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43B1 -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43B1
KR101225943B1 KR1020100081106A KR20100081106A KR101225943B1 KR 101225943 B1 KR101225943 B1 KR 101225943B1 KR 1020100081106 A KR1020100081106 A KR 1020100081106A KR 20100081106 A KR20100081106 A KR 20100081106A KR 101225943 B1 KR101225943 B1 KR 10122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radio
battery
radio wav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31A (ko
Inventor
양승석
Original Assignee
양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석 filed Critical 양승석
Priority to KR102010008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전파를 사용하여 전원 케이블이 없이 무선으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충전하는 형태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전파로 변환한 충전 전파로 변환시키는 전파 변환 장치를 통과시켜서 전파로 만들고, 이 전파를 이용하여 핸드폰, 노트북, m p 3, m p 4 등의 충전용 전자기기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파를 발신하고, 충전 전파를 수신하는 각각의 전자기기 배터리 자체에 무선 충전 칩을 내장시킨 배터리에서 수신하여 충전하는 형태로 전기를 전파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나 산업용 전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파 충전하는 전파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에 전원을 접속하여 운전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9); 상기 외부 전원 접속부의 전원 케이블을 따라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으로 전원을 켜고, 끌 수 있고, 작동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컨트롤 터치 스크린(2);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 접속부와 연계하여 인입되는 전압을 가전기기의 전압에 맞추어 낮추어 주는 프리 볼트 어탭터 부(21);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와 연계하여 다운된 전압을 전파로 변환시키는 전기 전파 변환기(24);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에서 바로 다운된 전압을 받아서 전파 변환 발신기보다 먼저 작동하고,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 주변에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충전할 배터리가 있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 여부를 컨트롤 터치 스크린의 스크린에 띄우고, 부저음을 발신하여 알려주는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 상기 전기 전파 변환기와 연계되어 변환된 충전 전기 전파를 충전될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배터리에 충전 전기 전파를 발신하는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32); 상기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 외에, 무선으로 변환된 변환 전파를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는 형태로 방안이나 사무실, 야외 등 전파 발신 안테나가 있는 곳, 어디에서나 충전용 전자기기의 충전용 배터리에 무선 충전용 칩을 내장한 배터리에 발신하여 수신하므로 인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에 충전 전파 발신으로 배터리에 완전 충전시, 충전용 변환 전파를 자동으로 차단 시키고, 더 이상 충전되지 않게 하며, 충전 배터리 일 측에 내장하는 형태의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57);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인입 A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가정용 플러그 잭(63);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에 차량의 D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차량용 잭(64);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충전용 전원 케이블이 없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충전 전파로 변환시키기 위해 전기를 전파 변환 장치를 통과하면서 충전용 전파로 만들고, 충전용 전파에 노출되면 변환 전파에 반응하는 센서에 의해서 충전 회로를 열어 주어 충전이 되게 하고, 배터리에 완전 충전시, 충전용 변환 전파를 자동으로 차단 시켜서 더 이상 충전되지 않게 하여 과충전되지 않도록 하며, 충전 배터리 일 측에 내장하는 형태의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을 삽입하는 배터리를 형성하며, 근거리나 원거리 충전시에는 전파 발신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변환된 변환 전파를 방안이나 사무실, 야외 등 전파 발신 안테나가 있는 곳, 주변 어디에서나 핸드폰, 노트북, m p 3 등의 충전용 전자기기 충전용 배터리에 무선 충전용 칩을 내장시킨 배터리에 발신하도록 하여 발신 전파를 수신하므로 인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와 현재 사용하는 모든 가전기기의 충전용 배터리 사용할 때, 각각의 전자기기 기종마다 충전용 전용코드와 충전용 전용 어탭터가 있어야 되고, 가정용 코드에 여러 개의 충전용 어탭터를 사용하므로 케이블 전선 정리와 어탭터의 보관이 번거럽고, 대표적으로 핸드폰과 노트북, m p 3, m p 4 등의 충전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때의 불편사항을 나열하면, 핸드폰의 경우에는, 각각의 핸드폰마다 충전용 잭이 달라서 핸드폰 충전 때마다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야 되었고, 핸드폰에 충전 잭을 꽂을 때마다, 핸드폰의 충전부에 자주 꼽거나 잘못 꽂아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고, 또는 일일이 충전용 잭을 맞는 잭인지 자세히 모양과 형태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과 충전용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긴 전원 케이블로 인해서 충전시마다, 또는 전원 케이블로 사용시, 꼬인 케이블을 풀어서 충전 또는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꼬이지 않게 잘 말아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충전 전파를 사용하여 전원 케이블이 없이 무선으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충전하는 형태의 전파 무선 충전 전파를 이용하여 핸드폰, 노트북, m p 3, m p 4 등의 충전용 전자기기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충전 전파를 발신하고, 각각의 전자기기 배터리 자체에 무선 충전 칩을 내장시킨 배터리에서 충전 전파를 수신하여 충전하는 형태로 전기를 전파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무선으로 충전하는 형태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정용 전기나 산업용 전기를 전파로 변환하여 전파 충전하는 전파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에 전원을 