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64B1 -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64B1
KR101225964B1 KR1020050096137A KR20050096137A KR101225964B1 KR 101225964 B1 KR101225964 B1 KR 101225964B1 KR 1020050096137 A KR1020050096137 A KR 1020050096137A KR 20050096137 A KR20050096137 A KR 20050096137A KR 101225964 B1 KR101225964 B1 KR 10122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boss
encoder
elastic bod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608A (ko
Inventor
최철우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64B1/ko
Priority to US12/089,827 priority patent/US8438878B2/en
Priority to EP06799191.9A priority patent/EP1934393B1/en
Priority to CN2006800426385A priority patent/CN101310069B/zh
Priority to PCT/KR2006/004112 priority patent/WO2007043819A1/en
Publication of KR2007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트롤러의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스가 전면에 돌출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배면에 돌출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노브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노브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컨트롤러, 컨트롤 패널, 기판, 노브 장치, 엔코더, 노브, 노브 서포터, 제 1 보스, 제 2 보스, 탄성체

Description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nob apparatus of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로의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노브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서포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로의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8: 컨트롤러 28,29: 노브 장치
30: 노브 32: 플랜지부
34: 제 1 보스 40: 엔코더
42: 본체 44: 회전 로드
50,70: 노브 서포터 52,72: 슬라이딩 안착부
54: LED 지지부 56,76: 제 2 보스
58,78: 투명창 60,80: 탄성체
62,82: 연결부 64,84: 연장부
66,86: 돌기부 74: LED 표시부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의 흔들림이 감소되어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이나 용도에 맞도록 기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기계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기계의 작동을 직접 조절하거나 또는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변경/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각종 스위치가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는 조작 방식에 따라 누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회전 스위치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스위치로는 노브 장치가 대표적인 바, 상기 노브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 형상의 노브(Knob)와, 상기 노브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En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는 상기 컨트롤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엔코더는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노브의 배면에 일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과 기판의 사이에는 소정의 크기로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엔코더의 일단은 노브 측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노브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이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보스가 엔코더 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상기 엔코더의 일단과 노브의 보스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엔코더와 노브가 충격에 매우 취약하게 연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외부 충격과 조작력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노브 장치에는 상기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를 보강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의 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보스가 구비된다.
즉, 상기 컨트롤 패널에 지지용 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 또는 기판에 지지용 보스가 형성된 부품이 별도로 장착되어 상기 부품에 의해 엔코더와 노브의 연결 부위가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상기 지지용 보스의 내부에 노브의 보스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노브의 보스와 지지용 보스가 면접촉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 소음이 발생되거나 마찰 저항으로 인해 조작감이 크게 저하되며, 상기 보스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상기 노브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노브의 보스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이 크게 형성되면,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로 인한 소음과 조작감 저하는 감소되나,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크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노브의 보스와 지지용 보스 사이의 간극이 작게 형성되면, 상기 노브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은 감소되나, 상기 노브의 회전시 마찰이 크게 발생되어 마찰 소음과 조작감 저하가 크게 증대되고, 상기 노브의 보스와 지지용 보스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 장치의 조작시 노브가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노브 장치의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 장치의 조작시 마찰 작용으로 인한 조작감 저하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브의 흔들림 및 마찰 소음의 방지가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구현되고, 노브 장치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컨트롤러의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스가 전면에 돌출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배면에 돌출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가 안착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가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컨트롤러의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기판이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스가 전면에 돌출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배면에 돌출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가 안착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가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과, 상기 드럼(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일정 높이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세탁물을 퍼올리는 복수개의 리프터(4)와, 상기 터브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3)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5)와, 상기 캐비닛 커버(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6)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 상부에 장착되어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캐비닛(2)과 캐비닛 커버(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7)의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패널(10)과,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된 기판(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0)에는 복수개의 표시홀(11)과 버튼홀(13) 및 노 브홀(15)이 형성되는 바, 상기 표시홀(11)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12)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홀(13)에는 누름 가능하게 버튼(1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20)에는 상기 투명창(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표시부재(22)가 장착되고, 상기 버튼(14)과 대향되는 위치에 택트 스위치(24)가 장착된다.
