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413B1 -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413B1
KR101227413B1 KR1020110020177A KR20110020177A KR101227413B1 KR 101227413 B1 KR101227413 B1 KR 101227413B1 KR 1020110020177 A KR1020110020177 A KR 1020110020177A KR 20110020177 A KR20110020177 A KR 20110020177A KR 101227413 B1 KR101227413 B1 KR 10122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electrode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2201A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락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싸 filed Critical (주)락싸
Priority to KR102011002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413B1/en
Publication of KR2012010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86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제1 전극과 이격되고 배치되어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contact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its measuring method. The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that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the bioelectrical signal by using the connected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and the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Description

전기적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방법{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Electrical contactless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its method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전기적 비접촉으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및/또는 호흡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로 앉아 전기적 비접촉으로 심전도 신호 및/또는 호흡 신호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ECG) and / or respiration by electrical non-contact,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 or respiration signal by electrical non-contact sitting on a subject's cloth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본 발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인 뇌기능 활용 및 뇌질환치료 기술개발 연구사업단의 연구비 지원(과제번호-2010K000827)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research fund support (project number-2010K000827) of the 21st century frontier R & D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신호는 심장 활동에 동반되는 인체 전기 신호이며, 호흡 신호는 폐 운동에 따른 신호이다. 이들 신호들은 심장 및 폐 관련 각종 질환을 진단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기본적인 생명활동 감시를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Electrocardiogram (ECG) signals are human electrical signals associated with cardiac activity, and respiratory signals are signals of lung movement. These signals are used as a major means for diagnosing heart and lung diseases and as a key means for monitoring basic life activities.

심전도 신호는 그 신호 모양으로 다양한 진단에 활용된다. 하지만, 심박변이율(HRV, Heart Rate Variability)은 심전도 신호의 꼭지점 간격(R-R interval) 변화에 기인한다. 상기 심박변이율(HRV, Heart Rate Variability) 분석은 자율신경계 정보를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ECG signals are used for various diagnostics in the form of their signals. However,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due to a change in the R-R interval of the ECG signal.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alysis may be used to identify autonomic nervous system information.

통상적인 심전도 장치는 피검자 피부에 전도성 전극을 부착하여 계측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전극들이 피검자 피부에 부착되고, 연결선들은 상기 전극들과 심전도 장치 사이를 연결한다. Conventional ECG devices are configured to attach and measure a conductive electrode to the subject's ski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ttached to the subject's skin, and connecting lines connect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ECG devic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접촉 없이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심전도 및/또는 호흡을 계측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that can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and / or breathing in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s dressed without electrical contac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접촉 없이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심전도 및/또는 호흡을 계측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ing method that can measure the electrocardiogram and / or breath in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s dressed without electrical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고 배치되어 상기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한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hat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first electrode Bioelectricity is achieved using a first shear amplification circuit connected to an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shear amplification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hear amplification circuit. It includes a differential amplifier for extracting th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장치는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전기적 접촉없이 심전도 신호 또는 호흡 신호를 계측할 수 있다. 전단 증폭 회로는 높은 임피던스 특성을 가지는 연산 증폭기(Op-amp)의 성능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가 회로가 전단 증폭 회로의 성능을 개선한다. 따라서, 전단 증폭 회로 구현을 위한 연산 증폭기(Op-amp) 선택의 폭이 넓다.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an ECG signal or a respiration signal without an electrical contact in a state where a subject wears clothes.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s not entirely determined by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amp) having a high impedance characteristic, and a separate additional circui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Therefore, op-amp sel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hear amplifier is wide.

상기 측정 장치는 전기적 비접촉식으로 방석, 시트, 의자, 차량 의자, 소파, 침대, 인큐베이터, 또는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일상 생활환경에서도 손쉽게 심전도(ECG), 심박 펄스 신호, 심박변이율(HRV) 신호, 및 호흡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ushion, a seat, a chair, a vehicle chair, a sofa, a bed, an incubator, or a band in an electrical contactless manner. The measuring device may easily provide at least one of an electrocardiogram (ECG), a heart rate pulse signal,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signal, and a breathing signal even in a daily living environment.

특히, 침대에서 구현될 경우, 상기 측정 장치는 신생아를 포함한 영유아용 환자 감시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피부에 온갖 측정 전극을 부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측정 장치는 의류를 착용한 환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로 생명 유지 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implemented in a bed, the measuring device can be utilized as a patient monitoring de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newborns, all kinds of measuring electrodes must be attached to the skin. However, the measuring device can monitor the life support state while the patient wearing the clothing is lying in the bed.

도 1은 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등가회로 모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식 신호 계측을 설명하는 등가 회로 모델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등가 전기용량(Cs) 및 생체 신호(Vs)의 주파수에 따른 신호 크기 비(Vo/Vs)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경로를 확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 회로(82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와 그 심박 펄스 신호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도 13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가속도 센서의 z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 필터링된 가속도 신호,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 및 대역 제거 필터를 통과한 신호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8은 도 15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호흡 신호(VRSP),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 및 심박 펄스 신호(VHBP)를 나타낸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들이다.
1 is an equivalent circuit model of a contact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2 shows an equivalent circuit model illustrating electrical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ignal magnitude ratio Vo / Vs according to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frequency of the biosignal V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curing a bias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1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and its heart rate pulse signal measured using the measuring apparatus of FIG. 13.
20A through 20D are signals passing through an acceleration signal in the z-axis direction, a filtered acceleration signal,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and a band cancellation filter of the acceleration sensor measured using the measuring device of FIG. 13.
21 to 2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llustrates a respiration signal V RSP ,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and a heart rate pulse signal V HBP measured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5.
29A and 29B are results obtained us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접촉식 심전도 장치를 이용한 심전도 신호 계측에서, 피검자는 심전도 신호 계측을 위해 피부 표면에 해당 전극을 부착해야하며, 접촉식 심전도 장치에 구속되는 수고를 감내해야 한다. 접촉식 계측 방법은 도전성 전극을 인체 피부에 직접 부착하여 심전도 신호를 계측한다.I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sing a contact electrocardiogram device, the subject must attach the corresponding electrode to the surface of the skin for electrocardiogram signal measurement and endure the effort constrained by the contact electrocardiogram device. The contact measurement method directly attaches a conductive electrode to human skin to measure an ECG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계측 방법은 피검자의 인체 피부에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 없이 심전도 신호를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심전도 신호는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계측될 수 있다. Non-contac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that can measure the ECG signal without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skin of the subject. Thus, the ECG signal can be measured while the subject is dressed.

생체 전기 신호 계측에서는 신호원의 임피던스가 상당히 크다. 따라서, 전도성 전극이 직접적으로 인체에 부착되어, 생체 전기 신호가 측정되었다.In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the impedance of the signal source is quite large. Therefore, the conductive electrode was directly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the bioelectrical signal was measured.

하지만,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 또는 측정 센서와 피검자가 이격된 상태에서 생체 전기 신호를 얻을 수 있다면, 피검자의 심리적 제약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측정 센서는 절연체를 개재하여 인체와 밀착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생체 전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전기 신호는 뇌파, 심전도, 안전도, 및 근전도, 또는 호흡일 수 있다. However, if the biometric signal can be obtained in a state where the subject is dressed or in a state where the measurement sensor and the subject are separated, the psychological constraint of the subject may be removed. In addition, the non-contact measuring sensor can measure the bioelectrical signal through an insulator even in an environment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bioelectrical signal may be brain wave, electrocardiogram, safety, and electromyogram, or breat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계측 방법은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 없이 피부 표면의 전위(electric potential)을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두 측정 전극들의 전위의 차이는 심전도 신호 또는 호흡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신호의 측정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은 비접촉식으로 신호 계측을 제공하는 고입력 임피던스의 전단 증폭(Pre-amplifier) 회로와 차동 증폭 회로 기술이다.The non-contact metrolog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electrical potential of the skin surface without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subject. The difference in the potentials of the at least two measuring electrodes can provide an ECG signal or a breathing signal. The key to realizing the measurement of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high input impedance pre-amplifier circuit and differential amplification circuit technology that provides signal measurement in a non-contact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계측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해결을 제공한다. 전단 증폭 회로의 안정적 동작은 바이어스 회로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용량성 전압 분배에 의한 신호 감쇠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전단 증폭 회로의 등가 입력 저항(또는 유효 입력 저항)은 저항성 되먹임 회로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Non-contac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Stable operation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can be solved by the bias circuit. In addition, signal attenuation by capacitive voltage distribution can be solved by 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The equivalent input resistance (or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can be solved by 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이하, 전기적 비접촉식 계측을 실현하기 위한 센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nsor for realizing electrical non-contact measurement will be described.

[전통적 접촉 계측 방식과 비접촉 계측 방식의 차이][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contact measurement method and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도 1은 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간단한 등가회로 모델이다.1 is a simple equivalent circuit model of a contact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전도성 전극을 사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 인체에 형성되는 생체 전위(Vs)는 전극(미도시)과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원의 임피던스 또는 접촉 저항(Rs)을 통해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전단 증폭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증폭기(10)는 자체 입력저항(Ri) 및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을 가진다. 상기 전단 증폭기(10)의 이득은 1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단 증폭기의 출력 신호(Vo)는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easures a biosignal using a conductive electrode. The biopotential (Vs) formed in the human body is transmitted to the input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rough the impedance or contact resistance (Rs) of the signal source existing between the electrode (not shown) and the ski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shear amplifier 10. The front end amplifier 10 has its own input resistance Ri and its own input capacitance Ci. The gain of the front end amplifier 10 may be one. 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Vo of the shear amplifier may be given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1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1

여기서, j는 복소수를, ω는 상기 전단 증폭기의 입력 신호 또는 생체 전위(Vs)의 각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기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약 10 Hz이고, 신호원의 임피던스 또는 접촉 저항(Rs)이 10 kΩ이고, 상기 전단 증폭기의 입력 저항(Ri)이 10 TΩ이고, 상기 전단 증폭기의 입력 전기용량(Ci)이 10 pF인 경우,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이 근사화될 수 있다.Here, j represents a complex number and ω represents an angular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or the biopotential (Vs) of the shear amplifier. The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is about 10 Hz, the impedance or contact resistance (Rs) of the signal source is 10 kΩ, the input resistance (Ri) of the shear amplifier is 10 TΩ, and the input capacitance (Ci) of the shear amplifier. In the case of 10 pF, Equation 1 can be approximated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2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2

전통적인 생체 전기 신호 측정 방식에서, 출력 신호(Vo)는 상기 생체 전위(Vs)와 거의 같다. 따라서, 생체 전위(Vs)는 거의 손실 없이 측정할 수 있다.In a traditional bioelectrical signal measuring scheme, the output signal Vo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biopotential Vs. Therefore, the biopotential Vs can be measured with little los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비접촉식 신호 계측을 설명하는 간단한 등가 회로 모델을 나타낸다.2 shows a simple equivalent circuit model illustrating electrical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신호 측정에서는 인체와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사이에 배치된 접촉 저항(Rs) 대신에 인체와 비접촉식 전극(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축전기(전기용량(Cs))가 놓인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전단 증폭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 증폭기(20)의 이득은 1일 수 있다. 상기 전단 증폭기(20)는 자체 입력저항(Ri) 및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을 가진다. 이 등가 회로에서 생체 신호(Vs)에 대한 출력 신호(Vo)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an equivalent capacitor (capacitive Cs) form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non-contact electrode (not shown) is placed in place of the contact resistance Rs dispos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include a shear amplifier 20. The gain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may be one. The front end amplifier 20 has its own input resistance Ri and its own input capacitance Ci. In this equivalent circuit, the output signal Vo for the biosignal Vs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3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3

인체와 상기 비접촉식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non-contact electrode may have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등가 전기용량(Cs) 및 생체 신호(Vs)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신호 크기 비(Vo/Vs)을 나타낸다.FIG. 3 illustrates the signal capacitance ratio Vo / Vs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o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biosignal V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등가 전기용량(Cs)과 전단 증폭기(20)의 자체 입력 저항(Ri)은 고주파 통과 필터(HPF)를 형성한다. 생체 신호(Vs)의 주파수가 10 Hz인 경우, 상기 고주파 통과 필터(HPF)의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는 상기 생체 신호(Vs)의 주파수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통과 필터(HPF)에 의한 신호 감쇠는 없다.2 and 3,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its own input resistance Ri of the shear amplifier 20 form a high pass filter HPF. When the frequency of the biosignal Vs is 10 Hz,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 pass filter HPF may be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biosignal Vs. Thus, there is no signal attenuation by the high pass filter HPF.

그러나, 출력 신호(Vo)의 크기는 등가 전기용량(Cs)의 크기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보인다. 생체 신호(Vs)의 주파수가 상기 고주파 통과 필터(HPF)에 의한 차단 주파수보다 상당히 큰 경우, 수학식 3에서 분모의 두 번째 항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신호(Vo)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However,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varies considerably with the magnitude o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If the frequency of the biosignal V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cutoff frequency by the high pass filter HPF, the magnitude of the second term of the denominator can be relatively neglected in Equation 3. 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is given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4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4

수학식 4와 수학식 2를 비교하면, 비접촉식 신호 계측은 출력 신호(Vo)의 상당한 감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비접촉식 신호 계측은 불가능할 수 있다.Comparing equations (4) and (2), the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can cause significant attenuation of the output signal Vo. Thus, in some cases, contactless signal measurement may not be possible.

전단 증폭기(20)는 연산 증폭기(OP-AM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단 증폭기(20)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의 크기가 작을수록, 출력신호(Vo)의 크기는 증가한다. 또한 비접촉 전극과 인체 사이의 등가 전기용량(Cs)이 클수록, 출력 신호(Vo)의 크기는 증가한다. The front amplifier 20 may use an operational amplifier (OP-AMP). As the magnitude of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is smaller,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increases. In addition, as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between the non-contact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increases.

수학식 2와 수학식 4는 접촉식 계측과 비접촉식 계측의 결정적 차이를 보여준다. 출력 신호(Vo)의 크기는 통상적으로 전단 증폭기(20)의 후단에 배치된 증폭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증폭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증폭기는 잡음(Noise)도 함께 증폭한다. 따라서, 신호와 잡음의 판별이 어렵다.Equations 2 and 4 show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contact measurement and contactless measurement.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can typically be amplified using an amplifier (not shown) disposed behind the front end amplifier 20. In this case, however, the amplifier also amplifies the noi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signal and the noise.

수학식 4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전단 증폭기(20)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은 감소되고, 동시에 비접촉 전극과 인체 사이의 등가 전기용량(Cs)은 증가될 필요가 있다. 신호 크기 비(Vo/Vs)가 거의 1에 근접하도록, 전단 증폭기를(20) 포함하는 센서 회로가 필요하다. Referring to Equation 4, in order to detect the contactless signal, the self-input capacitance Ci of the front-end amplifier 20 needs to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between the non-contact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needs to be increased. There is a need for a sensor circuit comprising the front end amplifier 20 such that the signal magnitude ratio Vo / Vs is close to one.