접속하여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장치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9); 상기 외부 전원 접속 부를 따라 플라스틱 케이스로 직사각형의 밑면이 수평이고, 전면 터치 스크린 부분이 쉽게 잘 보이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으로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원을 켜고, 끌 수 있고, 작동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컨트롤 터치 스크린(2);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계하여 인입되는 전압을 가전기기의 전압에 맞추어 낮추어 주는 프리 볼트 어탭터 부(21);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와 연계하여 인입 전원 AC 볼트와 DC 볼트의 전압을 충전전파발신 전파로 변환시키는 전기 전파 변환기(24);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에서 바로 다운된 전압을 받아서 전파 변환 발신기보다 먼저 작동하고,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 주변에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충전할 배터리가 있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 여부를 컨트롤 터치 스크린의 스크린에 띄우고, 부저음을 발신하여 알려주는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 상기 전기 전파 변환기와 연계되어 변환된 충전 전기 전파를 충전될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배터리에 충전 전기 전파를 발신하는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32); 상기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 외에, 무선으로 변환된 변환 전파를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는 형태로 방안이나 사무실, 야외 등 전파 발신 안테나가 있는 곳, 어디에서나 충전용 전자기기의 충전용 배터리에 무선 충전용 칩을 내장한 배터리에 발신하여 수신하므로 인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에 충전 전파 발신으로 배터리에 완전 충전시, 충전용 변환 전파를 자동으로 차단 시키고, 더 이상 충전되지 않게 하며, 충전 배터리 일 측에 내장하는 형태의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57);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인입 A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가정용 플러그 잭(63);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에 차량의 D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차량용 잭(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충전과 사용시에 전원 케이블의 사용시 케이블 정리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인해, 전원 케이블 없이, 전파로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므로, 무선으로 충전시, 전원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해서, 여러 기업들이 서로 다른 케이블 형태의 전원 공급장치를 만들어 내는 자원의 낭비를 막고, 사용자에게는 무선 시스템을 설치한 어느 곳에서나 자유로이 충전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본체를 분리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각각의 부품 간의 연계 상태와 제어 상태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의 완성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를 분리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의 상세도와 배터리에 부착한 설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가정용 플러그 잭과 차량용 잭을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의 내부 시스템의 상태와 배터리 충전 상태, 충전에 필요한 시간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시스템 조정을 스크린을 터치하여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컨트롤 터치 스크린(2)이 형성된다.
상기의 컨트롤 터치 스크린(2) 하단에는 컨트롤 터치 스크린(2)를 사용자가 보기 좋은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컨트롤 터치 스크린 고정 회전 부(3)를 컨트롤 터치 스크린(2)의 길이에 맞춰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컨트롤 터치 스크린(2)의 양쪽 옆 테두리에 각각 컨트롤 터치 스크린(2)을 들어올릴 수 있는 새움 용 긴 홈(13)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회전부(3) 하단에는 휴대폰, m p 3, m p 4, D M B, 네비게이션 등의 충전용 전자기기 각각에 내장한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7)을 감지하는 배터리 종류 인식 감지 센서(4)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터치 스크린(2) 우측에는 전원의 켜짐을 표시하는 L E D o n, o f f 표시등(11)을 형성하며, 상기 L E D o n, o f f 표시등(11) 하단에는 변환 전파 발신으로 인해서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는 상태를 L E D 형태로 표시하는 충전 상태 L E D 표시등(12)을 형성한다.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 후면의 일 측에 충전 전파를 발신하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를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할 때에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의 한쪽 끝 부분에 표시한 삼각 화살표(7) 부분을 수직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치한 스프링의 탄성과 기어의 조합으로 자연스럽게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가 올라와서 전파 발신 수직 위치에 서도록 형성된다.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가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에 고정되며, 상, 하로 회전하도록 전파 발신 안테나 고정 회전 부(42)가 형성되고, 반대편은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를 수직 형태의 일자 마디가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에 봉 형태의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를 뉘어서 매입시키는 형태로 형성하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의 상부 윗면에 길이로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의 상부와 동일한 윗면에 위치 전파 발신 안테나 덮개(41)가 형성되고,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6)와 전파 발신 안테나 덮개(41)를 부착하여 일체로 작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의 정면에서 우측면에는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생하는 발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발열 배출구(8)가 형성되며, 발열 배출구(8)의 우측 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잭인 전원 공급 잭(9)이 형성된다.
