치
제조 IT 제조 IT 조직 및 역량 0.3023
제조 IT Infra 0.2534
제조 IT Application 0.4443
영역 하위 진단군 가중치
제조프로세스 생산계획 프로세스 0.2275
자재조달 프로세스 0.1082
생산공정 프로세스 0.2573
설비운영 프로세스 0.1443
영역 하위 진단군 가중치
제조성과 신뢰성 0.23766836
반응성 0.292273793
유연성 0.109046548
비용 0.222944006
자원활용 0.138067293
하기 표 24는 상기 진단군을 구성하는 제조 공정 5대 진단군에 대한 AHP 설문 조사 결과를 처리한 가중치이다.
제조공정 5대 수준영역 전략 0.1839
조직 0.1199
IT 0.2486
Process 0.2779
성과 0.1697
상기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가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의 진단 지표에 대한 진단 지표 입력값을 입력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적용부는 상기 진단 지표 입력값에 진단 지표별 또는 하위 진단군별 또는 진단군별 가중치 정보를 제조 공정 성숙 정책으로 적용하여 하기 표 25 내지 표 27과 같은 가중치를 적용한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하기 표 25 내지 표 27은 이러한 진단 지표 입력값과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정보의 예를 제조 전략을 구성하는 제조 전략 수립, 제조 전략 추진, 제조 전략 성과 관리라는 하위 진단군 각각에 대하여 보여 주고 있다.
진단지표 ID A01 a021 a022 a023 a024 a03 a04 제조전략 수립(가중치 적용)
진단 지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수준 전사적 경영전략과의 연계 공급망 전략과의 연계 고객관리 전략과의 연계 정보화 전략과의 연계 세부전략 수립수준 제조전략 수립 프로세스의 체계화 수준
1 7 7 7 7 7 10 10 75.6087
2 7 10 10 10 10 4 10 88.7304
3 7 4 4 7 0 7 8 51.5043
4 7 4 7 7 2 7 8 58.7652
5 7 4 4 4 4 10 4 51.2696
6 4 7 7 0 0 10 8 46.8261
7 7 4 4 7 4 2 10 55.2087
8 2 2 2 7 7 4 4 38.3478
9 7 4 4 4 4 10 8 55.4087
10 2 4 7 4 4 7 8 46.8261
진단지표 ID a05 a06 a07 제조전략 추진(가중치 적용)
진단 지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실행과제 도출 수준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 실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및 평가 수준 제조전략에 대한 세부 실행과제 수준
1 0 8 7 53.8889
2 0 8 10 65.5556
3 0 6 2 27.7778
4 0 4 7 40.5556
5 0 8 10 65.5556
6 0 8 7 53.8889
7 10 4 4 56.6667
8 0 8 7 53.8889
9 0 10 2 41.1111
10 10 8 10 93.3333
진단지표 ID a08 a09 a10 a11 a12 제조전략 성과관리(가중치 적용)
진단 지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
제조전략 성과평가 체계수립 및 실행 수준 제조전략 달성을 위한 목표설정 수준 제조전략 성과측정지표 정의 및 성과관리 수준 제조전략 성과평가 결과 모니터링 수준 제조전략 성과평가 피드백 수준
1 7 8 4 7 7 53.9890
2 10 6 10 10 10 89.3770
3 7 6 4 4 10 59.1055
4 7 2 4 10 10 68.9532
5 10 6 7 10 10 87.2142
6 7 4 0 0 10 48.6676
7 4 4 4 4 7 47.1841
8 7 6 4 7 7 62.8901
9 7 6 2 4 10 61.0702
10 7 0 0 4 7 41.2500
7 2 7 10 7 64.9081
하기 표 28은 제조 전략에 대한 평가 정보를 보여 준다.
진단군 대상자 ID 제조전략
(가중치 적용)
1 59.4024
2 77.7339
3 42.0882
4 52.6944
5 67.6962
6 50.7186
7 53.7810
8 52.3524
9 50.0215
10 67.7580
61.8436
이어, 제조 공정 성숙 모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표 29는 제조 공정 성숙 모형의 일례이다.
1단계 poor(초보적단계) 원시적인 제조공정 수준으로, 전체 공정이 경험과 감각에 의해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초보적 단계
2단계 Basic(기반화단계) 제조공정 개선 필요성을 인지하고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
3단계 Effective(효율화 단계) 제조공장이 전체적으로 안정화 되어 있고 조직적인 공정개선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단계
4단계 Best Practice(최적화 단계) 제조공정이 낭비없이 최적화되어 있고 기업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 파트너까지 통합적으로 최적화된 단계
5단계 Emerging(선도화 단계) 제조경쟁력이 기업의 최고 경쟁우위가 되고 있으며 끊임없는 최첨단 제조공정 혁신으로 동종 업계를 선도하는 단계
하기 표 30은 1단계 Poor (초보적 단계)의 평가 영역별 성숙 수준은 원시적인 제조공정 수준으로, 전체 공정이 경험과 감각에 의해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초보적 단계로 평가영역별로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준을 갖는다.
