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018B1 - 조류 발전기 - Google Patents

조류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018B1
KR101226018B1 KR1020100098871A KR20100098871A KR101226018B1 KR 101226018 B1 KR101226018 B1 KR 101226018B1 KR 1020100098871 A KR1020100098871 A KR 1020100098871A KR 20100098871 A KR20100098871 A KR 20100098871A KR 101226018 B1 KR101226018 B1 KR 10122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ub
rail
rudder
tida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236A (ko
Inventor
김현조
이종훈
육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0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F03B15/04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of turbines
    • F03B15/06Regulating, i.e. acting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조류 발전기는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러더부 및 상기 러더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이 제어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플랩 러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류 발전기{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해 발전하는 조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조류 발전기는 조류를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기이다.
종래의 조류 발전기는 조류 발전용 터빈을 이용해 조류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켰으나, 조류 발전용 터빈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이 프로펠러에 연결된 회전자 등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조류 발전기는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류 발전기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한 구조를 가져 제조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조류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러더부 및 상기 러더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이 제어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플랩 러더를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러더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슬라이드부, 상기 러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와 대향하는 제2 서브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러더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러더부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내로 제한하는 회동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서브 레일, 및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서브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서브 레일 및 상기 제2 서브 레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를 소정 거리 내로 제한하는 슬라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부는 상기 러더부에 비해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 및 상기 플랩 러더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에 따른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런더와 연결된 튜브, 상기 튜브와 연결된 유압 피스톤, 및 상기 유압 피스톤과 연통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유닛은 상기 레일에 감긴 코일,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이 감긴 레일의 일 부분을 감싸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를 가져 제조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된 조류 발전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플랩부의 제어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왕복 슬라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a)는 조류 발전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b)는 조류 발전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0)는 조류가 발생되는 수중에 위치하며, 레일(100), 슬라이드부(200) 및 플랩 러더(flap rudder)(300)를 포함한다.
레일(100)은 슬라이드부(200)가 레일(100) 상에서 슬라이드(slide)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200)를 지지하며, 제1 서브 레일(110), 제2 서브 레일(120) 및 슬라이드 스토퍼(130)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레일(110)은 슬라이드부(200)의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가 제1 서브 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를 지지하며, 도 1의 (b)에서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서브 레일(110)은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 서브 레일(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그루브(groov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레일(120)은 슬라이드부(200) 및 플랩 러더(300)를 사이에 두고 제1 서브 레일(110)과 대향하며, 슬라이드부(200)의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가 제2 서브 레일(120)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를 지지한다. 제2 서브 레일(120)은 도 1의 (b)에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서브 레일(120)은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2 서브 레일(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스토퍼(130)는 제1 서브 레일(110) 및 제2 서브 레일(120) 각각의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서브 레일(110) 및 제2 서브 레일(120)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 스토퍼(130)는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00)의 슬라이드 거리를 소정 거리 내로 제한한다. 슬라이드 스토퍼(130)는 슬라이드부(20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부(200)는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레일(100)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지지축(230) 및 회동 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는 플랩 러더(300) 중 러더부(310)의 일측에 위치하며, 보다 상세하게 러더부(310)와 제1 서브 레일(1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는 제1 서브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 서브 레일(110)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는 제1 서브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 서브 레일(110)에 형성될 수 있는 그루브와 대응하여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로부터 제1 서브 레일(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는 제1 서브 레일(110)에 지지되어 제1 서브 레일(110)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나, 제1 서브 레일(110)에 형성된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의해 슬라이드 거리가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는 러더부(310)를 사이에 두고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와 대향하며, 보다 상세하게 러더부(310)와 제2 서브 레일(1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는 제2 서브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2 서브 레일(120)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는 제2 서브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2 서브 레일(120)에 형성될 수 있는 그루브와 대응하여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로부터 제2 서브 레일(1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는 제2 서브 레일(120)에 지지되어 제2 서브 레일(120)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나, 제2 서브 레일(120)에 형성된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의해 슬라이드 거리가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 및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각각이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의해 제1 서브 레일(110) 및 제2 서브 레일(120) 각각에서 슬라이드 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 및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슬라이드 스토퍼(130) 사이에서 제1 서브 레일(110) 및 제2 서브 레일(120) 각각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한다.
지지축(230)은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와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사이를 연결하며, 플랩 러더(300) 중 러더부(31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지지축(230)은 러더부(310)가 지지축(23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러더부(310)를 지지한다.
