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47B1 -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 Google Patents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47B1
KR102664947B1 KR1020220000122A KR20220000122A KR102664947B1 KR 102664947 B1 KR102664947 B1 KR 102664947B1 KR 1020220000122 A KR1020220000122 A KR 1020220000122A KR 20220000122 A KR20220000122 A KR 20220000122A KR 102664947 B1 KR102664947 B1 KR 10266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fine
fine bubbles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5033A (en
Inventor
구경보
주혜령
김재중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환경
Priority to KR102022000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47B1/en
Publication of KR2023010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2Concentration, pH, pOH, p(ION) or oxygen-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B01F35/2142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using wireless sensors introduced in the mixture, e.g. transponders or RFID tags,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of the mixture or componen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 직경이 작은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수질개선 및 수질정화를 수행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는 수조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체를 제공하는 압축기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부상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선회시키면서 기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노즐 단부에서, 상기 물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유로를 전단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swirling method that improves water quality and purifies water quality using fine bubbles with small bubble diameters.
One embodiment of the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the pressurized swirling method disclosed herein is a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for purifying water in a water tank, comprising a pump that provides power to circulate the water; A compressor that provides gas for generating the fine bubbles and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compressor to generate fine bubbles to levitat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water; , the fine bubble generator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moves while rotating the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and at the nozzle end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the flow path is sheared by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of the water to generate fine bubbles. It can be characterized as generating.

Description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본 발명은, 기포 직경이 작은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수질개선 및 수질정화를 수행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swirling method that improves water quality and purifies water using fine bubbles with small bubble diameters.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로 인해 호소와 하천을 용수로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는 급증하고 있으나, 이러한 산업화, 도시화는 반대 급부적으로 수자원에 대한 오염 부하량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수질오염은 악화일로에 있다.Due to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the demand to utilize lakes and rivers as water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had the opposite effect and have increased the pollution load on water resources, and the resulting water pollution is worsening.

특히, 하천 또는 강의 경우 버려지는 오염물질들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말미암아 오염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ivers and rivers, the level of pollution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discarded pollutants are inevitably concentrated.

또한, 우리나라는 기후특성상 비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많이 내리고, 이러한 집중 호우를 수자원으로 확보하기 위해 많은 댐을 건설하였으며, 그로 인한 대형 호소(湖沼)가 비례적으로 많이 조성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limate, rain falls heavily in the summer, and many dams were built to secure this concentrated rain as water resources,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a proportionate number of large lakes.

이렇게 수자원 확보를 위한 생성된 인공호소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길어져 정체수역이 되므로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적은 대신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농도가 증가되는 추세이다.Artificial lakes created in this way to secure water resources have a long hydraulic residence time and become stagnant water areas, s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generally increases while organic matter is low.

이러한 호소내의 조류 성장에 적절한 환경과 풍부한 영양염류를 제공하고 있는 호소 특성으로 인하여 이상적인 과다 조류 증식과 부양양화 현상 등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ke, which provid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abundant nutrients for the growth of algae in the lake, excessive algae growth and enrichment are emerging a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fundamental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these causes.

호소내의 조류의 급증으로 인한 문제점은 물 공급원의 착색뿐만 아니라 체외 효소분비로 인한 맛과 냄새를 발생시켜 민원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정수처리 공정의 염소소독과 연계되면 맹독성의 트리할로메탄(THMs)을 형성시켜 이를 식수원으로 하는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류의 과잉발생은 정수처리 과정에서 기계설비 및 배관 또한 기계 기능의 저하에 따른 유지관리비의 증가 등 경제적 손실 이외에도 응집, 침전의 방해, 여과지 폐쇄나 여과지 지속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역세척을 증가시킴으로써 정수처리 시스템의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며, 기존처리 시스템에서의 유지관리에 상당한 손해를 초래하게 된다.The problem caused by the rapid growth of algae in the lake is not only the coloring of the water source, but also the taste and odor caused by extracorporeal enzyme secretion, which can cause civil complaints. When this is linked to the chlorine disinfection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the highly toxic trihalomethane (trihalomethane) THMs) can form, threatening the health of citizens who use them as a source of drinking water. The excessive occurrence of these algae causes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in addition to economic losses such as increased maintenance costs due to deterioration of mechanical equipment and piping and mechanical functions dur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It acts as a serious obstacle to the water treatment system by increasing backwashing due to obstruction, closure of the filter, or shortening of the filter duration, causing significant damage to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treatment system.