상기 표시부재(22)는 LCD나 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용 부품으로써 상기 투명창(12)을 통해 드럼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24)는 온-오프 스위치로써 상기 버튼(14)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판(20)의 전면에는 상기 LED를 지지함과 아울러 LED의 불빛을 투명창(12)으로 안내하는 LED 서포터(26)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노브홀(15)과 대향되는 기판(20)에는 노브 장치(28)가 설치되는 바, 상기 노브 장치(28)는 노브(30)의 회전 조작된 각도에 따라 엔코더(40)가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작동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회전 스위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로의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노브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서포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의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노브(30)와, 상기 노브(30)의 배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30)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40)와, 상기 엔코더(40)가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장착되는 노브 서포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30)는 상기 노브홀(15)에 관통되게 배치된 원통형의 손잡이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전방으로 전부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노브 서포터(50)의 전면에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30)의 후부 끝단에는 상기 노브 서포터(50)의 전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활한 안착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32)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제 2 보스(34)가 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
상기 엔코더(40)는 상기 기판(20)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실장된 본체(42)와,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에 일단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드(4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 2 보스(34)의 중공부과 회전로드(44)의 일단부는 상기 노브(30)의 회전력이 엔코더(4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원형 이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 서포터(50)는 상기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품으로써,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안착부(52)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LED를 지지하도록 LED 지지부(54)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보스(3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제 1 보스(56)가 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
상기 제 2 보스(34)는 상기 제 1 보스(56)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부에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압입되되, 상기 제 1 보스(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LED 지지부(54)는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외측 둘레에 전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된다.
이와 같은 LED 지지부(54)에는 상기 LED가 내부에 배치되는 LED홀(54A)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LED홀(54A)은 상기 기판(20)에 설치된 LED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LED의 불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LED 지지부(54)의 전면에는 상기 LED의 불빛이 투영되는 링 형상의 투명창(58)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에는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6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56)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52A)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60)는 상기 관통홀(52A)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체(60)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에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62)와, 상기 연결부(62)에서 소정의 길이로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64)와, 상기 연장부(64)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안착되는 돌기부(6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관통홀(52A)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6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62)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6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66)가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길이와 경사각도가 적절히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에 노브(30)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60)가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66)는 상기 탄성체(60)와 노브(30)의 접촉 면적이 감소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회전시 마찰 작용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64)의 끝 단 전면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노브 서포터(50)의 관통홀(52A)은 상기 탄성체(60)가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와 탄성체(60)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체(60)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대한 조립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20)의 전면에 LED, LED 서포터(26), 택트 스위치(24), 표시부재(22), 엔코더(40) 등이 실장되고, 상기 LED와 엔코더(40)가 실장된 부위에는 LED 서포터(26)와 노브 서포터(50)가 장착된다.