회동 스토퍼(240)는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 및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각각의 단부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 및 제2 서브 슬라이드부(220)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동 스토퍼(240)는 지지축(23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플랩 러더(300)의 러더부(310)의 회동을 소정 각도 내로 제한한다. 회동 스토퍼(240)는 플랩 러더(30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랩 러더(300)는 슬라이드부(200)에 지지되어 있으며, 러더부(310) 및 플랩부(320)를 포함한다.
러더부(310)는 슬라이드부(200)의 지지축(230)에 중앙 부분이 관통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러더부(310)는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200)에 지지되어 있다. 러더부(310)는 슬라이드부(200)에 지지되어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나, 슬라이드부(200)에 포함된 회동 스토퍼(240)에 의해 회동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된다. 도 1에서 러더부(310)는 타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더부는 원, 다각형 또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일 수 있다.
플랩부(320)는 러더부(310)의 단부에 연결되어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제어되도록 러더부(310)에 지지되어 있다. 플랩부(320)는 러더부(310)보다 크기가 작으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회동 제어된다. 이러한, 플랩부(320)의 회동 제어로 인해 러더부(310)가 슬라이드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 러더부(310)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드부(200)가 레일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한다. 즉, 플랩부(320)의 회동 제어로 인해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부(200)가 왕복 슬라이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플랩부(320)의 회동 제어로 인해 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부(200)가 왕복 슬라이드하는 원리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에서 플랩부의 회동 제어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왕복 슬라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플랩부(320)를 시계 방향으로 제1 러더 형태(R1)로 회동 제어하게 되면 조류에 의해 플랩부(320)에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러더부(310)가 회동 스토퍼(240)에 도달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러더부(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슬라이드부(200)에 양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드부(200)가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다음, 슬라이드부(200)가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도달하면, 플랩부(320)를 반시계 방향으로 제2 러더 형태(R2)로 회동 제어하게 되면 조류에 의해 플랩부(320)에 시계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러더부(310)가 회동 스토퍼(240)에 도달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러더부(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슬라이드부(200)에 양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드부(200)가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도달할 때까지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다음, 슬라이드부(200)가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도달하면, 다시 플랩부(320)를 시계 방향으로 제3 러더 형태(R3)로 회동 제어하게 되면 조류에 의해 플랩부(320)에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러더부(310)가 회동 스토퍼(240)에 도달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러더부(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슬라이드부(200)에 양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드부(200)가 슬라이드 스토퍼(130)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술한 순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플랩부(32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되면, 슬라이드부(200)는 조류에 의해 레일(10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플랩 러더(300)로 흐르는 조류 및 플랩부(320)의 회동 제어로 인해 러더부(310)가 슬라이드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이 러더부(310)의 회동 및 플랩 러더(300)로 흐르는 조류에 의해 슬라이드부(200)가 레일(100) 상에서 왕복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레일(10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00)에 발전 유닛(미도시)이 연결될 경우 슬라이드부(200)의 슬라이드에 따른 운동 에너지가 발전 유닛(미도시)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0)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드부(200)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러더부(31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러더부(310)에 비해 크기가 작은 플랩부(320)의 회동을 제어함으로써, 조류 발전기(1000)의 제어로 인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적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0)는 단순히 레일(100), 슬라이드부(200) 및 플랩 러더(300)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은 플랩부(320)만을 제어하여 운동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0)는 수중에 설치되어 수중에 발생되는 조류를 이용해 발전을 함으로써, 조류, 파도 및 바람 등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전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적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2)는 레일(100), 제1 슬라이드부(201), 제2 슬라이드부(202), 제3 슬라이드부(203), 제1 플랩 러더(301), 제2 플랩 러더(302) 및 제3 플랩 러더(303)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부(201)와 제1 플랩 러더(301), 제2 슬라이드부(202)와 제2 플랩 러더(302), 및 제3 슬라이드부(203)와 제3 플랩 러더(303)는 레일(100) 상에서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2)는 슬라이드부 및 플랩 러더가 복수개이며, 제1 슬라이드부(201), 제2 슬라이드부(202) 및 제3 슬라이드부(203) 각각에는 각각의 발전 유닛(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2)는 제1 슬라이드부(201), 제2 슬라이드부(202) 및 제3 슬라이드부(203) 각각이 레일(10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함으로써, 각각의 슬라이드부로부터 발생되는 각 운동 에너지가 각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0)에 비해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3)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3)는 레일(100), 슬라이드부(200), 플랩 러더(300) 및 발전 유닛(400)을 포함한다.
발전 유닛(400)은 슬라이드부(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부(200)의 슬라이드에 따른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발전 유닛(400)은 유압 실린더(410), 튜브(420), 유압 피스톤(430), 로터(440) 및 케이스(450)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410)는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가 레일(10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할 때, 유압 실린더(410) 내의 유체가 압력을 받게 되며, 이 압력을 받은 유체는 튜브(420)로 이동하게 된다.
튜브(420)는 유압 실린더(4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 실린더(410)로부터 이동된 유체가 이동하는 채널로서 기능한다.
유압 피스톤(430)은 튜브(420)와 연결되어 있으며, 튜브(420)를 통해 이동된 유체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된다.
로터(440)는 유압 피스톤(430)과 연통하고 있으며, 유체에 의해 유압 피스톤(430)이 왕복하게 되면 유압 피스톤(430)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 로터(440)의 회전에 의해 발전이 수행된다.
케이스(450)는 유압 피스톤(430) 및 로터(440)를 커버하며, 유압 피스톤(430) 및 로터(440)에 해수 등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3)는 슬라이드부(200)의 왕복 슬라이드를 로터(44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발전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4)는 레일(100), 슬라이드부(200), 플랩 러더(300) 및 발전 유닛(402)을 포함한다.
발전 유닛(402)은 슬라이드부(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부(200)의 슬라이드에 따른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발전 유닛(402)은 코일(470) 및 자성체(480)를 포함한다.
코일(470)은 제1 서브 레일(110)에 감겨져 있으며, 자성체(480)는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에 지지되어 코일(470)이 감긴 제1 서브 레일(110)의 일 부분을 감싸고 있다.
제1 서브 슬라이드부(210)가 제1 서브 레일(110)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할 때, 자성체(480)는 코일(470)이 감긴 제1 서브 레일(110)을 감싸고 왕복 슬라이드함으로써,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코일(47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류 발전기(1004)는 슬라이드부(200)의 왕복 슬라이드를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레일(100), 슬라이드부(200), 러더부(310), 플랩부(320), 플랩 러더(300)