이에 대한 일반적인 대책으로는 담수호에 발생된 조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황토를 살포한 다음 수저(水底)로 침강시키는 방법과 수저에 미세한 공기발생장치를 장착한 후 미세공기와 함께 조류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방법과, 구리용액(Cu2+)인 중금속 살포에 의한 사멸방법과, 차염소산소다(NaClO)와 같은 살균제에 의한 사멸방법과, 기타 제올라이트(zeolite)와 같은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에어로졸에 의한 조류 부상 후 물리적 방법에 의해 수거하는 방법과, 천적 미생물을 배양한 후 천적 미생물을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대부분의 방법은 수저로 침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황토분말을 살포하여 조류 흡착과 동시에 침강시키는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Common countermeasures for this include a method of spraying red clay to remove algae generated in freshwater lakes and letting it settle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 method of attaching a fine air generator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then removing the algae by levitating it with fine air. A method of killing by spraying heavy metals such as copper solution (Cu2+), a method of killing by a disinfectant such as sodium hypochlorite (NaClO), a method of removing using inorganic oxides such as zeolite, and a method of killing by aerosol. There are methods of collecting birds by physical methods after they are injured by birds, and methods of cultivating natural enemy microorganisms and then spraying them, but most methods use sedimentation with a spoon,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economic reasons, a method of spreading red clay powder to adsorb algae and allow it to settle at the same time is being used.

그러나, 황토분말을 살포하여 조류 흡착과 동시에 침강시키는 방법은 조류가 흡착된 황토 분말의 침강으로 인해 제2차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높아 수질 생태계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However, the method of spreading red clay powder to adsorb algae and allow it to settle at the same time has a high possibility of secondary water pollution due to sedimentation of the red clay powder to which algae are adsorbed, raising the risk of destroying the water ecosystem.

또한, 수저에 미세한 공기발생장치를 장착한 후 미세공기와 함께 조류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의 경우 단지 국부적인 수역에서만 조류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수역에 발생된 조류를 제거하는 한계가 있고, 차염소산소다(NaClO)와 같은 살균제에 의한 사멸방법의 경우 차염소산에 의한 수질생태계에 유익한 미생물까지 사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타 제올라이트(zeolite)와 같은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의 경우 수중에 침강하기 때문에 종래의 황토와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is being used to remove algae by attaching a fine air generator to the bottom of the spoon and then floating the algae with the fine air. However, in this case, algae removal is only possible in a local water area, so there is a limit to removing algae generated in a wide water area. In the case of killing methods using disinfectants such as sodium hypochlorous acid (NaClO), there is a problem that microorganisms beneficial to the water ecosystem can be killed by hypochlorous acid, and removal using inorganic oxides such as zeolite In the case of this method, problems similar to conventional red clay may occur because it settles in water.

미세한 기포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3-0009318(선회유닛 기반의 고용해수를 이용한 미세기포 발생장치)가 착안된 바 있다.As a technology for a device that generates fine bubbles,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9318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solid seawater based on a swirling unit) has been conceived.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을 참고하면 밸브(110), 유량계(120), 급수펌프(130), 벤투리 인젝터(140), 선회유닛(150), 분리챔버(160), 용해탱크(170), 노즐유닛(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ior art includes a valve 110, a flow meter 120, a feed pump 130, a venturi injector 140, a turning unit 150, a separation chamber 160, a dissolution tank 170, It consists of a nozzle unit 180.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벤투리 인젝터(140)를 통해서 기체와 물이 혼합되고, 기체와 물이 혼합된 용해수는 선회유닛(150)에 공급되어 회전되면서 기체의 용해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고, 선회유닛(150)으로부터 유출되는 용해수는 분리챔버(160)를 거쳐서 용해탱크(170)로 유입된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gas and water are mixed through the venturi injector 140, and the dissolved water mixed with gas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turning unit 150 and rotated to further increase the solubility of the gas, and the turning unit (150) The dissolved water flowing out from 150)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160 and flows into the dissolution tank 170.

