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48B1 -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 Google Patents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48B1
KR101225048B1 KR1020110135051A KR20110135051A KR101225048B1 KR 101225048 B1 KR101225048 B1 KR 101225048B1 KR 1020110135051 A KR1020110135051 A KR 1020110135051A KR 20110135051 A KR20110135051 A KR 20110135051A KR 101225048 B1 KR101225048 B1 KR 10122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axial cable
hook
wi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지희철
고윤선
Original Assignee
연합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합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합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이 복합케이블의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의 배열과 동일하게 설계된 접점부; 상기 복합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가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상기 접점부가 소켓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소켓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고정되어있는 수나사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암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각 접점이 상기 소켓 커넥터의 각 접점과 1대1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나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케이블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고,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장비 측과 연결하기 위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차를 최소화하여 신호들의 위상이 겹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아 잘못된 신호가 장비에 전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본 발명은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고,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장비 측과 연결하기 위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고,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장비 측과 연결하기 위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복합케이블은 각 규격별 케이블의 배열이 일정한 길이를 갖지못하였고, 기존의 복합커넥터의 접점의 배열이 복합케이블의 배열과 동일하지 않아 길이에 민감한 고주파 같은 경우 길이 오차로 인하여 위상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고,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장비 측과 연결하기 위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상차를 최소화하여 신호들의 위상이 겹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아 잘못된 신호가 장비에 전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이 복합케이블의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의 배열과 동일하게 설계된 접점부; 상기 복합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가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상기 접점부가 소켓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소켓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고정되어있는 수나사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암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각 접점이 상기 소켓 커넥터의 각 접점과 1대1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나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케이블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1동축케이블 접점, 제 2동축케이블 접점, 제 1훅업와이어 접점 및 제 2훅업와이어 접점으로 구성하고 다수개의 제 1고주파 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에 동심원상에 배열되고, 제 2고주파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2동축케이블 접점, 제 1훅업와이어 접점, 제 2훅업와이어 접점으로 구성하고, 제 2동축케이블 접점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1동축케이블 접점, 제 2동축케이블 접점으로 구성하고, 다수개의 제 1고주파 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 다수개의 제 2고주파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고,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장비 측과 연결하기 위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케이블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 필러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고주파 안테나용 복합케이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차를 최소화하여 신호들의 위상이 겹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아 잘못된 신호가 장비에 전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플러그 커넥터 Type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비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소켓 커넥터 Type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플러그 커넥터 Type 2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비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소켓 커넥터 Type 2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용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비 측 고주파신호 전용 소켓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복합케이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100)는, 접점부(120), 플러그 커넥터(140), 소켓 커넥터(160), 나사 결합부(180)를 포함한다.
접점(120)부는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이 복합케이블의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의 배열과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복합케이블은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고주파신호 동축케이블접점(120a)이 동심원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위상차가 발생하여 각 신호들의 위상이 겹치거나 변형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변형된 신호가 장비에 송신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규격별로 동심원상으로 설계된 복합케이블의 구성형태를 유지하며 플러그 커넥터(140)와 연결되도록 커넥터 접점의 배치를 복합케이블의 구성형태와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플러그 커넥터 Type 1을 나타낸 단면도이고,도 1b는 장비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소켓 커넥터 Type 1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과 도 1b를 참고하면, 도 1과 도 2의 디자인은 제 1고주파신호, 제 2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 1동축케이블 접점(120a),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 제 1훅업와이어 접점(130), 제 2훅업와이어 접점(130)으로 구성하고 제 1동축케이블 접점(120a)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에 동심원상에 배열되고,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의 배열을 규정하였다.
도 2a는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플러그 커넥터 Type 2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장비측 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 전달용 소켓 커넥터 Type 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과 도 2b를 참고하면, 도 2a과 도 2b의 디자인은 제 2고주파신호, 전원, 일반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 제 1훅업와이어 접점(130), 제 2훅업와이어 접점(130)으로 구성하고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의 배열을 규정하였다.
도 3a는 복합케이블 측 고주파신호 전용 플러그 커넥터(14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장비 측 고주파신호 전용 소켓 커넥터(16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과 도 3b를 참고하면, 도 3a과 도 3b의 디자인은 제 1고주파신호, 제 2고주파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 1동축케이블 접점(120a),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으로 구성하고 제 1동축케이블 접점(120a)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 제 2동축케이블 접점(120b)은 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의 배열을 규정하였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140)에 연결되는 복합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의 단면에 위치한 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123A~123J)은 도 3a의 복합케이블 측 플러그 커넥터(140)의 각 규격별 접점(121A~121J)과 1대1 매칭되게 배열되고,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복합케이블 내의 고주파신호용 동축케이블 도선들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의 각 규격별 접점(121A~121J)은 도 3b의 소켓 커넥터(160)의 각 규격별 접점(122A~122J)과 1대1 대응되어 배열된다.
따라서,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100)는 고주파 신호 특성을 위하여 케이블 제작 시 위상특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고주파 안테나용 복합케이블과 케이블의 형태 그대로 미세한 오차도 없이 연결된다.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고주파 안테나용 복합케이블과 연결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40)는 복합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가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40)는 다수의 동축케이블 접점을 플러그 형태로 구성하며, 연결할 때 전기적 결합과 탈착 기능을 양립하는 접속용 전기부품이다.
또한, 소켓 커넥터(160)는 상기 접점부가 소켓 형태로 구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한다.
도 5는 소켓 커넥터(160)에 플러그 커넥터(140)를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나사 결합부는, 소켓 커넥터(16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고정되어있는 수나사(180b)에 플러그 커넥터(14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암나사(180a)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140)의 각 접점이 소켓 커넥터(160)의 각 접점과 1대1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 밀착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복합커넥터 120 : 접점부
120a : 제 1동축케이블 접점
120b : 제 2동축케이블 접점
121A~121J : 플러그 커넥터의 각 규격별 접점
122A~122J : 소켓커넥터의 각 규격별 접점
123A~123J : 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
130 : 훅업와이어 접점 140 : 플러그 커넥터
160 : 소켓 커넥터 180 : 나사결합부
180a : 수나사 180b : 암나사