접촉식 검출 방법과 비접촉식 검출 방법의 다른 차이는 전단 증폭기를 구동을 위한 바이어스 직류 전류(Ib)가 흐르는 경로의 존재 여부이다. 전단 증폭기(20)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 경로는 전단 증폭기의 올바른 동작을 위해서 필요하다.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 detection method and the non-contact detection method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th through which the bias DC current Ib for driving the shear amplifier. The input bias current path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is necessary for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front end amplifier.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접촉식 검출 방법에서는 전단 증폭기의 입력단에서 전극-피부의 접촉 저항(Rs)를 통해 인체 피부에 부착되는 접지 전극(미도시)을 거쳐 전단 증폭기(10)의 접지로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 경로가 존재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in the contact detection method, the input terminal of the front end amplifi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front end amplifier 10 via a ground electrode (not shown) attached to the human skin through the contact resistance Rs of the skin. There is a flowing bias current path.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검출 방법에서는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는 별도의 전류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 전단 증폭기(20)의 자체 입력 저항(Ri)을 통한 경로는 존재할 수 있다. 이 경로는 상기 전단 증폭기(2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지 못한다. 바이어스 전류(Ib)와 자체 입력 저항(Ri)에 의해 상기 전단 증폭기(20)의 출력이 포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단 증폭기(20)의 정상적인 동작은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접촉식 검출 방법은 쉽게 달성되기 어렵다.
Referring again to FIG. 2, in the non-contact detection method, there is no separate current path through which the bias current flows. There may be a path through its input resistance Ri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This path does not guarantee stable operation of the shear amplifier 20. The output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may be saturated by the bias current Ib and its own input resistance Ri. Thus, normal operation of the front end amplifier 20 is not guaranteed. Thus, the non-contact detection method is difficult to achieve easily.

[증폭기 안정적 동작을 위한 바이어스 회로][Bias Circuit for Stable Amplifier Operation]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문제점들(용량성 전압 분배에 의한 신호 감쇠와 바이어스 전류 경로 미확보로 인한 증폭기 동작 불능)을 해결해야 한다.In order to measure the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ignal attenuation due to capacitive voltage distribution and amplifier inoperability due to inaccurate bias current paths) must be solved.

먼저, 전단 증폭기의 올바른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바이어스 경로의 회로적 형성이 고려된다.First, correct operation of the shear amplifier is required. Thus, the circuit formation of the bias path is considered.

도 4는 바이어스 경로를 확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llustrates the simplest method of securing a bias path.

도 4를 참조하면, 전단 증폭기(30)의 입력단과 접지(GND) 사이에 바이어스 저항(32)이 삽입된다.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입력단에 존재하는 바이어스 전류(Ib)는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을 통해 접지로 흐른다. 따라서, 바이어스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단 증폭기(30)는 정상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bias resistor 32 is inser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front end amplifier 30 and the ground GND. The bias current Ib present at the input of the front end amplifier 30 flows to ground through the bias resistor 32. Thus, a bias current path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amplifier 30 can operate normally.

다만, 이 경우, 바이어스 전류(Ib)와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에 의한 전압 강하는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구동 전압 및 입력 공통 모드 전압(input common mode voltage)보다 작아야 한다. 회로적으로 도입된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은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저항(Ri)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의 저항값은 대개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저항(Ri)보다 상당히 작다. 따라서, 수학식 3에서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저항(Ri)은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으로 대체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bias current Ib and the bias resistor 32 should be smaller than the driving voltage and the input common mode voltage of the front amplifier 30. The bias resistor 32 introduced in circuit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its own input resistance Ri of the front end amplifier 30.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ias resistor 32 is usually significantly less than its own input resistance Ri of the shear amplifier 30. Therefore, in Equation 3,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of the front end amplifier 30 may be replaced with the bias resistor 32.

그에 따른 수학식 3을 참조하면, 등가 전기용량(Cs)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에 의해 형성된 고주파 통과 필터(HPF) 특성은 신호 주파수 변화에 따른 출력 신호(Vo)의 크기에 변동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출력 신호(Vo)는 상기 등가 전기용량(Cs)과 상기 전단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에 의한 용량성 전압 분배에 따른 신호 감쇠 및 상기 등가 전기용량(Cs)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에 의한 고주파 통과 필터(HPF)에 따른 신호 감쇠를 동반한다.Referring to Equation 3, the high capacitance filter HPF formed by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bias resistor 32 may provide a variation i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gnal frequency. Can be. That is, the output signal Vo is attenuated by the capacitive voltage distribution by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its own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ront end amplifier 30, and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Accompanied by signal attenuation due to the high pass filter HPF by the bias resistor 32.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에 의한 고주파통과필터(HPF)에 따른 신호 감쇠를 줄이기 위해서, 신호 회로와 바이어스 회로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류(DC) 성분의 바이어스 회로는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회로로 구성되고, 교류(AC) 성분의 신호 회로는 높은 임피던스를 갖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reduce signal attenuation caused by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HPF by the bias resistor 32,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signal circuit and the bias circuit. That is, the bias circuit of the direct current (DC) component is composed of a circuit having a low impedance, and the signal circuit of the alternating current (AC) component is configured to have a high impedance.

도 5는 부트스트랩 센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otstrap sensor circui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트스트랩 센서 회로는 제1 증폭기(41) 및 바이어스 저항(42a,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어스 저항(42a) 및 제2 바이어스 저항(42b)은 상기 제1 증폭기(41)의 양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기(41)의 출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41)의 음의 입력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바이어스 축전기(44)는 상기 전단 증폭기(4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42a) 및 제2 바이어스 저항(42b)의 접촉점(N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ootstrap sensor circuit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41 and bias resistors 42a and 42b. The first bias resistor 4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42b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1 and grou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1. The bias capacitor 44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ront end amplifier 41 and the contact point N1 of the first bias resistor 4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42b.

제1 바이어스 저항(42a)과 제2 바이어스 저항(42b)은 직류(DC) 바이어스 전류(Ib)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바이어스 저항(42a)과 제2 바이어스 저항(42b)은 비교적 낮은 임피던스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교류(AC) 성분의 신호에 대해서 상기 바이어스 축전기(44)는 단락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교류(AC) 성분의 신호에 대해서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42a)의 양단의 전위차는 거의 없고, 높은 임피던스 회로가 제공된다.The first bias resistor 4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42b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 direct current (DC) bias current Ib flows. In addition, the first bias resistor 4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42b may be set to have a relatively low impedance. The bias capacitor 44 acts as a short circuit for a signal of an alternating current (AC) component. Therefore, there is almost no potential difference across the first bias resistor 42a with respect to the signal of the alternating current (AC) component, and a high impedance circuit is provided.

도 4 및 도 5의 바이어스는 바이어스 전류가 바이어스 저항을 통해 접지(GND)로 직접 흐르는 접지 바이어스이다.4 and 5 are ground biases where the bias current flows directly through the bias resistor to ground (GN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회로는 부동 바이어스를 사용한다. 상기 부동 바이어스는 제1 증폭기(51)의 출력에 존재하는 직류(DC) 성분의 크기에 따라 입력 바이어스의 크기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바이어스 저항의 한쪽 끝이 접지(GND)가 아니라 부동 전위(Vb)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circuit uses a floating bias. The floating bias can actively adjust the magnitude of the input bia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irect current (DC) component present at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51. One end of the bias resistor is connected to floating potential Vb rather than ground GND.

비접촉식 신호 측정은 인체와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사이에 배치된 접촉 저항(Rs) 대신에 인체와 비접촉식 전극(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축전기(전기용량(Cs))가 놓인다.In the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an equivalent capacitor (capacitive Cs) form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non-contact electrode (not shown) is placed in place of the contact resistance Rs dispos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상기 센서 회로는 신호원의 측정신호(Vs)를 상기 등가 축전기를 통해 양의 입력단으로 입력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51) 및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51)의 안정적인 동작으로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51)의 이득은 1되고, 상기 제1 증폭기(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The sensor circui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of a signal source through the equivalent capacitor to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Vs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and the first amplifier ( And a bias circuit 53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s of 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51.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51 ha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상기 바이어스 회로(53)는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을 제공받아 시간 적분을 수행하는 반전 증폭 회로(56), 상기 제1 증폭기(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반전 증폭회로(56) 출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1 바이어스 저항(52a) 및 제2 바이어스 저항(52b), 및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52a)과 상기 제2 바이어스 저항(52b)의 접촉점(N1)과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바이어스 축전기(54)를 포함한다.The bias circuit 53 receives an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51 to perform time integration, an inverted amplifier circuit 56, a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and the inverted amplifier circuit 56. A first bias resistor 52a and a second bias resistor 52b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s, and a contact point N1 of the first bias resistor 5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52b and the first amplifier; And a bias capacitor 54 disposed between the output ends of 51.

상기 반전 적분 회로(56)는 바이어스 증폭기(55), 상기 바이어스 증폭기(55)의 양의 입력단에 연결된 기준 전압원(156),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단과 상기 바이어스 증폭기(55)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된 적분 저항(58), 상기 바이어스 증폭기(55)의 출력단과 상기 바이어스 증폭기(55)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적분 축전기(57)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 증폭기(55)의 출력단은 상기 제2 바이어스 저항(52b)에 연결된다. The integrating integrating circuit 56 includes a bias amplifier 55, a reference voltage source 156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bias amplifier 55,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and a negative voltage of the bias amplifier 55. An integral resistor 58 disposed between the input terminals of and an integration capacitor 57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bias amplifier 55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bias amplifier 55. The output terminal of the bias amplifier 55 is connected to the second bias resistor 52b.

상기 기준 전압원(156)의 전위(Vr)는 상기 제1 증폭기(51)가 ± V 구동 전압을 갖는 양극 전원으로 구동될 경우에는 0 V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 전압원(156)의 전위는 상기 제1 증폭기(51)가 +V 구동 전압을 갖는 단극 전원으로 구동될 경우에는 V/2일 수 있다.The potential Vr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156 may be 0 V when the first amplifier 51 is driven by a positive power source having a ± V driving voltage. Alternatively, the potential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156 may be V / 2 when the first amplifier 51 is driven by a single pole power source having a + V driving voltage.

상기 제2 바이어스 저항(52b)의 일단은 상기 접촉점(N1)에 연결되고, 제2 바이어스 저항(Rb2)의 타단은 접지(GND)가 아니라 부동 전위(Vb)에 연결된다. 상기 부동 전위(Vb)는 상기 반전 적분 회로(56)의 출력단의 전위이다. One end of the second bias resistor 52b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N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ias resistor Rb2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potential Vb instead of the ground GND. The floating potential Vb is a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integration circuit 56.

부동 바이어스 방식은 제1 증폭기(51) 출력의 직류 성분을 상기 반전 증폭 회로(56)의 기준 전압(Vr)과 같게 둘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1 증폭기(51)의 출력 전압(Vo)이 상기 기준 전압(Vr) 수준이 되도록, 상기 반전 적분 회로(56)는 부동 전위(Vb)를 상기 제2 바이어스 저항(52b)에 제공한다. 제1, 제2 바이어스 저항(52a, 52b)과 바이어스 전류(Ib)에 의한 전위차와 상기 부동 전위(Vb)가 제1 증폭기(51)의 양의 입력단의 입력 전위(Vin)에 기여한다. 상기 입력 전위(Vin)는 상기 제1 증폭기(51)의 출력단에 출력 신호(Vo)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1 증폭기(51)의 안정적인 바이어스 조건이 형성된다.The floating bias method has an advantage of allowing the DC component of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51 to be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Vr of the inverting amplifier circuit 56. The inversion integrated circuit 56 provides a floating potential Vb to the second bias resistor 52b so that the output voltage Vo of the first amplifier 51 is at the reference voltage Vr level. The potential difference due to the first and second bias resistors 52a and 52b and the bias current Ib and the floating potential Vb contribute to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The input potential Vin is represented as an output signal Vo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1. Thus, a stable bias condition of the first amplifier 51 is formed.

상기 바이어스 회로(53)는 상기 입력 전위(Vin)에 대해 고주파통과필터(HPF)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적분 저항(58)과 적분 축전기(57)는 상기 입력 전위(Vin)에 대해 고주파통과필터(HPF)의 차단 주파수를 결정한다.
The bias circuit 53 serves as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HPF with respect to the input potential Vin. That is, the integral resistor 58 and the integral capacitor 57 determine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HPF with respect to the input potential Vin.

[인체 피부와 측정 전극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잡음][Signal Noise Due to Relative Movement Between Human Skin and Measuring Electrod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회로는 신호원의 측정신호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251), 및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및 접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2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ensor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251 for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a signal sourc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ferring the measured signal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ground of the first amplifier 251. A bias circuit 253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and a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2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251 i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저항성 되먹임 회로(270)는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저항성 되먹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유효 입력 저항을 증가시킨다. 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27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 resistive feedback current is provided to the positive input of the first amplifier 251 to increase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first amplifier 251.

용량성 되먹임 회로(280)는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용량성 되먹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감소시킨다.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28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Capacitive feedback current is provided to the positive input of the first amplifier 251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irst amplifier 251.

비접촉식 신호 측정에서 인체 피부(201)와 비접촉식 측정 전극(202)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이 놓인다.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에서, 인체 피부(201)와 비접촉식 측정 전극(202)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한 잡음에 대해 논의해 본다. 인체 피부(201)는 생체 신호(Vs)를 가진다.In the non-contact signal measurement,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non-contact measurement electrode 202 is placed. In contactless biosignal measurement, noise due to relative movement between human skin 201 and contactless measurement electrode 202 will be discussed. Human skin 201 has a biosignal Vs.

수학식 4를 참조하면, 등가 전기용량(Cs)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출력 신호(Vo)의 크기는 증가한다. 즉,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에 의한 등가 전기용량(Cs) 값의 변동은 제1 증폭기(251)의 출력 신호(Vo)에 잡음으로 나타난다. 상기 측정 전극(202)과 인체 피부(201) 사이의 거리 변화는 상기 출력 신호(Vo)보다 훨씬 크게 잡음으로 출력된다.Referring to Equation 4, as the magnitude o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Vo increases. That is, variations i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values caused by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202 appear as noise in the output signal Vo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202 and the human skin 201 is output as a noise much larger than the output signal Vo.

상기 측정 전극(202)과 인체 피부(201)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 감소될 필요가 있다.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상기 등가 전기용량(Cs)의 의존성을 줄이면, 상기 측정 전극(202)과 인체 피부(201)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한 영향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정 전극(202)과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결합 축전기(204)가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 축전기(204)는 결합 전기용량(Cc)을 가진다. 상기 등가 전기용량(Cs)과 상기 결합 전기용량(Cc)은 축전기의 직렬 연결을 형성한다. 따라서, 알짜 총 결합 전기용량(Ct)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The influence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easurement electrode 202 and the human skin 201 needs to be reduced. Referring to Equation 4, by reducing the dependence o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the effect of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easurement electrode 202 and the human skin 201 can be reduced. For this purpose, a coupling capacitor 204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202 and the positive input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coupling capacitor 204 has a coupling capacitance Cc.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combined capacitance Cc form a series connection of capacitors. Therefore, the net total combined capacitance C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5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5

알짜 결합 전기용량(Ct)은 항상 상기 결합 전기용량(Cc)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알짜 결합 전기용량(Ct)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 등가 전기용량(Cs)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The net coupling capacitance Ct is always less than or equal to the coupling capacitance Cc. In addition, the net coupling capacitance Ct may be used in place o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in the equations (3) and (4).