용해탱크(170)에서는 용해수와 이에 미처 혼합되지 않은 기체가 분리되어 기체는 외부로 배출되고, 용해수만이 노즐유닛(180)으로 공급되며, 용해수는 노즐유닛(180)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미세 기포가 생성된다.In the dissolution tank 170, the dissolved water and the unmixed gas are separated,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nly the dissolved water is supplied to the nozzle unit 180, and the dissolved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unit 180, Fine bubbles are created.

여기서, 용해탱크(170)로 유입된 기체와 용해수는 위아래로 분리되어, 기체는 용해탱크(170)의 상층부에 모이게 되고 기체 압력이 계속 증가하여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용해탱크(170)의 상부에 구비된 벤트(175) 즉 밸브장치가 개방됨으로써 용해탱크(170) 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Here, the gas and dissolved water flowing into the dissolution tank 170 are separated from the top and bottom, and the gas collects in the upper part of the dissolution tank 170. When the gas pressure continues to increase and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dissolution tank 170 The pressure in the dissolution tank 170 is maintained constant by opening the vent 175 provided at the top, that is, the valve device.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선회유닛(150)을 통해 유입된 물과 기체를 선회시켜 서로 충돌시킴으로써, 용해수를 생성한 후, 노즐유닛(180)을 통해 용해수를 수중에 배출하여 미세 기포를 생성시킴으로써, 물과 기체의 사용량 대비 미세 기포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solved water is generated by swirling the water and gas introduced through the swirling unit 150 to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n discharging the dissolved water into the water through the nozzle unit 180 to form fine bubbles. By generating , the production rate of fine bubbles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amount of water and gas used.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선회유닛(150)은 벤투리 인젝터(140)로부터 유출되는 물과 공기의 혼합물(f1)을 유입 받아 선회시키고, 선회시킨 혼합물(f2)을 분리 챔버(160)로 유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유입부(153)를 통해서 물과 공기의 혼합물을 유입받는 선회본체(151)와, 유입된 물과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혼합시키는 회전유도안내부(159)와, 물과 공기의 혼압물을 배출되는 용해수 배출부(155)로 이루어져 있다.Meanwhile, in this prior art, as shown in FIG. 2, the turning unit 150 receives the mixture (f1) of water and air flowing out from the venturi injector 140, rotates it, and rotates the turned mixture (f2). A rotating body 151 that receives the mixture of water and air through the inlet 153, which serves to discharge the mixture into the separation chamber 160, and a rotation guide that mixes the introduced water and air while rotating ( 159) and a dissolved water discharge unit 155 that discharges the mixed pressure of water and air.

여기서, 유입부(153)는 선회본체(151)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용해수 배출부(155)는 선회본체(151)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유입부(153) 영역에는 유입부(153)로 물과 공기를 공급하는 커넥터(156)가 마련되어 있다.Here, the inlet portion 153 is form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151, and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is formed on one side wall on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151, and the inlet portion 153 The area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56 that supplies water and air to the inlet 153.

회전유도안내부는 파이프형태의 제1안내벽체와 제2안내벽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안내벽체(159a)는 그 일단부가 용해수 배출부(155) 영역을 둘러싸면서 용해수 배출부(155)가 형성된 선회본체(151)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용해수 배출부(155)가 형성된 선회본체(151)의 일측 내벽면과 대향되는 타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rotation guidance guide is composed of a pipe-shaped first guide wall and a second guide wall. One end of the first guide wall (159a) surrounds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area and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It is fixed to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orbiting body 151,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inner wall opposite to one inner wall of the orbiting body 151 on which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is formed.

