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595B1 - 조류증식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조류증식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595B1
KR101227595B1 KR1020120091292A KR20120091292A KR101227595B1 KR 101227595 B1 KR101227595 B1 KR 101227595B1 KR 1020120091292 A KR1020120091292 A KR 1020120091292A KR 20120091292 A KR20120091292 A KR 20120091292A KR 101227595 B1 KR101227595 B1 KR 10122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upport
water
hub plate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형
Original Assignee
허종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형 filed Critical 허종형
Priority to KR102012009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 각각의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대 및 베이스프레임을 수중에 배치된 상태로 부유되게 하는 복수의 부력체, 지지대 하방의 수중에 대한 태양광 입사량을 감소시키도록 지지대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통수성을 가지는 수중막을 포함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조류증식 억제장치는,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복수의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상태로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수중막이 펼침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과 지지대를 수중에 설치시에는 부력체에 의해 지지대가 수평방향으로 펼침되며 수중막을 중심으로 지지대 하방으로의 태양광 유입을 감소시켜 조류의 증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수중에 설치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지지대들을 베이스프레임 내측방향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조류증식 억제장치{Apparatus for suppressing algal growth}
본 발명은 조류증식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 저수지, 호수 등에서 조류가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조류증식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등은 환경적 요인으로 산업폐수, 유기성 폐수가 유입하여 영양염류 등이 풍부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플랑크톤의 이상 증식현상(녹조, 적조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감소하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어류 및 패류 등이 질식사하는 등 수질변화 및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조류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류의 번식조건인 수온, 태양광, 영양염 중 한가지의 조건을 억제시키게 된다. 보편적으로는 수면 상에 부유하면서 태양광을 차단시키도록 차광막을 설치할 수 있으나, 태양광을 완전히 차단할 경우 공기와 수면 표면의 접촉까지 차단시키면서 수중의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면서 수질을 오히려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차광막은, 태양광을 차단하는 막 부재를 펼침상태로 유지시키는 프레임이 고정상태로 구성된 바, 수중에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 적치할 경우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류의 생육을 억제시 수질의 오염발생이 없으면서 수질을 개선함과 더불어 미사용으로 지상에 적치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 각각의 상기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중에 배치된 상태로 부유되게 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지지대 하방의 상기 수중에 대한 태양광 입사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통수성을 가지는 수중막을 포함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수중에서 상기 지지대를 연결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중에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심으로 160 내지 177도까지 펼침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는 허브판이 배치되며, 상기 허브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강도를 증대시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변형방지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판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순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허브판에는 상기 순환공에 삽입 배치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를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중막의 상방 및 하방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순환공을 통해 순환 이동되게 하는 순환이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증식 억제장치는,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복수의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상태로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수중막이 펼침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과 지지대를 수중에 설치시에는 부력체에 의해 지지대가 수평방향으로 펼침되며 수중막을 중심으로 지지대 하방으로의 태양광 유입을 감소시켜 조류의 증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수중에 설치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지지대들을 베이스프레임 내측방향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증식 억제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증식 억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류증식 억제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 지지대(200), 부력체(300), 수중막(4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이후 설명될 지지대(200)들을 연결 지지하는 링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지지대(200)를 연결 설치한 상태로 수중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의 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2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힘이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직접 충돌하며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허브판(110) 및 변형방지와이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판(1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심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변형방지와이어(120)들의 각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허브판(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연결 결합되게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중심에 상기 허브판(110)을 배치한 상태로 상기 허브판(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상기 변형방지와이어(120)들로 연결한 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강도가 증대되면서 충격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허브판(110)의 중앙에는 상기 허브판(110)을 중심으로 상하부의 유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순환공(1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기 수중에서 이후 설명될 수중막(400)의 상방 및 하방에 위치하는 유체를 상하방향으로 강제 순환이동되게 하는 순환이동수단(1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순환이동수단(130)은 임펠러(131), 구동모터(132)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13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상기 허브판(110)을 구비한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공(111)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상기 허브판(110) 내측에 연결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하방의 유체를 순환 이동되게 한다. 만약,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상기 허브판(110)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임펠러(13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에 연결상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모터(132)는 상기 임펠러(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132)의 축 단부가 상기 임펠러(131)와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3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모터(132)는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131)와 연결된 상태로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수중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대(200)는 이후 설명될 수중막(40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외측 둘레에 펼침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둘레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연결 설치한다. 