상기 노브 서포터(50)는 LED 지지부(54)의 LED홀(54A)에 상기 LED가 삽입됨과 동시에 제 1 보스(56)의 중공된 내부에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로드(44)가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LED는 노브 서포터(50)의 LED 지지부(5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불빛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
상기와 같은 노브 서포터(50)의 슬라이딩 안착부(52)에는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에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체(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중앙에 형성된 제 1 보스(56)에 회전 가능 하게 삽입된다.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가 상기 제 1 보스(5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1 보스(56) 내의 회전 로드(44)는 제 2 보스(34)의 중공부에 압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탄성체(60)의 돌기부(66)에 안착되고, 상기 노브(30)가 슬라이딩 안착부(52)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60)는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체(60)는 상기 노브(30)의 안착되는 위치보다 돌기부(66)가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52)에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30)가 슬라이딩 안착부(52)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돌기부(66)가 후방으로 눌림되고, 상기 돌기부(66)가 눌림됨에 따라 연장부(64)와 연결부(62)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60)는 상기 제 1 보스(56)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30)는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6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60)에 의해 노브(3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노브(30)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탄성체(60)의 돌기부(66)에 점접촉되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돌기부(66)와 플랜지부(32) 사이에 는 마찰 작용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과 조작감 저하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노브(30)가 복수개의 탄성체(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제 1 보스(56)와 제 2 보스(34) 사이의 간극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의 조립시 상기 제 1 보스(56)의 중공부에 상기 제 2 보스(34)가 간편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보스(56)와 제 2 보스(34)의 마찰 접촉이 감소되어 상기 노브(30)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한편, 컨트롤 패널(10)은 표시홀(11)에 투명창(12)이 설치됨과 아울러 버튼홀(13)에 버튼(14)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재(22)와 택트 스위치(24)가 투명창(12)과 버튼홀(13)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배면에는 상기 기판(2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노브 장치(28)는 상기 컨트롤 패널(10)에 형성된 노브홀(15)에 노브(30)의 전부가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노브(30)와 노브홀(15) 사이에는 투명창(58)이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가 구비된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로의 노브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참고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 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8)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기판(20)이 배면에 장착된 컨트롤 패널(10)과,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된 노브 서포터(70)에 안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노브(30)와, 상기 컨트롤 패널(10)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노브(30)의 배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20)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30)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30)는 상기 노브 서포터(7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통형의 손잡이로써, 후부 끝단에는 상기 노브 서포터(70)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활한 안착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32)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노브(30)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제 2 보스(34)가 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
상기 엔코더(40)는 상기 기판(20)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실장된 본체(42)와,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에 일단부가 압입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드(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 서포터(70)는 상기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부위로써,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안착부(72)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외측에는 상기 엔코더(40)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LED의 불빛이 투영되는 LED 표시부(74)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중앙에는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보스(3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제 1 보스(76)가 전방으로 중공되게 돌출된다.
상기 제 2 보스(34)는 상기 제 1 보스(76)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부에 상기 엔코더(40)의 일단부가 압입되되, 상기 제 1 보스(7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74)는 상기 노브(30)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외측 둘레에 전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된다.
이와 같은 LED 표시부(74)에는 상기 기판(20)에 설치된 LED와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표시홀(11)이 원형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표시홀(11)에는 투명창(78)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에는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76)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72A)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관통홀(72A)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체(80)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에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82)와, 상기 연결부(82)에서 소정의 길이로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84)와, 상기 연장부(84)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가 안착되는 돌기부(8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82)는 상기 관통홀(72A)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8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82)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8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86)가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길이와 경사각도가 적절히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에 노브(30)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8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86)는 상기 탄성체(80)와 노브(30)의 접촉 면적이 감소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30)의 회전시 마찰 작용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84)의 끝단 전면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노브 서포터(70)의 관통홀(72A)은 상기 탄성체(80)가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와 탄성체(80)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체(80)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에 대한 조립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20)의 전면에 LED, LED 서포터(26), 택트 스위치(24), 표시부재(22), 엔코더(40) 등이 실장되고, 상기 LED가 실장된 부위에는 LED 서포터(26)가 장착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10)은 표시홀(11)에 투명창(12)이 설치되고, 버튼홀(13)에 버튼(14)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 패널(10)의 배면에는 상기 기판(20)이 장착되는 바, 상기 표시부재(22)와 택트 스위치(24)는 투명창(12)과 버튼홀(13)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엔코더(40)의 회전로드(44)는 컨트롤 패널(10)의 제 1 보스(76)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0)의 노브 서포터(70)에는 노브(3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노브 