제2안내벽체(159b)는 제1안내벽체(159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제1안내벽체(159a)와의 사이에 이격되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는 용해수 배출부(155)가 형성된 선회본체(151)의 일측 내벽면과 대향되는 타측 내벽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용해수 배출부(155)가 형성된 선회본체(151)의 일측 내벽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wall (159b) is disposed on the radial outer side of the first guide wall (159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wall (159a), and one end of the second guide wall (159b) is formed with a pivoting portion where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is formed. It is fixed to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pposite to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51,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on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tating main body 151 on which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portion 155 is formed.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유입부(153)를 통해 선회본체(151)내로 유입된 물과 공기는, 안내벽체(159b)과 선회본체(151)의 내주면 사이, 제2안내벽체(159b)와 제1안내벽체(159a)와 사이, 및 제2안내벽체(159b)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강하게 선회하여 서로 충돌하면서 고 용해도의 용해수가 생성되며, 생성된 용해수는 용해수 배출부(15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 water and air flowing into the swing body 151 through the inlet 153 are between the guide wall 159b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wing body 151, and the second guide wall 159b. ) and the first guide wall (159a), and while moving inside the second guide wall (159b), they rotate strongly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generate dissolved water of high solubility, and the generated dissolved water is generated at the dissolved water discharge unit (155). ) is discharged through.

이러한 가압 용해식의 선행발명에 의하면 고압펌프 혹은 다단펌프가 적용되어 고밀도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소모가 크므로 소용량의 수질정화(연구소, 욕조 및 세척 세정장치)등에 적합하며 대용량의 상수 하수 수질정화에는 비효율적이다.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of this pressurized dissolution type, a high-pressure pump or multi-stage pump is applied, which consumes a lot of power to generate high-density microbubbles, so it is suitable for small-capacity water purification (laboratories, bathtubs, and washing devices), and is suitable for large-capacity water purification and sewage treatment. It is ineffective for water purification.

또한, 용해수의 생성을 위한 안내 벽체, 선회 본체 등의 구조에 의해 이물질이 끼여 유동이 막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고, 용해수의 생성과정에서 불용성 기체가 용해수와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서로 혼재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선회유닛에서 분리챔버를 거쳐서 용해탱크로 이어지는 유로상에서 용해수의 흐름이 부드럽지 않아 맥동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flow may be blocked frequently due to foreign matter being caught in the structure of the guide wall and rotating body for the generation of dissolved water, an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dissolved water, insoluble gases are not properly separated from the dissolved water and are mixed together. If it is maintained in this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of dissolved water is not smooth in the passage leading from the turning unit to the separation chamber to the dissolution tank, which may cause pulsation phenomen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이물질의 막힘이 없고, 동일전력 대비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높일 수 있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rotation method that is free from clogging by foreign substances and can increase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compared to the same powe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전단 선회방식을 통해 이물질의 막힘이 없고 폐수 내 산소가 쉽게 접촉할 수 있어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rotating method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eliminating clogging of foreign substances and allowing easy contact with oxygen in wastewater through the shearing and rotating method.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오염물질에 따라 적합한 기포를 생성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swirl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by generating appropriate bubbles depending on the contaminant.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수조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와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체를 제공하는 압축기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부상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선회시키면서 기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노즐 단부에서, 상기 물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유로를 전단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을 제공한다.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for purifying water in a water tank, a pump providing power for circulating the water, and a gas for generating the fine bubbles. A compressor that provides and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compressor to generate fine bubbles to levitat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water,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Pressuriz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moves while rotating the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and generates fine bubbles by shearing the flow path at the nozzle end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due to a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 of the water.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rotating method is provided.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펌프로부터 물이 제공되는 방향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기체가 제공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펌프 및 상기 압축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ne bubble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compressor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is provided from the pump and the direction in which gas is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된 물이 선회하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gas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may move along a flow path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the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rotates.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물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미세 기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measu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ter,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size of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ter measured by the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 기포의 지름을 2~80μ(microns)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to 2 to 80 μ (microns).

상기 센서는, 상기 물의 용존 산소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용존 산소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부상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미세 기포의 지름을 더 작게 생성하도록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nsor is a sensor that measures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maller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to increase the levitation speed of contaminants present in the water when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is low. The bubble generator can be controlled.