평가 영역 성숙 수준
제조 전략
(Manufacturing Strategy)
제조전략이 존재하지 않음
제조 조직
(Manufacturing Organization)
경영자부터 구성원까지 제조개선 및 혁신 마인드 미흡
제조조직에 대한 관리 체계 및 역량 강화 노력이 미흡
제조 IT
(Manufacturing IT)
개인의 업무 전산화가 이루어진 수준(개인정보화 단계)
제조 프로세스
(Manufacturing
Process)
생산계획 생산계획이 없거나 비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에서 생산계획 수립
자재조달 자재조달 방침이 없음
생산공정과 연계 부족
생산공정 공장 내, 공정간 개선 노력은 실시하지 않음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미 수립되어 있거나 거의 활용되지 않음
설비운영 생산에만 급급하고 설비의 예방보전에 대한 인식 부족
재고관리 명문화된 재고정책이 존재하지 않음
재고의 입출고 과정을 관리하지 않음
품질관리 품질문제가 중요하나 QM에 대한 의지와 지식이 부족
제조 성과
(Manufacturing Performance)
제조성과가 전혀 관리되지 않음
하기 표 31은 2단계 Basic(기반화 단계)의 평가 영역별 성숙 수준에 대한 것으로 제조공정 개선 필요성을 인지하고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평가 영역 성숙 수준
제조 전략
(Manufacturing Strategy)
전사차원이 아닌 부문별로 제조 전략이 존재
제조 조직
(Manufacturing Organization)
제조 개선 및 혁신을 위한 경영자의 의지가 있으나 구체적 목표 제시 미흡
제조 조직 R&R이 수립 중
임의적인 제조인력 육성 활동을 수행
제조 IT
(Manufacturing IT)
재고, 생산 등 부문별 제조 업무에 정보시스템 활용(단위업무 정보화 단계)
제조 프로세스
(Manufacturing
Process)
생산계획 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의 생산계획 수립
평준화 생산이나 부하조정은 되지 않음
자재조달 자재조달의 기초를 구축하는 단계
자재조달이 생산계획에 연동하여 계획화
생산공정 공정 간 낭비요소를 인식하고 라인화 전제조건을 구축 중
월단위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수립되어있으나 임의적인 운영이 존재
설비운영 설비보전에 대한 효율 의식이 태동
중요설비에 대한 점검체계가 갖추어짐
재고관리 재고관리 표준 지침이 존재하나 정기/부정기적인 실사는 이루어지지 않음
재고관리 담당자의 수기로 관리
품질관리 품질향상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의 중요성이 인식
품질 검사의 자동화와 가시화가 이루어지기 시작
제조 성과
(Manufacturing Performance)
제조성과를 수작업을 통해 관리됨
하기 표 32는 2단계 Basic(기반화 단계)의 평가 영역별 성숙 수준에 대한 것으로 제조공정이 전체적으로 안정화되어 있고 조직적인 공정개선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단계이다.
평가 영역 성숙 수준
제조 전략
(Manufacturing Strategy)
전사차원의 명문화된 제조전략이 존재
제조전략에 따른 실행과제가 구체화되어 실행
제조 조직
(Manufacturing Organization)
경영자의 제조 개선 및 혁신에 대한 구체적 목표 제시
제조 조직체계가 정착
제조인력에 대한 육성체계가 수립되어 수행 중
제조 IT
(Manufacturing IT)
단위업무 시스템들이 조직간 연계되고 ERP 등을 통해 조직 업무 전반에 통합되어 활용되는 단계(조직업무 통합 단계)
제조 프로세스
(Manufacturing
Process)
생산계획 관련부서가 모두 참석하는 정기회의를 통해 생산계획을 수립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나 시뮬레이션 기능 미흡
자재조달 조달 기준, 방침이 확립되어 조달 품질, 가격, 납기가 안정적으로 관리
생산공정 공정흐름이 안정화되어 있음
월단위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세워져 있지만 가시적인 진척관리나 수주변동에 대한 계획변경이 시의적절하지 않음
공정 및 작업표준이 수립됨
설비운영 설비 점검, 자주보전 등 중요설비관리체계를 갖춤
설비효율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수행
재고관리 정기/부정기정인 재고 실사가 이루어짐
실물 이동 즉시 담당자가 입력
품질관리 TQM활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짐
제조 성과
(Manufacturing Performance)
제조성과가 주기적으로 자동화되어 관리됨
하기 표 33은 단계 Best Practice(최적화 단계)의 평가 영역별 성숙 수준으로 제조공정이 낭비 없이 최적화되어 있고 기업 내부 분만 아니라 외부 파트너까지 통합적으로 최적화된 단계이다.
평가 영역 성숙 수준
제조 전략
(Manufacturing Strategy)
전사적 제조전략이 경영전략 Supply Chain 전략, 고객전략, e-비즈니스 전략 등과 연계
제조전략 목표별 KPI 도출하여 체계적으로 측정 및 관리
제조 조직
(Manufacturing Organization)
경영자와 구성원 간 제조개선 및 혁신을 위한 마인드와 참여가 적극적
제조조직체계가 정착되고 유연한 제조인력의 배치가 가능
제조인력 요구 역량에 따른 육성체계가 수립되어 수행 중
제조 IT
(Manufacturing IT)
정보화를 통해 외부 파트너와 가치사슬이 통합되며, 가치체인의 행위들이 상당 수 Cyber Space 상으로 이동한 단계(기업 간 업무 협업 단계)
제조 프로세스
(Manufacturing
Process)
생산계획 여러 개의 공장/라인 간 통합 생산계획이 수립됨
시스템을 통해 수 시간 내에 생산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시뮬레이션 기능도 충분
자재조달 자재조달은 안정적이며 필요한 경우 유연한 조정이 가능
자재조달계획과 생산계획 동기화
온라인 조달이 활성화
생산공정 낭비 없는 공정 흐름 작업이 수행됨
변동 사항에 대한 미세한 조정은 매일 실시
공정 이상 정보 집계, 제품이력정보관리, 생산성 분석 등이 자동화 됨
설비운영 설비운영 체계가 확립되어 전사적 개선활동이 추진
설비시뮬레이션을 통한 효율적인 설비운영이 수행
재고관리 재고시스템과 실재고 간의 오차원인을 분석하여 정확도를 높임
실물 이동 즉시 바코드 시스템이나 RF기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
품질관리 TQM 활동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중요공정이 PPM 수준으로 안정되어 있고 품질향상 대책이 마련됨
제조 성과
(Manufacturing Performance)
제조성과가 주기적으로 자동화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제조성과가 동종업계 상위수준을 유지
하기 표 34는 단계 Best Practice(최적화 단계)의 평가 영역별 성숙 수준에 관한 것으로 제조경쟁력이 기업의 최고 경쟁우위가 되고 있으며, 끊임없는 최첨단 제조공정 혁신으로 동종 업계를 선도하는 단계이다.
