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491B1 -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 Google Patents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491B1
KR101225491B1 KR1020100068726A KR20100068726A KR101225491B1 KR 101225491 B1 KR101225491 B1 KR 101225491B1 KR 1020100068726 A KR1020100068726 A KR 1020100068726A KR 20100068726 A KR20100068726 A KR 20100068726A KR 101225491 B1 KR101225491 B1 KR 10122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water
ballast
air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7931A (en
Inventor
홍원석
신완호
송동근
정상현
김용진
김한석
한방우
김학준
홍기정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491B1/en
Publication of KR2012000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로부터의 밸러스트수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 및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에 결합되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킨 후에 마이크로 버블을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으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오래 잔존시킬 수 있어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ballast water flows from the seawater, the ballast water into the ballast tank; And a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and providing micro bubbles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after generating micro bubbles. As a result, various problems due to the use of the ballast water can be effectively solved, and in particular, the microbubble can remain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ballast water.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오래 잔존시킬 수 있어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ballast wat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long-last micro bubbles in the ballast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ballast water.

선박은 한번에 많은 양의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또는 군사용으로 널리 활용된다.Ships are widely used for transporting large quantities of goods at once or for military use.

적재된 인원, 장비, 물건 등(이들을 통틀어 화물이라 함)이 많지 않을 경우 선박은 수중으로 충분히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작은 파도에도 쉽게 흔들릴 수 있으며, 심지어는 추진기 및 방향타 등이 충분히 수중에 잠기지 않게 되어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된다.If there are not a lot of people, equipment, and things (called cargo in general) loaded, the ship will not sink enough underwater and can be easily shaken by small waves, and even propellers and rudders will not be submerged enough. It will not work efficiently.

이에, 화물을 하역한 선박은 균형 유지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에 해수, 즉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를 담은 상태로 운항된다. 결과적으로 밸러스트수는 선박의 흘수(吃水)와 트림(trim)을 조정하는 중량물의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ship unloading the cargo is operated in a state containing the sea water, that is, ballast water (ballast water) in the ballast tank (ballast tank)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and increase the stability. As a result, the ballast water acts as a weight to adjust the draft and trim of the ship.

한편, 밸러스트 탱크에 밸러스트수를 담아 다른 지역이나 혹은 다른 나라의 항만에 도착한 선박은 도착지의 바다에 밸러스트수를 배출시켜 선박의 중량을 줄인 후에 화물을 다시 적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hips arriving in ports of other regions or other countries with ballast water in ballast tanks discharge ballast water in the sea at the destina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hip and reload the cargo.

이처럼 밸러스트수는 선박의 균형 유지 및 안정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 탱크 내에 장시간 보관된다는 점에서, 또한 밸러스트수가 서로 다른 지역에 속해 있는 바다의 해수를 서로 혼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다음과 같은 여러 피해 요소가 우려된다.As such, ballast water is used to maintain the balance and stability of the ship, but on the one hand, the ballast water is stored in the ballast tank for a long time, and the ballast water also serves to mix the seawater of the seas belonging to different regions. It cannot be denied, and for this reason there are a number of hazards that can be caused:

첫째, 밸러스트수는 장시간 밸러스트 탱크에 보관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병균이 자생되는 원인을 이룰 수 있다.First, since the ballast water is stored in the ballast tank for a long time, various germs can grow.

둘째, 서로 다른 지역에 속해 있는 바다의 외래 해양 생물종을 서로 혼합시켜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특정 해역의 생물 또는 병원균 등이 밸러스트수를 담은 선박에 의해 전혀 다른 타 지역의 해역으로 이송되어 그 지역의 해양에 뿌려짐으로서 서로 다른 생태계의 생물이 혼합되어 생태계가 교란될 뿐만 아니라 연안 산업이나 다른 상업적 활동 또는 자원에도 큰 피해를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다.Second, it can cause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by mixing foreign marine species of the seas belonging to different regions. For example, organisms or pathogens in a specific seawater contained in ballast water are transferred to a different sea area by a vessel containing ballast water, and sprinkled on the oceans of that area, whereby organisms of different ecosystems are mixed and disturbed.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risk of causing significant damage to coastal industries and other commercial activities or resources.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까지는 투자비용 또는 설비 규모 대비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이 미비하여 상용화가 되기에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Therefore, although various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se shortcomings, the current situation is somewhat insufficient to be commercialized due to insufficient investment efficiency or treatment efficiency of ballast water relative to facility size.

따라서 투자비용 또는 설비 규모 대비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서 밸러스트수의 처리 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으나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마이크로 버블이 밸러스트수 내에 오래 잔존될 수 있어야 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of ballast water compared to the investment cost or the size of the facility, the use of micro bubbles in the treatment of ballast water is considered, but when it is desired to use micro bubbles, the micro bubbles must remain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As this effect can be provided,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러스트수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오래 잔존시킬 수 있어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ballast water,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icrobubble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so that the ship's equilibrium using microbubbles can further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ballast water. It is to provide a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상기 목적은, 해수로부터의 밸러스트수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 및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에 결합되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킨 후에 상기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으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ast water flow path from the seawater, and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for introducing the ballast water into the ballast tank;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providing the microbubble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after generating microbubbles. Achieved by the device.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may be arranged in plural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상기 마이크로 버블이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반경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may be coupl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so that the micro bubbles may be provid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상기 마이크로 버블이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접선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may be coupl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line so that the microbubble may be provid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line.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어느 일 영역에는 해당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이 마련되며,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서 흐르는 밸러스트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A branch line branched from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may be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and the ballast water flowing through the branch line may be provid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오존으로서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와,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부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 내에 마련되며, 상기 물 유입부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쪽으로 안내하는 회전 유도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nclude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as ozone is introduced, a water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air inlet, and the microbubble is formed by interaction of the air with the water. An apparatus body having a water discharge portion through which the generated water is discharged; And a rotation induction guid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guide rotation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through the water inlet to guide the air towar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상기 회전 유도 안내부는, 상기 물 유입부로부터 상기 물 배출부로의 물 흐름은 허용하면서 상기 공기 유입부와 상기 물 배출부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induction guide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wall disposed along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and the water outlet while allowing water flow from the water inlet to the water outle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벽체는, 그 일단부는 상기 물 배출부 영역을 둘러싸면서 상기 물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1 안내벽체; 및 상기 제1 안내벽체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내벽체와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되 그 일단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물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 안내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uide wall has one end fixed to an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device body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water discharge area,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wall body is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device body in which the air inlet is formed. A first guide wall spaced from the first guide wall; And a spaced apart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first guide wall, th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inner wall of the apparatus main body in which the air inlet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wall.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w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device body is formed water discharge.

