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366B1 -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366B1
KR101225366B1 KR1020110142352A KR20110142352A KR101225366B1 KR 101225366 B1 KR101225366 B1 KR 101225366B1 KR 1020110142352 A KR1020110142352 A KR 1020110142352A KR 20110142352 A KR20110142352 A KR 20110142352A KR 101225366 B1 KR101225366 B1 KR 10122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image
module
toil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국
강진숙
Original Assignee
강진숙
이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숙, 이창국 filed Critical 강진숙
Priority to KR102011014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실의 외부 시설물 및 배관 등에 대해 청소 전후 상태를 촬영하면, 청소 대상물의 인식이 이루어져 각 청소 대상물별로 테이블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어서 청소 전후 화상간 비교를 통해 청소 여부를 판단하고, 청소후 화상과 기준화상간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함으로써, 화장실 청소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며, 신뢰성 있는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OILET BY IMAGE}
본 발명은 화장실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청소 전후 상태를 촬영한 화상을 통해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물 또는 세정제와 함께 수세미, 세제, 집게, 변기솔, 걸레 등을 이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청소 방법에 의하면, 화장실의 외부 시설물에 대해서는 관리 정도에 따라 비교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화장실의 배수관 등을 청소하는 것은 청소 장비와 전문성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화장실의 배수관 등은 청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배수관 내의 요석 및 유기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됨으로 인해, 화장실의 외부 시설물에 대한 청소에도 불구하고 악취가 계속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학교 등의 공중화장실의 배수관 상태가 많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화장실의 배수관과 같이 청소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청소전문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즉, 화장실의 외부 시설물 뿐만 아니라, 배수관 등의 보이지 않는 곳까지도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청소전문업체는 화장실 전체에 대한 청결도 유지 뿐만 아니라, 보수 및 관리까지도 담당함으로써, 리모델링 등의 사회적 비용을 억제시키고 있다. 이에, 청소전문업체에 의해 공공건물, 공중화장실 등에는 정기적인 청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청소전문업체에 의한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학교장 또는 학교 관리인에 의해 확인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별도의 보고체계에 의해 청소 상태에 대한 보고가 있어야 한다. 심지어 청소전문업체를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인이 화장실을 직접 방문하여 청소 상태를 확인한 후, 청소 비용과 관련되는 행정 처리가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공공건물이나 공중화장실에 대한 청소가, 미리 편성된 예산 등에 의해 집행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공공건물이나 공중화장실에 대한 청소는 예산을 통해 집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청소 상태에 대한 확인 및 보고 체계가 간편하면서 명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청소의 특성상, 청소가 현장 작업이므로, 청소 상태에 대한 확인 과정에 신뢰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화장실의 청소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설치에 대한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인권 침해의 문제를 안고 있어 바람직한 방안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91185호(공개일 2006.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596호(등록일 2009.01.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간편하면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청소 전후 상태를 각각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바탕으로 하여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비용 처리 등의 행정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을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촬영 장치; 화장실별로 마련되며, 수신된 상기 화상과 상기 촬영 장치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로 송신하는 고정 송수신 장치; 수신된 상기 화상, 촬영 장치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로 송신하는 구내 단말; 및 수신된 상기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비교를 통해 청소 상태를 판정하는 센터 단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청소전문업체 관리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고정 송수신 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으로의 세팅을 수행하고, 상기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화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운영 모듈; 및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고, 상기 청소관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표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청소 대상물은 배관일 경우에, 상기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는 배관 세척기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시경에 탑재된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관 세척기는, 물 또는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굴곡가능한 공급관 일단에 결합되며, 방향성을 갖는 홀이 형성된 방향성 고압분사체; 상기 물 또는 세정제가 부딪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일체로 형성된 브러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정제는, 옥살산 10~15 중량%, 중탄산나트륨 2~5 중량%, 계면활성제 0.5~1 중량%, 100ppm 농도의 은이온수 0.5~1 중량%, 및 증류수 78~87 중량%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내 단말은,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 및 상기 청소 대상물의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해당 저장 위치를 결정하고, 청소 전후 상태의 청소 대상물을 서로 매칭시켜 테이블화시키는 테이블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터 단말은, 청소 전후 상태의 상기 화상을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듈;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듈; 및 상기 제1 판단 모듈 및 제2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청소전문업체의 청소비용의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행정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은, 