평가 영역 성숙 수준
제조 전략
(Manufacturing Strategy)
제조전략이 곧 기업의 핵심 전략
제조전략수립 및 목표 성과관리 범위가 기업 외 파트너까지 포괄
제조전략추진 성과를 지속적으로 Monitoring 및 Feedback 수행
제조 조직
(Manufacturing Organization)
구성원 자발적 제조 개선 및 혁신 활동 수행
제조노하우가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
제조인력 요구역량에 따른 육성체계 수립 및 보상체계와 연계
제조 IT
(Manufacturing IT)
정보화가 제조혁신을 리드
기업 내외부 통합 정보네트워크가 원활히 운용 중
최첨단 정보기술로 제조공정을 새롭게 혁신하여 동종업계를 선도하고 새로운 기준과 모델을 제시
제조 프로세스
(Manufacturing
Process)
생산계획 생산이 평준화 되어 있어 납기 지연이 거의 없음
실시간 생산계획 수립 및 조정이 가능
자재조달 자재조달체계가 완벽에 가까운 상태로, 재고의 Zero화, 외주자재의 무검사화, 사내 물류의 최소화가 완성 단계
생산공정 수요중심의 공정재편성이 원활하게 추진
셀생산, 라인동기화 등 끊임없이 제조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을 추구 
설비운영 설비 Life Cycle에 따라 설비운영체계를 확립하여 수행중이며 설비효율이 85%에 이름
재고관리 제고관리 체계가 완벽에 가까운 상태로 재고 정확도가 95%~100%로 유지됨
품질관리 완벽에 가까운 품질경영 실행체계를 유지
최신의 품질관리 기법을 통해 불량을 극소화하여 업계 수위의 품질을 확보
제조 성과
(Manufacturing Performance)
성과가 주기적으로 자동화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제조성과가 동종업계 최고수준을 유지
이어, 제조 공정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에 대해 설명한다.
진단 입력값이 있을 때, 공정 성숙에 대한 평가 정보의 부여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계열이 있을 수 있다. 첫째는 진단 지표별로 공정 성숙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하기 표 35는 이러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제조전략 수립 -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 수준 -진단 지표-A1 점수 성숙 단계
(1) 제조전략이 없음 0 1
(2) 부정기적으로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음 2 2
(3) 정기적(1~2년)으로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으나 명시화되어 있지 않음 4 3
(4) 명시화된 정기적(1~2년)인 제조전략이 수립되고 있음 7 4
(5) (4) + 전략의 범위가 기업외 파트너까지 포함하고 있음 10 5
한편, 진단 지표 중 복수 레벨 등이 있는 경우에도 선택되는 개수나, 선택되는 하위 진단 지표의 특성에 따라 성숙 단계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부여 되는 성숙 단계는 공정 성숙 평가 정보 부여 정책 DB의 내용이 돈다.
둘째는 진단 지표 레벨이 아니라, 하위 진단군 또는 상기 진단 지표의 묶음에 대응되는 진단 지표군별로 생성되는 점수(score)에 대한 성숙 단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수는 진단 지표에 대응되는 진단지표 입력값의 합계 또는 평균으로 처리할 수도 있지만, 상기 AHP 방법으로 생성되는 가중치를 진단 지표 입력값에 부여한 가중 합계 또는 가중 평균으로 처리할 수도있다.
하기 표 36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부가 점수에 대한 성숙 단계를 부여하는 예시이다.
제조전략 수립 접수(평균) 성숙 단계
0~2 1
2~4 2
4~6 3
6~8 4
8~10 5
하기 표 37은 점수에 대한 성숙 단계가 부여되는 예시이다.
제조전략 수립 접수(가중 평균) 성숙 단계
0~2 1
2~4 2
4~6 3
6~8 4
8~10 5
하기 표 38은 점수에 대한 성숙 단계가 부여되는 예시이다.
제조전략 수립 접수(가중 합계-100점 환산 기준) 성숙 단계
0~20 1
20~40 2
40~60 3
60~80 4
80~100 5
하기 표 39 내지 표 4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부가 생성하는 평가 결과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진단 지표 입력값과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정보의 예를 제조 전략을 구성하는 제조 전략 수립, 제조 전략 추진, 제조 전략 성과 관리라는 하위 진단군 각각에 대하여 보여 주고 있다. 표 39는 진단 지표 A01인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 점수에 대하여,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별 점수와 그 점수에 대응되는 평가 단계 정보가 생성된 예시를 보여 주고있다.
진단지표 ID A01 평가 단계
진단 지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
전사적 제조전략 수립 점수
1 7 4
2 7 4
3 7 4
4 7 4
5 7 4
6 4 2
7 7 4
8 2 3
9 7 4
10 2 1
표 40은 제조 전략 수립이라는 하위 진단군 점수에 대하여,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별 점수와 그 점수에 대응되는 평가 단계 정보가 생성된 예시를 보여 주고있다.
진단지표 ID 평가 단계
진단 지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
제조전략 수립 점수
1 75.6087 4
2 88.7304 4
3 51.5043 3
4 58.7652 3
5 51.2696 3
6 46.8261 3
7 55.2087 3
8 38.3478 2
9 55.4087 3
10 46.8261 2
표 41은 제조 전략이라는 진단군 점수에 대하여,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별 점수와 그 점수에 대응되는 평가 단계 정보가 생성된 예시를 보여 주고있다.