상기 제1 안내벽체와 상기 제2 안내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관상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안내벽체와 상기 제2 안내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은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may be formed as a tubular body, and at least one wal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may form an inclined slope.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공기 유입부 영역에 결합되는 다공성(porous) 공기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air guide member coupled to the air inlet region.

상기 다공성 공기안내부재는 표면에 다수의 미세 기공(hole)이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원추형 파이프일 수 있다.The porous air guide member may be a cylindrical or conical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pores are formed on the surface.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안내벽체는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한 중공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안내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에는 다수의 미세 기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device body and the guide wall body may be provided as a hollow body in which air flows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ne pore holes may be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wall surface of the device body and the guide wall body.

상기 물 배출부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물 배출부를 통해 물과 마이크로 버블이 섞인 이류체를 충돌시켜 미세 버블 발생을 배가시키는 충돌부재를 구비하는 충돌식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region and including a collision member configured to collide with an air mixed with water and microbubbles through the water outlet to double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상기 충돌식 노즐부는, 상기 이류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해 입구 영역에 형성되되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1 확산부; 상기 제1 확산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충돌부재가 배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2 확산부; 및 상기 제2 확산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미리 경정된 길이 구간만큼 상기 제2 확산부의 가장 큰 직경 그대로를 유지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ingement nozzle unit may include: a first diffusion part formed in an inlet reg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a rear end thereof; A first exten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diffusion part and having the collision member disposed therein; A second diffu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a rea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diffusion part and maintain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second diffusion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상기 충돌식 노즐부는, 상기 제1 확산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에서 상기 제1 확산부와 상기 제1 연장부를 상호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pingement nozzl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o be inclined mutually between the first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트수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오래 잔존시킬 수 있어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ballast water can be effectively solved, and in particular, the micro bubbles can be left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ballast water.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S부분의 실시예를 나타난 구조도,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횡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적용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내부 투영 사시도, 절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내지 도 10b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일 영역에 대한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일 영역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1A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ballast water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ortion S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is mounted on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2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2A,
3A to 3C are internal perspective perspective views, cutaway perspective views, and plan views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pplied to FIGS. 1 and 2, respectively;
4 to 10b ar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of a ballast water inflow mainline in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of a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in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figure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have been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 본 발명의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에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횡단면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1a 및 도 2에 적용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내부 투영 사시도, 절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Figure 1a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is mounted on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shown in Figure 1a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A, and FIGS.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cutaway views, and plan views, respectively,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pplied to FIGS. 1A and 2.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는,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과,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nd a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은 해수로부터의 밸러스트수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230)로 유입시키는 일종의 관(pipe)이다.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ballast water from the seawater flows, and is a kind of pipe for introducing the ballast water into the ballast tank 230.

밸러스트 탱크(230)는 배의 균형을 위해 밸러스트수가 저장되는 장소이다. 배의 부피 또는 용적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230)의 부피가 결정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230) 내의 밸러스트수는 필요에 따라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밸러스트 탱크(230)의 배출라인에는 펌프 등이 마련될 수 있다.Ballast tank 230 is a place where the ballast water is stored for the balance of the ship. The volume of the ballast tank 23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ume or volume of the vessel. Since the ballast water in the ballast tank 230 should be discharged as necessary, a pump or the like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line of the ballast tank 230.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밸러스트 탱크(230)의 주변에는 밸러스트 탱크(230) 내로 중화액을 제공하는 중화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중화기는 TRO 센서에 의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TRO 센서는 배출되는 밸러스트수의 TRO 농도가 예컨대 0.02mg/ℓ이하를 유지하도록 밸러스트수에 중화기로부터의 중화액을 공급하도록 센싱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neutralizer may be provided around the ballast tank 230 to provide a neutralizing liquid into the ballast tank 230, and the neutralizer may be operated based on a signal by the TRO sensor. In this case, the TRO sensor can sense that the neutralizing liquid from the neutralizer is supplied to the ballast water so that the TRO concentration of the discharged ballast water is, for example, 0.02 mg / l or less.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은 도 1a에 상대적으로 진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230)의 양쪽에서 중앙의 제1 밸브(V1)로 합쳐지는 제1 라인(210a)과, 제1 밸브(V1)와 상측의 제2 밸브(V2)를 연결하는 제2 라인(210b)과, 제2 밸브(V2)에서 다시 갈라지면서 반대편의 밸러스트 탱크(230)로 향하는 제3 라인(210c)을 구비할 수 있다.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is formed with a first line 210a joined to a central first valve V1 on both sides of the ballast tank 230, as shown by a dark arrow in FIG. 1A. The second line 210b connecting the first valve V1 and the second valve V2 on the upper side, and the third line 210c facing the ballast tank 230 on the opposite side while diverging from the second valve V2 again. It may be provided.

상호간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제1 라인(210a)에는 밸러스트수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스트레이너(S, Strainer), 밸브(V3), 밸러스트 펌프(P, Pump), 밸브(V4) 등이 마련된다.The first line 210a, which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 strainer S, a valve V3, a ballast pump P, a valve V4, and the lik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ast water moves. .

제2 라인(210b)에는 제2 라인(210b)을 따라 분기되는 분기라인(222) 영역 상에 펌프(P)가 마련된다. 분기라인(222) 영역 상에 마련된 펌프(P)는 물을 유입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 유닛(100a)로 공급한다.The second line 210b is provided with a pump P on an area of the branch line 222 branching along the second line 210b. The pump P provided on the branch line 222 region receives water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또한, 오존 제너레이터(203)로부터 발생된 오존 가스는 제4라인(220)을 통해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으로 오존 가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오존 제너레이터(203)는 냉각기(204)와 교류된다.In addition, the ozone gas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203 may serve to provide the ozone gas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through the fourth line 220. . The ozone generator 20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er 204.

물론, 도 1a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 및 장치들은 하나의 시스템 실시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각 밸브(V1~V5)들은 물을 여러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기계식 혹은 전자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Of course, the various configurations and devices shown in FIG. 1A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drawings, as they are only one system embodiment. For reference, each of the valves V1 to V5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water in various directions, and may be implemented mechanically or electronically.