촬영 장치가,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을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고정 송수신 장치가, 화장실별로 마련되며, 수신된 상기 화상과 상기 촬영 장치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구내 단말이, 수신된 상기 화상, 촬영 장치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센터 단말이, 수신된 상기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비교를 통해 청소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는, 청소관리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미리 설정된 해상도 및 밝기로 세팅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내 단말은,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을 통해 화상의 분석이 이루어져 상기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고, 테이블화 모듈을 통해 상기 청소 대상물의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해당 저장 위치를 결정하고, 청소 전후 상태의 청소 대상물을 서로 매칭시켜 테이블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터 단말은, 제1 판단 모듈을 통해 테이블화된 데이터의 청소 전후 상태의 화상을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하고, 제2 판단 모듈을 통해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1 판단 모듈 및 제2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모두 설정값 이상의 만족도에 이른 경우 행정 처리 모듈을 통해 청소전문업체의 청소비용의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청결도는, 상기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채도 및 명도 차이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청소 유무, 청결도 정도, 관리 상태 등의 오프라인 행위가 온라인을 통해 신뢰성 있게 평가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시설물을 장기간 유지 관리할 수 있으므로, 리모델링 기간이 연장되고, 사회적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화장실을 위생적이고 쾌적한 공간으로 만듦으로써 국민의 보건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청소 전후의 화상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관 세척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내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터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의 외부 시설물 및 배관 등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을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촬영 장치(10)와, 수신된 화상과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로 송신하는 고정 송수신 장치(20)와, 수신된 화상, 촬영 장치(10)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로 송신하는 구내 단말(30)과,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화상비교를 통해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판정하여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센터 단말(40)을 포함한다.
여기에,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청소전문업체 관리 단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청소전문업체 관리 단말(50)은 센터 단말(40)에서의 행정 처리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증거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촬영 장치(10)는, 휴대폰, 카메라, PDA, 노트북 등 촬영 기능과 청소관리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한 단말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근 대중화된 휴대폰인 스마트폰을 이용하기로 한다. 즉, 스마트폰은 촬영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청소관리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고, 청소관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지면, 화상과 촬영 장치(10)의 고유 ID가 고정 송수신 장치(2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촬영 장치(10)의 고유 ID는, 전화번호, 청소전문업체 등록번호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장치(10)로서 스마트폰을 예시하고 있으나, 촬영, 데이터 송수신, 청소관리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한 단말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촬영 장치(10)가 이용될 수 있음으로 인해, 청소관리프로그램에는 해당 촬영 장치(10)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해상도, 밝기 등의 설정값이 세팅되어 있다. 이는 센터 단말(40)에서의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판정하는데 있어 동일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화장실마다 고정 설치되며, 외부조작에 대해 변경되지 않는 타이머를 내장시키고 있다. 이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화장실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구내 단말(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타이머는 청소 시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촬영 장치(10)로부터 전달된 화상과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내 단말(3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단말로서, 청소관리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구내 단말(30)에 설치된 청소관리프로그램은, 수신된 화상, 촬영 장치(10)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수신된 화상을 분석하여 청소 대상물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청소관리프로그램에는 청소 대상물을 인식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인식 기능에 의해, 화장실 시설물을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고, 또한 종류별로 테이블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청소 전후 화상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는 것이다.
센터 단말(4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단말로서, 청소관리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센터 단말(40)에 설치된 청소관리프로그램은, 구내 단말(30)로부터 전송된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유지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센터 단말(40)에 설치된 청소관리프로그램은, 각 화장실마다의 시설물 정보 및 청결도에 대한 기본값을 저장시키고 있으며, 이 기본값을 수신된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판단에 의해 청소전문업체에 대한 비용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여기에, 실내공기측정기(미도시) 및 실내공기살균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기측정기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악취, 암모니아가 포함된 화장실의 실내공기를 측정하여 고정 송수신 단말(20)에 전송한다. 이에 구내 단말(30)에서는 실내공기 상태를 판단하여 실내공기살균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실내공기살균기는, 고정 송수신 단말(20)로부터 전송된 구동신호에 대응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되어 화장실의 실내공기를 살균한다.