상기 펌프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압력계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계와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값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gauge connected between the pump and the fine bubble generator and a flow mete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fine bubble generator, and values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and the flow me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it is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to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 전단 선회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물질의 막힘이 없으며 동일 전력 대비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량을 높여 수질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pressurized shear and turning method, there is no clogging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effect of improving water qualit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compared to the same power.

또한 대용량의 상수 하수 수질정화 등 이물질이 많은 폐수처리에 적합하며 폐수 내의 용존 산소량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suitable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a lo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arge-capacity water purification and sewage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effective water quality improvement can be expected by generating microbubbles of an appropriate size depending 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stewater.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e swir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Figure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facilit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swir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n FIG. 1.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버블은 50 ㎛ 이하의 초미세 기포를 의미하며, 마이크로 버블은 내부 수축 작용으로 직경이 10 ㎛이하인 나노버블로 축소된 후 고온 고압 초음파와 프리 라디칼을 발생하고 압괴 소멸한다. 즉, 마이크로 버블은 나노 버블화 되고 축소 압괴 소멸한다.The microbubbles of this embodiment refer to ultra-fine bubbles of 50 ㎛ or less, and the microbubbles are reduced to nanobubbles with a diameter of 10 ㎛ or less due to internal contraction, then generat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ultrasound and free radicals and crush and disappear. In other words, microbubbles become nanobubbles and collapse and disappear.

본 실시예의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는, 수조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10), 펌프(20), 압축기(30),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 DO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the pressurized swirl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a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for purifying water in a water tank,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pump 20, a compressor 30, and a fine bubble. It may include a generator 100 and a DO sensor 60.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의 원리를 설명하면, 고형물의 부상공법은 고형물이 미세한 기포에 부착되고 이 부착된 고형물이 물과의 부력차에 의해 물 표면으로 부상하여 최종적으로 물표면에서 부유물질이 농축되는 원리이다.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100, the solid material flotation method involves solid material being attached to fine bubbles, and the attached solid material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difference in buoyancy with water, ultimately causing suspended solids to form on the water surface. It is a principle of concentration.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이온화된 이중막의 초미세 기포를 폐수내에 분산시켜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순간적으로 기포에 응집·부착시켜 고액분리한 후 물표면에 부상·정수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The fine bubble generator 100 uses the principle of dispersing ultrafine bubbles of an ionized double membrane in wastewater, causing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solids to instantly coagulate and attach to the bubbles, separating solid and liquid, and then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purifying water. .

이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기포(25microns)와 용적당 40% ~ 65%의 공기를 함유한 이중막으로 형성되어 있어, 부유물질(SS) 부착력과 부상 속도가 빠르고, 99%이상의 제거율을 갖는다.This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is formed of a double membrane containing invisible fine bubbles (25 microns) and 40% to 65% of air per volume, so the adhesion of suspended solids (SS) and levitation speed are fast. , has a removal rate of over 99%.

미세 기포 발생 장치(100)는 물속에 분산된 미세 기포의 안정된 유상액(Emulsion)으로 폐수의 성상 및 종류에 따라 기포의 크기를 임의 조절해서 정적인 상태로 고액 분리하는 부상공정이다.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is a flotation process that separates solid and liquid in a static state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size of the bubbles according to the nature and type of wastewater in a stable emulsion of fine bubbles dispersed in water.