상기 등가 전기용량(Cs)을 결합 전기용량(Cc)의 10배 수준으로 설정한다면 알짜 결합 전기용량(Ct)은 거의 결합 전기용량(Cc)과 같게 된다. 이 경우, 등가 전기용량(Cs)의 변동은 알짜 결합 전기용량(Ct)의 변화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측정 전극(202)과 인체 피부(201) 사이의 거리 변화에 기인한 등가 전기용량(Cs)의 변동은 상기 센서 출력(Vo)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If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is set at a level 10 times the coupling capacitance Cc, the net coupling capacitance Ct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coupling capacitance Cc. In this case, the variation i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hardly contributes to the change in the net coupling capacitance Ct. As a result, variations i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due to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202 and the human skin 201 are hardly seen at the sensor output Vo.

따라서,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한 미미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inor influence due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ing electrode 202 can be ignored.

[용량성 전압 분배에 의한 신호 감쇠 문제 해결 방안][Solution of Signal Attenuation Problem by Capacitive Voltage Distribution]

다음으로,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과 제1 증폭기(251)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에 의한 신호 감쇠 문제가 고려된다.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상기 등가 전기용량(Cs)은 클수록,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은 작을수록, 센서 회로의 출력 신호(Vo) 크기는 증가한다.Next, the problem of signal attenuation due to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202 and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251 is considered. Referring to Equation 4, the larger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the smaller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the larger the output signal (Vo) of the sensor circuit.

상기 등가 전기용량(Cs)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측정부위와 닿는 측정 전극(202)의 크기가 증가되거나,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 사이에는 피검자의 옷감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인체 피부(201)와 측정 전극(202) 사이의 거리의 감소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the size of the measuring electrode 202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portion may be increased or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ing electrode 202 may be reduced. However, the fabric of the examinee may be placed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202. Therefore, the reduction in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skin 201 and the measuring electrode 202 is limited.

예를 들어, 직경 6 cm의 원형의 측정 전극(202)이 인체 피부와 1 mm 간격을 두고 축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전기의 등가 전기용량(Cs)은 25 pF 수준이다. 제1 증폭기(251)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이 대략 10 pF인 것을 고려하면, 수학식 4에서 입력 신호(Vs)에 대한 출력 신호(Vo)의 비를 0.71 수준으로 얻는다. 상기 측정 전극(202)의 크기를 더 키우면, 상기 등가 전기용량(Cs)은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정 전극(202)의 크기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1 증폭기(251)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을 줄이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For example, a circular measuring electrode 202 having a diameter of 6 cm may form a capacitor at a distance of 1 mm from human skin. In this case,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of the capacitor is on the order of 25 pF. Considering that the self-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251 is approximately 10 pF, the ratio of the output signal Vo to the input signal Vs is 0.71 in Equation 4. If the size of the measuring electrode 202 is further increased,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may have a larger value. However,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measuring electrode 202. Thus,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251.

상기 제1증폭기로 사용되는 연산 증폭기(OP-AMP)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이 작은 부품을 선정하는 것이 그 일차적인 일이다. 그러나 이것은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어떠한 부품을 사용하든 상기 제1증폭기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을 줄이는 회로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상기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은 상기 제1증폭기를 포함하는 센서 회로의 입력 전기용량(Ce)을 의미한다. 이 값은 수학식 4에서 증폭기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을 대신한다.The primary task is to select a component having a small self-input capacitance Ci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AMP used as the first amplifier. But this is not the ultimate solution. Whatever components are used, there is a need for a circuit solution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of the first amplifier.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refers to the input capacitance Ce of the sensor circuit including the first amplifier. This value replaces the amplifier's own input capacitance Ci in equation (4).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회로는 측정신호(Vs)를 양의 입력단으로 입력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351),및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출력단 및 접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sensor circu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mplifier 351 tha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Vs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ground of the first amplifier 351 and the grou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amplifier 3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351.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3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3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351 i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용량성 되먹임 회로(380)는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입력단의 전위보다 큰 용량성 되먹임 전압(Vcf)을 되먹임 축전기(382)를 통하여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을 감소시킨다.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38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The capacitive feedback voltage Vcf greater than the potential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is provid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51 through a feedback capacitor 382, thereby providing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상기 용량성 되먹임 회로(380)는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출력을 입력받아 1 초과의 이득을 갖는 비반전 증폭회로(385), 및 상기 비반전 증폭회로(385)의 출력과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되먹임 축전기(382)를 포함한다. 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380 receives an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351 and receives a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385 having a gain greater than 1, and an output of the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385 and the first. A feedback capacitor 382 is coupl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s of the amplifier 351.

상기 비반전 증폭회로(385)는 용량성 되먹임 증폭기(381), 상기 용량성 되먹임 증폭기(381)의 음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1 이득 저항(383) 및 상기 용량성 되먹임 증폭기(381)의 음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이득 저항(384)을 포함한다. 상기 용량성 되먹임 증폭기(381)의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량성 되먹임 증폭기(381)의 출력단은 상기 되먹임 축전기(382)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되먹임 축전기(382)의 타단은 상기 제1 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The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385 includes a capacitive feedback amplifier 381, a first gain resistor 383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capacitive feedback amplifier 381 and ground, and the capacitive feedback amplifier 381. And a second gain resistor 384 coupl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positive input of the capacitive feedback amplifier 381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capacitive feedback amplifier 38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eedback capacitor 382. The other end of the feedback capacitor 382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first amplifier 351.

상기 제1증폭기(351)의 양의 입력단 관점에서 보면, 상기 제1증폭기(351)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 미도시)과 되먹임 전기용량(382, Cf)은 서로 병렬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증폭기(351)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은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과 상기 되먹임 전기용량(382, Cf)의 산술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은 상기 제1증폭기의 입력 전위(Vin)와 접지(GND)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용량이다. 따라서 상기 자체 입력 전기용량(Ci)은 양의 값으로 기여한다. 반면, 상기 되먹임 전기용량(382, Cf)은 상기 제1증폭기(351)의 입력 전위(Vin)와 용량성 되먹임 전압(Vcf)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용량이며 상기 용량성 되먹임 전압(Vcf)은 항상 상기 제1증폭기의 입력 전위(Vin) 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동위상으로 존재하므로 상기 되먹임 전기용량(382,Cf)은 음의 값으로 기여한다. 그 기여 정도는 상기 용량성 되먹임 전압(Vcf)과 상기 입력 전위(Vin)의 차이 정도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증폭기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은 항상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전기용량(Ci) 보다 작은 값을 갖게 된다.In terms of the positive input stage of the first amplifier 351, the self-input capacitance Ci (not shown) and the feedback capacitances 382 and Cf of the first amplifier 351 are in parallel coupled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of the first amplifier 351 may be expressed as an arithmetic sum of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feedback capacitances 382 and Cf.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is an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input potential Vin and the ground GND of the first amplifier.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thus contributes a positive value. On the other hand, the feedback capacitances 382 and Cf are capacitances formed betwee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first amplifier 351 and the capacitive feedback voltage Vcf, and the capacitive feedback voltage Vcf is always The feedback capacitances 382 and Cf contribute to a negative value because they exist in phase while having a value greater tha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first amplifier. The degree of contribu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capacitive feedback voltage Vcf and the input potential Vin. As a result,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of the first amplifier always has a value smaller than the self input capacitance Ci of the first amplifier.

양의 되먹임 회로 방식을 이용한 제1 증폭기(351)를 포함한 센서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의 크기 제어는 상기 제1 증폭기(351)의 바이어스 조건과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서도, 유효 입력 전기용량(Ce)은 양의 되먹임 방식으로 그 값을 줄일 수 있다.
The size control of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of the sensor circuit including the first amplifier 351 using the positive feedback circuit scheme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f the bias condition of the first amplifier 351. Thus, for any bias circuit,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e can be reduced in a positive feedback manner.

[증폭기 등가 입력 저항 키우기][Improving Amplifier Equivalent Input Resistanc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증폭기(3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제1 증폭기(30)의 입력단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32)의 값은 제1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저항(Ri)에 비해 훨씬 작다. 따라서, 수학식 3에서 분모의 두 번째 항은 더 이상 무시될 수 없다.Referring again to FIG. 4, the value of the bias resistor 32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0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30 is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of the first amplifier 30. Much smaller than that. Thus, in equation 3 the second term of the denominator can no longer be ignored.

통상적으로,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은 100 GΩ수준이다. 제1 증폭기(30)의 입력 저항(Ri)은 10 TΩ수준이다. 상기 제1 증폭기(30)의 자체 입력 저항(Ri)의 값은 바이어스 저항(32)의 100 배 크기이다.Typically, the bias resistor 32 is at the 100 GΩ level. The input resistance Ri of the first amplifier 30 is about 10 TΩ. The value of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of the first amplifier 30 is 100 times larger than the bias resistance 32.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을 연결하되, 신호 관점에서 상기 바이어스 저항(32)을 임피던스로 인식하지 않게 하는 회로적인 보상 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보상 수단은 등가 전기용량(Cs)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Rb)에 의해 형성된 고주파통과필터(HPF) 작용에 기인한 신호 감쇠를 제거할 수 있다.There is a need for a circuit compensation means that connects the bias resistor 32 but does not recognize the bias resistor 32 as an impedance from a signal point of view. The compensation means may eliminate signal attenua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HPF formed by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and the bias resistor Rb.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센서 회로는 측정신호(Vs)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451),및 Referring to FIG. 9, the sensor circuit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451 which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Vs to an output terminal, and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단 및 접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453)를 포함한다.A bias circuit 453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n output terminal and ground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a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451. do.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4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4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451 i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저항성 되먹임 회로(470)는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입력단의 전위보다 큰 저항성 되먹임 전압(Vrf)을 되먹임 저항(472)을 통하여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1증폭기(451)의 유효 입력 저항(Re)을 증가시킨다.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47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A resistive feedback voltage Vrf greater than the potential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is provid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via a feedback resistor 472 to provide an effective input of the first amplifier 451. Increase the resistance (Re).

상기 저항성 되먹임 회로(470)는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을 입력받아 1 초과의 이득을 갖는 비반전 증폭회로(475), 및 상기 비반전 증폭회로(475)의 출력과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되먹임 저항(472)을 포함한다.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470 receives an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has a gain greater than one, and an output of the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475 and the first amplifier. And a feedback resistor 472 coupl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of 451.

상기 비반전 증폭회로(475)는 저항성 되먹임 증폭기(471), 상기 저항성 되먹임 증폭기(471)의 음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1 이득 저항(473) 및 상기 저항성 되먹임 증폭기(471)의 음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이득 저항(474)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성 되먹임 증폭기(471)의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성 되먹임 증폭기(471)의 출력단은 상기 되먹임 저항(472)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되먹임 저항(472)의 타단은 상기 제1 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The non-inverting amplifier circuit 475 includes a resistive feedback amplifier 471, a negative gain of the resistive feedback amplifier 471 and a first gain resistor 473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resistive feedback amplifier 471 and ground. And a second gain resistor 474 coupled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resistive feedback amplifier 47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sistive feedback amplifier 47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eedback resistor 472. The other end of the feedback resistor 472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first amplifier 451.

상기 제1증폭기(451)의 양의 입력단 관점에서 보면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저항(Ri, 미도시)과 상기 바이어스 회로(453)에 포함된 바이어스 저항(Rb, 미도시) 그리고 상기 되먹임 저항(472, Rf)은 서로 병렬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증폭기(451)의 유효 입력 저항(Re)의 역수는 상기 제1증폭기(451)의 자체 입력 저항(Ri)의 역수와 상기 바이어스 저항(Rb)의 역수 그리고 상기 되먹임 저항(472, Rf)의 역수의 산술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저항(Ri)은 상기 제1증폭기(451)의 입력 전위(Vin)와 접지(GND) 사이에 형성된 전기 저항이다. 따라서 상기 자체 입력 저항(Ri)은 양의 역수 값으로 기여한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 저항(Rb)은 상기 제1증폭기(451)의 입력 전위(Vin)와 접지(GND) 또는 부동 전위(Vb, 미도시) 사이에 형성된 저항으로서 양의 역수 값으로 기여한다. 반면, 상기 되먹임 저항(472, Rf)은 상기 제1증폭기(451)의 입력 전위(Vin)와 저항성 되먹임 전압(Vcf)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저항이며 상기 저항성 되먹임 전압(Vrf)은 항상 상기 제1증폭기의 입력 전위(Vin) 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동위상으로 존재하므로 상기 되먹임 저항(472, Rf)은 음의 역수 값으로 기여한다. 그 기여 정도는 상기 저항성 되먹임 전압(Vrf)과 상기 입력 전위(Vin)의 차이 정도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증폭기의 유효 입력 저항(Re)은 항상 상기 제1증폭기의 자체 입력 저항(Ri)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Rb)의 조화평균 보다 큰 값을 갖게 된다.In terms of the positive input stage of the first amplifier 451, the self-input resistor Ri (not shown) of the first amplifier, the bias resistor Rb (not shown) included in the bias circuit 453, and the feedback resistor are included. 472 and R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ccordingly, the inverse of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Re of the first amplifier 451 is the inverse of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of the first amplifier 451, the inverse of the bias resistor Rb, and the feedback resistance 472. It can be expressed as the arithmetic sum of the inverse of Rf).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of the first amplifier is an electrical resistance formed betwee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the ground GND. The self input resistance Ri thus contributes to a positive inverse value. The bias resistor Rb is a resistor formed betwee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the ground GND or the floating potential Vb (not shown) and contributes to a positive inverse value. On the other hand, the feedback resistors 472 and Rf are electrical resistances formed betwee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first amplifier 451 and the resistive feedback voltage Vcf, and the resistive feedback voltage Vrf is always the first. The feedback resistors 472 and Rf contribute to negative reciprocal values because they are in phase with a value greater than the input potential Vin of the amplifier. The degree of contribu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resistive feedback voltage Vrf and the input potential Vin. As a result,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Re of the first amplifier always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harmonic mean of its own input resistance Ri and the bias resistor Rb of the first amplifier.

상술한 방식의 제1 증폭기(451)를 포함한 센서 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Re)의 크기 제어는 바이어스 회로, 용량성 되먹임 회로 등과는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바이어스 회로는 제1 증폭기의 안정적 동작을 위해서 필요하다. 유효 입력 저항(Re)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 또는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는 선택적으로 센서회로에 제공될 수 있다.
The size control of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Re of the sensor circuit including the first amplifier 451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f the bias circuit, 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and the like. A bias circuit is necessary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that increases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Re or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that reduces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can optionally be provided to the sensor circuit.