그럼 여기서, 청소전문업체에 의한 청소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청소전 상태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후, 천장, 벽, 위생기구, 배수구 등 화장실의 시설물 전반을 전용세정제로 세정 후, 고온의 스팀청소기를 이용해 살균하여 세균처리한다. 그리고, 통상 외부 세척용으로 사용하는 고압세정을 응용한 내부 파이프 크리닝 기기를 이용해 배관 내부를 세척하여 요석 및 유기물 등을 분해 처리한다. 그 후, 특수 약품과 탈취제, 소독제를 이용한 소독까지 완료하여 악취, 막힘, 세균 등을 처리한다. 이 역시 배관 내부를 관로 내시경으로 작업 전후를 촬영하는 것은 필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촬영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구내 단말(30) 및 센터 단말(40)에서 청소 여부 및 청결도를 확인 및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청소 과정을 촬영한 화상으로서, 청소 과정을 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도 3a 내지 도 3d는 각 청소 대상물의 청소 전후에 촬영한 화상을 비교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는,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01)과, 고정 송수신 장치(2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102)과, 스마트폰 전체의 운영이 이루어지며,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에 미리 설정된 값으로의 세팅이 이루어지고,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경우에, 촬영된 화상을 근거리 통신 모듈(102)로 전송하도록 하는 운영 모듈(103)과, 스마트폰 전체에 관한 운영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고, 청소관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모드 선택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05)이 더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이란, 촬영 장치(10)별로 세팅된 카메라 모듈(101)의 거리, 해상도, 밝기 등의 고정된 설정값을 의미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102)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드 선택 상태란, 촬영되는 청소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구내 단말(30)에 테이블화될 때 청소 대상물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모드 선택이 잘못되어 청소 대상물과 촬영된 화상이 다를 수 있으나, 이는 구내 단말(30)에서 화상비교기능을 이용하여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게 되므로, 청소 대상물을 구분할 수 있는 보조적인 기능에 해당한다.
카메라 모듈(101)은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화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01)은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카메라 모듈(101)은 수집되는 화상 데이터를 운영 모듈(103)에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101)은 화상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화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화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는 화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4)에 표시되는 프레임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화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 코덱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코덱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운영 모듈(103)에서 청소 대상물을 추적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DA(Fisher Discriminant Analysis) 및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등의 분석 기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청소 대상물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소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추적하기 위해서 형태 모델링(Shape Model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적된 청소 대상물의 형태를 디스플레이 모듈(104)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청소 대상물을 더욱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촬영 장치(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메뉴에서 청소관리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이어서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촬영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카메라 모듈(10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02)의 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청소전 상태에 대해 화장실 각 영역별로 촬영을 수행하고, 이 촬영에 의해 청소전 화상이 고정 송수신 장치(20)를 통해 구내 단말(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후 상태에 대해 화장실 각 영역별로 촬영을 수행하고, 이 촬영에 의해 청소후 화상이 고정 송수신 장치(20)를 통해 구내 단말(30)에 전달된다. 이후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스마트폰의 초기 설정값으로 복귀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 배관 세척기에 설치되어 촬상을 수행할 수 있는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관 세척기의 구성도의 일례이다.
이에, 카메라 모듈은 내시경(미도시)에 탑재된 촬상 소자(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배관 세척기는, 물 또는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굴곡가능한 공급관(1) 일단에 결합되며, 방향성을 갖는 홀이 형성된 방향성 고압분사체(2)와, 물 또는 세정제가 부딪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3)와, 이 회전체(3)에 일체로 형성된 브러쉬(4)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체(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이 고압분사체(2) 단부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분사체(2)를 구성하는 파이프에는, 회전체(3)를 향하는 방향으로 홀(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를 별도로 형성시키고 있으나, 고압분사체의 홀 형성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고압분사체 자체를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세정제의 압력을 이용하여 고압분사체 자체를 회전시키고, 이 고압분사체에 결합된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베어링은 공급관(1) 단부에 게재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세정제로는, 옥살산 10~15 중량%, 중탄산나트륨 2~5 중량%, 계면활성제 0.5~1 중량%, 100ppm 농도의 은이온수 0.5~1 중량%, 및 증류수 78~87 중량%인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 세척기를 이용하여 배관 청소와 함께 청소 상태를 촬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내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 단말(30)은 미도시된 통상의 컴퓨터 구성인 제어부, 저장부, I/O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 접속부, 디스플레이부 등을 구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청소 대상물 인식이 가능한 청소관리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내 단말(30)은, 화상으로부터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과, 청소 대상물의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청소 대상물에 매칭시켜 테이블화시키는 테이블화 모듈(30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구내 단말(30)은, 촬영 장치(10)의 모드 선택에 따라 청소 대상물이 지정되어 전달될 경우에는, 구내 단말(30)의 설정에 따라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의 구동이 일시 정지될 수도 있다. 