서포터(70)의 슬라이딩 안착부(72)에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체(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는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중앙에 형성된 제 1 보스(7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노브(30)의 제 2 보스(34)가 상기 제 1 보스(7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1 보스(76) 내의 회전 로드(44)는 제 2 보스(34)의 중공부에 압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탄성체(80)의 돌기부(86)에 안착되고, 상기 노브(30)가 슬라이딩 안착부(72)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80)는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노브(30)의 안착되는 위치보다 돌기부(86)가 전 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안착부(72)에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30)가 슬라이딩 안착부(72)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돌기부(86)가 후방으로 눌림되고, 상기 돌기부(86)가 눌림됨에 따라 연장부(84)와 연결부(82)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노브(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80)는 상기 제 1 보스(76)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30)는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8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80)에 의해 노브(3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노브(30)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노브(30)의 플랜지부(32)는 상기 탄성체(80)의 돌기부(86)에 점접촉되므로, 상기 노브(3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돌기부(86)와 플랜지부(32) 사이에는 마찰 작용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과 조작감 저하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노브(30)가 복수개의 탄성체(8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제 1 보스(76)와 제 2 보스(34) 사이의 간극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노브(30)의 상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의 조립시 상기 제 1 보스(76)의 중공부에 상기 제 2 보스(34)가 간편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보스(76)와 제 2 보스(34)의 마찰 접촉이 감소되어 상기 노브(30)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는 노브 서포터의 전면에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노브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노브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노브 서포터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노브가 안착되는 돌기부로 구성되므로, 상기 노브와 돌기부만 접촉되어 노브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상기 노브 장치의 조작시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 및 조작감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2 보스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더라도 탄성체로 인해 노브 서포터에 노브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제 1,2 보스가 정밀하게 설계 및 제작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노브 장치의 설계와 제작이 간편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노브 서포터에 전후 방향으로 누름 가능하게 탄성체가 일체로 성 형되므로, 상기 탄성체는 매우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노브 장치에 간단하게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컨트롤러의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를 덮도록 상기 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스가 전면에 돌출된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배면에 돌출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가 안착되는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가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5. 컨트롤러의 기판에 설치된 엔코더와;
    상기 기판이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스가 전면에 돌출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엔코더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보스가 배면에 돌출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가 안착되는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보스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보다 상기 돌기부가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20050096137A 2005-10-12 2005-10-12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22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137A KR101225964B1 (ko) 2005-10-12 2005-10-12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US12/089,827 US8438878B2 (en) 2005-10-12 2006-10-12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06799191.9A EP1934393B1 (en) 2005-10-12 2006-10-12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N2006800426385A CN101310069B (zh) 2005-10-12 2006-10-12 待洗物处理装置的控制单元
PCT/KR2006/004112 WO2007043819A1 (en) 2005-10-12 2006-10-12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137A KR101225964B1 (ko) 2005-10-12 2005-10-12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08A KR20070040608A (ko) 2007-04-17
KR101225964B1 true KR101225964B1 (ko) 2013-01-24

Family

ID=3817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137A KR101225964B1 (ko) 2005-10-12 2005-10-12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674B1 (ko) * 2021-04-22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29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세탁기의 컨트롤러 어셈블리
KR20040073771A (ko) * 2003-02-14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로터리 스위치 어셈블리
KR20050022910A (ko) * 2003-08-27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로터리 놉 어셈블리 구조
KR20050022909A (ko) * 2003-08-27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로터리 놉 어셈블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29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세탁기의 컨트롤러 어셈블리
KR20040073771A (ko) * 2003-02-14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로터리 스위치 어셈블리
KR20050022910A (ko) * 2003-08-27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로터리 놉 어셈블리 구조
KR20050022909A (ko) * 2003-08-27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로터리 놉 어셈블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08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78B2 (en) Control unit of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602377B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knob assembly
US7217098B2 (en) Tower fan assembly
KR101225963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JP2005301900A (ja) 車載用力覚付与型入力装置
KR102599903B1 (ko) 조리기기
KR20120075794A (ko) 세탁기
KR101225964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234075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234076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394511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20010039835A (ko) 스위치 장치
KR101155491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166195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263865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20070088210A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318356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101263866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JP2011024778A (ja) 遊技機用操作スイ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KR101263867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20070088211A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20050081462A (ko) 드럼 세탁기의 버튼 데코 설치구조
KR20140101072A (ko) 세탁기
KR101065039B1 (ko) 세탁기의 푸시버튼 구조
JP2007005139A (ja) 入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