제어부(10)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를 통해 생성되는 미세 물방울의 지름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조(50) 내의 물(51)의 용존 산소를 측정하는 센서(60)와 미세 기포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체를 제공하는 압축기(30) 및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0)와 연동되어 물(51)의 용존 산소에 따라 미세 기포의 생성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can control the size of the diameter of fine water droplets generated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ensor 60 that measures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51 in the water tank 50, a compressor 30 that provides gas to generate fine bubbles, and a pump 20 that provides power to circulate the water. In conjunction with , the generation size of fine bubbles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51.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를 통해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평균 크기는 25μ(microns)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톡스 이론에 따라 25μ(microns) 버블이 0.2cm/sec(분당환산 0.12m/min)의 부상속도를 가지므로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를 통해 발생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평균 크기가 25μ(microns) 일 경우, 내부 수축 작용으로 직경이 10μ이하인 나노 버블로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verage size of bubbles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10 is preferably 25 μ (microns).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Stokes theory, a 25μ (microns) bubble has a levitation speed of 0.2cm/sec (0.12m/min per minute), so the average size of the microbubbles generated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100 is 25μ (microns). In one case, nanobubbles with a diameter of 10μ or less can be effectively created through internal contraction.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어부(10)는 물(51)의 용존 산소에 따라 미세 기포의 지름을 2~80μ(microns)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생성되는 버블의 개수는 약 600억/ℓ이며, 버블의 표면적은 1,200,000㎠/ℓ이고, Recycle ration는 2.5~5%(flow rate)이고, Available Flotation Air는 40~65 %(by volume)이고, Operating Aeration Pressure는 1 ~ 1.5 ㎏/㎠ 이다.And the control unit 10 of this embodiment can control the diameter of fine bubbles to 2 to 80 μ (microns) depending on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51. In this case, the number of bubbles generated is about 60 billion/l, The surface area of the bubble is 1,200,000㎠/ℓ, Recycle ration is 2.5~5% (flow rate), Available Flotation Air is 40~65% (by volume), and Operating Aeration Pressure is 1~1.5 ㎏/㎠.

특히, Operating Aeration Pressure은 기존 DAF(Dissolved Air Flotation, 가압 부상법) 대비 동일조건 하에 약 4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전력 대비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량을 높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수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In particular, Operating Aeration Pressure showed a difference of about 4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compared to the existing DAF (Dissolved Air Flotation), which can increase the amount of micro bubbles generated compared to the same power as described above, resulting in more effective water quality improvement. You can expect it.

보다 구체적으로 DAF의 경우 비중이 낮은 미세한 고형물 처리에 사용되나 가압수 주입시 요동으로 인해 floc이 파괴되고, 미세기포(80microns)는 4~5㎏/㎠의 압력을 가한 공기에 물을 순환시켜 과포화 상태에서 생성되며 이 압력에서 운전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DAF, it is used to treat fine solids with low specific gravity, but the floc is destroyed due to fluctuation when pressurized water is injected, and the fine bubbles (80 microns) are supersaturated by circulating water in air with a pressure of 4 to 5 kg/cm2. It is created in this state and operated at this pressure.

부상능력은 물속에서의 공기용해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약 3~5%의 공기만이 용해되므로 필요한 공기량을 제공하기 위해 처리량의 약 50~200%의 순환수가 필요하므로 동력비 증가와 부상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The flotation ability is determined by the solubility of air in the water. Since only about 3 to 5% of the air is dissolved, about 50 to 200% of the throughput of circulating water is required to provide the required air volume, which may increase the power cost and reduce the flotation ability. there is.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는, 폐수의 성상 및 종류에 따라 미량의 계면활성제로 다양한 micro bubble을 생성시켜 정적인 상태로 고액 분리하며, micro bubble(25microns) 은 물리, 화학적 조절에 따라 만들어지며, 1~1.5㎏/㎠의 압력에서 운전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nano bubble generator using the pressurized swirl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separates solid and liquid in a static state by generating various micro bubbles with a trace amount of surfactant depending on the nature and type of wastewater, and the micro bubbles (25 microns) are It is made according to physical and chemical controls and operates at a pressure of 1 to 1.5 kg/cm2.

그리고 용적당 약 40~65%의 공기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표면적이 DAF의 30배에 해당되므로 필요한 공기량이 적게 요구되어 2.5%~5%의 순환수만이 필요하다.And since it contains about 40 to 65% of air per volume, the surface area is 30 times that of DAF, so the amount of air required is small, requiring only 2.5% to 5% of circulating water.

본 실시예는, 수조(50) 내에 구비되어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을 포함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40 provided in the water tank 5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The member 40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41 and can effectively filter foreign substances.