Claims (10)

  1. 레일;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러더부 및 상기 러더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이 제어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플랩 러더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러더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슬라이드부;
    상기 러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와 대향하는 제2 서브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러더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지지축
    을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러더부의 회동을 소정의 각도 내로 제한하는 회동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서브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서브 레일; 및
    상기 제2 서브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서브 레일
    을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서브 레일 및 상기 제2 서브 레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를 소정 거리 내로 제한하는 슬라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러더부에 비해 크기가 작은 조류 발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 및 상기 플랩 러더는 복수개인 조류 발전기.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에 따른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런더와 연결된 튜브;
    상기 튜브와 연결된 유압 피스톤; 및
    상기 유압 피스톤과 연통하는 로터
    를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유닛은,
    상기 레일에 감긴 코일;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이 감긴 레일의 일 부분을 감싸는 자성체
    를 포함하는 조류 발전기.
KR1020100098871A 2010-10-11 2010-10-11 조류 발전기 KR10122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71A KR101226018B1 (ko) 2010-10-11 2010-10-11 조류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871A KR101226018B1 (ko) 2010-10-11 2010-10-11 조류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36A KR20120037236A (ko) 2012-04-19
KR101226018B1 true KR101226018B1 (ko) 2013-01-24

Family

ID=4613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871A KR101226018B1 (ko) 2010-10-11 2010-10-11 조류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972A (ja) * 2001-09-04 2003-05-30 Nikken Engineering:Kk 発電装置
US20040080166A1 (en) * 2000-07-05 2004-04-29 Davidson Fred E Power generation assembly
US20080148723A1 (en) * 2006-12-22 2008-06-26 Birkestrand Orville J Fluid-responsive oscillation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9504957A (ja) * 2005-08-12 2009-02-05 バイオパワ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流体流からエネルギーを捕捉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0166A1 (en) * 2000-07-05 2004-04-29 Davidson Fred E Power generation assembly
JP2003155972A (ja) * 2001-09-04 2003-05-30 Nikken Engineering:Kk 発電装置
JP2009504957A (ja) * 2005-08-12 2009-02-05 バイオパワ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流体流からエネルギーを捕捉する装置
US20080148723A1 (en) * 2006-12-22 2008-06-26 Birkestrand Orville J Fluid-responsive oscillation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236A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146B2 (en) Turbine system and method
US20130106111A1 (en) Electrical Machine for Submerged Application and Energy Conversion System
US20140353971A1 (en) Magnetic bearing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3089548B (zh) 垂直轴风轮连杆组合变桨距风力发电装置
WO2017075379A1 (en) Turbine system and method
JP6125212B2 (ja) 波力発電装置
CN106712387A (zh) 一种牵引式单立柱涡激振动海流能发电装置
KR101226018B1 (ko) 조류 발전기
KR101885293B1 (ko) 덕트형 수중터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 풍력발전기
CN105422361A (zh) 可升降式潮流能导流与遮蔽装置
WO2021043049A1 (zh) 一种波浪能吸收转化装置及发电系统
CN101577478A (zh) 永磁独立发电机
CN206722964U (zh) 传动装置和发电装置
CN206988011U (zh) 一种叶片驱动的集成式海流能量收集装置
KR101259719B1 (ko) 유체 날개가 구비된 유체발전기
KR101627665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CN107124071B (zh) 一种集成式海流能量收集装置
KR102095038B1 (ko) 수중발전기
CN203081646U (zh) 一种悬浮旋转式水压力能转换动力输出装置
KR101346169B1 (ko) 플랩 러더형 조류 발전기
CN103266981B (zh) 斜板转筒式波浪能发电装置
CN201705535U (zh) 一种海流发电装置
CN201975960U (zh) 一种无刷双馈电机
KR101295083B1 (ko) 풍력과 파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ITMI20080728A1 (it)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energia elett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