[전기적 비접촉식 계측을 실현하기 위한 센서 회로들][Sensor Circuits for Realizing Electrical Non-Contact Measurements]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적 비접촉 전위 센서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 회로는 제1 증폭기(251) 및 바이어스 회로(253)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유효 입력 저항(Re)을 증가시키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270)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감소시키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280)는 선택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7, a sensor circuit for implementing an electrical non-contact potential sensor includes a first amplifier 251 and a bias circuit 253. However,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270 that increases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Re of the first amplifier 251 or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280 that reduces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may be selectively introduced.

상기 바이어스 회로(253)는 접지 바이어스, 부트스트랩 접지 바이어스, 그리고 부동 바이어스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센서 회로는 상기 저항성 되먹임 회로(270) 및/또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2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as circuit 253 may be a ground bias, a bootstrap ground bias, and a floating bias circuit. The sensor circuit may include 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270 and / or 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28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 회로는 신호원의 측정신호(Vs)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551), 및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5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ensor circuit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551 tha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of a signal source, directly or indirectly,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A bias circuit 553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amplifier 5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551.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5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5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551 i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측정 전극(502)은 상기 신호원에 전기적으로 비접촉하여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측정 전극(502)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 또는 신호원에 대향하는 상기 측정 전극(502)의 일면은 절연체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극(502)은 도전성 직물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measuring electrode 502 is disposed adjacent to and electrically contactless with the signal source. The measurement electrode 502 may be made of metal, and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502 facing the measurement object or signal source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or. The measuring electrode 502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abric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결합 축전기(504)는 상기 측정 전극(502)과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축전기(504)의 전기용량(Cc)은 상기 신호원과 상기 측정 전극(502)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축전기(504)의 전기용량(Cc)은 등가 전기용량(Cs)의 1/10배 정도일 수 있다.The coupling capacitor 504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502 and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504 may be smaller tha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signal source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502. Preferably,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504 may be about 1/10 times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가드부(506)는 상기 측정 전극(502) 또는 상기 결합 축전기(50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싼다. 상기 가드부(506)는 상기 결합 축전기(504)와 연결되는 상기 측정 전극(502)의 한쪽 면, 상기 결합 축전기(504)와 상기 측정 전극(502)을 연결하는 도선, 및 상기 결합 축전기(50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가드부(506)는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그 출력 전압(Vo)과 같은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드부(506)는 도전성 그물 또는 도전성 케이블일 수 있다.The guard part 506 surrounds all or part of the measuring electrode 502 or the coupling capacitor 504. The guard part 506 is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502 connected to the coupling capacitor 504, a conductor connecting the coupling capacitor 504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502, and the coupling capacitor 504. ) May be wrapped around at least one. The guard unit 506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and maintained at the same voltage as the output voltage Vo. The guard part 506 may be a conductive net or a conductive cable.

센서 회로는 제1 증폭기(551), 바이어스 회로(553), 되먹임 회로(570)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회로(553)는 부동 바이어스 회로일 수 있다.The sensor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551, a bias circuit 553, and a feedback circuit 570. The bias circuit 553 may be a floating bias circuit.

상기 바이어스 회로(553)는 제2 증폭기(555), 바이어스 저항(552), 적분 축전기(557), 및 적분 저항(5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증폭기(555)는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출력단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한다.The bias circuit 553 may include a second amplifier 555, a bias resistor 552, an integrated capacitor 557, and an integrated resistor 558. The second amplifier 555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and provides a bias current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상기 바이어스 저항(552)은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과 제2 증폭기(555)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적분 축전기(557)는 상기 제2 증폭기(555)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증폭기(555)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적분 저항(558)은 상기 제2 증폭기(555)의 상기 음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The bias resistor 552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555. The integrating capacitor 557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555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555. An integration resistor 558 is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of the second amplifier 555 and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551.

상기 제2 증폭기(555)의 양의 입력단은 기준 전위(556, Vr)에 연결된다. 기준 전위는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Vo) 기준 전위가 된다. 상기 증폭기들의 구동 전원이 ± V 양전원이면, 상기 기준 전위는 0V(접지, GND)일 수 있다. 한편, 구동 전원이 +V의 단전원이면, 상기 기준 전위는 V/2일 수 있다.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555 is connected to a reference potential 556 (Vr). The reference potential is the output Vo reference potential of the first amplifier. When the driving power of the amplifiers is ± V positive power, the reference potential may be 0V (ground, GND). 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power supply is a + V single power supply, the reference potential may be V / 2.

상기 되먹임 회로(570)는 제3 증폭기(571), 되먹임 축전기(572b), 되먹임 저항(572a), 제1 저항(573), 및 제2 저항(574)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증폭기(571)는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에 되먹임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되먹임 축전기(572b)는 상기 제1 증폭기(551)의 양의 입력단과 제3 증폭기(57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되먹임 저항(572a)은 상기 되먹임 축전기(572b)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저항(573)은 상기 제3 증폭기(571)의 음의 입력단과 기준 전위(575, Vr)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기준 전위(575, Vr)는 상기 바이어스 회로(553)의 기준 전위(556, Vr)와 같은 값을 갖는다. 상기 제2 저항(574)은 상기 제3증폭기(571)의 출력단과 제3 증폭기(571)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증폭기(571)의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다.The feedback circuit 570 includes a third amplifier 571, a feedback capacitor 572b, a feedback resistor 572a, a first resistor 573, and a second resistor 574. The third amplifier 571 provides a feedback current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The feedback capacitor 572b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5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571. The feedback resistor 572a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eedback capacitor 572b. The first resistor 573 is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571 and the reference potentials 575 and Vr. The reference potentials 575 and Vr have the same value as the reference potentials 556 and Vr of the bias circuit 553. The second resistor 574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571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571.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57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llustrates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센서 회로는 신호원의 측정신호(Vs)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651), 및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양의 입력단과 접지(GND)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6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6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sensor circui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of a signal sourc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positive amount of the first amplifier 651. A bias circuit 653 is dispos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ground GND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651.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6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651 ha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측정 전극(602)은 상기 신호원에 전기적으로 비접촉하여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측정 전극(602)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에 대향하는 측정 전극(602)의 일면은 절연체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극(602)은 도전성 직물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measuring electrode 602 is arrang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d adjacent to the signal source. The measurement electrode 602 may be made of a metal, and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602 facing the measurement object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or. The measuring electrode 602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abric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결합 축전기(604)는 상기 측정 전극(602)과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축전기(604)의 전기용량(Cc)은 상기 신호원과 상기 측정 전극(602)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축전기(604)의 전기용량(Cc)은 등가 전기용량(Cs)의 1/10배 정도일 수 있다.The coupling capacitor 604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602 and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604 may be smaller tha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signal source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602. Preferably,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604 may be about 1/10 times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가드부(606)는 상기 측정 전극(602) 또는 상기 결합 축전기(60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싼다. 상기 가드부(606)는 상기 결합 축전기(604)와 연결되는 상기 측정 전극(602)의 한쪽 면, 상기 결합 축전기(604)와 상기 측정 전극(602)을 연결하는 도선, 및 상기 결합 축전기(60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가드부(606)는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그 출력 전압(Vo)과 같은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드부(606)는 도전성 그물 또는 도전성 케이블일 수 있다.The guard portion 606 surrounds all or part of the measuring electrode 602 or the coupling capacitor 604. The guard part 606 is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602 connected to the coupling capacitor 604, a conductor connecting the coupling capacitor 604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602, and the coupling capacitor 604. ) May be wrapped around at least one. The guard unit 606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and maintained at the same voltage as its output voltage Vo. The guard part 606 may be a conductive net or a conductive cable.

센서 회로는 제1 증폭기(651), 바이어스 회로(653), 되먹임 회로(670)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회로(653)는 접지 바이어스 회로일 수 있다. 되먹임 회로(670)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일 수 있다.The sensor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651, a bias circuit 653, and a feedback circuit 670. The bias circuit 653 may be a ground bias circuit. The feedback circuit 670 may be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상기 바이어스 회로(653)는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양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어스 저항(652)을 포함한다.The bias circuit 653 includes a bias resistor 652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and ground.

상기 되먹임 회로(670)는 제3 증폭기(671), 되먹임 저항(672), 제1 저항(673), 및 제2 저항(674)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증폭기(671)는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입력단에 되먹임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되먹임 저항(672)은 상기 제3 증폭기(67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저항(673)은 상기 제3 증폭기(671)의 음의 입력단과 접지(GND)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저항(674)은 상기 제3 증폭기(671)의 출력단과 제3 증폭기(671)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증폭기(671)의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65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 회로는 양극 전원으로 구동된다.The feedback circuit 670 includes a third amplifier 671, a feedback resistor 672, a first resistor 673, and a second resistor 674. The third amplifier 671 provides a feedback curren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The feedback resistor 672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671 and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The first resistor 673 is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671 and the ground GND. The second resistor 674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671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671.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67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651, and the sensor circuit is driven by a positive power sourc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2 illustrates a sensor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센서 회로는 신호원의 측정신호(Vs)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751), 및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안정적인 동작으로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7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751)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sensor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751 that directly or indirectly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Vs of a signal source and transmit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 bias circuit 753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amplifier 7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751.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so that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7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751 has a voltage follower ( voltage follower).

측정 전극(702)은 상기 신호원에 전기적으로 비접촉하여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측정 전극(702)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대상에 대향하는 측정 전극(702)의 일면은 절연체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극(702)은 도전성 직물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measuring electrode 702 is disposed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d adjacent to the signal source. The measurement electrode 702 may be made of a metal, and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702 facing the measurement object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or. The measuring electrode 702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abric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결합 축전기(704)는 상기 측정 전극(702)과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축전기(704)의 전기용량(Cc)은 상기 신호원과 상기 측정 전극(702) 사이에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축전기(704)의 전기용량(Cc)은 등가 전기용량(Cs)의 1/10배 정도일 수 있다.The coupling capacitor 704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702 and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704 may be smaller tha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etween the signal source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702. Preferably, the capacitance Cc of the coupling capacitor 704 may be about 1/10 times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가드부(706)는 상기 측정 전극(702) 또는 상기 결합 축전기(70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싼다. 상기 가드부(706)는 상기 결합 축전기(704)와 연결되는 상기 측정 전극(702)의 한쪽 면, 상기 결합 축전기(704)와 상기 측정 전극(702)을 연결하는 도선, 및 상기 결합 축전기(70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위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가드부(706)는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그 출력 전압(Vo)과 같은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드부(706)는 도전성 그물 또는 도전성 케이블일 수 있다.The guard portion 706 surrounds all or part of the measuring electrode 702 or the coupling capacitor 704. The guard part 706 is one surface of the measurement electrode 702 connected to the coupling capacitor 704, a conductor connecting the coupling capacitor 704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702, and the coupling capacitor 704. ) May be wrapped around at least one. The guard unit 706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nd maintained at the same voltage as the output voltage Vo. The guard part 706 may be a conductive net or a conductive cable.

센서 회로는 제1 증폭기(751), 바이어스 회로(753), 용량성 되먹임 회로(78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753)는 부동 바이어스 회로일 수 있다.The sensor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751, a bias circuit 753, and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780. The bias circuit 753 may be a floating bias circuit.

상기 바이어스 회로(753)는 제2 증폭기(755),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저항(752a,752b), 적분 축전기(757), 적분 저항(758), 및 축전기(7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증폭기(755)는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양의 입력단에 바이어스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이어스 저항(752a,752b)은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양의 입력단과 제2 증폭기(755)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적분 축전기(757)는 상기 제2 증폭기(755)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증폭기(755)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적분 저항(758)은 상기 제2 증폭기(755)의 음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축전기(754)는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출력단과 상기 제1 바이어스 저항(752a) 및 제2 바이어스 저항(752b)의 점촉점(N1) 사이에 연결된다.The bias circuit 753 includes a second amplifier 755, first and second bias resistors 752a and 752b, an integrated capacitor 757, an integrated resistor 758, and a capacitor 754. The second amplifier 755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nd provides a bias current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The first and second bias resistors 752a and 752b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755. The integral capacitor 757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755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755. The integration resistor 758 is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755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The capacitor 754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nd the point of contact N1 of the first bias resistor 752a and the second bias resistor 752b.

상기 제2 증폭기(755)의 양의 입력단은 기준 전위(756, Vr)에 연결된다. 기준 전위는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Vo) 기준 전위가 된다. 상기 증폭기들의 구동 전원이 ± V 양전원이면, 상기 기준 전위는 0V(접지, GND)일 수 있다. 한편, 구동 전원이 +V의 단전원이면, 상기 기준 전위는 V/2일 수 있다.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755 is connected to a reference potential 756, Vr. The reference potential is the output Vo reference potential of the first amplifier. When the driving power of the amplifiers is ± V positive power, the reference potential may be 0V (ground, GND). On the other hand, if the driving power supply is a + V single power supply, the reference potential may be V / 2.

용량성 되먹임 회로(780)는 제3 증폭기(781), 되먹임 축전기(782), 제1 저항(783), 및 제2 저항(784)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증폭기(781)는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입력단에 되먹임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되먹임 축전기(782)는 상기 제1 증폭기(751)의 양의 입력단과 제3 증폭기(781)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저항(783)은 상기 제3 증폭기(781)의 음의 입력단과 기준 전위(785, Vr)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기준 전위(785, Vr)는 상기 바이어스 회로(753)의 기준 전위(756, Vr)와 같은 값을 갖는다. 상기 제2 저항(784)은 상기 제3 증폭기(781)의 출력단과 제3 증폭기(781)의 음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증폭기(781)의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다.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780 includes a third amplifier 781, a feedback capacitor 782, a first resistor 783, and a second resistor 784. The third amplifier 781 provides a feedback current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The feedback capacitor 782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7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781. The first resistor 783 is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781 and the reference potentials 785 and Vr. The reference potentials 785 and Vr have the same value as the reference potentials 756 and Vr of the bias circuit 753. The second resistor 784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781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781.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78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전기적 비접촉식 생체 신호 계측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Electrical Non-contact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도 13을 참조하면, 측정 장치는 인체(801)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801)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 상기 제1 전극(812)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822), 상기 제2 전극(814)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824),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822)의 제1 출력 신호(Vo1)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824)의 제2 출력 신호(Vo2)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VE)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8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measuring devic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first electrode 812,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801, and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801. A second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814, a ground electrode 816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814,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not directly contacting the human body. 822, a second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824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a first output signal Vo1 and the second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824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822.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826 extrac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V E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상기 제1 전극(812)은 연결선(821)을 통해서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8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연결선(821)을 통해서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824)에 연결된다. 상기 각 연결선(821)은 가드 처리된 동축선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822 through a connection line 821,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824 through a connection line 821. Is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line 821 may be a guarded coaxial line.

상기 제1 전극(812)은 연결선(821)을 통해서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8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연결선(821)을 통해서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824)에 연결된다. 상기 각 연결선(821)은 가드 처리된 동축선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822 through a connection line 821,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824 through a connection line 821. Is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line 821 may be a guarded coaxial line.

접지 전극(816)은 단일 도선을 통해 측정 장치의 접지(GND)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전극(816)은 상기 제1 전극(812) 및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801)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GND of the measuring device through a single lead.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801.