도 1b는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다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으로 밸러스트 수와 오존가스가 각각 주입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 제너레이터(203)에 의해 생성된 오존 가스는 다수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고, 밸러스트 수도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b에 도시된 것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므로 도 1b의 구성에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1B illustrates tha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is mounted on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Referring to FIG. 1B, a plurality of micro bubble generating units 100a may be mounted on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nd ballast water and ozone gas may be injected into each of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s 100a, respectively. Can be. As shown in FIG. 1B, ozone gas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203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micro bubble generating units 100a, and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 However, since the illustrated in FIG. 1B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B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C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와 달리 G-L 세퍼레이터(253),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4. 255), 및 블로워(252)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도 1a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하였다.Referring to FIG. 1C, unlike FIG. 1A,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G-L separator 253,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s 254. 255, and a blower 252. Components other than these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1A and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c의 실시예는 도 1a와 달리 제3 라인(210c)을 통해서 유출되는 밸러스트 수는 G-L 세퍼레이터(253)를 거친 후에 밸러스트 탱크(230)로 제공된다.In FIG. 1C, unlike FIG. 1A, the ballast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third line 210c is provided to the ballast tank 230 after passing through the G-L separator 253.

G-L 세퍼레이터(253)는 전기분해 모듈(210)에서 배출되는 선박 평형수를 일시 저장한 후 밸러스트 탱크(230)로 제공한다. 이 과정에, G-L 세퍼레이터(253)는 선박 평형수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오존 가스를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4)로 배출한다.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4)는 오존 가스를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존 가스 파괴용 제습용 브리더(254)는 망간과 같이 오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오존 가스 제거층과 실리카겔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제습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리더(254)는 G-L 세퍼레이터(253)에서 배출되는 오존 가스를 먼저 오존 가스 제거층을 통과시키고 후속하여 제습층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L separator 253 temporarily stores the ballast water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module 210 and provides the ballast tank 230 to the ballast tank 230. In this process, the G-L separator 253 discharges the ozone gas discharged from the ballast water to the outside to the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4. The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4 has a function of destroying ozone gas, and may further include a dehumidification function of removing moisture. For example, the dehumidifying breather 254 for destroying ozone gas may include an ozone degassing lay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moving ozone gas, such as manganese, and a dehumidification lay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a gel. The breather 254 may be configured to pass ozone gas discharged from the G-L separator 253 first through the ozone gas removal layer and subsequently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layer.

여기서, 망간과 실리카겔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들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물질들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manganese and silica ge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them, of course, it can be replaced with other materi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러스트 탱크(230)에도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5)가 장착될 수 있다.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5)는 밸러스트 탱크(230)로부터 배출되는 오존 가스를 유입 받아서 오존 가스를 파괴하고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5)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브리더(254)의 것을 참조하기 바란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ast tank 230 may also be equipped with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5. The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5 receives ozone gas discharged from the ballast tank 230 to destroy ozone gas and remove moisture. For details of the ozone gas destruc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5, refer to that of the breather 254 described above.

블로워(252)는 밸러스트 탱크(230)로 기체를 공급하여 밸러스트 탱크(230)내의 기체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밸러스트 탱크(230) 내에 존재하는 오존 가스가 외부(예를 들면 브리더(255))로 빨리 배출될 수 있다.The blower 252 may supply gas to the ballast tank 230 to forcibly circulate the flow of gas in the ballast tank 230. As a result, ozone gas present in the ballast tank 230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breather 255).

도 1c에서 도시된 G-L 세퍼레이터(253),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4. 255), 및 블로워(252)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L 세퍼레이터(253), 오존 가스 파괴 및 제습용 브리더(254. 255), 및 블로워(252)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본원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positions of the G-L separator 253, ozone gas deple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4.255, and blower 252 shown in FIG. 1C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G-L separator 253, ozone gas depletion and dehumidification breather 254.255, and the blower 252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는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킨 후에 마이크로 버블을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a and 2b,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for providing the microbubble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210 after generating the micro bubble in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210 Comb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오존이 함유된 마이크로 버블('오존 함유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오존 함유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밸러스트 탱크(230)에는 오존 함유 마이크로 버블이 존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속에서 마이크로 또는 나노 사이즈의 버블들은 1)동일 공기량에 따른 기포개수의 크기의 3승에 반비례 (n = Vtotal/V = Vtotal/ {3/4 ×πr3}), 2)동일 공기량에 따른 계면 면적이 입경 크기에 반비례하여 증가(크기에 반비례(A = Vtotal × 3/r), 3) 미세화에 따른 내부압력 증가와 용해율 향상, 4)기포 표면에서의 이온농축과 부착능력 증가, 5)작은 부력에 의한 낮은 상승속도와 높은 수중체류율 등 다양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230)에 오랫 동안 존재하는 오존 함유 마이크로 버블이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microbubbles ('ozone-containing microbubbles') containing ozone. As such, when us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the ozone-containing microbubble, ozone-containing microbubble may exist in the ballast tank 230. On the other hand, bubbles of micro or nano size in water are 1)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ower of the number of bubbles according to the same amount of air (n = V total / V = V total / {3/4 × πr 3 }), 2) same The interfacial area with air volume in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particle size (inversely proportional to size (A = V total × 3 / r), 3) Internal pressure increase and dissolution rate increase due to miniaturization, 4) Ion concentration and adhesion ability on the bubble surface 5) It ha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low ascent rate and high underwater retention rate due to small buoyancy. Therefore, the ozone-containing microbubble existing in the ballast tank 230 for a long time can effectively remove microorganism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ballast water.

본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예를 들면 4개 배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may be arranged in plural, for example, fou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이때,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에 의해 만들어진 마이크로 버블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반경 방향(도 2b의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되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내부로 흐르는 밸러스트수와 혼합되어 밸러스트수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 참고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에 커넥터(C) 등이 마련되어야 하나 커넥터(C)의 구조는 일반적일 수 있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is coupl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so that the microbubbles made by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are radial in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 2B is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long the direction of the dashed arrow in FIG. 2B and is mixed with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to contribute to removing microorganisms in the ballast water. For reference, in order for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to be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 connector C or the like should be provided therebetween. Omit.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이크로 버블은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사이즈, 예컨대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사이즈인데 이들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반경 방향(도 2b의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되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내부로 흐르는 밸러스트수와 혼합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소멸되지 않고 밸러스트수 내에서 오래 잔존되면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데 기여하게 된다.The microbubble produced by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has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or less, for example, a size of 50 micrometers or less, and these ar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line 210 (the dotted arrow direction in FIG. 2B). Since it is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nd is mixed with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it is not easily extinguished and remains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treatment of the ballast water. do.

본 실시예의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에 대해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a, 3b and 3c with respect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that can be applied to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as follow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은, 장치본체(110a)와, 장치본체(110a) 내에 마련되는 회전 유도 안내부(130a)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includes a device main body 110a and a rotation guide unit 130a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110a.