Claims (4)

  1.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이 복합케이블의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의 배열과 동일하게 설계된 접점부;
    상기 복합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가 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상기 접점부가 소켓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소켓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고정되어있는 수나사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한 암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각 접점이 상기 소켓 커넥터의 각 접점과 1대1로 매칭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 밀착시키는 나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케이블은,
    상기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의 배열이 각 규격별로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동축케이블 또는 훅업와이어와 동일한 사이즈로 설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과 훅업와이어가 배치되지 않은 공극에 배치되는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1동축케이블 접점, 제 2동축케이블 접점, 제 1훅업와이어 접점 및 제 2훅업와이어 접점으로 구성하고 다수개의 제 1고주파 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에 동심원상에 배열되고, 제 2고주파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2동축케이블 접점, 제 1훅업와이어 접점, 제 2훅업와이어 접점으로 구성하고, 제 2동축케이블 접점은 정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접점과 훅업와이어 접점의 배열은,
    제 1동축케이블 접점, 제 2동축케이블 접점으로 구성하고, 다수개의 제 1고주파 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고주파특성을 위하여 최외곽층, 다수개의 제 2고주파신호용 동축케이블 접점은 중앙에 위치하게 접점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KR1020110135051A 2011-12-15 2011-12-15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KR101225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51A KR101225048B1 (ko) 2011-12-15 2011-12-15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51A KR101225048B1 (ko) 2011-12-15 2011-12-15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048B1 true KR101225048B1 (ko) 2013-01-22

Family

ID=4784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51A KR101225048B1 (ko) 2011-12-15 2011-12-15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7616A1 (zh) * 2015-02-13 2016-08-18 郑进宇 一种海运集装箱用工业插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862A (ko) * 1998-04-06 1999-11-25 앤드류 코포레이션 환형의 주름진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용 원피스 커넥터
KR200376324Y1 (ko) * 2004-11-15 2005-03-11 삼화기전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862A (ko) * 1998-04-06 1999-11-25 앤드류 코포레이션 환형의 주름진 외부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용 원피스 커넥터
KR200376324Y1 (ko) * 2004-11-15 2005-03-11 삼화기전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7616A1 (zh) * 2015-02-13 2016-08-18 郑进宇 一种海运集装箱用工业插头
US9899763B2 (en) 2015-02-13 2018-02-20 Yueqing Hengtong Electric Co.,Ltd Industrial plug used for marin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434B2 (en) Rotatable plug-type connector
CN103337740B (zh) 一种较大板间距的射频同轴连接器组件
US9559470B2 (en) Power extension wire
US9559441B2 (en) Connector arrangement
CN102437477B (zh) 一种可群插的高功率小型射频同轴连接器
US9466923B2 (en) Female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CN104022376B (zh) 多联双向浮动板载射频同轴连接器
CN103337733A (zh) 一种射频同轴连接器
US8821194B2 (en) Connector assembly
CN102509953B (zh) 一种电连接器组件及其插头和插座
US20150118897A1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US20140011384A1 (en) Power adaptor
KR101225048B1 (ko) 복합케이블용 원형 복합커넥터
CN107078407B (zh) 同轴线缆和连接器组件
US10840646B2 (en) Anti-misplug coaxial connector assembly
CN101986472B (zh) 插拔连接器及插头
US8784138B2 (en) Connector assembly
CN203166162U (zh) 一种集束连接器
CN104518352A (zh) 兼容板对板对接的插头及插座一体化式连接器
CN208433594U (zh) 高互调射频同轴连接器
CN103972690B (zh) 一种集束连接器
CN205724146U (zh) 一种高频转低频转接器
US20160365651A1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dielectric spacer that inhibits unwanted solder flow
CN205752721U (zh) 一种射频同轴电缆连接器
CN203166163U (zh) 一种集束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