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67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67B1
KR101225967B1 KR1020060002242A KR20060002242A KR101225967B1 KR 101225967 B1 KR101225967 B1 KR 101225967B1 KR 1020060002242 A KR1020060002242 A KR 1020060002242A KR 20060002242 A KR20060002242 A KR 20060002242A KR 101225967 B1 KR101225967 B1 KR 10122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alf mirr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284A (ko
Inventor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6Protection against smoke or toxic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디에 카메라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를 차폐하는 하프미러가 설치되어 왜곡되지 않은 자신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셀프 촬영 시 하프미러를 응시하면, 사용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렌즈를 향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2 : 디스플레이바디
14 : 키패드바디 15 : 배터리
17 : 카메라버튼 20 : 카메라모듈
22 : 렌즈 24 : 플래쉬
30 : 카메라커버 40 : 하프미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프 촬영 시 자기 자신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을 커버하는 하프미러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주위의 풍경은 물론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셀프 촬영 시 자신의 모습을 볼록거울이 설치되고, 상기 볼록 거울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같은 면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볼록거울은 시각적인 왜곡으로 인해 셀프 촬영자의 전체적인 윤곽만을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볼록거울은 카메라모듈이 렌즈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바, 셀프 촬영 시 사용자의 시선이 카메라모듈을 향하지 않고 볼록거울을 향하게 되며, 볼록거울을 확인한 후 다시 시선 또는 얼굴을 카메라렌즈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동과정에서 카메라모듈의 초점이 다시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모듈의 전방에 하프미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신을 모습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선 교정이 필요치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하프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카메라커버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카메라커버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커버는 상기 바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렌즈 및 플래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하프커버는 상기 렌즈만을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바디는 표시창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바디와; 상기 키패드가 설치된 키패드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키패드바디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디(10)와, 상기 바디(10)에 설치된 카메라모듈(20)과,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을 개폐하는 카메라커버(30)와, 상기 카메라커버(3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을 차폐하는 하프미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타입으로서, 전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바디(12)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에 대해 상대 이동되는 키패드바디(14)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와 상기 키패드바디(14) 사이에는 레일(미도시) 및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키패드바디(14)의 배면에는 배터리(15)가 조립되고, 상기 배터리(15)의 상측으로 상기 카메라모듈(20)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20)을 개폐하도록 상기 키패드바디(14)의 배면에 상기 카메라커버(30)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커버(30)는 상기 키패드바디(1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커버(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20)이 개폐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22)와, 촬영 시 빛을 발광하는 플래쉬(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20)은 상기 키패드바디(14)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커버(30)는 상기 키패드바디(14)의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단이 상기 키패드바디(14)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따라 이동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커버(30)의 하단에는 상기 카메라모듈(20)을 차폐하는 하 프미러(40)가 설치되고, 상기 하프미러(40)는 상기 카메라커버(30)에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하프미러(40)는 상기 카메라커버(30)의 상/하 이동 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키패드바디(14)의 배면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모듈(20)을 노출 또는 차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40)는 유리의 양면 반사율이 40 ~ 50% 정도 되도록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등을 증착시킨 것으로서, 밝은 쪽에서는 어두운 쪽을 볼 수 없지만 어두운 쪽에서는 밝은 쪽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 거울이다.
그래서 카메라커버(30)에 설치된 상기 하프미러(40)의 외부가 통상적으로 더 밝게 유지되는 바, 사용자는 셀프 촬영 시 상기 카메라커버(30)에 설치된 하프미러(40) 투영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프미러 사용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모듈(20)의 렌즈(22)를 자신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바디(10)에 설치된 카메라버튼(17)을 눌러 사진을 촬영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모듈(20)의 렌즈(22)를 차폐하고 있는 하프미러(40)를 주시하게 되고, 상기 하프미러(40)에 반사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셀프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프 촬영 시 피사체 주위의 조도 또는 강제 조작에 따라 상기 플래쉬(24)가 작동될 수 있고, 상기 플래쉬(24)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하프미러(40)를 투과하여 피사체에서 반사된 후 다시 상기 하프미러(40)를 투과하여 상기 렌즈(22)에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하프미러(40) 안쪽, 즉 상기 렌즈(22) 내부의 빛보다 밝은 바 상기 렌즈(22)는 상기 하프미러(40)의 작용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고, 상기 하프미러(40)의 외측면에서 반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프미러(40)는 상기 렌즈(22)에 입사되는 빛을 여과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래쉬(24)에 발광되는 빛을 여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겸한다.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커버(30)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셀프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40)는 상기 카메라모듈(20)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카메라모듈(20)과 중첩되어 설치되고, 이로 인해 종래 카메라모듈과 나란히 설치되는 볼록거울 등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풍경이나 사물 등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렌즈(22)가 피사체를 향하게 한 다음, 버튼(17)을 눌러 사진을 촬영하게 되고, 이때의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에 설치된 표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카메라커버(30)에 설치된 하프미러(40)가 카메라모듈(20)의 렌즈(22)만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40)는 상기 렌즈(22)를 가리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하프미러(40)를 응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은 자연적으로 상기 렌즈(22)를 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대한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이 바디의 배면 측에 설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카메라모듈이 바디의 배면이 아닌 다른 면들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카메라커버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렌즈를 차폐하도록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디에 카메라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를 차폐하는 하프미러가 설치되어 왜곡되지 않은 자신 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렌즈를 차폐하도록 하프미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셀프 촬영 시 하프미러를 응시하면, 사용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렌즈를 향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프 촬영 시 사용자가 하프미러를 응시한 후 시선의 변화 또는 얼굴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의 초점 조정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하프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카메라커버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카메라커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커버는 상기 바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하프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렌즈 및 플래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렌즈만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바디와;
    상기 바디에 설치된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차폐하도록 설치된 하프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표시창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바디와;
    키패드가 설치된 키패드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키패드바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02242A 2006-01-09 2006-01-09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2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42A KR101225967B1 (ko) 2006-01-09 2006-01-09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42A KR101225967B1 (ko) 2006-01-09 2006-01-09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284A KR20070074284A (ko) 2007-07-12
KR101225967B1 true KR101225967B1 (ko) 2013-01-24

Family

ID=3850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242A KR101225967B1 (ko) 2006-01-09 2006-01-09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29Y1 (ko) * 2016-01-07 2017-07-24 박민수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088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조명장치
KR20040062087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3894A (ko) * 2003-09-0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6153B1 (ko) * 2005-11-1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088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조명장치
KR20040062087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3894A (ko) * 2003-09-0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86153B1 (ko) * 2005-11-1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284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8988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4319444B2 (ja) 撮像装置
KR1006058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CN107167985A (zh) 闪光灯镜片、壳体组件及移动终端
EP1601166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wo liquid crystal displays
JP3744872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200711636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KR101255945B1 (ko) 카메라 모듈
KR1012259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12435790U (zh) 一种摄像遮光装置
JP6436727B2 (ja) レンズフード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
JP2017068181A (ja) ファインダー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649734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100474035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494652B1 (ko) 카메라 덮개가 장착된 휴대폰
KR1006861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48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개폐 장치
KR101117784B1 (ko)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JP4280049B2 (ja) 携帯型通信端末機
CN113873127B (zh) 一种电子设备
KR10233774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0534181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50100759A (ko) 본인의 촬영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1343682A (ja) 外装カバーを備えた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