장치본체(110a)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The device body 110a is a part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It may be a plastic injection molding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but need not be so.

이러한 장치본체(110a)에는 오존 가스 또는 산소 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111a)와, 공기 유입부(111a)와는 다른 위치에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113a)와, 유입된 공기와 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부(115a)가 마련된다. 여기서, 물 유입부(113a)로 유입되는 물은 별도로 제공되는 물일 수도 있고, 밸러스트수일 수도 있다.The apparatus main body 110a includes an air inlet 111a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ozone gas or oxygen gas is introduced, a water inlet 113a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air inlet 111a, and an inflow. The water discharge part 115a through which the water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is discharg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ir and the water is provided. He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 113a may be water provided separately or ballast water.

장치본체(110a)는 공기 유입부(111a)와 물 배출부(115a)가 형성된 내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내벽면이 전구간에서 그 단면적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공기 유입부(111a)와 물 배출부(115a)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a)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evice body 110a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all the sections except for the inner wall surface on which the air inlet 111a and the water outlet 115a ar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e air inlet 111a and the water outlet 115a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apparatus body 110a, as shown in FIG. 3C.

이처럼 공기 유입부(111a)와 물 배출부(115a)가 장치본체(110a)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파괴하여(충돌시켜) 마이크로 버블로 만든 후에 배출시키는 일련의 동작이 유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부(111a)와 물 배출부(115a), 또한 물 유입부(113a)는 도면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such, the air inlet 111a and the water outlet 115a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thereby destroying (colliding) the inflowed air into a microbubble, and then discharging the organic matter. It is preferable to proceed to, but need not be so. That is, if necessary, the air inlet 111a and the water outlet 115a and the water inlet 113a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ose in the drawing.

도 3a 및 도 3b에 보면 공기 유입부(111a)가 홀(hole)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구성이므로 공기 유입부(111a)가 홀의 형태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공기 유입부(111a)에도 물 유입부(113a) 영역처럼 별도의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물 유입부(113a) 영역에는 물 유입부(113a)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용 커넥터(116a)가 마련된다. 물 공급용 커넥터(116a)에는 나사부(117a)가 형성된다.3A and 3B, the air inlet 111a is in the form of a hole, but this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and the air inlet 111a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 hole. Meanwhile, a separate connec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air inlet 111a as in the water inlet 113a. That is, the water inlet 113a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connector 116a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inlet 113a. The screw portion 117a is formed in the connector 116a for water supply.

물 배출부(115a)의 내벽면 일부 구간에는 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경사면(118a)이 형성된다. 이처럼 물 배출부(115a)에 확장경사면(118a)이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단면적과 속도의 상관관계인 베르누이 방식에 기초하여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더욱 빠르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데 보다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In some sections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unit 115a, an extended inclined surface 118a is formed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discharge unit 115a is gradually expanded. Thus, the expansion inclined surface 118a is formed in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15a, so that the flow of the discharged water can be induced more quickly based on the Bernoulli method, which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velocity of the fluid, thereby generating microbubbles. It can work advantageously.

회전 유도 안내부(130a)는 물 유입부(113a)를 통해 장치본체(110a) 내로 유입되는 물의 회전을 유도하고, 물을 강하게 선회시키면서 공기 유입부(1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rotation guide unit 130a guides the rotation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through the water inlet 113a and guides it towar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a while strongly turning the water. Do it.

회전 유도 안내부(130a)는 별도로 제작되어 장치본체(110a) 내의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사출물이라면 회전 유도 안내부(130a)는 장치본체(110a)의 제작 시 일체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guide unit 130a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However, the injection guide unit 130a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hen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is manufactured. .

한편, 공기를 향해 물이 충돌되어 공기 내에 잔존되는 공기, 즉 오존 또는 산소를 초미세 기포인 마이크로 버블로 만들되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치본체(110a) 내로의 공기 유입도 빠르게 진행되고, 또한 공기에 충돌되는 물의 흐름도 빠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물이 공기에 충돌되는 방식을 본 변형예처럼 회전식(혹은 선회식)으로 구현하게 되면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유도 안내부(130a)가 마련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ollides toward the air to make the air remaining in the air, that is, ozone or oxygen into microbubbles, which are ultra-fine bubbles, bu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the air flow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also proceeds rapidly, and It is desirable to make the flow of water colliding fast. In addition, the rotational (or swinging) method of water impinging on the air can be expected to improve efficiency. To this end, the rotation guide unit 130a is provided.

이러한 회전 유도 안내부(130a)는, 물 유입부(113a)로부터 물 배출부(115a)로의 물 흐름은 허용하면서 공기 유입부(111a)와 물 배출부(115a)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안내벽체(140a,150b)를 포함한다.The rotation guide unit 130a is disposed along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111a and the water outlet 115a while allowing water flow from the water inlet 113a to the water outlet 115a. It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walls (140a, 150b).

다수의 안내벽체(140a,150b)는 제1 안내벽체(140a)와 제1 안내벽체(14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안내벽체(150a)를 포함한다. 제1 안내벽체(140a)와 제2 안내벽체(150a) 모두는 파이프(pipe) 형상의 관상체로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guide walls 140a and 150b include a first guide wall 140a and a second guide wall 150a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first guide wall 140a. Both the first guide wall 140a and the second guide wall 150a are provided as pipe-shaped tubular bodies.

제1 안내벽체(140a)는 그 일단부가 물 배출부(115a) 영역을 둘러싸면서 물 배출부(115a)가 형성된 장치본체(110a)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공기 유입부(111a)가 형성된 장치본체(110a)의 타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된다.One end of the first guide wall 140a is fix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apparatus body 110a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unit 115a is formed while the one end thereof surrounds the water discharge unit 115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n air inlet 111a. )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device body (110a) formed.

그리고 제2 안내벽체(150a)는 제1 안내벽체(14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안내벽체(140a)와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되 그 일단부는 공기 유입부(111a)가 형성된 장치본체(110a)의 타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물 배출부(115a)가 형성된 장치본체(110a)의 일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된다.The second guide wall 150a is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rst guide wall 140a to form a spaced gap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140a and one end thereof with an air inlet 111a. It is fixed to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a),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vice body (110a) is formed water outlet (115a).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공기 유입부(111a)를 통해 공기가 장치본체(110a) 내로 유입되고, 물 유입부(113a)를 통해 밸러스트수로서의 물이 장치본체(110a) 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제1 안내벽체(140a)와 제2 안내벽체(150a)로 되어 있는 회전 유도 안내부(130a)로 인해 회전되면서 도 3c의 화살표와 같은 흐름을 형성한 후, 공기 유입부(1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빠르게 또한 효율적으로 충돌되며, 이로써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밸러스트수와 함께 제공된다.Referring to the ac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air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through the air inlet 111a, water as ballast water through the water inlet (113a) is the apparatus main body (110a) Flows into. The introduced water is rotated due to the rotation guide unit 130a including the first guide wall 140a and the second guide wall 150a and forms a flow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It collides quickly and efficiently with the air entering through 111a), thereby effectively generating a large number of microbubbles.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micro bubbles are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together with the ballast water.