본 실시예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전단 선회방식을 적용하여 구조적으로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의 내부에 이물질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재(40)를 적용하여 이물질이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applies a shear-and-turn method to structurally prevent clogging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and also prevents the member 40 from being blocked. By applying this method,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압축기(30)로부터 기체를 제공받는 유로(a)와 펌프로부터 순환되는 물을 제공받는 유로(w)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a) 상에는 유량계(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w) 상에는 압력계(21)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량계(31)와 압력계(21)를 통해 측정되는 값은 제어부(10)로 전달되어 상술한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를 통해 생성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ne bubble generator 100 of this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 flow path (a) that receives gas from the compressor 30 and a flow path (w) that receives water circulated from the pump. A flow meter 31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a), and a pressure gauge 21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w). The values measured through the flow meter 31 and the pressure gauge 21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size of the micro bubbles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ne bubble generator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FIG. 4 .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본 실시예의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제1 연결부(101), 제2 연결부(103), 노즐 바디(110) 및 노즐 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01, a second connection part 103, a nozzle body 110, and a nozzle end 130.

제1 연결부(101)는 펌프(20)로부터 제공되는 물(w)이 유입되는 유로와 연결되고, 제2 연결부(103)는 압축기(30)로부터 제공되는 기체(a)가 유입되는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01 is connected to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w) provided from the pump 20 flow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03 is connected to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a)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30 flows. You can.

펌프(20)로부터 제공되는 물(w)은 노즐 바디(110) 내에서 선회하면서 중앙부분에 기체(a)가 이동하는 유로(113)를 형성하고, 미세 기포 발생장치의 노즐 단부(130)에서는 물이 선회하면서 발생하는 회전속도차에 의해 유로(113)를 전단(剪斷)하여 미세 기포(b)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water (w) provided from the pump 20 rotates within the nozzle body 110 to form a flow path 113 through which the gas (a) moves in the central part, and at the nozzle end 130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The flow path 113 may be sheared due to th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generated as the water rotates, thereby generating fine bubbles (b).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물(w)을 노즐 바디(110) 내에서 효과적으로 선회시키면서 중앙부분에 유로(113)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펌프(20)로부터 물(w)이 제공되는 방향은 노즐 바디(110)에 직교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ffectively rotate the incoming water (w) within the nozzle body 110 and effectively form the flow path 113 in the central por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w) is provided from the pump 20 is the nozzle body (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110) is preferable.

또한, 미세 기포 발생장치(100)는 펌프(20)로부터 물(w)이 제공되는 방향과 압축기(30)로부터 기체(a)가 제공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펌프(20) 및 압축기(3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bubble generator 100 is configur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w) is provided from the pump 20 and the direction in which gas (a) is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3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connected with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30)로부터 제공되는 기체(a)는 펌프(20)로부터 제공된 물(w)이 고속으로 선회하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유로(11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as (a)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30 may move along the flow path 113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s the water (w) provided from the pump 20 rotates at high speed.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노즐 단부(130)에서는 유로(113)를 전단하여 미세 기포(b)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nozzle end 130 can generate fine bubbles (b) by shearing the flow path 113.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 제어부 20: 펌프
30: 압축기 100: 미세 기포 발생장치
10: control unit 20: pump
30: Compressor 100: Fine bubble generator

Claims (7)