물론, 구내 단말(30)은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이 구동되는 것이 기본 설정으로 세팅되어 있다.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은, 상기한 운영 모듈(103)에서 이용할 수 있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DA(Fisher Discriminant Analysis) 및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등의 분석 기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청소 대상물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분석하기 위해서 형태 모델링(Shape Model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은, 청소 대상물의 부가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형상 정보도 함께 기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소 대상물의 부가 정보 및 형상 정보는 별도의 기억장치(미도시)에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형상 정보는, 예를 들면, 크기, 모양, 엣지, 색 등의 청소 대상물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특징을 수치화한 양으로서, 예를 들면, 「비주얼 툴에 의한 콘텐츠 기술」, 영상정보미디어학회지, 사단법인 영상정보미디어학회, 2002년 11월 1일, 제56권, 제11호, p.1711-1714(이하, 문헌 A라고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MPEG-7/Visual에서 정의되어 있는 비주얼 기술자의 색 특징, 모양 특징, 형상 특징 등 중의 어느 하나의 조합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특징량 벡터이다. 여기서, 색 특징은 도미넌트 컬러와 컬러 레이아웃, 모양 특징은 엣지 히스토그램, 형상 특징은 리젼 베이스드 형상 기술자 등에 의해 표시된다.
기억장치에는, 하나의 청소 대상물에 대하여, 배치 위치 등의 특성이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추후 청소 대상물의 인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즉, 촬영 장치(10)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화상이 항상 동일 위치에서 촬영되는 것은 아니므로, 임의의 촬영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청소 대상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고, 청소전 청소 대상물과 청소후 청소 대상물을 정렬하여 테이블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위해서,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은, 촬영 공간을 추정하는 수단과, 촬영 공간을 매칭하는 수단과, 촬영 공간에서 청소 대상물을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된 청소 대상물의 형상 정보로부터 유사한 기억장치 내의 청소 대상물을 추출하는 수단과, 유사도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특정 청소 대상물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청소 대상물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은, 촬영한 화상의 일부분 또는 전체의 화상인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추출된 부분 화상의 시각적 특징량을 설정하는 시각적 특징량 설정 수단과, 기억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후보 오브젝트의 시각적 특징량과, 부분 화상의 시각적 특징량과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특징량 비교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터 단말(40)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단말(40)은, 미도시된 통상의 컴퓨터 구성인 제어부, 저장부, I/O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 접속부, 디스플레이부 등을 구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화상비교가 가능한 청소관리프로그램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센터 단말(40)은, 청소 전후 상태를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듈(401)과,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듈(402)과, 제1 판단 모듈(401)과 제2 판단 모듈(40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청소전문업체의 비용 처리와 관련된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행정 처리 모듈(40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판단 모듈(401)에 있어, 본 발명은 단순히 화장실에 버려진 휴지를 제거하는 정도의 청소가 아니므로, 즉 단순히 청소전 화상과 청소후 화상간의 화상 변화를 통해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청소 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촬영된 화상의 색상 변화를 통해 청소 여부를 판단한다.
즉, 먼저 특정 부분에 대한 화상 추출한 후, 예를 들면, 창문, 도어, 변기 등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며, 이어서, 선택된 청소 대상물의 화상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 방법으로서, 색상 분포 기반 분석(Color distribution) 방법을 이용하며, 이 색상 분포 기반 분석은, RGB의 컬러모델을 HSV의 컬러모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분포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화상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RGB(Red, Green, Blue) 컬러모델은, 빨강, 초록 및 파랑의 3가지 색을 3차원 X, Y, Z축에 놓고 가중치에 따라서 색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HSV 컬러모델은, 아래의 식1과 같이,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명도(Value)에 의해 색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식1]
Figure 112011103372169-pat00001
RGB 컬러모델은 HSV 컬러모델에 비하여 빛에 의해 아주 큰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즉, RGB 컬러모델을 구성하는 빨강, 초록, 파랑의 각 요소는 모두 명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는 형태이므로 그만큼 조명에 민감하게 변화되는 반면, HSV 컬러모델에서는 색상 자체의 정보와 명도 정보가 분리됨으로써 조명 변화에 의한 영향이 명도 요소에만 제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명도를 제외시키고 비슷한 특징을 보여주는 있는 색상과 채도에 의한 분포도를 작성하면 3차원을 2차원으로 투영하여 동일 색상의 유사성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환된 각 화상의 HSV 데이터에서 각 픽셀의 색상과 채도 데이터를 색상(H)을 X축으로 하고 채도(S)를 Y축으로 하여 정의되는 H-S 2차원 공간에 표현한 다음, LBG(Linde-Buzo-Gray)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포 특성, 즉 색상 클러스터를 추출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H-S 2차원 공간에 표현된 (H, S) 좌표점들에 대하여 비모수적(不母數的; non-parametric)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H-S 2차원 공간상에서의 분포 특성을 표현한다. 비모수적 클러스터링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고 정해진 수의 클러스터들로 데이터를 나누는 방법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비모수적 클러스터링 방법으로는 k-means 알고리즘을 들 수 있다.