이러한 구성에 의해, 펌프(P)들이 동작되어 해수인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을 따라 흐르면서 밸러스트 탱크(230)로 향하는 과정에서 일정량의 밸러스트수와 오존 가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으로 향한다.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에서는 오존 가스와 밸러스트수를 이용하여 작은 입자의 무수한 오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오존 마이크로 버블은 밸러스트수와 함께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되어 미생물을 제거시키는데 기여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pumps P are operat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ballast water and ozone gas flows along the ballast tank 230 while the ballast water, which is seawater, flows along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210. Head to).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to generate a myriad of ozone microbubbles of small particles by using ozone gas and ballast water, the generated ozone microbubble is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210 along with the ballast water to microorganisms Contributes to eliminating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버블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반경 방향(도 2b의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되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내부로 흐르는 밸러스트수와 혼합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소멸되지 않고 밸러스트수 내에서 오래 잔존되면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데 기여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is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in the direction of the dashed arrow in FIG. 2B), thereby providing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Since it is mixed with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it is not easily extinguished and remains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thereby contributing to treating the ballast water.

미생물 제거가 완료된 밸러스트수는 밸러스트 탱크(230)로 들어가 배의 평형을 이루는데 이겨하며, 추후에는 적당한 다른 지역에서 배출된다.The ballast water, which has been removed from the microorganism, enters the ballast tank 230 to overcome the equilibrium of the ship, and is later discharged from another suitable area.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밸러스트수가 장시간 밸러스트 탱크(230)에 보관된 상태로 존재하더라도 미생물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When having such a structure, even if the ballast water exists in the state stored in the ballast tank 230 for a long time, the microorganisms can be blocked.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생태계의 생물이 혼합되어 생태계가 교란되거나 연안 산업 혹은 다른 상업적 활동 또는 자원에 큰 피해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 mixture of organisms from different ecosystems can solve a variety of problems that disrupt ecosystems or cause significant damage to coastal industries or other commercial activities or resource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밸러스트수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밸러스트수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오래 잔존시킬 수 있어 밸러스트수의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ballast water can be effectively solved, and in particular, the microbubble can remain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ballast water.

-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Various modifications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한편, 전술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은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구조를 벗어나 도 4 내지 도 10b처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100a)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shown in Figures 4 to 10b ou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s 1 to 3c.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b~100g)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변형예들의 참조부호는 후미의 영문 소문자를 달리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토록 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s 100b to 100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B.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modifications are to use a method that gives the lowercase letters in the tail different,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2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b)은, 제1 변형예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과 구조면에서 동일하다. 즉 회전 유도 안내부(130b)가 2개의 제1 및 제2 안내벽체(140b,150b)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 변형예와 동일하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figure is the same in structure as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a of the first modified example. In other words, the rotation guidance unit 130b is the same as the first modified example in that it includes two first and second guide walls 140b and 150b.

다만, 도 4의 경우, 제1 및 제2 안내벽체(140b,150b)의 내벽면은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경사면(141b,151b)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 변형예와는 상이하다.4,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walls 140b and 150b form inclined surfaces 141b and 151b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I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odification.

도 4처럼 제1 및 제2 안내벽체(140b,150b)의 내벽면에 경사면(141b,151b)이 형성되면 경사면(141b,151b)으로 인해 물 배출부(115b)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더욱 빨라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의 흐름 및 속도를 증가시켜 보다 빠르게 또한 보다 강하게 공기와 충돌될 수 있어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inclined surfaces 141b and 151b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walls 140b and 150b,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to the water discharge unit 115b by the inclined surfaces 141b and 151b may be faster. Can be. As a result, the flow and velocity of water can be increased to collide with air more quickly and more strongly,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한편, 제2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b)에는 공기 유입부(111b) 영역에 다공성(porous) 공기안내부재(170b)가 더 마련된다.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는 그 표면에 수많은 미세 기공(hole)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반 공기가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를 통과하게 되면, 1차적으로 공기 입자의 사이즈가 감소되어 미세 입자화된 후에 장치본체(110b) 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in the air inlet 111b.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is formed with a number of fine pores (holes) on the surface, when the general air passes through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the size of the air particles is primarily reduced after the fine particles Since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body (110b) it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뿐만 아니라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가 채용되면 불필요하게 공기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입 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어 마이크로 버블 발생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is employe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air and to induce the inflow rate of air quickl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icrobubble generation. .

요약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입자 사이즈를 미리 작게 유지시킨 후에 회전형 유속을 형성시켜 관로의 중앙 영역에서가 아닌 내벽면에서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또한 보다 미세한 사이즈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In summary,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is used to maintain a small particle size of the incoming air in advance, thereby forming a rotating flow rate to increase the flow velocity at the inner wall instead of at the center region of the condui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generate microbubbles of more effectively and finer size.

도 4의 경우에서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는 표면에 다수의 미세 기공(hole)이 형성된 원기둥 파이프로 마련되고 있으며, 그 일단부가 공기 유입부(111b) 영역에 결합되기는 하되 자유단부는 제1 안내벽체(140b)의 안쪽으로 일부 진입되게 배치된다.In the case of FIG. 4,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is formed of a cylindrical pipe having a plurality of fine pore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air inlet 111b but the free end thereof has a first end. It is arranged to partially enter into the guide wall 140b.

이는, 같은 유량 대비 유속이 빠르면 유입되는 공기와 물이 보다 빠르게 충돌되기 때문에 버블의 사이즈가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물이 직선형으로 흐르는 것보다 회전형으로 흐르는 것이 내벽면 쪽에서의 유속 증가에 월등히 유리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데 유리한데, 특히 도 4처럼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의 길이가 길어 그 자유단부가 제1 안내벽체(140b)의 안쪽으로 일부 진입되게 배치되면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b) 쪽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유입이 여러 장소에서 보다 많아질 수 있게 됨으로써 단위 시간당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flow rate is faster than the same flow rate, the incoming air and water collide more quickly, so the size of the bubble is generally smaller,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rotation type is much better than the flow rate in the inner wall. It is advantageous to generate a micro bubble, in particular, if the length of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as shown in Figure 4 is long so that the free end is arranged to enter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first guide wall 140b porous air guide member 170b The inflow of air provided from the side can be increased in various place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icro bubbles generated per unit time.