상기 제1 전극(812), 제2 전극(814), 및 접지 전극(816)은 전기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엉덩이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812,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embedded in an electrical insulator and mounted on the hip part of the human body.

또는, 상기 제1 전극(812), 제2 전극(814), 및 접지 전극(816)이 전기 절연체에 매설되고, 상기 인체의 등 부위에는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이 배치되고, 엉덩이 부위에는 상기 접지 전극(816)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체전기 신호는 호흡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812,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are embedded in an electrical insulator, and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re located at the back of the human body. ) May be disposed,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disposed at a hip portion. In this case, the bioelectric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breathing signal.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는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Vs)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251), 및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및/또는 접지(GND)와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s are provided with a first amplifier 251 for receiving the biopotential (Vs) of the human body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m to an out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 or ground of the first amplifier 251. A bias circuit 253 disposed between the GND and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251 is 1, and the first amplifier may be configured as a voltage follower.

저항성 되먹임 회로(270)는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저항성 되먹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증폭기(251)의 등가 입력 저항(Re)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resistive feedback circuit 27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resistive feedback current may be provided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o increase the equivalent input resistance Re of the first amplifier 251.

용량성 되먹임 회로(280)는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출력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251)의 양의 입력단으로 용량성 되먹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증폭기(251)의 등가 입력 전기용량(Ce)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apacitive feedback circuit 280 is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and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By providing a capacitive feedback current to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251, the equivalent input capacitance Ce of the first amplifier 251 may be reduced.

제1 결합 축전기(204a)는 상기 제1 전극(812)과 상기 제1 전단 증폭 회로(8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축전기(204b)는 상기 제2 전극(814)과 상기 제2 전단 증폭 회로(8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축전기(204a) 및 상기 제2 결합 축전기(204b)는 인체 피부와 제1 및 제2 전극들(812,814)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한 신호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capacitor 204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822.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204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824.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204a and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204b may reduce signal noise due to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uman skin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812 and 814.

제1 가드부(206a)는 상기 제1 결합 축전기(204a)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전극(812)의 일면, 상기 제1 전극(812)과 상기 제1 결합 축전기(204a)를 연결하는 도선, 및 상기 제1 결합 축전기(204a)를 둘러쌀 수 있다.The first guard part 206a may be a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812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204a, a conductive line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204a, And surround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204a.

제2 가드부(206b)는 상기 제2 결합 축전기(204b)와 연결되는 상기 제2 전극(814)의 일면, 상기 제2 전극(814)과 상기 제2 결합 축전기(204b)를 연결하는 도선, 및 상기 제2 결합 축전기(204b)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 가드부(206a) 및 상기 제2 가드부(206b)는 각각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되어 각 상기 제1 출력 신호(Vo1)와 제2 출력 신호(Vo2)와 같은 전위로 구동될 수 있다.The second guard part 206b is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814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204b, a conductive line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204b, And surround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204b. The first guard portion 206a and the second guard portion 206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nd driven at the same potential as the first output signal Vo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respectively. Can be.

상기 차동 증폭부(826)는 입력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주파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822,824)의 출력(Vo1,Vo2)은 상기 차동 증폭부(826)에 입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차동 증폭부(826)는 제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출력(Vo1,Vo2)에 존재할 수 있는 직류 오프셋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동 증폭부(826)는 공통모드 전압이 억제된 생체 전기 신호(VE)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may have a high frequency filter function to remove an input DC component. Outputs Vo1 and Vo2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s 822 and 824 are provided as inputs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may include a circuit element for removing a DC offset that may exist at the outputs Vo1 and Vo2 of the first and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s.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may output the bioelectric signal V E in which the common mode voltage is suppressed.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831)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에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831)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신호(VE)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대역 제거 필터(832), 상기 대역 제거 필터(832)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고주파 통과 필터(834),상기 고주파 통과 필터(834)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836), 및 상기 저주파 통과 필터(836)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증폭기(83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alog signal processor 831 may remove noise from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The analog signal processor 831 is provided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band elimination filter 832 and the band elimination filter 832, which receives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as an input. A high pass filter 834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low pass filter 836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high pass filter 834 as an input, and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836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n amplifier 838.

상기 대역 제거 필터(832)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60 또는 50Hz)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통과 필터(834)의 차단 주파수는 생체 전기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심전도 신호의 경우 0.1 Hz 일 수 있다. 상기 저주파 통과 필터(836)의 차단 주파수는 생체 전기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심전도 신호의 경우 150 Hz 일 수 있다.The band reject filter 832 may remove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 (60 or 50 Hz) noise.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 pass filter 834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in the case of an electrocardiogram signal, may be 0.1 Hz.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836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may be 150 Hz for an ECG signal.

대역 제거 필터(832)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에 포함된 상용 전원 잡음을 줄일 수 있다. 고주파통과필터(834)는 출력 신호(VE)에 포함된 직류 성분이나 낮은 주파수의 요동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저주파통과필터(836)는 출력 신호(VE)에 포함되는 높은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The band cancellation filter 832 may reduce commercial power noise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834 may remove a DC component or a low frequency fluctuation noise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V E. The low pass filter 836 may remove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V E.

증폭부(838)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을 위하여 충분히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증폭부(838)는 디지털 변환을 위해 아날로그 신호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증폭부의 출력 신호(VECG)는 완전한 생체 전기 신호(예를 들면, 심전도 신호) 형태를 가진다.The amplifier 838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signal sufficiently for analog-digital signal conversion. The amplifier 838 adjusts the size of the analog signal for digital conversion. The output signal V ECG of the amplifier has a form of a complete bioelectrical signal (e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디지털 처리부(872)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831)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처리부(872)는 상기 증폭부(838)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신호를 표시 및/또는 추가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gital processor 872 may analog-to-digital convert the output signal of the analog signal processor 831, process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into digital, and transmit data to the controller (not shown) by wire or wirelessly.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mputer. The digital processor 872 may digitally convert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838.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digital signal and / or perform an additional operation.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의 출력 신호는 유선형의 USB 포트를 통하여 전송되거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형식으로 상기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USB 포트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내부 전력은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생체신호 측정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송의 경우, 상기 측정 장치는 축전지(battery) 또는 무선 전력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signal of the digital processing unit 872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d USB port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 a wireless form such as Bluetooth. When transmitting through the USB port, the internal power of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to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rough the USB por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ireless transmission, th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battery 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ans.

상기 생체 전기 신호(VE)는 피검자가 상기 전극들(812,814)에 안정적으로 움직임 없이 밀착되어 있을 경우에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피검자 움직임에 의한 신호 변동을 줄이기 위한 결합 축전기들(204a,204b)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피검자 요동은 상기 생체 전기 신호(VE)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요동은 심전도 기반의 심박 신호 검출을 어렵게 한다. The bioelectrical signal V E may be stably secured when the subject is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s 812 and 814 without movement. The measuring device may use coupling capacitors 204a and 204b to reduce signal fluctuations caused by subject movement. Nevertheless, the subject fluctuation may affect the bioelectrical signal V E. The subject's fluctuations make it difficult to detect an ECG-based heartbeat signal.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 요동을 억제할 강력한 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생체 전기 신호(VE)에 포함된 낮은 주파수 성분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억제하고, 높은 주파수 성분(심전도 R 피크)은 강화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그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 방식이 신호에 대한 시간 미분이다.Therefore, a powerful means for suppressing signal fluctuations in the low frequency band is required. Means for relatively low suppression of low frequency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ioelectrical signal V E and high frequency components (electrocardiogram R peaks) are required. The signal processing scheme that performs that function is the time derivative of the signal.

심전도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하여, 대역제거 필터(832)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에서 전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peak of the ECG signal, the band removing filter 832 may remove power supply noise from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미분회로부(842)는 상기 대역제거 필터(83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미분 처리할 수 있다. 저주파 통과필터(846)는 상기 미분회로부(842)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높은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통과필터(846)는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circuit unit 842 may receive an output signal of the band pass filter 832 as an input and perform differential processing. The low pass filter 846 may receive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unit 842 as an input to remove nois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The low pass filter 846 may output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상기 미분회로부(842)는 상기 대역제거필터(832)의 출력 신호에서 1차 이상의 시간 미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분회로(842)의 출력 신호는 저주파통과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는 온전한 전통적인 심전도 신호와 다른 형태를 가진다.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심전도 신호와 함께 표시 및/또는 활용될 수 있다.The differential circuit unit 842 may perform time differential of at least one order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band pass filter 832.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842 may be low pass filtered.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has a different form from the intact traditional ECG signal.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the digital processor 872 to be displayed and / or utilized together with the ECG signal.

피크 검출부(848)는 상기 저주파 통과필터(846)의 출력 신호(DVECG)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의 피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는 안정적인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심박 펄스 신호(VHBP)를 얻기 위한 신호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피크 검출부(848)는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에서 심전도의 R 피크에 동기된 상승 또는 하강 모서리를 갖는 심박 펄스 신호(VHBP)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심박 펄스 신호(VHBP)는 그 간격으로 심박 변이율(HRV, Heart Rate Variability) 신호를 제공한다. 심박변이율(HRV) 신호의 분석을 통해 자율신경계 정보가 파악될 수 있다. 상기 심박 펄스 신호(VHBP)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심박변이율(HRV) 신호의 생성 및 그 신호의 분석은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peak detector 848 may receive the output signal DV ECG of the low pass filter 846 as an input and detect a peak of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has a stable characteristic.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as a signal source for obtaining the heartbeat pulse signal V HBP . The peak detector 848 may generate a heartbeat pulse signal V HBP having a rising or falling edg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 peak of an electrocardiogram from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The heart rate pulse signal V HBP provides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signal at that interval. Autonomic nervous system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HRV signals. The heartbeat pulse signal V HBP may be provided to the digital processor 872. The generation of the HRV signal and the analysis of the signal may be performed by the digital processor 872 or the controller.

한편,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의 주위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8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852)는 3축-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852)는 피검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852)의 출력 신호를 제공받아 생체 전기 신호(VE, VECG)에 포함된 움직임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Th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852 disposed around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The acceleration sensor 852 may b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852 may detect a movement of a subject. The digital processor 872 or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to remove motion noise included in the bioelectrical signals V E and V ECG .

상기 가속도 센서(852)는 피검자의 행동 방식 분석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852)의 출력은 그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부(8654)를 거쳐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에 전달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852 may provide a signal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the examinee. The output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may be transmitted to the digital processing unit 872 via a signal adjusting unit 8644 for adjusting the size thereof.

상기 가속도 센서(852)의 출력 신호 중 일부 및/또는 상기 차동 증폭부 출력신호(VE)는 부착 검출부(856)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부착 검출부(856)는 상기 가속도 센서(852)의 출력 신호 중 일부 및/또는 상기 차동 증폭부 출력신호(VE)의 각 진폭을 각각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각각 적합한 기준에 부합하면 상기 인체(801)가 상기 제1 전극(812), 제2 전극(814), 및 접지 전극(816)에 올바르게 안착되었음을 판정한다. Som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and / or the differential amplifier output signal V E may be input to the attachment detector 856. The attachment detecting unit 856 compares a part of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and / or each amplitude of the differential amplifying unit output signal V E with a respective reference value and meets an appropriate standard,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that 801 is correctly seated on the first electrode 812,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상기 부착 검출부(856)는 착석 여부를 판단하여 착석 검출 신호를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착석 검출 신호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를 활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속성을 제어하거나, 센서 고장 여부를 판정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attachment detector 856 may determine whether to sit and provide a seat detection signal to the digital processor 872. The seating detection signal may be used for controlling the property of an application program utilizing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determining the sensor failure.

진동 주파수 검출부(미도시)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VZ)의 진동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대역 제거 필터는 상기 생체 전기 신호(VE,VECG)에서 상기 진동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체 전기 신호(VE,VECG)에 포함된 움직임 잡음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주파수 검출부 및 상기 대역 제거 필터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 내부에 존재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주파수의 제거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가 이동 수단에 장착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The vibration frequency detector (not shown) may detect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V Z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 band elimination filter may remove the vibration frequency from the bioelectric signals V E and V ECG . Accordingly, motion noise included in the bioelectric signals V E and V ECG may be removed. The vibration frequency detector and the band elimination filter may be configured to exist inside the digital processor 872 or may exist within the controller. The removal of the vibration frequency may be useful whe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moving means.

상기 측정 장치는 전극에 안착한 피검자에게 직접적 자극을 제공하는 진동기(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 및/또는 상기 제어부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진동기는 상기 전극의 주위에 배치되어 진동기 구동부(86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vibrator 862 that provides a direct stimulus to the subject seated on the electrode.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ing the stimulus may be moun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 or the controller. The vibrator may be disposed around the electrode and driven by the vibrator driver 864.

상기 진동기(862)는 피검자에게 직접적인 역학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자극의 세기, 주기, 패턴 등으로부터 피검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자극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심박변이율(HRV) 신호의 분석으로부터 부교감 신경 활성도에 따른 이완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높은 이완 상태인 졸음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기(862)는 이때 졸음 방지를 위한 경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인체와 전극이 밀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진동기(862)는 피검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진동 구동부(864)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에서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진동기(862)를 구동할 수 있다.The vibrator 862 may provide a direct mechanical stimulus to the subject. From the intensity, frequency, and pattern of the stimulus, the subject can grasp the contents of the stimulus presented by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degree of relaxation according to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can be known from the analysis of the HRV signal. The applica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high degree of relaxation drowsiness. Therefore, the vibrator 862 may be used as a warning means for preventing drowsiness. In addition, when the body and the electrode are not in close contact, the vibrator 862 may warn the subject. The vibration driver 864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igital processor 872 to drive the vibrator 862.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는 바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필터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may be directly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filtered by an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낮은 주파수 성분의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된 높은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 장치는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50Hz 이하로 설정되어 뇌전도 신호를 계측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접지 전극은 전기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머리 부위에 장착된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o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band cancellation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DC offset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band removing filter and a low value. And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fluctuation noise of frequency components, a low pass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and an amplifier for adjusting an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measure an electroencephalogram signal by setting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to 50 Hz or less.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re embedded in an electrical insulator and mounted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낮은 주파수 성분의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된 높은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 장치는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500Hz 이하로 설정되어 근전도 신호를 계측한다.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접지 전극은 전기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근육 부위에 장착된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o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band cancellation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DC offset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band removing filter and a low value. And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fluctuation noise of frequency components, a low pass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and an amplifier for adjusting an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easures an EMG signal by setting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to 500 Hz or less.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re embedded in an electrical insulator and mounted on the muscle part of the human body.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 회로(82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차동 증폭 회로(826)는 회로의 CMRR(common mode rejection ratio)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차동 신호 이득을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change the differential signal gain without affecting the common mode rejection ratio (CMRR) of the circuit.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제1 연산 증폭기(910),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양의 입력단(911)과 제1 신호(V1)를 연결하는 제1 저항(R1,922),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양의 입력단(911)에 연결된 제2 저항(R2,924), 상기 제2 저항(R2,924)과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출력단(913)에 사이에 연결되고 제1 기준 전압(Vr1)을 포함하는 이득변환부(900),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음의 입력단(912)과 제2 신호(V2)를 연결하는 제 3 저항(R3,926), 및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음의 입력단(912)과 제2 기준 전압(Vr2)을 연결하는 제4 저항(R4,228)을 포함한다. 상기 이득변환부(300)는 제2 연산 증폭기(930), 상기 제2 연산 증폭기(930)의 제2 음의 입력단(932)과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출력단(913)을 연결하는 제1 임피던스(Z1,950), 및 상기 제2 음의 입력단(932)과 상기 제2 연산 증폭기(930)의 제2 출력단(933)에 연결되는 제2 임피던스(Z2,9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산 증폭기(930)의 제2 양의 입력단(931)은 상기 제1 기준전압(Vr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R2,924)은 상기 제2 연산 증폭기(930)의 제2 출력단(933)에 연결된다.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include a first resistor R1 and 922 connecting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 first positive input terminal 911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nd a first signal V1. ), A second resistor (R2,924)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ve input terminal (911)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the second resistor (R2,924) and the first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 gain converter 90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put terminal 913 and including a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 first negative input terminal 912 and a second signal V2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The third resistor (R3,926) for connecting the second resistor, and the fourth resistor (R4, 228) for connecting the first negative input terminal 912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It includes. The gain converter 300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930, a second negative input terminal 932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930, and a first output terminal 913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 first impedance Z1 and 950 to be connected, and a second impedance Z2 and 940 connected to the second negative input terminal 932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933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930. do. The second positive input terminal 931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93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nd the second resistors R2 and 92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930. 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933.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입출력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The input / output transfer functio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is as follows.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6
Figure 112011016516375-pat00006