이때, 각 상기 지지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201)로 연결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지지대(2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힌지(201)로 연결 결합된 바,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수중에 설치하지 않고 보관시 상기 지지대(2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일면에 접하도록 접은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0)의 힌지(20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지지대(200)를 상기 수중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후 설명될 부력체(300)에 의해 부유시, 상기 지지대(200)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보다 상방으로 접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수평된 위치까지 펼침되게 한다. 즉, 상기 힌지(201)는 상기 지지대(2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수평된 위치까지 펼침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저면에 접하도록 접힘될 수 있게 회전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각 상기 지지대(200)를 펼침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1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와이어(140)는 인장 및 압축, 휨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바 형상부재로,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대(200)의 일측에 연결 결합한다. 이같은, 상기 탄성와이어(140)는 상기 지지대(200)를 펼침상태로 상기 수중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0)에 가해지는 유체충격 또는 각종 이물질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발생시, 상기 지지대(20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보다 상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보다 하방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와이어(140)는 상기 수중에서 상기 지지대(2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중심으로 평상시 160 내지 177도까지 회전 펼침되도록 지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상기 지지대(200)에 충격힘이 발생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00)의 접힘방향으로 충격힘이 전달될 때에는 상기 탄성와이어(140)가 상기 지지대(200)를 160도보다 작은 각도로 접힘될 때 휨상태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지지대(200)의 펼침방향으로 충격힘이 전달될 때에도 상기 탄성와이어(140)는 177도보다 작은 각도로 접힘되도록 유도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바,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연결부위인 힌지(210) 및 상기 지지대(200)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상기 부력체(300)는 수면 상에 부유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대(200)를 일정 위치의 수중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력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부력체(300)는 와이어(301)를 통해 각각의 상기 지지대(200)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이같은, 상기 부력체(300)는 상기 지지대(200)의 타단을 상방으로 당겨줌으로 인해, 상기 수중에 배치된 상기 지지대(200)를 펼침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300)는 내부에 공기가 들어찬 통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수면 상에서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가지는 공지의 부력부재를 선택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수중막(400)은 상기 지지대(200) 하방의 상기 수중에 대해서 태양광 유입을 억제시키는 차단부재이다. 즉, 상기 수중막(400)은 상기 지지대(200) 사이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양측을 각각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 결합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수중막(400)은 상기 지지대(20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펼침 장착되어, 상방에서 상기 수중으로 입사되는 상기 태양광이 반사 또는 흡수되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대(200) 하방에 대한 상기 태양광 입사량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중막(400)은 상기 태양광의 상기 수중지지구조물(200) 하방에 대한 입사량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지지대(200) 상방 및 하방의 유체가 상호 순환될 수 있도록 통수성을 가진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중막(400)은 상기 태양광의 일부를 상기 지지대(200) 하방의 상기 수중으로 입사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통수성을 가지는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 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중막(400)의 상면에는 입사되는 상기 태양광을 상방으로 다시 반사시킬 수 있게 반사부재(도면미도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같이, 상기 수중막(400)에 의해 상기 지지대(200) 상방의 수온은 조류가 증식하는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거나 강한 상기 태양광에 의해 상기 조류의 증식이 억제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200) 하방의 유체에는 상기 수중막(400)에 의해 상기 태양광의 입사량이 감소되는 바, 상기 조류의 광합성을 방해하면서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막(400)에는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내부에 담체를 구비하는 담체부(도면미도시)를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담체부는 통수성을 가지며, 상기 담체는 상기 조류에 대한 포식 기능을 가지는 정착성 미생물 또는 원생생물이 부착 거주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중막(400) 내측에도 상기 조류에 대한 포식 기능을 가지는 정착성 미생물 또는 원생생물이 부착 거주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다공성 물질인 담체를 삽입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중막(300)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유체순환이동부(400)의 임펠러(410)를 배치할 수 있도록 순환공(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순환공(330)은 상기 수중막(3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중막(300)을 중심으로 상기 수중막(300)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수중유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공(33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유체순환이동부(400)의 임펠러(410)를 내부에 배치한 상태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관(331)을 상기 수중막(300)에 수직되게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류증식 억제장치는, 하천, 호수, 저수지, 댐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부력체(300)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지지대(200)의 수중 상 위치는 상기 부력체(300)와 상기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와이어(301)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지지대(200)를 상기 수중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상기 지지대(200)의 타단이 상기 부력체(3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방향으로 펼침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200)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펼침 설치된 상기 수중막(400)이 상기 태양광의 상기 지지대(200) 하방에 대한 입사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수중으로 입사되는 상기 태양광은 상기 수중막(400)에 부딪히면서 흡수되거나 다시 상부로 반사되며, 상기 수중막(400)을 통과하는 일부의 상기 태양광만이 상기 지지대(200) 하방으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기 수중막(400)을 중심으로 상부의 수온은 상기 조류의 증식을 위한 온도보다 높아지게 되며, 하부의 수온은 상기 조류의 증식을 위한 온도보다 낮아지게 되면서, 조류의 광합성을 억제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조류가 증식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된 순환이동수단(130)의 임펠러(131)가 상기 구동모터(132)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허브판(110)의 순환공(111)을 통해 상기 지지대(200) 상부 및 하부의 유체가 순환되도록 하면서 상기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과 상기 수중 유체 내 영양물질의 접촉을 촉진시켜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조류증식 억제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둘레로 복수의 상기 지지대(20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200)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중막(400)이 펼침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지지대(200)를 수중에 설치시에는 상기 부력체(300)에 의해 상기 지지대(200)가 수평방향으로 펼침되며 상기 수중막(40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200) 하방으로의 태양광 유입을 감소시켜 조류의 증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상기 수중에 설치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0)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내측방향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프레임 110: 허브판
111: 순환공 120: 변형방지와이어
130: 순환이동수단 131: 임펠러
132: 구동모터 200: 지지대
300: 부력체 400: 수중막