이에, 대응 클러스터를 정의하고, 정의된 대응 클러스터간 평균거리를 지정하여 유사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값을 사전 구축된 학습 모델 데이터에 대입하여 우도비(Likelihood Ratio) 기반하에서 2개 화상간의 유사도 여부를 판별한다. 이 유사도 판별에 의해 설정값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면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값 이하의 유사도를 가지면 청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즉, 2개 화상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어야 청소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2 판단 모듈(402)에 있어, 본 발명은 청결도 판단을 위해 채도 판단부(미도시) 및 명도 판단부(미도시)를 구성하고 있다.
채도 판단부는, 입력 화상 중 일 영역의 화상에서 서로 다른 색 성분을 나타내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들 중 최대값을 도출하는 최대값 산출부,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들 중 최소값을 도출하는 최소값 산출부,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Delta)를 도출하는 차이 산출부, 상기 차이와 제1 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차이가 상기 제1 기준보다 작은 경우 청결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제1 기준보다 큰 경우 청결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명도 판단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대하여 그레이 레벨(grey level)에 따른 분포를 생성하는 그레이 레벨 분포 산출부, 상기 분포에서 최다 분포 영역을 도출하는 최다 분포 산출부, 상기 최다 분포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의 화상에 대하여 그레이 레벨 평균을 도출하는 그레이 레벨 평균 산출부, 상기 평균과 제4 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평균이 상기 제4 기준보다 작은 경우 청결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평균이 상기 제4 기준보다 큰 경우 청결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비교 판단부의 결과를 모두 만족할 경우에 청결도를 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청소 시작전에, 촬영 장치(10)를 조작하여 청소관리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 이에, 카메라 모듈(101)이 미리 설정된 해상도, 밝기 등으로 세팅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102)이 활성화된다(S2). 근거리 통신 모듈(102)이 활성화됨에 따라 고정 송수신 장치(20)를 인식하고 통신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102)과 고정 송수신 장치(20)간 통신 설정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 모듈과 액세스 포인트(AP)간 통신 설정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화장실 시설물의 초기 상태를 청소 대상물별로 각각 촬영한다(S3).
이에 화장실 초기 상태의 화상은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20)로 전송된다(S4).
이어서,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화상과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결합하여 구내 단말(30)로 전송한다(S5).
이에 구내 단말(30)은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에 의해 화상의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에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게 된다(S6). 청소 대상물이 구분될 경우에는 대응하는 청소 대상물의 테이블 위치에 해당 화상을 저장한다(S7). 만약, 청소 대상물이 구분되지 않을 경우에는 촬영시 모드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즉 촬영되는 청소 대상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여 해당 화상을 해당 테이블 위치에 저장한다. 한편, 청소 대상물의 화상이 해당 위치에 저장되는 것과 동시에 촬영 장치(10)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도 함께 해당 위치에 저장된다.
한편, 화장실 시설물에 대한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후 화장실 청소 상태를 촬영한다(S8).
이에 화장실 청소후 상태의 화상은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20)로 전송된다(S9).
이어서, 고정 송수신 장치(20)는 화상과 촬영 장치(10)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결합하여 구내 단말(30)로 전송한다(S10).