도 5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3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c)은,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c)가 표면에 다수의 미세 기공(hole)이 형성된 원추형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 변형예와 다르지 않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c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drawing, except that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c is formed of a conical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pores ar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Is not different from the second modification.

도 6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4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d)은, 장치본체(110d)와 제1 및 제2 안내벽체(140d,150d) 모두가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한 중공체로 마련되며, 제1 안내벽체(140d)의 내벽면에 다수의 미세 기공홀(145d)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d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drawing, both the apparatus main body 110d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walls 140d and 150d are provided as hollow bodies through which air can flow.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ne pore holes (145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140d).

그리고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d)는 장치본체(110d)의 내부를 비롯하여 제1 안내벽체(140d)의 내측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원추형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d has a conical structur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guide wall 140d including the inside of the device body 110d.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d)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2개의 경로를 따라 흐르면서 회전형 물과 부딪히기 때문에 단위 시간 혹은 단위 크기당 보다 많은 양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데 유리하다.In such a structure, since the air flowing from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d collides with the rotatable water flowing along two paths as shown by the arrow, it generates a larger amount of micro bubbles per unit time or unit size. It is advantageous.

도 7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5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fth modific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5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e)은, 제2 변형예와 동일하되 물 배출부(115e) 영역에 충돌부재(311)를 구비하는 충돌식 노즐부(300e)가 더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e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drawing is the same as the second modified example, but the collision type nozzle part 300e having the collision member 311 in the water discharge part 115e region. The difference is that is more concatenated.

충돌식 노즐부(300e)는 물 배출부(115e)를 통해 물과 마이크로 버블이 섞인 이류체를 충돌시켜 미세 버블 발생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impingement nozzle unit 300e serves to double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by colliding an admixture in which water and microbubbles are mix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unit 115e.

이러한 충돌식 노즐부(300e)에 대해 살펴보면, 충돌식 노즐부(300e)는 이류체가 흐르는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1 확산부(307), 제1 연장부(309), 충돌부재(311), 제2 확산부(313) 및 제2 연장부(3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collision nozzle unit 300e, the collision nozzle unit 300e sequentially includes the first diffusion unit 307, the first extension unit 309, and the collision member 3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which the air flows. , A second diffusion part 313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15.

제1 확산부(307)는 물 배출부(115t)로부터 물과 마이크로 버블이 섞인 이류체를 유입 받아 제1 연장부(309)로 유출시킨다. 이러한 제1 확산부(307)는 이류체를 유입 받는 유입단(303)과 이류체를 유출시키는 유출단(305)을 포함한다. 유입단(303)의 유출단(305)보다 좁게 형성된다. 유출단(305)의 직경 역시 물 배출부(115e)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충돌식 노즐부(300e)에서 제1 확산부(307) 영역은 유입단(303)부터 유출단(305)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diffusion part 307 receives an airflow mixed with water and microbubbles from the water discharge part 115t and flows out to the first extension part 309.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includes an inflow end 303 for receiving an airflow and an outlet end 305 for outflowing the airflow. I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outlet end 305 of the inlet end 303. The diameter of the outlet end 305 is also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115e. In addition, the area of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of the collision type nozzle part 300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let end 303 to the outlet end 305.

제1 연장부(309)는 유출단(305)의 직경보다 크게(불연속적으로 크게)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은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이류체를 유동시킨다. 이러한 제1 연장부(309) 영역에 충돌부재(311)가 마련되기 때문에 이류체는 제1 확산부(307)를 지나 제1 연장부(309)로 향하는 가운데 충돌부재(311)에 충돌된다.The first extension part 309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end 305 (discontinuously large) but flows the airflow while maintaining the same diameter for a predetermined section. Since the collision member 311 is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the adhering body collides with the collision member 311 while passing towar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through the first diffusion portion 307.

부연하면, 제1 확산부(307)를 통과하는 이류체는 제1 확산부(307)의 유로가 좁기 때문에 많은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직경이 큰, 다시 말해 폭이 넓어진 제1 연장부(309)에 도달되면 갑자기 압이 약해지면서 충돌부재(311)에 충돌되기 때문에 미세 버블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is subjected to a lot of pressure because the flow path of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is narrow. In this state, the first extension par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t is, a wider width, is provided. When 309 is reached, since the pressure suddenly weakens and collides with the collision member 311, fine bubbles may be generated.

충돌부재(3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09) 영역에 배치되어 이류체가 충돌됨에 따라 미세 버블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변형예에서 충돌부재(311)는 넓은 표면적을 갖는 판상체로 마련되며, 삼발이식 다리(312)에 의해 충돌식 노즐부(300t)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충돌부재(311)는 이류체가 충돌될 수 있는 구조면 그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그 형상에 제한을 받을 필요는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collision member 311 is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and serves to generate fine bubbles as the air collides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collision member 311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body having a large surface area, and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llision nozzle part 300t by the trivet leg 312. Such a collision member 311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in shape because it is sufficient if the structure that the air can collide.

충돌부재(311)에 부딪혀 생성된 미세 버블이 포함된 물은 제2 확산부(313) 및 제2 연장부(315)를 거쳐 배출된다. 이 경우, 제2 확산부(313) 및 제2 연장부(315)는 구성상 생략될 수도 있는 부분이기는 하나 제2 확산부(313) 및 제2 연장부(315)가 마련되면 보다 많은 미세 버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Water containing the fine bubbles generated by hitting the collision member 311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ffusion portion 313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5 may be omitted in construction, when 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5 are provided, more fine bubbles are provid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made.

제2 확산부(313)는 제1 확산부(307)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즉 미세 버블이 포함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해 제1 연장부(309)의 직경에서부터 출발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That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bubble 309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diameter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to the rea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containing the fine bubbles flows.

제2 연장부(315)는 제2 확산부(313)와 연결되어 미리 경정된 길이 구간은 제2 확산부(313)의 가장 큰 직경 그대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second extension part 315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so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maintains the largest diameter of 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이러한 구조의 충돌식 노즐부(300e)가 적용되면, 제1 확산부(307)를 통과하는 이류체는 제1 확산부(307)의 유로가 좁기 때문에 많은 압력을 받게 되며, 이 상태에서 직경이 큰, 다시 말해 폭이 넓어진 제1 연장부(309)에 도달되어 충돌부재(311)에 충돌됨에 따라 더 미세한 버블로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세 버블이 형성된 물은 제2 확산부(313) 및 제2 연장부(315)를 지나면서 많은 미세 버블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llision type nozzle part 300e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receives a lot of pressure because the flow path of the first diffusion part 307 is narrow, and in this state, the diameter is increased. As it reaches a larger, ie, wider, first extension portion 309 and impinges on the collision member 311, a finer bubble is created. The water in which the fine bubbles are formed in this manner may be formed into many fine bubb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ffusion part 3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5.