상기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의 하부 밑면에는 본체와 테이블과의 공간을 띄워서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게 하고, 사용하는 테이블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감 있게 본체를 안착시키는 4 면에 각각의 지지 돌기(14)를 형성한다.
도 3은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1)의 작동을 위한 각각의 주요 부분들의 연계관계와 제어 컨트롤 순서와 제어 수단을 보인 블럭도로써, 인입되는 각각의 전원인 A C 220V 와 D C 12V, D C 24V 을 전파 무선 충전기 본체(1)의 내부기기의 기기작동 전류와 충전 전파 발신 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프리 볼트 어탭터 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21)에서 다운되어 공급된 전류를 두 곳으로 분배 배선인 중간 연결 배선(26)을 통해서 나뉘어 각각 보내는데, 한 곳은 전기 전파 변환기(24)로 보내고, 다른 한 곳은 주변에 충전할 각각의 충전용 배터리마다 삽입된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7)을 감지하는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로 중간 연결 배선(26)을 통해서 흐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에서 감지한 배터리 센서 칩(29)에 충전 가능케 하는 가전기기인지, 충전 용량 등을 확인하고, 확인한 상태를 컨트롤 터치 스크린(2) 창에 띄워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충전이상 시나 오류 시에 부저로 소리를 발생하여 사용자로부터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부저 부(43)가 형성되고, 설치 위치는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와 송 수신 안테나(3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전기 전파 변환기(24)를 통해서 변환된 전파는 중간 연결 배선(26)을 통해서 변환 전파 분배기(30)로 보내지게 되며, 중간 연결 배선(26)을 통해서 변환 전파를 각각의 가전기기의 용량에 맞춰서 분배하는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32)로 보내지고,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32)에서 다시 송수신 안테나(31)로 보내서 근거리에 있는 각종 충전용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7)에 송신하게 되고, 각각의 배터리 충전용 가전기기의 충전용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7)에서 송신된 변환 전파를 수신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게 되며, 충전되고 있는 상태를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에서 감지하여 터치 스크린에 실시간으로 화면에 띄우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수신 안테나(31)를 통해서 충전용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7)에 완전 충전시,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 장치(33)를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25)와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32) 사이에 형성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막고, 안정적으로 전기를 전파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형성한다.
도 4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의 완성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상부는 원형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상부는 원형의 발신 안테나 볼록 외형 부(44)를 형성하며, 테두리의 볼록한 원형의 4 곳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전파 발신 안테나를 벽이나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사면, 4 지점에 각각 하나씩의 벽체 고정 구(45)를 형성하고,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의 하부는 벽체나 천정에 부착할 수 있도록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의 중심부 상부에는 뾰족한 원형의 원뿔 형 형태의 원뿔 형 발신 안테나 외형 부(46)를 형성한다.
도 5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를 분리하여 도시한 상세도로써, 원형의 형태로 십자형 4 지점에 벽체 고정부(45)를 형성하고, 중심부에 외부와 내부가 원뿔 형 형태로 형성하며, 원뿔 형 내부에는 충전 전파를 발신하는 원뿔 형 충전 전파 발신 장치(48)가 내장되도록 원뿔 형의 원뿔 형 발신 안테나 삽입 부(47)으로 형성한다.
상기 원형의 발신 안테나 볼록 외형 부(44)의 내부에는 원형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 장치(50)가 원형으로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 장치 안테나 볼록 삽입 부(49)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원형의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 장치 안테나 볼록 삽입 부(49)를 덮어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원형 안전 덮개(51)를 형성하고, 원형 안전 덮개(51)의 십자형태의 4 곳, 4 지점에 각각 하나씩의 체결용 구멍(52)을 형성한다.