이에 구내 단말(30)은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301)에 의해 화상의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에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게 된다(S11). 청소 대상물이 구분될 경우에는 대응하는 청소 대상물의 테이블 위치에 해당 화상을 저장한다(S12). 만약, 청소 대상물이 구분되지 않을 경우에는 촬영시 모드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 즉 촬영되는 청소 대상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여 해당 화상을 해당 테이블 위치에 저장한다. 한편, 청소 대상물의 화상이 해당 위치에 저장되는 것과 동시에 촬영 장치(10)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도 함께 해당 위치에 저장된다. 이에 청소 전후 상태의 화상이 자동으로 정렬되는 것이다. 한편, 촬영 장치(10)의 고유 ID 또는 식별자를 기준으로 하여 그룹화가 이루어지며, 즉, 청소전문업체별, 화장실별 그룹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테이블화된다.
이와 같이 테이블화가 완료되어 구내 단말(30)의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 조작 또는 설정된 시간에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40)로 전송한다(S13).
이에, 센터 단말(40)은, 1차적으로 제1 판단 모듈(401)을 구동시켜 테이블화된 데이터의 청소 전후 상태의 화상을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는 화장실 촬영시, 유사한 위치에서의 유사한 구도의 화상을 전제로 한다. 즉, 유사한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화상 변화 차이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청소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어서, 제2 판단 모듈(402)을 구동시켜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한다(S15). 이 청결도 판단에는 명도 등이 이용된다. 한편, 촬영 장치(10)의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카메라 모듈(101)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세팅되므로, 사용자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을 방지하여 청결도 판단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역시 청소후 화상과 기준화상간 비교를 통해 명도 차이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청결도를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제1 판단 모듈(401)과 제2 판단 모듈(402)의 판단 결과, 모두 설정값 이상의 만족도에 이른 경우 행정 처리 모듈(403)을 구동시켜 청소전문업체의 비용 처리와 관련된 행정 처리를 수행한다(S16). 만약, 청소 여부 또는 청결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만족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청소전문업체로 시정사항을 전달하여 조치하도록 한다(S17).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플로피) 디스크(floptical(Floppy)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 : 촬영 장치 101 : 카메라 모듈
102 : 근거리 통신 모듈 103 : 운영 모듈
104 : 디스플레이 모듈 20 : 고정 송수신 장치
30 : 구내 단말 301 :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
302 : 테이블화 모듈 40 : 센터 단말
401 : 제1 판단 모듈 402 : 제2 판단 모듈
403 : 행정 처리 모듈 50 : 청소전문업체 관리 단말

Claims (13)

  1.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을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촬영 장치와; 화장실별로 마련되며, 수신된 상기 화상과 상기 촬영 장치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로 송신하는 고정 송수신 장치; 수신된 상기 화상, 촬영 장치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로 송신하는 구내 단말; 및 수신된 상기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소 상태를 판정하는 센터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고정 송수신 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근거리 통신 모듈;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으로의 세팅을 수행하고, 상기 청소관리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화상을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운영 모듈; 및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고, 상기 청소관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표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대상물은 배관이며,
    상기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는 배관 세척기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시경에 탑재된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기는,
    물 또는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굴곡가능한 공급관 일단에 결합되며, 방향성을 갖는 홀이 형성된 방향성 고압분사체;
    상기 물 또는 세정제가 부딪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일체로 형성된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옥살산 10~15 중량%, 중탄산나트륨 2~5 중량%, 계면활성제 0.5~1 중량%, 100ppm 농도의 은이온수 0.5~1 중량%, 및 증류수 78~8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 단말은,
    수신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 및
    상기 청소 대상물의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해당 저장 위치를 결정하고, 청소 전후 상태의 청소 대상물을 서로 매칭시켜 테이블화시키는 테이블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단말은,
    청소 전후 상태의 화상을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듈;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듈; 및
    상기 제1 판단 모듈 및 제2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청소전문업체의 청소비용의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행정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9. 촬영 장치가, 청소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을 고유 ID와 함께 고정 송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고정 송수신 장치가, 화장실별로 마련되며, 수신된 상기 화상과 상기 촬영 장치의 고유 ID에 시간과 식별자를 추가하여 구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구내 단말이, 수신된 상기 화상, 촬영 장치의 고유 ID, 시간 및 식별자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센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센터 단말이, 수신된 상기 테이블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소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장치는,
    청소관리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미리 설정된 해상도 및 밝기로 세팅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 단말은,
    청소 대상물 인식 모듈을 통해 화상의 분석이 이루어져 상기 청소 대상물을 구분하고,
    테이블화 모듈을 통해 상기 청소 대상물의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해당 저장 위치를 결정하고, 청소 전후 상태의 청소 대상물을 서로 매칭시켜 테이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단말은,
    제1 판단 모듈을 통해 테이블화된 데이터의 청소 전후 상태의 화상을 비교하여 청소 여부를 판단하고,
    제2 판단 모듈을 통해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비교를 통해 청결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1 판단 모듈 및 제2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모두 설정값 이상의 만족도에 이른 경우 행정 처리 모듈을 통해 청소전문업체의 청소비용의 행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결도는, 상기 청소후 상태 화상과 기본 화상간의 채도 및 명도 차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방법.