수조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체를 제공하는 압축기;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물의 용존 산소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물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부상시키기 위한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물의 용존 산소에 따라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미세 기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는,
상기 펌프 및 상기 압축기와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노즐 단부;
상기 노즐 바디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로와 상기 노즐 바디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노즐 단부 측에 상기 제2 연결부와 직교하게 구비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로와 상기 노즐 바디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물이 제공되는 방향과 상기 압축기로부터 기체가 제공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노즐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상기 노즐 바디 내면을 따라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를 선회하면서 상기 노즐 바디의 중앙부분에 상기 노즐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가 이동하는 유로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노즐 단부 측에서 전단되어 미세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용존 산소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물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의 부상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미세 기포의 지름을 더 작게 생성하도록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
In a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for purifying water in a water tank,
a pump that provides power to circulate the water;
A compressor providing gas for generating the fine bubbles;
A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measur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a fine bubble generator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compressor to generate fine bubbles to levitat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water;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size of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measured by the sensor,
The fine bubble generator is,
a nozzle body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compressor through a flow path;
a nozzle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nozzle body;
a second connection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body and connecting the nozzle body to a flow path through which gas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flows; and
A first connection part is provided at a right angle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t the end of the nozzle and connects the nozzle body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flows,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the nozzle body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is provided from the pump and the direction in which gas is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circles the inside of the nozzle bod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nozzle body, forming a flow path in the central part of the nozzle body through which gas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body,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moves is sheared at the end of the nozzle due to a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 of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thereby generating fine bubbl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ne bubble generator to generate a smaller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levitation of contaminants present in the water when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is low. Pressure tu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is applied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기체는 상기 펌프로부터 제공된 물이 선회하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s provided from the compressor moves along a flow path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while the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rotates.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swirl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 기포의 지름을 2~80μ(microns)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is a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using a pressurized rot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is controlled to 2 to 80 μ (micron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압력계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계와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값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선회방식이 적용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pressure gauge connected between the pump and the fine bubble generator and
It further includes a flow meter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fine bubble generator, wherein the values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and the flow meter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KR1020220000122A 2022-01-03 2022-01-03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KR102664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2A KR102664947B1 (en) 2022-01-03 2022-01-03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2A KR102664947B1 (en) 2022-01-03 2022-01-03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33A KR20230105033A (en) 2023-07-11
KR102664947B1 true KR102664947B1 (en) 2024-05-10

Family

ID=8715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122A KR102664947B1 (en) 2022-01-03 2022-01-03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9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71A (en) * 2005-09-05 2007-03-22 Sharp Corp Minute bubble generator and minute bubble circulation system incorporated with it
KR100744739B1 (en) * 2006-03-29 2007-08-01 옥철호 Apparatus for generation of water drop in a water tank
JP2008198974A (en) * 2007-01-15 2008-08-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JP2009262008A (en) * 2008-04-22 2009-11-12 Sharp Corp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tre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71A (en) * 2005-09-05 2007-03-22 Sharp Corp Minute bubble generator and minute bubble circulation system incorporated with it
KR100744739B1 (en) * 2006-03-29 2007-08-01 옥철호 Apparatus for generation of water drop in a water tank
JP2008198974A (en) * 2007-01-15 2008-08-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JP2009262008A (en) * 2008-04-22 2009-11-12 Sharp Corp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water tre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33A (en)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970B1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
EP1900693B1 (en) Ballast water treating apparatus
JP4725707B2 (en) Swivel type fine bubble generator and bubble generation method
US20070267763A1 (en) Swirling type micro-bubble generating system
SG184575A1 (en) A microbubble generator
US9243653B2 (en) Vortex generator with vortex chamber
WO2016089104A1 (en) Sterilizing microbubble generator including oxygen and ozone
CN107001074A (en) The water treatment procedure of suspended solid is removed using dissolved air floatation
EP25392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of water
US20020190404A1 (en) Gas/liquid contact chamber and a contaminated water treatment system incorporating said chamber
KR101757766B1 (en) High efficiency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2 and ozone micro-bubble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JPH08132094A (en) Fine bubble discharger
US6221254B1 (en) Purification of liquid streams using carbon dioxide
KR102664947B1 (en) Micro-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with pressure turning method applied
JP2011115674A (en) Micronization mixer
JP4490795B2 (en) Water purification method
KR101620261B1 (en) Freshwater algea removal system using the micro-bubble
KR101957444B1 (en) Oh-ladical floating separation 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micro-bubble and oh-radical
JP5611387B2 (en) Refinement mixing equipment
KR20160030709A (en) Mov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loating Matter
US11642634B2 (en) Gas saturation of liquids with application to dissolved gas flotation and supplying dissolved gases to downstream processes and water treatment
JP2017192914A (en) Raw water treatment device
JPS63252594A (en)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method
KR20100027257A (en) Heterogeneous material mixing device
JPS63252595A (en)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