진단군 대상자 ID 제조전략
점수
평가 단계
1 59.4024 3
2 40.62 2
3 60.95 4
4 27.65 2
5 52.83 3
6 82.61 4
7 73.05 4
8 40.51 2
9 40.64 2
10 69.09 4
37.18 2
표 42는 5대 관점에서 공정 성숙 평가 정보 생성 대상자 ID별 점수와 그 5대 관점의 평균 점수에 대응되는 평가 단계 정보가 생성된 예시를 보여 주고있다.
진단군 대상자 ID 제조 전략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 평균 평가 단계
1 40.62 38.26 30.14 24.16 23.48 30.25 2
2 60.95 56.57 38.22 41.59 11.23 40.96 3
3 27.65 22.49 17.17 24.39 30.87 24.07 2
4 52.83 49.22 27.63 15.05 12.63 28.82 2
5 82.61 61.74 26.13 64.45 11.23 48.90 3
6 73.05 63.84 43.86 53.62 22.42 50.70 3
7 40.51 34.08 49.37 40.23 23.24 38.93 2
8 40.64 44.71 25.04 22.69 17.65 28.36 2
9 69.09 71.31 48.97 57.57 39.65 56.16 3
10 37.18 37.76 31.95 20.90 16.34 27.89 2
이어, 본 발명의 MES 모듈 맵핑 엔진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이러한 MES 모듈 맵핑 엔진의 작동에 대한 개념도가 잘 나타나 있다.
하기 표 43은 제조 프로세스 평가영역 중, 3단계까지의 수준 모델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구분 1단계
(Poor)
2단계
(Basic)
3단계
(Effective)
생산계획 생산계획이 없거나 비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에서 생산계획 수립 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의 생산계획 수립하나 부하조정은 되지 않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나 시뮬레이션 기능 미흡
자재조달 자재조달 방침이 없음
생산공정과 연계 부족
자재조달의 기초를 구축하는 단계 조달 기준, 방침이 확립되어 조달 품질, 가격, 납기가 안정적으로 관리
생산공정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거나 거의 활용되지 않음 공정 간 낭비요소를 인식하고 라인화 전제조건을 구축 중 공정흐름이 안정화되어 있고 월단위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세워져 있지만 계획변경이 시의 적절하지 않음
설비운영 생산에만 급급하고 설비의 예방보전에 대한 인식 부족 중요설비에만 점검체계가 갖추어짐 설비 점검, 자주보전 등 중요설비관리체계를 갖춤
재고관리 재고의 입출고 과정을 관리하지 않음 재고관리 표준 지침이 존재하나 수기로 관리 정기/부정기정인 재고 실사가 이루어짐
품질관리 품질문제가 중요하나 QM에 대한 의지와 지식이 부족 품질 검사의 자동화와 가시화가 이루어지기 시작 TQM활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짐
제조기업의 수준별 c-MES의 모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제조 기업의 공정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 활동에 대한 성숙모형을 활용하였다. MES는 생산 활동의 실행에서 활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성숙모형의 평가 항목 중, 제조 프로세스만을 활용하여 진단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MES를 사용하는 생산 활동을 제조프로세스의 세부항목인 생산계획, 자재조달, 생산공정, 설비운영, 재고관리, 품질관리 6개의 활용영역으로 구분하고 기존의 국내 중소 MES 솔루션의 기능들을 각 활동영역에 맞도록 분류할 필요가 있다.
하기 표 44는 활동영역별 MES 기능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본 발명의 활동 영역별 MES 기능 DB에 저장되어 있다.
활동영역 내용
생산계획 -고객정보관리
-수주관리
-자동화 스케줄
-납품관리
-생산계획 조정
-LOT 편성
-기간별 생산계획관리
-품목별 생산계획관리
-거래처별 생산계획관리
-유형별 표준 계획
-공정별 표준 계획
-비정규 생산계획 관리
-일/월 생산계획입력
-수주별 생산계획관리
-설비배정
-수주 시뮬레이션
자재조달 -자재입고
-자재출고
-재고현황
-자재유형 관리
-자재정보 관리
-자재실사
-반품 관리
-외주업체 관리
-외주 입/출고 관리
-발주 관리
-자재소요계산
-기간별 구매현황 분석
-자재 불출
생산공정 -작업지시서 조회/출력
-일일 공정/설비/인원 관리
-공정 시작/완료 관리
-작업 시간 관리
-투입 자재 관리
-반품 관리
-공정 이상 현상 관리
-LOT 관리(이력, 분할/병합, 공정별 LOT 현황)
-생산 실적 조회/관리
-생산성 분석
-작업 공수 현황 조회
-생산 진척 상황 조회/관리
-재공조회
-작업자 현황 조회/관리
설비운영 -설비 등록 및 현황 관리
-설비 장애 현황 조회
-설비 장애 내역 분석
-설비 가동 현황 조회
-설비 종합 효율 관리
-설비가동 이력관리
-설비별 작업 지시 현황
-설비별 생산 실적 현황
-설비 검수 관리
-수리부품 관리
-가동률 현황
-비가동 현황
재고관리 -투입/반출 전표 관리
-납기 납품률 현황
-재작업 제품 현황
-완제품 재검사 등록
-출하 지시
-출하 검사
-반품 관리
-스크랩/분쇄품 관리
-공정 별 LOT 현황
-공정별 LOT 재공 현황
-출하 예정 관리
-출하 계획 변경
-재고현황
-제품 입고
-제품 출하
품질관리 -품질 이력/현황 관리
-실험계획법
-4M 변경 관리
-수입검사 관리
-출하검사 관리
-불량발생 현황 관리(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
-프로젝트 관리(6시그마)
-품질비용등록
-통계적 품질정보 분석
-불량요인 조회
-품질 성적서 승인 관리
-매출대비 품질비용
-계획대비 품질 비용
-불량 추이 분석
상기 표 44에 있는 정보로 단계별로 구분하여 하기 표 45와 같은 생산 활동 영역별-단계별 기능표가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에 저장되어 있다.