도 8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6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ixth modific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6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f)은 충돌식 노즐부(300f)에서 제1 확산부(307)와 제1 연장부(309)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부(308)가 더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5 변형예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e)과 대부분 동일하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f according to the sixth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drawing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diffusion portion 307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in the collision type nozzle portion 300f. Most of the same as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e of the fifth modification except that 308 is further formed.

경사부(308)는 제1 확산부(307)의 유출단(305)에서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제1 연장부(309)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이류체의 충돌에 의해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The inclined portion 308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09 while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at the outlet end 305 of the first diffusion portion 307. There is no harm in generating fine bubbles.

도 9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7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venth modific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이 도면에 도시된 제7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g)은 다공성 공기안내부재(170g)가 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5 변형예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과 동일하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g according to the seventh modified example shown in this figure is the same as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of the fifth modified example except that the porous air guide member 170g has a conical shape.

다만, 본 변형예의 경우, 충돌식 노즐부(300g), 특히 충돌식 노즐부(300g)의 충돌부재(411)의 구조가 제5 변형예와는 상이하다. 도 9에서 충돌부재(411)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충돌부재(411)의 형태는 이류체가 보다 많은 부분, 면적을 가지고 또한 반복적으로 충돌될 수 있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바람개비 형상을 여러 개 배치한 것으로 볼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이류체의 충돌이 더욱 심화될 수 있기 때문에 미세 버블을 만드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structure of the collision nozzle part 300g, especially the collision member 411 of the collision nozzle part 300g differs from a 5th modification. Although the collision member 411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9, the shape of the collision member 411 shows a view in which the airflow body can have a larger portion, an area, and repeatedly collide.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pinwheel sha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it can be more advantageous to make a fine bubble because the collision of the airflow can be further deepened.

도 10a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단면도이다.10A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ighth modific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and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A.

이들 도면에 도시된 제8 변형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h)은, 전술한 변형예들과는 달리 장치본체(110h)의 양쪽에 물 공급용 커넥터(116h')가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물 유입부(113h')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면 장치본체(110h) 내부로의 물 공급이 여러 곳에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modified examples,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100h according to the eighth modified example shown in these figures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connector 116h 'on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h. The water flows through 113h '. When such a structure is applied, since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h may proceed at various places, it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한편, 제1 변형예와 더불어 간략하게 전술한 제2 내지 제8 변형예와 같은 구조를 갖더라도,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물과 공기의 사용량 대비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버블이 요구되는 예컨대 본 실시예처럼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분야 및/또는 그에 상당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목적에 맞게 널리 활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and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to eighth briefly described above, while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crease the amount of micro bubbles generated relative to the amount of water and air used. The particles can be kept even. Therefore, the microbubble can be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fields in the field of ballast water treatment and / or the like,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requires microbubbles.

- 본 발명의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대한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일 영역에 대한 횡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of a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in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100h)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결합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3개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100h)이 결합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ur microbubble generating units 100a to 100h are coup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microbubble generating units 100a to 100h) discloses a bonded structure.

- 본 발명의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 대한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of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일 영역에 대한 횡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of a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in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로 버블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100h)은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접선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이때는 전술한 커넥터(C1)의 구조만을 간단히 개선하면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s 100a to 100h are coupl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so that the micro bubbles may be provid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do. In this case, simpl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C1) can be easily implemented.

본 실시예와 같을 경우, 마이크로 버블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접선 방향(도 12의 점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으로 제공되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내부로 흐르는 밸러스트수와 혼합되고 있기 때문에 밸러스트수와의 혼합율을 좀 더 높일 수 있어 쉽게 소멸되지 않고 밸러스트수 내에서 오래 잔존되면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is provided to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in the direction of the dashed arrow in FIG. 12) and thus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Since it is mixed with the ballast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t is expected that the mixing ratio with the ballast water can be further increased, so that it can be contributed to the treatment of the ballast water as it does not disappear easily but remains in the ballast water for a long time.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들로서 본원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all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전술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의 변형예들에 모두 음이온 발생기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음이온 발생기를 장착하면 더욱 세밀한 공기 입자를 제공할 수 있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For example, all of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s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may be equipped with an anion generator. Mounting an anion generator can provide finer air particles, which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또한 상술한 도 7 내지 도 9에서, 충돌식 노즐부는 장치 본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충돌식 노즐부는 장치 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7 to 9, the impact nozzle part is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apparatus body, but the impact nozzle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pparatus body.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을 가지고 4개 배열될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호간 다른 간격으로 배열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4개가 아닌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의 마비크로 버블 발생유닛(100a)이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ur micro bubble generating units 100a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but configuration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Do.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ubble generating unit 100a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10 instead of four to one, three, or five or more Mavic.

또한 상술한 변형예들은 모두 물을 물 유입부에 주입하고, 공기는 공기 주입부에 주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물 주입부에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주입하고, 공기 주입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물이 공급되는 부분은 도 13a 및 도 13b처럼 두 곳 혹은 세 곳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all of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s have been described as injecting water into the water inlet and air into the air inlet, but injecting water and air into the water inlet, and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let. It would also be possible.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ortion may be two or three or more places, as shown in Figure 13a and 13b.