KR1020110142352A 2011-12-26 2011-12-26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52A KR101225366B1 (ko) 2011-12-26 2011-12-26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52A KR101225366B1 (ko) 2011-12-26 2011-12-26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366B1 true KR101225366B1 (ko) 2013-02-01

Family

ID=4789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352A KR101225366B1 (ko) 2011-12-26 2011-12-26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3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8B1 (ko) 2015-04-15 2016-07-07 박인철 시설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122628A1 (en) * 2015-01-30 2016-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washroom experience to patrons
CN111754065A (zh) * 2019-03-29 2020-10-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评价系统、移动体、计算机可读记录介质以及方法
KR102411125B1 (ko) * 2022-01-04 2022-06-22 비제이 주식회사 위치정보 기반의 청소대상 현장 관리 시스템
KR20220114156A (ko) * 2021-02-08 2022-08-17 (주) 인셈 머신러닝 기반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CN118138604A (zh) * 2023-12-29 2024-06-04 北京微云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异构物联网的智慧厕所监控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9B1 (ko) 2005-02-14 2007-05-02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11540B1 (ko) * 2006-11-30 2008-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청소 및 검사용 수중로봇
KR100812591B1 (ko) 2006-11-23 2008-03-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공중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0881596B1 (ko)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화장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9B1 (ko) 2005-02-14 2007-05-02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12591B1 (ko) 2006-11-23 2008-03-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공중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0811540B1 (ko) * 2006-11-30 2008-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청소 및 검사용 수중로봇
KR100881596B1 (ko)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화장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628A1 (en) * 2015-01-30 2016-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washroom experience to patrons
US10037678B2 (en) 2015-01-30 2018-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washroom experience to patrons
KR101637828B1 (ko) 2015-04-15 2016-07-07 박인철 시설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754065A (zh) * 2019-03-29 2020-10-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评价系统、移动体、计算机可读记录介质以及方法
KR20220114156A (ko) * 2021-02-08 2022-08-17 (주) 인셈 머신러닝 기반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43364B1 (ko) * 2021-02-08 2023-06-14 (주)인셈 머신러닝 기반의 건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11125B1 (ko) * 2022-01-04 2022-06-22 비제이 주식회사 위치정보 기반의 청소대상 현장 관리 시스템
CN118138604A (zh) * 2023-12-29 2024-06-04 北京微云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异构物联网的智慧厕所监控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366B1 (ko) 화상을 통한 화장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10075B2 (en) Hazard recognition
KR20170022912A (ko) 사용자 설정가능 인터랙티브 영역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210110137A1 (en) Navigation using selected visual landmarks
US12114101B2 (en) Dynamic video exclusion zones for privacy
US119079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0847014B1 (en) Recording activity detection
JP2004021495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US11935297B2 (en) Item monitoring for doorbell cameras
JP6713057B2 (ja) 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移動体制御プログラム
CN107171872A (zh) 一种智能家居中用户行为预测方法
AU20192312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e to display images
JP5388829B2 (ja) 侵入物体検知装置
CN102737474A (zh) 基于智能视频的室内人员异常行为的监视和报警
CN111643017B (zh) 基于日程信息的清扫机器人控制方法、装置和清扫机器人
WO2018008702A1 (ja) 振る舞い検知システム
US201901472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1090408A (ja) 情報処理装置、その行動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19245A1 (en) Assisted creation of video rules via scene analysis
CN108765466A (zh) 一种基于网络摄像头的智能视频监控系统及方法
CN107306383A (zh) 推定操作者的方法、装置以及记录介质
CN116259101A (zh) 一种用于考场或课堂纪律巡视的方法及巡视机器人
US11600063B1 (en) Guide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374967A1 (en) Precipitation removal from video
WO2024152048A1 (en) Visual analy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