구분 1단계
( Poor )
2단계
( Basic )
3단계
( Effective )
생산계획 -고객정보관리
-수주관리
-납품관리
-일/월 생산계획입력
-기간별 생산계획관리
-품목별 생산계획관리
-거래처별 생산계획관리
-수주별 생산계획관리
-생산계획 조정
-LOT 편성
-유형별 표준 계획
-공정별 표준 계획
-비정규 생산계획 관리
-자동화 스케줄
-설비배정
-수주 시뮬레이션
자재조달 -자재입고
-자재출고
-재고현황
-자재유형 관리
-자재정보 관리
-외주업체 관리
-외주 입/출고 관리
-발주 관리
-자재소요계산
-기간별 구매현황 분석
-자재실사
-반품 관리
-자재 불출
생산공정 -작업지시서 조회/출력
-일일 공정/설비/인원 관리
-공정 시작/완료 관리
-작업 시간 관리
-공정 이상 현상 관리
-LOT 관리(이력, 분할/병합, 공정별 LOT 현황)
-투입 자재 관리
-반품 관리
-작업 공수 현황 조회
-생산 진척 상황 조회/관리
-재공조회
-생산 실적 조회/관리
-생산성 분석
-작업자 현황 조회/관리
설비운영 -설비 등록 및 현황 관리
-가동률 현황
-비가동 현황
-설비가동 이력관리
-설비 가동 현황 조회
-설비 종합 효율 관리
-설비별 작업 지시 현황
-설비별 생산 실적 현황
-설비 검수 관리
-설비 장애 현황 조회
-설비 장애 내역 분석
-수리부품 관리
재고관리 -투입/반출 전표 관리
-재고현황
-제품 입고
-제품 출하
-출하 지시
-출하 검사
-반품 관리
-스크랩/분쇄품 관리
-공정 별 LOT 현황
-공정별 LOT 재공 현황
-출하 예정 관리
-출하 계획 변경
-납기 납품률 현황
-재작업 제품 현황
-완제품 재검사 등록
품질관리 -품질 이력/현황 관리
-품질 성적서 승인 관리
-불량발생 현황 관리(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
-수입검사 관리
-출하검사 관리
-불량요인 조회
-불량 추이 분석
-통계적 품질정보 분석
-실험계획법
-4M 변경 관리
-프로젝트 관리(6시그마)
-품질비용등록
-매출대비 품질비용
-계획대비 품질 비용
이어, 제조 공정 수준에 따른 MES 모듈 맵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업의 생산 활동영역에 대한 단계별 필수 기능과 기업의 공정수준을 Mapping하면 기업의 공정 수준에 따라 필요한 기능이 도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기업의 제조 수준이 하기 표 46에서와 같이 밑줄친 영역과 같이 나왔다면(생산계획은 2단계, 자재조달과 생산공정은 1단계, 설비운영은 3단계, 재고관리와 품질관리는 2단계가 나왔다고 하면) 본 발명의 MES 모듈 맵핑 엔진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 입수는 하기 표 46과 같은 정보를 입수한다.
구분 1단계
( Poor )
2단계
( Basic )
3단계
( Effective )
생산계획 생산계획이 없거나 비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에서 생산계획 수립 정기적으로 담당부서 수준의 생산계획 수립하나 부하조정은 되지 않음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나 시뮬레이션 기능 미흡
자재조달 자재조달 방침이 없음
생산공정과 연계 부족
자재조달의 기초를 구축하는 단계 조달 기준, 방침이 확립되어 조달 품질, 가격, 납기가 안정적으로 관리
생산공정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거나 거의 활용되지 않음 공정 간 낭비요소를 인식하고 라인화 전제조건을 구축 중 공정흐름이 안정화되어 있고 월단위 공정운영 및 일정계획이 세워져 있지만 계획변경이 시의 적절하지 않음
설비운영 생산에만 급급하고 설비의 예방보전에 대한 인식 부족 중요설비에만 점검체계가 갖추어짐 설비 점검, 자주보전 등 중요설비관리체계를 갖춤
재고관리 재고의 입출고 과정을 관리하지 않음 재고관리 표준 지침이 존재하나 수기로 관리 정기/부정기정인 재고 실사가 이루어짐
품질관리 품질문제가 중요하나 QM에 대한 의지와 지식이 부족 품질 검사의 자동화와 가시화가 이루어지기 시작 TQM 활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품질 향상을 위한 체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짐
상기 표 46과 같은 제조 공종 성숙 수준 정보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별 MES 모듈 맵핑부는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를 조회하여 하기 표 47과 같은 활동 영역별 단계별 필요 MES 모듈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활동 영역별 단계별 필요 MES 모듈 정보는 사용자별 c-MES 모듈 연계 정보 DB에 저장된다.