Claims (5)

  1. 삭제
  2. 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중에 배치된 상태로 부유되게 하는 복수의 부력체; 및,
    상기 지지대 하방의 상기 수중에 대한 태양광 입사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통수성을 가지는 수중막을 포함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수중에서 상기 지지대를 연결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를 구비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중에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심으로 160 내지 177도까지 펼침 지지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
  4. 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수중에 배치된 상태로 부유되게 하는 복수의 부력체; 및,
    상기 지지대 하방의 상기 수중에 대한 태양광 입사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통수성을 가지는 수중막을 포함하는 조류증식 억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는 허브판이 배치되며,
    상기 허브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강도를 증대시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변형방지와이어가 구비된 조류증식억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허브판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순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허브판에는
    상기 순환공에 삽입 배치되는 임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를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중막의 상방 및 하방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순환공을 통해 순환 이동되게 하는 순환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조류증식억제장치.

KR1020120091292A 2012-08-21 2012-08-21 조류증식 억제장치 KR10122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92A KR101227595B1 (ko) 2012-08-21 2012-08-21 조류증식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92A KR101227595B1 (ko) 2012-08-21 2012-08-21 조류증식 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595B1 true KR101227595B1 (ko) 2013-01-29

Family

ID=4784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92A KR101227595B1 (ko) 2012-08-21 2012-08-21 조류증식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237A1 (ko) * 2014-04-30 2015-11-05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20220052540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4U (ko) * 1999-02-24 1999-07-05 김학수 공기양수관을이용한수질개선장치의확산기술
KR20080011339A (ko) * 2008-01-11 2008-02-01 김호준 경첩구조의 지지봉을 갖는 롤러 브러시
JP2011212527A (ja) * 2010-03-31 2011-10-27 Fujita Corp 水質改善方法
KR101169558B1 (ko) * 2011-11-21 2012-07-27 허종형 조류증식 억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4U (ko) * 1999-02-24 1999-07-05 김학수 공기양수관을이용한수질개선장치의확산기술
KR20080011339A (ko) * 2008-01-11 2008-02-01 김호준 경첩구조의 지지봉을 갖는 롤러 브러시
JP2011212527A (ja) * 2010-03-31 2011-10-27 Fujita Corp 水質改善方法
KR101169558B1 (ko) * 2011-11-21 2012-07-27 허종형 조류증식 억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237A1 (ko) * 2014-04-30 2015-11-05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20150125823A (ko) * 2014-04-30 2015-11-10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101633544B1 (ko) * 2014-04-30 2016-06-27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CN106255668A (zh) * 2014-04-30 2016-12-21 李锺植 水下载体装置、水体循环装置及利用此的水生态系统活性化系统
KR20220052540A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KR102525508B1 (ko) 2020-10-21 2023-04-2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녹조 억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2903A (en) Sea cage fish farming system
KR101169558B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JP2019512223A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KR101957037B1 (ko) 양식장 겸용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US20200015460A1 (en) A floating plant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KR101828455B1 (ko) 평형수 방식의 잠수형 부력체와 강체형 수중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류제거용 물순환 장치
KR101227595B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JP2022542995A (ja)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JP3924639B2 (ja) 水中モーターを利用した沈下式の魚類養殖装置
CA3101231A1 (en) Open sea fish pen
KR101052992B1 (ko)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체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KR102225015B1 (ko) 가두리 양식장
JP4362552B2 (ja) 貯水システム
KR200460631Y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KR101327619B1 (ko) 조류증식 억제장치
NO20200755A1 (en) Fish farming system
KR102089294B1 (ko) 지오데식 돔 구조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 장치
WO2018216908A2 (ko) 공전형 물 순환장치
KR101413449B1 (ko) 표층 및 중층의 물순환효율이 향상된 이중 회전 물순환장치
CN218897965U (zh) 潮间带的海洋牧场养殖结构
KR102541979B1 (ko) 양식장용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89217A (ko) 수상 구조물 설치장치
CN106797902B (zh) 钢筋混凝土增殖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