여기서, 제 3 저항(R3,826)과 제4 저항(R4,828)은 각각 제1 저항(R1,822) 과 제2 저항(R2,824)과 같다는 조건이 사용되었다. 이 조건이 성립할 경우,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공통모드전압제거비 (CMRR)는 사용된 증폭기 소자의 자체 공통모드전압제거비(CMRR0)와 같다. Here, the conditions that the third resistor (R3, 826) and the fourth resistor (R4, 828) are the same as the first resistor (R1, 822) and the second resistor (R2, 824), respectively. When this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on mode voltage cancellation ratio CMRR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is equal to the self common mode voltage cancellation ratio CMRR 0 of the amplifier element used.

수학식 6을 참조하면, 차동 신호(V1-V2)의 이득은 제1 저항(822)에 대한 제2 저항(824)의 저항비(R2/R1), 및 제2 임피던스(840)에 대한 제1 임피던스(850)의 임피던스비(Z1/Z2)에 의존한다. 상기 임피던스비(Z1/Z2)를 조절하면,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이득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공통모드전압제거비(CMRR)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the gain of the differential signal (V1-V2) is the ratio of the resistance ratio (R2 / R1) of the second resistor 824 to the first resistor 822, and the second impedance (840) It depends on the impedance ratio Z1 / Z2 of one impedance 850. When the impedance ratio Z1 / Z2 is adjusted, the gain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be changed, and the common mode voltage cancellation ratio CMRR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not be affected.

수학식 6을 참조하여, 상기 차동 신호(V1-V2)에 직류 오프셋이 포함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기준 전압(Vr1, Vr2)의 조정(adjusting)에 따라 상기 제1 연산 증폭기(810)의 출력은 포화되지 않으면서 차동 증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a case in which the DC offset is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signals V1-V2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Vr1 and Vr2, the output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810 may perform a differential amplification operation without being saturated.

출력(VOUT)에 직류를 포함한 임의 신호를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1,2 기준 전압(Vr1,Vr2)은 상기 임의 신호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일 전원(single power supply)을 사용하는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출력 신호(VOUT)에 직류 성분을 포함하도록 한다든지, 디지털 변환을 위해 직류 기준 전압으로 띄운다든지(floating) 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include an arbitrary signal including a direct current in the output V OUT ,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Vr1 and Vr2 may be connected to the arbitrary signal. Specifically, the DC signal may be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V OU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using a single power supply, or floated as a DC reference voltage for digital conversion. It can be used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임피던스들(Z1, Z2)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차동 증폭 회로 및/또는 필터회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입력에 포함된 직류 성분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필요에 따라 출력에 직류 뿐만 아니라 임의 신호가 포함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CMRR에 영향없이 이득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입력 신호 필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826 may be used as a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and / or a filter circuit according to a method of configuring impedances Z1 and Z2. That is, the differential amplifying circuit 826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influence of the DC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and process the DC signal to include any signal as well as the DC as needed.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can change the gain without affecting the CMRR.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serve as an input signal filter.

임피던스들(Z1, Z2)의 구성에 따라,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의 필터 특성은 달라질 수 있다. 임피던스들(Z1, Z2)이 저항만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단순한 증폭 기능만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임피던스들(Z1, Z2)이 저항과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면, 상기 차동 증폭 회로(826)는 고주파 통과 필터(HPF), 저주파 통과 피터(LPF), 대역 통과 필터(BPF), 또는 대역 제거 필터(BEF)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impedances Z1 and Z2, the filter characteristic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vary. When the impedances Z1 and Z2 are composed of only resistors,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performs only a simple amplification function. However, when the impedances Z1 and Z2 a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resistor and a capacitor,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826 may include a high pass filter (HPF), a low pass peter (LPF), a band pass filter (BPF), or Act as a band reject filter (BEF) or the lik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 13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오른다리 구동 회로부(driven-right-leg circuit;DRL, 890)의 출력은 상기 접지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단 증폭회로(822)의 제1 출력 신호 (Vo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824)의 제2 출력 신호(Vo2)는 상기 DRL 회로(890)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DRL 회로(890)는 상기 제1 출력 신호(Vo1)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Vo2)를 입력으로 하는 가산 반전 증폭회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n output of a driven-right-leg circuit DRL 89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electrode. The first output signal Vo1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822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824 are provided as inputs of the DRL circuit 890. The DRL circuit 890 may be configured with an addition inversion amplifier circuit for inputting the first output signal Vo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 13 will be omitted.

도 16을 참조하면, 측정 장치는 인체(801)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801)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 상기 제1 전극(812) 및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801)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 상기 제1 전극(812)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822), 상기 제2 전극(822)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824),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822)의 제1 출력 신호(Vo1)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824)의 제2 출력 신호(Vo2)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VE)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8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measuring devic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first electrode 812,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801, and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801. The second electrode 814,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whi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801. A first shear amplifier 822 connected to the 812, a second shear amplifier 824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822, a first output signal Vo1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822, and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826 extrac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V E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824.

호흡 추출부(881)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를 입력 제공받아 호흡 신호(VRSP)를 출력한다. 호흡 신호(VRSP)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은 인체의 가슴 또는 등 부위에 장착된다. 하지만, 접지전극(816)은 어떤 부위에도 장착될 수 있다.The breath extracting unit 881 receives an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and outputs a breathing signal V RSP . In order to extract the respiration signal V RSP ,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re mounted on the chest or the back of the human body. However,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mounted at any portion.

상기 호흡 추출부(881)는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를 입력 제공받아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저주파 통과 필터(882), 상기 저주파 통과 필터(882)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고주파 통과필터(884), 및 상기 고주파 통과필터(884)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88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spiration extractor 881 receives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and inputs an output signal of the low pass filter 882 and the low pass filter 882 to extract low frequency components. It may include a high-frequency pass filter 884 provided to remove the DC component, and an amplifier 886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high-frequency pass filter 884 as an input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signal.

호흡에 따른 가슴부분의 움직임으로 인해, 인체 피부와 전극들(812,814) 사이의 거리가 변한다. 따라서, 인체 피부와 전극(812,8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등가 전기용량(Cs)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극들(812,814)를 가슴 또는 등 부분에 위치시키면, 상기 호흡 신호(VRSP)가 검출될 수 있다. Due to the movement of the chest part due to breath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skin and the electrodes 812 and 814 changes. Therefore, a change in the equivalent capacitance Cs formed by the human skin and the electrodes 812 and 814 occurs. Accordingly, when the electrodes 812 and 814 are positioned on the chest or the back, the respiration signal V RSP may be detected.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에는 호흡 신호(VRSP)가 포함되어 있다. 호흡 신호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 성분(대략 0.24Hz 수준)을 가진다. 그 외 생체 신호(예들 들어, 심전도 신호(VECG))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성분(0.5Hz 이상, 150Hz 이하)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저주파통과필터(882)를 이용하여 호흡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차동 증폭부(826)의 출력 신호(VE)에서 상기 저주파통과필터(882), 직류성분 제거용 고주파통과필터(884), 그리고 신호 크기 조절용 증폭기(886)를 통해 호흡 신호(VRSP)가 얻어진다. 상기 호흡 신호(VRSP)는 상기 디지털 처리부(872)에 제공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활용될 수 있다.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includes a breathing signal V RSP . Respiratory signals have relatively low frequency components (approximately 0.24 Hz level). Other biological signals (eg, ECG signals V ECG ) have relatively high frequency components (0.5 Hz or more, 150 Hz or less). Therefore, a respiration signal may be extracted using the low pass filter 882. In the output signal V 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the low pass filter 882, the high frequency pass filter 884 for removing a DC component, and a respiration signal V RSP through an amplifier 886 for adjusting the signal size. Is obtained. The respiration signal V RSP may be provided to the digital processing unit 872,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utilized.

호흡 신호(VRSP)는 인체 피부와 전극들(812,814)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으로 검출된다. 따라서, 호흡 신호(VRSP)는 피검자 움직임에 특히 민감하다. 호흡 신호(VRSP)는 피검자가 수면 중이거나, 편안한 안정 상태에서 계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eathing signal V RSP is detected as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uman skin and the electrodes 812, 814. Thus, the respiratory signal V RSP is particularly sensitive to subject movement. The breathing signal V RSP is preferably measured while the subject is sleeping or in a comfortable stable state.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7b는 도 17a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17A and 1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7A.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전극 구조체(809)는 제1 절연층(811a), 상기 제1 절연층(811a)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811b),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된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된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17A and 17B, an electrode structure 809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 And the first electrode 812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and the first electrode 81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 The second electrode 814 is interposed between 811b.

접지 전극(816)은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 상기 제2 전극(814), 및 상기 접지 전극(816)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은 도전성 직물 또는 도전성 판재일 수 있다.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The first electrode 812,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812 may be a conductive fabric or a conductive plate.

상기 전극 구조체(809)는 방석, 시트, 또는 의사 커버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 및 상기 접지 전극(816)은 방석, 의자, 침대, 및 인큐베이터, 밴드 등에 매설될 수 있다. The electrode structure 809 may be transformed into a cushion, a sheet, or a pseudo cover. The first electrode 812,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embedded in a cushion, a chair, a bed, an incubator, a band, or the like.

상기 전극 구조체(809)는 코넥터(81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선들은 상기 전극들(812,814,816)과 상기 코넥터(817)를 연결할 수 있다.The electrode structure 809 may include a connector 817. Connection lines may connect the electrodes 812, 814, 816 and the connector 817.

상기 전극들(812,814,816)은 처리부(80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전단 증폭회로 및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와 상기 코넥터(817)는 도선들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805)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des 812, 814, 816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03. The processor 803 may include a front end amplifi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processing unit 803 and the connector 817 may be connected by conductors. The processor 803 may process input signals and convert the process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The digit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805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805 may perform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및 도 17b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전극 구조체(809)는 제1 절연층(811a), 상기 제1 절연층(811a)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811b),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된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된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 접지 전극(816)은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17A, 17B, and 18, the electrode structure 809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The first electrode 812 interpos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electrode 814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insulating layers 811b.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상기 전극들(812,814,816)은 처리부(80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상기 전극 구조체(809)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전단 증폭회로,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805)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des 812, 814, 816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03. The processor 803 may be directly mounted to the electrode structure 809. The processor 803 may include a shear amplifi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processor 803 may process input signals and convert the process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The digit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805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805 may perform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도 19는 도 18의 전극 구조체(809)를 방석 형태로 구현하고, 처리부(803)를 도 13으로 실시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사무실 환경에서 상기 방석 형태의 전극 구조체를 사무실 의자에 두고 그 위에 피검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측정한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와 그 심박 펄스 신호이다.19 illustrates the electrode structure 809 of FIG. 18 in a cushion form, and the cushion structure electrode structure is placed in an office chair in an office environment by using the measuring device of FIG. 13. It is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and its heart rate pulse signal measured while dressed.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는 안정적이다. 또한, 피크 검출부(848)는 상기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를 이용하여 심박 펄스 신호(VHBP)를 형성한다. 상기 심박 펄스 신호(VHBP)는 안정적으로 생성된다.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is stable. In addition, the peak detector 848 forms a heartbeat pulse signal V HBP using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The heartbeat pulse signal V HBP is stably generated.

도 20a 내지 도 20d는 상기 방석 형태의 전극 구조체를 자동차 운전석에 두고, 운전자가 그 위에 옷을 입은 상태로 앉아 자동차를 움직이면서 측정한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z축 출력 신호), 상기 가속도 센서 출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대역제거 필터를 적용하여 얻은 신호,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출력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대역제거 필터하여 얻은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이다. 20A to 20D illustrate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signal (z-axis output signal) and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signal measured while moving the vehicle while the driver is seated with clothes on the seat of the cushion-shaped electrode structure in the driver's seat. The signal obtained by applying the band elimination filter at the center frequency of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and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obtained by the band elimination filter at the center frequency of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signal.

도 13 및 도 20a를 참조하면, 신호들은 차량의 방석에 매설된 전극들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13 and 20A, signals were measured using electrodes embedded in a cushion of a vehicle.

가속도 센서(852)의 z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Vz)는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특정을 진동 주파수를 가지고 진동하고 있다. 차량의 진동 주파수는 심전도 신호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예를 들어, 컴퓨터)는 z축 방향의 가속도 신호에서 진동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주파수를 제거하는 대역 제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ignal Vz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vibrates with a vibration frequency to be identified by vibration of the vehicle.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ehicle may adversely affect the ECG signal. Therefore,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extract the vibration frequency from the acceleration signal in the z-axis direc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band removing filter for removing the vibration frequency.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는 자동차 시동을 걸고 대략 1600 rpm으로 엔진 가동 중에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얻었다. 자동차 엔진 가동에 따른 역학적 움직임은 검출 생체 신호에 그대로 잡음으로 유입된다. 가속도 센서(852)의 출력 신호에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진동 주파수를 제거하는 대역 제거 필터를 통과한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는 안정적인 심박 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was obtained by starting the car and sitting in the driver's seat while the engine was running at approximately 1600 rpm. The mechanical movement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automobile engine flows into the detection biosignal as noise. The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elimination filter extracting a vibration frequency to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852 and removing the vibration frequency may provide a stable heartbeat pulse.

상기 대역제거 필터는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를 입력받아 필터링된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된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는 안정적으로 심박 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과 같이 진동이 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장치는 안정적인 심전도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and pass filter may receive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and output a filtered output signal. The filtered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may stably provide a heartbeat pulse. Therefore, even when the vibration is severe, such as a vehicle, the electrocardiogra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table electrocardiogram signals.