구분 1단계
( Poor )
2단계
( Basic )
3단계
( Effective )
생산계획 고객정보관리
수주관리
납품관리
일/월 생산계획입력
기간별 생산계획관리
품목별 생산계획관리
거래처별 생산계획관리
수주별 생산계획관리
생산계획 조정
LOT 편성
유형별 표준 계획
공정별 표준 계획
비정규 생산계획 관리
자동화 스케줄
설비배정
수주 시뮬레이션
자재조달 자재입고
자재출고
재고현황
자재유형 관리
자재정보 관리
외주업체 관리
외주 입/출고 관리
발주 관리
자재소요계산
기간별 구매현황 분석
자재실사
반품 관리
자재 불출
생산공정 작업지시서 조회/출력
일일 공정/설비/인원 관리
공정 시작/완료 관리
작업 시간 관리
공정 이상 현상 관리
LOT 관리(이력, 분할/병합, 공정별 LOT 현황)
투입 자재 관리
반품 관리
작업 공수 현황 조회
생산 진척 상황 조회/관리
재공조회
생산 실적 조회/관리
생산성 분석
작업자 현황 조회/관리
설비운영 설비 등록 및 현황 관리
가동률 현황
비가동 현황
설비가동 이력관리
설비 가동 현황 조회
설비 종합 효율 관리
설비별 작업 지시 현황
설비별 생산 실적 현황
설비 검수 관리
설비 장애 현황 조회
설비 장애 내역 분석
수리부품 관리
재고관리 투입/반출 전표 관리
재고현황
제품 입고
제품 출하
출하 지시
출하 검사
반품 관리
스크랩/ 분쇄품 관리
공정 별 LOT 현황
공정별 LOT 재공 현황
출하 예정 관리
출하 계획 변경
납기 납품률 현황
재작업 제품 현황
완제품 재검사 등록
품질관리 품질 이력/현황 관리
품질 성적서 승인 관리
불량발생 현황 관리(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
수입검사 관리
출하검사 관리
불량요인 조회
불량 추이 분석
통계적 품질정보 분석
실험계획법
4M 변경 관리
프로젝트 관리( 6시그마 )
품질비용등록
매출대비 품질비용
계획대비 품질 비용
상기 표 46과 같은 제조 공종 성숙 수준 정보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성숙 수준별 MES 모듈 맵핑부는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를 조회하여 하기 표 48과 같은 활동 영역별 단계별 필요 MES 모듈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활동 영역별 단계별 필요 MES 모듈 정보는 사용자별 c-MES 모듈 연계 정보 DB에 저장된다.
구분 1단계
(Poor)
2단계
(Basic)
3단계
(Effective)
생산계획 생산지시 생산지시
생산계획/지시 ERP연계
생산지시
생산계획/지시 ERP연계
자재조달 창고 정의
창고 입고
창고 출고
재고 현황
자재 정의
외공 공정 정의
외주 입고
외주 출고
외주 재고 현황
자재 반품
생산공정 생산지시
공정 정의
장비 정의
사용자 정의
작업시작/작업완료
작업시간 정의
관리도 분석
제품 이력 관리
제품 결합/분할
제품 재작업
제품 수리 이력
제품 손실/보너스
제품 손실 이력
설비운영 장비정의
장비 이벤트 정의
장비 현황
장비 이력
장비 가동률
  검사 입력항목 정의
장비 측정 데이터 입력
재고관리 창고 정의
창고 입고
창고 출고
재고 현황
작업 지시
검사 입력항목 정의
출하 검사 데이터 입력
제품 손실
제품 이력
제품 재작업이력
품질관리 제품손실이력
제품 손실
수입검사데이터 입력
출하검사데이터 입력
검사결과 조회
관리도분석
데이터 마이닝 분석
결과 관리
결과 리포팅
 
상기 표 47과 표 48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제조 공정 수준 정보가 있더라도,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의 내용에 따라 다른 활동 영역별 단계별 필요 MES 모듈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은 하기 표 49와 같은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보가 있는 경우, 표 50과 같은 필요 MES 모듈 정보가 생성할 수 있다.
진단군 대상자 ID 제조 전략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
1 40.62 38.26 30.14 24.16 23.48
2 60.95 56.57 38.22 41.59 11.23
3 27.65 22.49 17.17 24.39 30.87
4 52.83 49.22 27.63 15.05 12.63
5 82.61 61.74 26.13 64.45 11.23
6 73.05 63.84 43.86 53.62 22.42
7 40.51 34.08 49.37 40.23 23.24
8 40.64 44.71 25.04 22.69 17.65
9 69.09 71.31 48.97 57.57 39.65
10 37.18 37.76 31.95 20.90 16.34
진단군 대상자 ID 제조 전략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
1 3 2 2 2 2
2 4 3 2 3 1
3 2 2 1 2 2
4 3 3 2 1 1
5 5 4 2 4 1
6 4 4 3 4 2
7 3 2 3 3 2
8 3 3 2 2 1
9 4 4 3 4 2
10 2 2 2 2 1
표 50에 나와 있는 수치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값이며, 각 단계값에는 그 단계에 대응되는 MES 모듈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표 49와 표 50에서는 진단군 수준에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본 발명 사상은 하위 진단군 수준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은 도 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제조 전략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조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IT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및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대상자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입력자 컴퓨터로 전송(S11)하고, 진단 입력자의 컴퓨터로부터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진단 대상자의 진단 입력 정보를 입수 받고(S12), 입수 받은 진단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진단 입력 정보에 대하여, 진단군,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진단군, 하위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지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를 참조하여 제조 전략,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 제조 퍼포먼스의 5가지 관점으로 진단 대상자의 제조 공정의 성숙 수준에 대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생성(S13)하며, 생성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MES 모듈 연계 정보를 생성(S14)한다.