상기 원형 발신 안테나 하부의 원형 안전 덮개(51)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체결용 돌기(56)를 원형 안전 덮개(51)의 십자형태의 4 곳, 4 지점과 일치 되도록 각각 하나씩의 체결용 스크류 구멍(55)을 형성하는데, 원형 안전 덮개(51)가 덮이고, 평면을 이루는 높이로 체결용 스크류 구멍(55)이 중심에 형성되는 형태의 체결용 돌기(56)를 원형 발신 안테나 내부 하부에 형성한다.
상기 원형 안전 덮개(51)의 중앙에는 원형의 형태로 원형 테두리에는 체결용 나사산(52)을 형성하며, 외부에는 원뿔 형 충전 전파 발신 장치(48)를 삽입하고 마감으로 원형 형태에 중앙 부분에 일 짜 형태의 열고 잠글 수 있는 일 짜 홈(54)이 형성된 마감 스크류 마개(53)을 형성한다.
도 6은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의 상세도와 배터리에 부착한 설치 상세도로써, 배터리 내부에서 배터리와 연결된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57)이 중간에서 일반 전기 충전용 어탭터로 배터리 일반 전기 충전 단자(59)를 통해서 충전하도록 하며, 동시에 충전용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서도 충전이 되도록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57) 중앙의 충전 전파 인식 센서 칩(58)을 형성한다.
상기 충전 전파 인식 센서 칩(58)의 내부에는 충전용 전파에 노출되면 변환 전파에 반응하는 센서에 의해서 충전 회로를 열어 주어 충전이 되게 하는 충전 전파 감지 칩(60)을 형성하고, 배터리에 완전 충전시, 충전용 변환 전파를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더 이상 충전되지 않게 하는 충전 자동 차단 칩(61)을 형성하며, 충전 전파 인식 센서 칩(58) 하단의 단자는 충전용 배터리에 연결되어 충전이 되도록 형성한 배터리 충전용 단자(62)를 형성한다.
도 7은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가정용 플러그 잭(63)과 차량용 시가 잭(64)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써, 전원 케이블로는 가정용 플러그 전원 케이블(66)과 차량용 시가 잭 전원 케이블(67)을 각각 형성하며, 각각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에 전원을 접속하여 운전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동일한 외부 전원 접속 잭(65)을 형성하고, 각각의 전원 케이블 일 측에 가정용 플러그 잭(63)과 차량용 잭(64)을 형성한다.
1)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 2) 컨트롤 터치 스크린
3) 컨트롤 터치 스크린 고정 회전 부
4) 배터리 종류 인식 감지 센서 6)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
7) 삼각 화살표 8) 발열 배출구
9) 외부 전원 접속부
11) L E D o n, o f f 표시등 12) 충전 상태 L E D 표시등
13) 새움 용 긴 홈 14) 지지 돌기
21) 프리 볼트 어탭터 부 24) 전기 전파 변환기
25)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 26) 중간 연결 배선
30) 변환 전파 분배기 31) 송수신 안테나
32)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 33) 과충전 방지 장치
41) 전파 발신 안테나 덮개 42) 전파 발신 안테나 고정 회전 부
43) 부저 부 44) 발신 안테나 볼록 외형 부
45) 벽체 고정부 46) 원뿔 형 발신 안테나 외형 부
47) 원뿔 형 발신 안테나 삽입 부 48) 원뿔 형 충전 전파 발신 장치
49)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 장치 안테나 볼록 삽입 부
50) 원형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 장치 51) 원형 안전 덮개
52) 체결용 구멍 53) 마감 스크류 마개
54) 일 짜 홈 55) 체결용 스크류 구멍
56) 체결용 돌기 57)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58) 충전 전파 인식 센서 칩 59) 배터리 일반 전기 충전 단자
60) 충전 전파 감지 칩 61) 충전 자동 차단 칩
62) 배터리 충전용 단자 63) 가정용 플러그 잭
64) 차량용 잭

Claims (1)

  1.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무선으로 충전하는 형태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에 전원을 접속하여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장치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
    상기 외부 전원 접속 부 를 따라 플라스틱 케이스로 직사각형의 밑면이 수평이고, 전면 터치 스크린 부분이 쉽게 잘 보이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으로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원을 켜고, 끌 수 있고, 작동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컨트롤 터치 스크린;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계하여 인입되는 전압을 가전기기의 전압에 맞추어 낮추어 주는 프리 볼트 어탭터 부;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와 연계하여 인입 전원 AC 볼트와 DC 볼트의 전압을 충전전파발신 전파로 변환시키는 전기 전파 변환기; 상기 프리 볼트 어탭터 부와 연계하여 전파 무선 충전 장치 본체 주변에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충전할 배터리가 있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 여부를 컨트롤 터치 스크린의 스크린에 띄우고, 부저음을 발신하여 알려주는 전파 발신 센서 칩 감지기; 상기 전기 전파 변환기와 연계되어 변환된 충전 전기 전파를 충전될 배터리 센서 칩이 부착된 배터리에 충전 전기 전파를 발신하는 전기 변환 전파 송신기; 상기의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 외에, 무선으로 변환된 변환 