한편, 상술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기포를 생성시킬 뿐 아니라, 마이크로 크기보다 더 작은 나노 크기의 미세 기포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 기포 및/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 기포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들 보다 더 작은 크기의 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라는 용어는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만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 및/또는 "나노 크기의 버블" 및/또는 "나노 크기의 버블보다 더 작은 크기의 버블"을 포함한 버블을 생성하는 유닛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described above may not only generate micro-sized bubbles, but also micro-sized bubbles smaller than the micro size. For example,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described above can generate microbubbles and / or nanobubbles of microbubbles and does not exclude producing bubbles of smaller sizes. In addition, the term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oes not produce only "micro sized bubbles", but "micro sized bubbles" and / or "nano sized bubbles" and / or "nano siz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unit that produces a bubble containing a "bubble of smaller size than a bubble of siz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a~100h :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 210 :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
230 : 밸러스트 탱크
100a ~ 100h: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210: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230: Ballast Tank

Claims (15)

해수로부터의 밸러스트수가 유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시키는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 및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에 결합되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킨 후에 상기 마이크로 버블을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으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오존 또는 산소로서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와, 유입된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부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 내에 마련되며, 상기 물 유입부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 쪽으로 안내하는 회전 유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A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which forms a path through which ballast water from seawater flows, and introduces the ballast water into a ballast tank;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coupled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and providing the microbubble to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after generating microbubbles,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as ozone or oxygen is introduced, a water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air inlet, and water in which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air with the introduced water Apparatus body having a water discharge portion to be; And a rotation induction guide part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to guide rotation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device main body through the water inlet part and to guide towar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art. Vessel ballast water sterilizer using bub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이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반경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ast water using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coupl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so that the micro bubble can be provid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Sterilization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이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접선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ast water using the microbub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coupl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so that the microbubble can be provided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allast water inlet mainline. Sterilization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의 어느 일 영역에는 해당 밸러스트수 유입 메인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이 마련되며,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서 흐르는 밸러스트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ranch line branched from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is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ballast water inflow main line, and the ballast water flowing through the branch line is provided to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Ship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equipment us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도 안내부는, 상기 물 유입부로부터 상기 물 배출부로의 물 흐름은 허용하면서 상기 공기 유입부와 상기 물 배출부를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induction guide includes at least one guide wall disposed along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air inlet and the water outlet while allowing water flow from the water inlet to the water outlet. Vessel ballast water sterilizer using micro bub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벽체는,
그 일단부는 상기 물 배출부 영역을 둘러싸면서 상기 물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1 안내벽체; 및
상기 제1 안내벽체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내벽체와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되 그 일단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타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물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 안내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t least one guide wall,
One end thereof is fixed to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apparatus body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portion is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water dischar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apparatus body in which the air inlet portion is formed. ; And
It is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rst guide wall to form a spaced gap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device body in which the air inlet is formed, the other end is the water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guide w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formed with a dischar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벽체와 상기 제2 안내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관상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안내벽체와 상기 제2 안내벽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은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is formed of a tubular body,
At least one wal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is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inclined inclin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은, 상기 공기 유입부 영역에 결합되는 다공성(porous) 공기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 bubble generating unit, the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rous (porous) air guide member coupled to the air inlet reg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공기안내부재는 표면에 다수의 미세 기공(hole)이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원추형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rous air guide member is a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or conical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ne pores (hole) on the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안내벽체는 그 내부로 공기가 유동 가능한 중공체로 마련되며,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안내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면에는 다수의 미세 기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paratus body and the guide wall body is provided as a hollow body in which air flows therein,
At least one of the device body and the guide wall wall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micro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ne pore holes are further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부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물 배출부를 통해 물과 마이크로 버블이 섞인 이류체를 충돌시켜 미세 버블 발생을 배가시키는 충돌부재를 구비하는 충돌식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ubble further comprises a collapsible nozzle part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art and including a collision member configured to double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by colliding an admixture mixed with water and microbubbles through the water outlet part. Ship ballast water sterilization treatment equipment us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식 노즐부는,
상기 이류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해 입구 영역에 형성되되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1 확산부;
상기 제1 확산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충돌부재가 배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2 확산부; 및
상기 제2 확산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미리 경정된 길이 구간만큼 상기 제2 확산부의 가장 큰 직경 그대로를 유지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llision nozzle unit,
A first diffusion part formed in an inlet reg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a rear end thereof;
A first exten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diffusion part and having the collision member disposed therein;
A second diffu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a rea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diffusion part and maintaining the largest diameter of the second diffusion part as much as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식 노즐부는, 상기 제1 확산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사이에서 상기 제1 확산부와 상기 제1 연장부를 상호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 처리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impact nozzle unit, ballast water using a micro bubble further comprises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nclined mutually between the first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Sterilization Processing Unit.
KR1020100068726A 2010-07-15 2010-07-15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KR101225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26A KR101225491B1 (en) 2010-07-15 2010-07-15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26A KR101225491B1 (en) 2010-07-15 2010-07-15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31A KR20120007931A (en) 2012-01-25
KR101225491B1 true KR101225491B1 (en) 2013-01-23

Family

ID=4561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726A KR101225491B1 (en) 2010-07-15 2010-07-15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4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125B1 (en) * 2013-09-06 2016-09-23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ling of ozon gas concentration and flux in the ballast water sterillization system using ozon
KR101951691B1 (en) * 2017-12-08 2019-06-03 소프트에코 주식회사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648A (en) * 2004-03-23 2005-10-06 Miike Iron Works Co Ltd Treatment device of ballast water of vessel
JP2006263563A (en) * 2005-03-23 2006-10-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Apparatus for sterilizing microbe or the like in ballast water
KR100797186B1 (en) * 2007-02-23 2008-01-23 주식회사 네가트론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allast water
JP2008055352A (en) * 2006-08-31 2008-03-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fine bubble of ozone gas in water, an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648A (en) * 2004-03-23 2005-10-06 Miike Iron Works Co Ltd Treatment device of ballast water of vessel
JP2006263563A (en) * 2005-03-23 2006-10-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Apparatus for sterilizing microbe or the like in ballast water
JP2008055352A (en) * 2006-08-31 2008-03-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fine bubble of ozone gas in water, an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KR100797186B1 (en) * 2007-02-23 2008-01-23 주식회사 네가트론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allast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31A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46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plasma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US8192620B2 (en) Ballast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0843970B1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
JP6483303B2 (en) Gas-liquid dissolution tank and fine bubble generator
JP2006272147A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757766B1 (en) High efficiency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2 and ozone micro-bubble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1829728B1 (en) Nano bubble water generating methode
KR101225491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ing using micro bubble
KR101191147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electro lysis using micro bubble
KR101980335B1 (en) Total layer circulation injection system for water purifying
KR20120007929A (en)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and pipe using the same
JP2006043636A (en)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JP2005246198A (en) Sterilizer of harmful plankton
KR102292402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JPH0568996A (en) Generation of dissolved gas and sewage treatment apparatus using dissolved gas
JP3749156B2 (en) Liquid quality reformer
JP5774848B2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
KR102527202B1 (en) Ozone reactor with improved ozone microbubble spray nozzle
KR102664947B1 (en)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KR101109052B1 (en) A vapor generating apparatus in the water
KR20180096247A (en) oxygen dissolving equipments for fish room comprising an ultrasonic dissolving part
JP2017192914A (en) Raw water treatment device
WO2024054936A1 (en) A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 marine ecosystem
AU2012203894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
JP2014004542A (en)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