본 발명은 제조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서비스업 및 제조 산업 자체에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00 : 제조 진단 시스템
1100 : 제조 진단 엔진
1110 : 제조 진단군 전송부
1120 : 진단 입력 정보 입수부
1130 : 제조 공정 수준 평가 엔진
1200 : 제조 진단군 DB
1210 : 제조 전략 진단군 DB
1211 : 제조 전략 수립 진단군 데이터
1212 : 제조 전략 추진 진단군 데이터
1213 : 제조 전략 성과 관리 진단군 데이터
1220 : 제조 조직 진단군 DB
1221 : 제조 조직 구조와 문화 진단군 데이터
1222 : 제조 인력 마인드 진단군 데이터
1223 : 제조 인력 지식과 스킬 진단군 데이터
1230 : 제조 IT 진단군 DB
1231 : 제조 IT 역량 진단군 데이터
1232 : 제조 IT 인프라 진단군 데이터
1233 : 제조 IT 애플리케이션 진단군 데이터
1240 : 제조 프로세스 진단군 DB
1241 : 생산 계획 진단군 데이터
1242 : 자재 조달 진단군 데이터
1243 : 생산 공정 진단군 데이터
1244 : 설비 운영 진단군 데이터
1245 : 재고 관리 진단군 데이터
1246 : 품질 관리 진단군 데이터
1250 : 제조 퍼포먼스 진단군 DB
1251 : 신뢰성 진단군 데이터
1252 : 반응성 진단군 데이터
1253 : 유연성 진단군 데이터
1254 : 비용 진단군 데이터
1255 : 자원 효과 진단군 데이터
1300 :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10 : 제조 전략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11 : 제조 전략 수립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12 : 제조 전략 추진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13 : 제조 전략 성과 관리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20 : 제조 조직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21 : 제조 조직 구조와 문화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22 : 제조 인력 마인드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23 : 제조 인력 지식과 스킬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30 : 제조 IT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31 : 제조 IT 역량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32 : 제조 IT 인프라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33 : 제조 IT 애플리케이션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40 : 제조 프로세스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41 : 생산 계획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42 : 자재 조달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43 : 생산 공정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44 : 설비 운영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45 : 재고 관리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50 : 제조 퍼포먼스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DB
1351 : 신뢰성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52 : 반응성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53 : 유연성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54 : 비용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355 : 자원 효과 관점 공정 성숙 평가 정책 데이터
1400 : 사용자 관리부
1410 : 사용자별 진단 입력 정보 DB
1420 : 사용자별 제조 공정 수준 평가 가중치 정책 DB
1430 : 사용자별 제조 공정 성숙 평가 정보 DB
1440 : 사용자별 c-MES 모듈 연계 정보 DB
2000 :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
2100 :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엔진
2110 :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입수부
2120 : 제조 공정 성숙 정책 적용부
2130 :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부
2200 : 제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10 : 제조 전략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11 : 제조 전략 수립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20 : 제조 조직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21 : 제조 조직 구조와 문화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22 : 제조 인력 마인드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23 : 제조 인력 지식과 스킬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30 : 제조 IT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31 : 제조 IT 역량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32 : 제조 IT 인프라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33 : 제조 IT 애플리케이션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0 : 제조 프로세스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41 : 생산 계획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2 : 자재 조달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3 : 생산 공정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4 : 설비 운영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5 : 재고 관리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46 : 품질 관리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50 : 제조 퍼포먼스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DB
2251 : 신뢰성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52 : 반응성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53 : 유연성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54 : 비용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255 : 자원 효과 진단 평가 가중치 정책 데이터
2300 : 제조 공정 성숙 단계별 필요 기능 DB
3000 :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3100 : MES 모듈 맵핑 엔진
3110 : 제조 공정 성숙 수준 입수부
3120 : 제조 공정 성숙 수준별 MES 모듈 맵핑부
3200 : 활동 영역별 MES 기능 DB
4000 : 유무선 네트워크
5000 : 사용자 컴퓨터

Claims (13)

  1.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이
    제조 전략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조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IT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제조 프로세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및 제조 퍼포먼스(performance) 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대상자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입력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진단 입력자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조 전략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진단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대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진단 입력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입수 받은 진단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진단 입력 정보에 대하여, 상기 진단군, 상기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진단군, 상기 하위 진단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지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 전략, 상기 제조 조직, 상기 제조 IT, 상기 제조 프로세스, 상기 제조 퍼포먼스의 5가지 관점으로 상기 진단 대상자의 제조 공정의 성숙 수준에 대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MES 모듈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으로 인해 나타나는 최종 제조 프로세스 성과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신뢰성, 반응성, 유연성, 비용 및 자원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MES 모듈 연계 정보는 상기 하위 진단군 단위에서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ES 모듈 연계 정보는 상기 하위 진단군별로 사전에 대응되어 있는 하위 진단군별 활동 영역별 MES 기능을 매개로 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ES 기능은 상기 하위 진단군별로 상기 활동 영역별로 제조 공정 수준별로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일 경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군 또는 상기 하위 진단군별 진단 입력 정보 처리값에 대응되어 적어도 2 이상이 레벨로 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에 대응되어 있는 것인 것일 경우,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기준 정책 정보는 상기 진단 지표별 진단 입력 정보 처리값에 대응되어 적어도 2 이상이 레벨로 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제조 IT, 제조 프로세스가 전략적으로 융합되어 제조 성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조 전략의 수립 및 추진, 제조 전략 성과의 체계적 관리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전략 수립, 제조 전략 추진, 제조 전략 성과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의 주체인 제조 조직에 대해 조직 구조 및 문화, 제조인력들의 마인드와 역량관리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구조와 문화, 제조 인력 마인드, 제조 인력 지식과 스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프로세스 개선 및 혁신을 지원하는 IT 인프라 및 어플리케이션 등 IT 기술 자체의 수준과 IT조직의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IT 역량, 제조 IT 인프라, 제조 IT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제조 조직 자원과 제조 IT자원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제조 프로세스 자체의 개선 및 혁신 수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진단하는 세부 평가 영역과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은 생산 계획, 자재 조달, 생산 공정, 설비 운영, 재고 관리, 품질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전략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조직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IT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 상기 제조 퍼포먼스 구성 요소에 대한 진단군에 있어서,