[비접촉식 생체 신호 검출을 위한 구현 형태들][Embodiments for Contactless Biosignal Detec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방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1 is a view illustrating a cushion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도 21,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방석(1001)은 제1 절연층(811a), 상기 제1 절연층(811a)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811b),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절연층(811a)과 상기 제2 절연층(811b) 사이에 개재되어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은 제1 전단 증폭회로(8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제2 전단 증폭회로(82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822)의 제1 출력 신호(Vo1)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822)의 제2 출력 신호(Vo2)를 이용하여 생체신호(심전도 신호, 심박수, 심박변이율)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방석(1001)은 의자(100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석(1001)은 의자에 장착되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처리부(803)는 상기 방석(1001)에 장착될 수 있다.13, 21, 17A, and 17B, the cushion 1001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 first electrode 812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 second electrode 814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interposed between the 811b an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 grou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811a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811b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816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822,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824, and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822 of FIG. The biosignal (ECG signal, heart rate, heart rate) may be extracted using the first output signal Vo1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Vo2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822. The cushion 1001 may be disposed in the chair 1002. The cushion 1001 is not limited to being mounted on a chair. The processor 803 may be mounted on the cushion 1001.

전기적 비접촉식으로 방석형 심전도 신호를 얻기 위해 충분한 크기를 갖는 두 개의 측정 전극(812,814)이 각각 좌/우 허벅지 부분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 전극(812,814)보다 더 큰 크기의 접지 전극(816)이 엉덩이 부분 또는 좌/우 허벅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wo measuring electrodes 812 and 814 having a sufficient size to obtain an electrically contactless cushioned electrocardiogram signal may be arranged to lie in the left and right thigh por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ground electrode 816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measurement electrodes 812 and 814 may be disposed at the hip part or the left / right thigh part.

상기 접지 전극(816)은 인체와 대지 접지 사이의 등가 전기용량을 증가시켜 전원 주파수 임피던스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 전극(816)은 인체에 유기되는 전원 잡음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지 전극(816)은 가능한 크게 하여, 대지 접지와 인체 사이의 등가 전기용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 The ground electrode 816 may reduce power frequency impedance by increasing an equivalent capacitanc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earth ground. Thus, the ground electrode 816 serves to reduce the magnitude of power noise induced by the human body. The ground electrode 816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to increase the equivalent capacitance between the earth ground and the human body.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제1 전극(812)과 제2 전극(814)은 동축선을 통해 각각 처리부(803)에 연결된다. 상기 동축선의 중심선은 상기 결합 축전기(204a,204b)에 연결된다. 상기 동축선의 쉴드부는 전단 증폭 회로의 출력에 연결되어 가드를 형성한다. 접지 전극(816)은 전단 증폭 회로(822,824)의 접지에 연결된다. 제1 전극(812) 및 제2 전극(814)에 연결된 각 전단 증폭 회로(822,824)의 출력은 차동 증폭부(826)에 연결된다. 상기 차동 증폭부(826)는 생체신호(심전도 신호, 호흡, 심박수, 심박변이율)를 제공한다.13 and 15 to 16,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re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803 through coaxial lines, respectively. The center line of the coaxial line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capacitors 204a and 204b. The coaxial shiel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to form a guard. Ground electrode 816 is connected to the ground of shear amplifier circuits 822 and 824. Outputs of the respective shear amplifier circuits 822 and 824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re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The differential amplifier 826 provides a biosignal (electrocardiogram signal, respiration, heart rate, heart rate).

사용자는 방석센서 위에 앉아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임상적인 심전도 신호는 매우 낮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깨끗한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움직이지 않고 센서가 놓인 의자에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한다. 임상적 심전도 신호를 얻는 경우는 병원 등 특별한 장소에서만 얻을 경우이고, 대부분의 일상적인 사무 내지 휴식 환경에서는 현실적으로 정확한 임상적 심전도 신호보다는 심박 펄스에 의한 심박 간격 변이도(HRV)가 훨씬 유용하다. 심박 펄스 신호는 미분-심전도 신호에서 얻는다.The user can sit on the cushion sensor and perform daily tasks. Clinical ECG signals contain very low frequency components, so to get a clear signal you should sit still in the chair where the sensor is placed, if possible. The clinical electrocardiogram signal is obtained only in a special place such as a hospital, and in most everyday office or rest environments, a heart rate interval variability (HRV) caused by a heartbeat pulse is much more useful than a realistic clinical electrocardiogram signal. The heart rate puls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ECG signal.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의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ir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의자(1003)는 의자(1002), 상기 의자(1002)의 일부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의자(1002)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은 제1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6)은 제2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신호(심전도 신호, 심박수, 심박변이율)를 추출한다. 처리부(803)는 상기 의자(1002)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chair 1003 for measuring a non-contact biosignal is embedded in a chair 1002, a part of the chair 1002, and the first electrode 812, which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nd the chair 1002. ) And a second electrode 8134 embedded in the first electrode 812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electrode 816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a first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the second electrode 816 is connected to a second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front end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The biosignal (ecg signal, heart rate, heart rate) is extracted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amplifying circuit. The processor 803 may be mounted on the chair 1002.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시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iosignal measuring she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3을 참조하면, 시트(1001a)는 전극(812,814,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의자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극(812) 및 제2 전극(814)은 등받이 부위에 배치되어, 심전도 신호 및/또는 호흡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접지 전극(186)은 엉덩이에 인접하도록 안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1001a)는 의자에 장착되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처리부(803)는 상기 시트(1001a)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the sheet 1001a may include electrodes 812, 814, and 186. The seat is arranged in a chair.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may be disposed at the backrest portion to provide an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 or a respiration signal. The ground electrode 186 may be mounted at an area to be adjacent to the hip. The seat 1001a is not limited to being mounted on a chair. The processor 803 may be mounted on the sheet 1001a.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2와 마찬가지로 전극들이 의자에 매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정 전극은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접지전극은 의자의 앉는 부분에 매설된다. 이 구조에 대한 것도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한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 22, the electrodes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chair.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back portion of the chair, the ground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sitting portion of the chair. This structure should be treated equally.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차량 의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hair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4를 참조하면, 전극은 의자(2003)에 매설되어 있다. 차량 의자에 매설되는 방식 역시 두 가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전극들이 엉덩이 부분에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측정 전극은 등받이에 접지 전극은 엉덩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4, an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chair 2003. There are two ways of embedding in a vehicle chair. One is to place the electrodes only on the hip, and the other is to place the measuring electrode on the back and the ground electrode on the hip.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침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d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침대(3003)는 침대, 상기 침대(3002)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침대(3002)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고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the non-contact biosignal measuring bed 3003 is embedded in a bed, the first electrode 812, which is embedded in the bed 3002, an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nd is embedded in the bed 3002. And a second electrode 81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electrode 816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상기 제1 전극(812)은 제1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제2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신호(심전도 신호, 호흡, 심박수, 심박변이율)를 추출한다. 처리부(803)는 상기 침대(300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들(812,814,816)은 처리부(80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전단 증폭회로,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and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front end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biological signal (ecg signal, respiration, heart rate, heart rate) is extracted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amplifying circuit. The processor 803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ed 3002. The electrodes 812, 814, 816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03. The processor 803 may include a shear amplifi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처리부(803)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803 may process input signals and convert the process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The digit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침대 커버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be modified in the form of a bed cover.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인큐베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6 illustrates an incubator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6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인큐베이터(4003)는 인큐베이터(4002), 상기 인큐베이터(4002)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인큐베이터(4002)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고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은 제1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제2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심전도 신호, 호흡, 심박수, 심박변이율)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26, an incubator 4003 for measuring a non-contact biosignal is embedded in an incubator 4002, an incubator 4002, and in a first electrode 812, which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in the incubator 4002. And a second electrode 814 buri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electrode 816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and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front end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biological signal (ecg signal, respiration, heart rate, heart rate) is extracted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amplifying circuit.

상기 전극들(812,814,816)은 처리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인큐베이터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전단 증폭회로,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des 812, 814, 816 may be connected to a processor (not shown). The processing unit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incubator. The processor may include a shear amplifi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processor may process input signals and convert the process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The digit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용 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osignal measuremen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7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밴드(5003)는 밴드(5002), 상기 밴드(5002)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812), 상기 밴드(5002)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812)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8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812) 및 상기 제2 전극(814)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8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812)은 제1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814)은 제2 전단 증폭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27, the band 5003 for non-contact biosignal measurement may include a band 5002, a first electrode 812 embedded in the band 5002, and a band 5002 that do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814 is embedd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electrode 816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812 and the second electrode 814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first electrode 812 is connected to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second electrode 814 is connected to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and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front end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The biosignal is extracted using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amplifying circuit.

상기 밴드(5002)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밴드(5002)는 원형 또는 띠형일 수 있다. 띠형의 경우, 상기 밴드는 양단을 결합하는 결합수단(5005a,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5005a,500b)은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nd 5002 may be partially or fully stretched. The band 5002 may be circular or band-shaped. In the case of a band, the band may include coupling means 5005a and 500b for coupling both ends. The coupling means 5005a and 500b may comprise a velcro.

상기 전극들(812,814,816)은 처리부(80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상기 밴드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803)는 전단 증폭회로, 차동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des 812, 814, 816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803. The processor 803 may be directly mounted to the band. The processor 803 may include a shear amplifi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processor may process input signals and convert the processed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The digit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the processing resul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biosignal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전단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전단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 신호와 상기 제2 전단 증폭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13, the biosignal measuring method includes a first electrode that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nd a second electro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disposing a grou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to generate a first shear ampl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de. Generating a second shear amplified signal by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second signal; and extracting a bioelectrical signal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hear amplified signal and the second shear amplified signal.

부착 검출 단계는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그 진폭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인체가 인접하게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In the attachment detection step, the bio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as an input and the amplitude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adjacent to the human body.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전원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는 단계, 전원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미분하여 미분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분 신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피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method may include: removing a power frequency band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extracting a differential ECG signal by differentia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from which the power frequency band has been removed, and using a differential extension sig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cting.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저주파 통과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고주파 통과 필터를 적용하여 호흡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method includes applying a low pass filter to remove a high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extracting a respiration signal by applying a high pass filter to remove a direct current component from the bioelectric signal from which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has been removed. It may include a step.

생체 신호 측정 방법은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미분하여 미분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신호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미분 심전도 신호에서 상기 진동 주파수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진동 주파수가 제거된 상기 미분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 변이율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심박 변이율을 이용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졸음으로 판단되면 진동 자극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신호를 이용하여 인체와 상기 제1, 제2 전극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신호의 진폭을 이용하여 인체와 상기 제1, 제2 전극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method may include removing noise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conver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extracting a differential ECG signal by differentia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Extracting, extracting a vibration frequency of the acceleration signal, removing the vibration frequency from the differential ECG signal, extracting a heart rate variation rate using the differential ECG signal from which the vibration frequency is removed, Determining whether to be drowsy us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driving a vibration stimulator if it is determined to be drowsy; extracting a tilt signal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using the tilt signal, the human body and the first,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electrode is attached, and determining the amplitude of the ECG signal. Us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whether or not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도 28은 도 15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호흡 신호(VRSP),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 및 심박 펄스 신호(VHBP)를 나타낸다.FIG. 28 illustrates a respiration signal V RSP ,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and a heart rate pulse signal V HBP measured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5.

도 28을 참조하면, 정지된 상태에서 방석형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Referring to FIG. 28,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a cushioned sensor in a stationary state.

도 2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들이다.29A shows results obtained us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a를 참조하면, 차량 운전 상태에서 도 15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호흡 신호(VRSP), z축 가속도 신호(VZ),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 및 심박 펄스 신호(VHBP)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9A, a respiratory signal V RSP , a z-axis acceleration signal V Z ,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and a heart rate pulse signal measured using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FIG. 15 in a vehicle driving state. (V HBP ).

도 2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들이다.29B shows results obtained using a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b를 참조하면, 도 29a의 차량의 진동 주파수를 대역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처리한 호흡 신호(VRSP), z축 가속도 신호(VZ), 시간 미분 심전도 신호(DVECG), 및 심박 펄스 신호(VHBP)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9B, a respiratory signal V RSP , a z-axis acceleration signal V Z , a time differential ECG signal DV ECG , and a heart rate pulse of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ehicle of FIG. 29A processed using a band elimination filter. Represents the signal V HBP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01: 신호원
202: 측정 전극
204: 결합 축전기
251: 제1 증폭기
253: 바이어스 회로
270: 저항성 되먹임 회로
280: 용량성 되먹임 회로
201: signal source
202: measuring electrode
204: coupling capacitor
251: first amplifier
253: bias circuit
270: resistive feedback circuit
280: capacitive feedback circuit