전파를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는 형태로 방안이나 사무실, 건물 내부와 외부의 전파 발신 안테나가 있는 곳, 어디에서나 충전용 전자기기의 충전용 배터리에 무선 충전용 칩을 내장한 배터리에 발신하여 수신하므로 인해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 상기 충전 전파 발신 안테나에 충전 전파 발신으로 배터리에 완전 충전시, 충전용 변환 전파를 자동으로 차단 시키고, 더 이상 충전되지 않게 하며, 충전 배터리 일 측에 내장하는 형태의 배터리 장착용 충전용 칩;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의 인입 A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가정용 플러그 잭; 상기 전파 무선 충전 장치에 차량의 DC 볼트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접속 부와 연결되는 차량용 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KR1020100081106A 2010-08-21 2010-08-21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KR1012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106A KR101225943B1 (ko) 2010-08-21 2010-08-21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106A KR101225943B1 (ko) 2010-08-21 2010-08-21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31A KR20120018031A (ko) 2012-02-29
KR101225943B1 true KR101225943B1 (ko) 2013-01-31

Family

ID=4583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106A KR101225943B1 (ko) 2010-08-21 2010-08-21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42B1 (ko) * 2013-02-27 2013-09-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US9779870B2 (en) * 2013-05-20 2017-10-0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power
KR20230049326A (ko) 2021-10-06 2023-04-13 이동원 진동 감쇄기를 구비한 선박.
KR20230105928A (ko) 2022-01-05 2023-07-12 이동원 다차수 진동 감쇄기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050A (ko) * 2001-01-26 2002-08-01 최덕현 핸드폰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00005698A (ko) * 2009-12-28 2010-01-15 강희인 근.원거리 유.무선 전력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050A (ko) * 2001-01-26 2002-08-01 최덕현 핸드폰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00005698A (ko) * 2009-12-28 2010-01-15 강희인 근.원거리 유.무선 전력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31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202B2 (en)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ies of devices at a selected DC voltage
US9948134B2 (en) Battery pack for wirelessly charging two or more devices
US8469746B2 (en) Computer adapter with power outlet and replace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wireless card, and transceiver
EP274723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080272258A1 (en) Device for rechargeable electrical apparatus retainer unit
KR101225943B1 (ko) 전파를 이용한 무선 충전 장치
US20160072338A1 (en) Portable wireless power charging sysem
EP3243118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removable battery
US9490659B1 (en) Portable photovoltaic electric power system with extendable cords
CN201181857Y (zh) 便携式太阳能移动电源箱
CN105680507B (zh) 智能充电桩
AU2015339303A1 (en) Wireless power charging station
JP2016052186A (ja) 充電式電気機器
EP2264854A1 (en) A device for recharging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US20160028272A1 (en) Housing having a solar panel and components capable of replenishing a mobile phone battery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CN208386172U (zh) 一种八六盒式无线充电器
GB2506823A (en) Wirelessly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charging structure thereof
CN204068364U (zh) 墙插式充电托架
CN209882027U (zh) 双供电蓝牙耳机
KR101555177B1 (ko) 휴대폰 거치장치
US10707695B1 (en) System for distributing uninterrupted electrical power
US10886717B2 (en) Electrical outlet incorporating a charger for electronics devices and a cover plate therefor
CA2858056A1 (en) Battery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