    상기 진단군은 적어도 2 이상의 하위 진단군 또는 2 이상의 진단 요소 항목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하위 진단군 또는 상기 진단 요소 항목은 다른 가중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가중치는 상기 공정 성숙 수준 평가에 반영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AHP 방법을 적용하여 결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ES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KR1020110080490A 2011-08-12 2011-08-12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22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90A KR101227881B1 (ko) 2011-08-12 2011-08-12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90A KR101227881B1 (ko) 2011-08-12 2011-08-12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881B1 true KR101227881B1 (ko) 2013-01-31

Family

ID=4784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90A KR101227881B1 (ko) 2011-08-12 2011-08-12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8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4598A1 (zh) * 2014-07-10 2016-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产品抽样检验方法、装置及系统
CN108320069A (zh) * 2017-12-20 2018-07-24 甘肃银光化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生产制造执行系统
CN112132539A (zh) * 2020-09-15 2020-12-25 南昌市建筑科学研究所(南昌市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地铁管片生产-检测-监管过程管理系统和方法
CN114493360A (zh) * 2022-02-18 2022-05-13 来也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rpa和ai的流程创意评估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454172B1 (ko) 2022-08-08 2022-10-14 주식회사 와이즈엠시스템즈 화면 개발 및 관리 시스템
KR102454168B1 (ko) 2022-08-08 2022-10-14 주식회사 와이즈엠시스템즈 제조수행 통합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맞춤보급형 생산정보화시스템(c-MES)의 보급/확산을 위한 온라인 진단 평가시스템 개발(대한기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214-215, 조용주 외3명, 2010.4월 발행) *
맞춤보급형 생산정보화시스템(c-MES)의 보급/확산을 위한 온라인 진단 평가시스템 개발(대한기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214-215, 조용주 외3명, 2010.4월 발행)*
맞춤보급형 제조실행(c-MES) 플랫폼 통합에 관한 연구(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154-155, 조용주 외3명, 2011.4월 발행) *
맞춤보급형 제조실행(c-MES) 플랫폼 통합에 관한 연구(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154-155, 조용주 외3명, 2011.4월 발행)*
생산정보화시스템(MES)의 보급/확산 전략 도출을 위한 제조기업의 정보화 수준진단 시스템 개발(대한기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198-199, 조용주 외6명, 2010.4월 발행) *
생산정보화시스템(MES)의 보급/확산 전략 도출을 위한 제조기업의 정보화 수준진단 시스템 개발(대한기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198-199, 조용주 외6명, 2010.4월 발행)*
정보화 수준진단을 통한 국내 제조기업의 생산정보화 보급/확산 전략 도출(한국정밀공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481-482, 조용주 외5명, 2010.11월 발행) *
정보화 수준진단을 통한 국내 제조기업의 생산정보화 보급/확산 전략 도출(한국정밀공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페이지 481-482, 조용주 외5명, 2010.11월 발행)*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4598A1 (zh) * 2014-07-10 2016-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产品抽样检验方法、装置及系统
CN108320069A (zh) * 2017-12-20 2018-07-24 甘肃银光化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生产制造执行系统
CN108320069B (zh) * 2017-12-20 2021-06-15 甘肃银光化学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生产制造执行系统
CN112132539A (zh) * 2020-09-15 2020-12-25 南昌市建筑科学研究所(南昌市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地铁管片生产-检测-监管过程管理系统和方法
CN112132539B (zh) * 2020-09-15 2024-03-12 南昌市建筑科学研究所(南昌市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地铁管片生产-检测-监管过程管理系统和方法
CN114493360A (zh) * 2022-02-18 2022-05-13 来也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rpa和ai的流程创意评估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454172B1 (ko) 2022-08-08 2022-10-14 주식회사 와이즈엠시스템즈 화면 개발 및 관리 시스템
KR102454168B1 (ko) 2022-08-08 2022-10-14 주식회사 와이즈엠시스템즈 제조수행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lthén et al. Framework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the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process
Márquez The maintenance management framework: models and methods for complex systems maintenance
Resta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lean operations in product-oriented product service systems
Marquez et al. Contemporary maintenance management: process, framework and supporting pillars
Duffuaa et al. Planning and control of maintenance systems
Kumar et al. Maintenance performance metrics: a state‐of‐the‐art review
Arcidiacono et al. The AMSE lean six sigma governance model
KR101227881B1 (ko) 기업 제조 공정 수준별 맞춤형 제조 실행 시스템 모듈 연계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Pun et al. An effectiveness‐centred approach to maintenance management: A case study
Bradford et 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for Telstra's Australian energy and cooling systems: A ten year case study
CN111353787A (zh) 一种基于云平台的装备综合保障系统
Dangayach et al. Development of footprint framework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SMMOs
KR101227880B1 (ko) 제조 진단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Verhaelen et al. Practice-oriented methodology for increasing production ramp-up efficiency in global production networks of SME
Thakkar SCM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 preliminary conceptualization
KR101227879B1 (ko) 제조 공정 성숙 수준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Salah et al. Total company-wide management system: its components
Gamme et al. Measuring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KPI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Velmurugan et al. Asset Maintenance Management in Industry
Zhu Development of smart industry maturity model
Mrugalska et al. Preventive Approach to Machinery and Equipment Maintenance in Manufacturing Companies
Kaur et al. Effectiveness of CMMS in Optimizing Manufacturing Performance
Budde et al. Smart Factory Framework
Imani et al. Computerized Maintenance and Asset Management: Improving Quality Through Systems Integration.
Hertz et al. Industrial field service network planning: Existing methods in supply chain planning and modeling and their applicability for fiel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