Claims (43)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는: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해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제1 증폭기;및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 및 접지(GND)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증폭기의 안전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제1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 first electrode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direct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by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The first and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s are:
A first amplifier configured to receive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first input and a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to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to transfer the biopotential to the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n output terminal and ground (GND) of the first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to ensure safe operation of the first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the gain of the first amplifier is 1, the first amplifier is configured as a voltage follower (voltage fol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단 증폭회로는:
상기 제1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상기 제1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s are: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first amplifier to reduce an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arrangement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단 증폭 회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결합 축전기;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단 증폭 회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결합 축전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결합 축전기를 연결하는 도선, 상기 제1 결합 축전기, 및 상기 제1 결합 축전기와 상기 제1 전단 증폭 회로를 연결하는 도선을 둘러싸는 제1 가드부;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결합 축전기를 연결하는 도선, 상기 제2 결합 축전기, 및 상기 제2 결합 축전기와 상기 제2 전단 증폭 회로를 연결하는 도선을 둘러싸는 제2 가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upling capaci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
A second coupling capacito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
A first guard part surrounding a wire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and a wire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capacitor and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 And
At least one of a second guard portion surrounding a conductive line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and a conductive line connecting the second coupling capacitor and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부는 상기 제1 전단 증폭 회로의 출력 전위와 같은 전위로 구동되고,
상기 제2 가드부는 상기 제2 전단 증폭 회로의 출력 전위와 같은 전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guard portion is driven at the same potential as the output potential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
And the second guard portion is driven at the same potential as the output potential of the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는 입력 직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주파 필터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fferential amplifier has a high frequency filter function to remove input DC component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는:
제1 연산 증폭기(910);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양의 입력단(911)과 제1 신호(V1)를 연결하는 제1 저항(R1,922);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양의 입력단(911)에 연결된 제2 저항(R2,924);
상기 제2 저항(R2,924)과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출력단(913)에 사이에 연결되고 제1 기준 전압(Vr1)을 포함하는 이득변환부(900);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음의 입력단(912)과 제2 신호(V2)를 연결하는 제 3 저항(R3,926); 및
상기 제1 연산 증폭기(910)의 제1 음의 입력단(912)과 제2 기준 전압(Vr2)을 연결하는 제4 저항(R4,2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ifferential amplifier unit: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First resistors R1 and 922 connecting the first positive input terminal 911 and the first signal V1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Second resistors R2 and 924 connected to a first positive input terminal 911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 gain converter 900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resistor (R2, 924)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913)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nd including a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hird resistors R3 and 926 connecting the first negative input terminal 912 and the second signal V2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nd
And a fourth resistor (R4, 228) connecting the first negative input terminal (912)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910)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round electrod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not to be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은 접지(GND)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ground electrode i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ground (GND).
제8 항에 있어서,
오른다리 구동 회로(driven-right-leg circui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전극은 상기 제1 전단 증폭기의 출력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기의 출력을 가산 반전 증폭하는 상기 오른다리 구동 회로(driven-right-leg circuit)의 출력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driven-right-leg circuit,
The ground electrode is driven in connection with an output of the driven right-leg circuit which adds, inverts and amplifies the output of the first shear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shear amplifier. Measur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nalog signal processor for removing noise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adjusting a signal size; And
And a digital processor for analog-to-digital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nalog signal processor and process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ransmit the wired or wirelessly.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150Hz 이하로 설정되어 심전도 신호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A band removing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DC offset and rocking noise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band pass filter;
A low frequency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filter; And
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is set to 150 Hz or less to measure an electrocardiogram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50Hz 이하로 설정되어 뇌전도 신호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A band removing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DC offset and rocking noise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band pass filter;
A low frequency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filter; And
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is set to 50 Hz or less to measure an electroencephalogram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500Hz 이하로 설정되어 근전도 신호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A band removing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DC offset and rocking noise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band pass filter;
A low frequency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filter; And
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is set to 500 Hz or less to measure an EMG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용 전원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제공하는 저주파통과필터;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에 포함되는 직류 오프셋 및 요동 잡음을 제거하는 고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고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0.5Hz 이하로 설정되어 호흡 신호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A low pass filte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provides a signal having a frequency component lower than a commercial power supply frequency;
A high frequency pass filter for removing direct current offset and rocking noise included in the low pass filter; And
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high frequency filter,
The cut-off frequency of the low-pass filter is set to 0.5Hz or less to measure the respiratory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상용 전원 주파수 성분의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제거필터;
상기 대역제거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미분 연산을 수행하는 미분 회로부;
상기 미분 회로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저주파통과필터; 및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150Hz 이하로 설정되어 미분-심전도 신호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A band removing filter for removing noise of commercial power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 differential circuit unit which receives an output of the band elimination filter and performs a derivative operation;
A low pass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circuit unit; And
It includes an amplifier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size of the low pass filter,
And a cutoff frequency of the low pass filter is set to 150 Hz or less to measure the differential ECG signal.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회로의 미분 차수는 1차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ifferential signal measuring unit of the differential circu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rder or more.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통과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의 꼭지점에 동기된 상승 또는 하강 모서리를 갖는 심박 펄스를 생성하는 피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심박 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peak detector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ignal of the low pass filter and generate a heartbeat pulse having a rising or falling edge synchronized with a vertex of the signal.
And the digital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heartbeat pul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기 신호는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미분 심전도 신호, 및 심박펄스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o-electrical signal is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electrocardiogram signal, respiration signal, differential ECG signal, heart rate pulse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주위에 배치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arou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각 신호 진폭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인체가 상기 제1 및 제2 및 접지 전극에 올바르게 안착되었음을 판정하는 부착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n attachment detector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an output sig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mpare each signal amplitude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is correctly seated on the first, second, and ground electrodes;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디지털 변환하는 디지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 포함된 운동성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digital processing unit for digitally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 digital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removes kinetic noise included in the bioelectrical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주위에 배치되는 진동부;및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는 진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전극들에 안착된 인체 피부에 진동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ibrator disposed arou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drive unit for driving the vibration unit,
The vibrating unit i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vibration stimulation to the human skin seated on the electrod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절연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is embedded in an insula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머리 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is embedded in an insulator,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엉덩이 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is embedded in an insulator,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hips of the huma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접지 전극이 절연체에 매설되고,
상기 인체의 등 부위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배치되고, 엉덩이 부위에는 상기 접지 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re embedded in an insulat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human body, and the grou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hi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접지 전극이 절연체에 매설되어 상기 인체의 근육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re embedded in an insulator and disposed on a muscle part of the human body.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전단 증폭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의 출력신호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At least two electrodes that are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Shear amplifier circuits connected to the electrodes, respectively;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xtracting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difference between output signals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전단 증폭회로들; 및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의 출력신호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Shear amplification circu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two electrodes that do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nd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difference between output signals of the front end amplifier circuits.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전단 증폭회로들;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의 출력신호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전극들 주위의 상기 인체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부;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Shear amplification circu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two electrodes that do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 differential amplifier for extracting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difference between output signals of the front end amplifier circuits;
An acceleration sensor unit attached to the human body around the electrodes; an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rrect the bioelectrical signal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들에 각각 연결된 전단 증폭회로들;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의 출력신호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
상기 전극들 주위의 상기 인체에 부착된 진동부;및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생체 전기 신호의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인체에 역학적인 자극을 인가하도록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Shear amplification circu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two electrodes that do not directly contact the human body;
A differential amplifier for extracting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difference between output signals of the front end amplifier circuits;
A vibrator attached to the human body around the electrodes; and
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the processor drives the vibrator to apply a mechanical stimulus to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 processing result of the bioelectrical signal.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방석.
A first insulat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first electrod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not directly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의자;
상기 의자의 입부에 매설된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의자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의자.
chair;
A first electrode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embedded in the mouth of the chair;
A second electrode embedded in the chai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시트.
A first insulat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first electrod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not directly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a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arrangement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
침대;
상기 침대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침대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침대.
bed;
A first electrode embedded in the bed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embedded in the b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ry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ry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
인큐베이터;
상기 인큐베이터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인큐베이터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인큐베이터.
Incubators;
A first electrode embedded in the incubator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embedded in the incuba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n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
밴드;
상기 밴드에 매설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밴드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체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단 증폭회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단 증폭회로;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회로의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전단 증폭회로의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신호를 추출하는 차동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생체 전위를 양의 입력단으로 제공받아 출력단에 전달하는 증폭기;및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폭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음의 입력단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의 이득은 1이고, 상기 증폭기는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 증폭회로들 각각은: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전기용량을 줄이는 용량성 되먹임 회로부; 및
상기 증폭기의 양의 입력단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에 상기 전단 증폭회로의 유효 입력 저항을 늘이는 저항성 되먹임 회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용 밴드.
band;
A first electrode embedded in the band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second electrode embedded in the ban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not directly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first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hear amplifier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configured to extract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front end amplifier circuit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ront end amplifier circuit,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n amplifier which receives the biopotential of the human body through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ias circuit disposed between an output end of the amplifier and a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the amplifier,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1, the amplifier consists of a voltage follower,
Each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s is:
A capaci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input end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end of the amplifier to reduce the effective input capacitance of the front end amplification circuit; And
And at least one of a resistive feedback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an effective input resistance of the shear amplifier circuit in a disposition between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체에 전기적으로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제2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전단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전단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단 증폭 신호와 상기 제2 전단 증폭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생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전원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는 단계;
전원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미분하여 미분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분 신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피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
Disposing a first electrode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a second electrod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which is not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human body;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and generating a first shear amplification signal;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of the second electrode and generating a second shear amplification signal; And
Extracting a bioelectrical signal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hear amplified signal and the second shear amplified signal;
Removing a power frequency band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Extracting a differential ECG signal by differentia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from which a power frequency band has been removed; And
And detecting the peak position by using the differential extension signal.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입력으로 제공받아 그 진폭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인체가 인접하게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부착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9,
And an attachment detection step of receiving the bioelectrical signal as an input and comparing the amplitude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human body are adjacent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도록 저주파 통과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고주파 통과 필터를 적용하여 호흡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9,
Applying a low pass filter to remove high 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And
And extracting a respiration signal by applying a high pass filter to remove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from the bioelectric signal from which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has been removed.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전기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전기 신호를 미분하여 미분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신호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미분 심전도 신호에서 상기 진동 주파수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진동 주파수가 제거된 상기 미분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 변이율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심박 변이율을 이용하여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졸음으로 판단되면 진동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와 상기 제1, 제2 전극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전기 신호의 진폭을 이용하여 상기 인체와 상기 제1, 제2 전극의 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9,
Removing noise from the bioelectrical signal;
Conver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Extracting a differential ECG signal by differentiating the bioelectrical signal;
Extracting an acceleration signal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Extracting a vibration frequency of the acceleration signal;
Removing the vibration frequency from the differential electrocardiogram signal;
Extracting a heart rate variability using the differential electrocardiogram signal from which the vibration frequency is removed;
Determining sleepiness us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Driving the vibrator if it is determined to be drowsy;
Determining whether the human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attached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nd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ttaching the human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by using the amplitude of the bioelectrical signal.
KR1020110020177A 2011-03-08 2011-03-08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227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177A KR101227413B1 (en) 2011-03-08 2011-03-08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177A KR101227413B1 (en) 2011-03-08 2011-03-08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01A KR20120102201A (en) 2012-09-18
KR101227413B1 true KR101227413B1 (en) 2013-02-12

Family

ID=4711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177A KR101227413B1 (en) 2011-03-08 2011-03-08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41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933A1 (en) * 2014-09-23 2016-03-31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KR20190064987A (en) * 2017-12-01 2019-06-11 한국과학기술원 A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and a method for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and an appratus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KR101995153B1 (en) * 2018-01-22 2019-07-0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Method and Device for Compensation of ECG Signal of Wearable Device Using Acceleration Sensor
CN112040863A (en) * 2017-11-17 2020-12-04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Dual power supply analog circuit for sensing surface EMG sign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4443B (en) * 2013-11-27 2020-09-08 曾加尔研究所公司 Ultra-high impedance sensor applied to nerve sensing
KR102302876B1 (en) 2014-06-23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Bioelectrode and bio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1866B1 (en) * 2014-08-22 2016-01-04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CMRR improvement device for measuring multi-channel Electroencephalogram signal
WO2016182093A1 (en) * 2015-05-11 2016-11-17 (주)로임시스템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KR101912870B1 (en) 2016-09-29 2018-10-30 한국과학기술원 A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and a method for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and an appratus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US10555679B2 (en) * 2017-06-20 2020-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Non-contact heart rate monitoring
KR102070406B1 (en) * 2017-11-22 2020-01-28 한국과학기술원 A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and an appratus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KR102539145B1 (en) 2017-12-01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 signal
CN109387685B (en) * 2018-11-01 2024-04-30 华南理工大学 Differential probe and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device
KR102314869B1 (en) * 2019-02-08 2021-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ceiver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human body communication
US11418267B2 (en) 2019-02-08 2022-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eiver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human body communication
US11478137B2 (en) 2019-04-08 2022-10-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psule endoscope image receiver and capsule endoscop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48927B1 (en) * 2019-04-08 2022-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apsule endoscope image receiver and capsule endoscop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36976B1 (en) * 2019-04-18 2021-04-06 (주)엠에스엘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of desk type
CN111127796A (en) * 2020-01-13 2020-05-08 西人马(西安)测控科技有限公司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CN112401898B (en) * 2020-11-11 2024-03-12 西安臻泰智能科技有限公司 High-precision electroencephalogram signal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KR102512306B1 (en) * 2021-02-22 2023-03-22 근로복지공단 Mouse using electromyogram signal
KR102589996B1 (en) * 2021-06-15 2023-10-17 한국기계연구원 Wireless multi-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measurement system
KR102523565B1 (en) * 2021-07-06 2023-04-20 근로복지공단 Electric tool using electromyogram signal
CN113827248A (en) * 2021-09-18 2021-12-24 宁波慈溪生物医学工程研究所 Non-contact electrocardio detects multilayer combined electrod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438B1 (en) 1999-08-26 2004-10-19 Riccardo Brun Del Re Electric field sensor
KR20060050892A (en) * 2004-08-31 2006-05-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in everyday life
KR20100107104A (en) * 2009-03-25 2010-10-05 (주)락싸 Contactless sensor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438B1 (en) 1999-08-26 2004-10-19 Riccardo Brun Del Re Electric field sensor
KR20060050892A (en) * 2004-08-31 2006-05-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in everyday life
KR20100107104A (en) * 2009-03-25 2010-10-05 (주)락싸 Contactless sensor circui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933A1 (en) * 2014-09-23 2016-03-31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US10052042B2 (en) 2014-09-23 2018-08-21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RU2677767C2 (en) * 2014-09-23 2019-01-21 Рр Сиквенсис Инк. Non-contact registration system of electrocardiography
US10939840B2 (en) 2014-09-23 2021-03-09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US11064927B2 (en) 2014-09-23 2021-07-20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CN112040863A (en) * 2017-11-17 2020-12-04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Dual power supply analog circuit for sensing surface EMG signals
KR20190064987A (en) * 2017-12-01 2019-06-11 한국과학기술원 A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and a method for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and an appratus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KR102020802B1 (en) * 2017-12-01 2019-10-18 한국과학기술원 A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and a method for non-contact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and an appratus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KR101995153B1 (en) * 2018-01-22 2019-07-01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Method and Device for Compensation of ECG Signal of Wearable Device Using Accelera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01A (en)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413B1 (en) Electrical contactless bio-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76848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in everyday life
Sun et al. Capacitive biopotential measurement for electro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A review
KR101206280B1 (en) Electric contactless electric potential sensor circuit
Walter et al. The smart car seat: Personalized monitoring of vital signs in automotive applications
JP5597703B2 (en) Capacity sensing system, capacity sen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599723B2 (en)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10660575B2 (en) Ultra high impedance sensor with applications in neurosensing
Leonhardt et al. Non-contact ECG monitoring for automotive application
US20120265080A1 (en) Non-contact sensing of physiological signals
JP2009534108A (en) Electrical signal measurement system
Matsuda et al. ECG monitoring of a car driver using capacitively-coupled electrodes
JP2007301175A (en) Bioelectric signal collecting device
Wu et al. Contactless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heart electric activities through clothes on a sleeping bed
US20210267524A1 (en) Contactless electrode for sensing physiological electrical activity
Yama et al. Development of a wireless capacitive sensor for ambulatory ECG monitoring over clothes
Sandra et al. Simulation study of a contactless, capacitive ECG system
Takano et al. Stability improvement and noise suppression in non-contact in-bed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using laminated feedback electrode
KR101041943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Surface Potential Mapping Using Electric Non-Contact Electrocardiogram
Muneer Non contact ECG recording instrument for continuous cardiovascular monitoring
Sakajiri et al. Feasibility Study on Fabric-Sheet Unified Sensing Electrode for Non-Contact In-Bed Measurements of ECG, Body Proximity and Respiratory Movement
Nguyen et al. A Smart Intra-Oral Wearable for Wireless Electroocoulogram Measurement
ES2384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ONTINUOUS DETECTION OF HEART FREQUENCY FOR IMPEDANCE PLETISMOGRAPHY WITH HID ELECTRODES.
Yoo et al. Simple electrode contact monitoring for home healthc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