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675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75B1
KR101224675B1 KR1020110046432A KR20110046432A KR101224675B1 KR 101224675 B1 KR101224675 B1 KR 101224675B1 KR 1020110046432 A KR1020110046432 A KR 1020110046432A KR 20110046432 A KR20110046432 A KR 20110046432A KR 101224675 B1 KR101224675 B1 KR 10122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hone
guard device
guard
smartphone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465A (ko
Inventor
강동준
Original Assignee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 통신을 위해 늘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경비주장치와 WIFI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시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출입문의 접근상태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를 자동 제어하며, 경비주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직접 경계모드 변환이나 기타 조작을 위해 가입자가 경비주장치로 움직이지 않아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입력,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매우 높고,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카드보다 스마트폰을 더 잘 소지하므로 출입시의 불편함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SURVEILLANCE SYSTEM INTEGRATED INTO THE MAIN SECURITY DEVICE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개인 통신을 위해 늘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경비주장치와 WIFI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시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출입문의 접근상태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를 자동 제어하며, 경비주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자통신 기술의 급진적 발전에 힘입어 최근에는 기계 경비분야에서도 이러한 전자통신 기술이 적용되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 예컨대 기계 경비기반 경비주장치는 유/무선망(PSTN, 전용회선, 이더넷, W/CDMA망 등)을 이용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그 경비주장치는 방범 기능의 설정과 해제가 주요기능이었으며, 출입통제 기능도 넓은 의미의 방범 기능의 설정과 해제에 해당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경비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경비시스템은 출입통제를 위한 인증수단과, 침입자의 침입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경비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경비 주장치(6)와; 다수의 경비 주장치(6)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태에서 그 경비 주장치(6)를 원격 제어하거나, 그 경비주장치(6)로부터 인가된 상태 정보를 통해 원격지에서 가입자 댁내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된 관제서버(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경비시스템의 인증수단으로는 통상적으로 RFID 태그(미도시)를 독취하는 카드리더기(2) 또는 기등록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리더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경비시스템에 포함된 경비 감지수단으로는 적외선이나 초음파, 접촉신호를 통해 동작하는 감지센서(4)가 사용된다.
하지만, 인증수단으로 지문리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우 고가이고, 카드리더기(2)를 통해 인증하는 경우에는 가입자가 출입문을 출입할 때 매번 RFID 태그가 내장된 카드를 소지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 통신을 위해 늘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경비주장치와 WIFI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시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출입문의 접근상태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를 자동 제어하며, 경비주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비주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며, 각 스마트폰 인증정보를 경비주장치에 미리 등록하여 접속승인과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출입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스마트폰과; 실내에 설치되어 가입자의 조작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는 퇴실버튼과; 상기 퇴실버튼의 조작이나 스마트폰의 인증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전기정과;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여, 현재 경비 설정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으로 가입자를 인증하여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경비주장치와; 상기 경비주장치와 유무선망으로 통신하며, 그 경비주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고 각 가입자 댁내의 경비관련 처리를 수행하는 관제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폰과 경비주장치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WIFI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비주장치는 그 내부에, 다수의 출입 인증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등록하고, WIFI 모뎀을 통해 인가된 스마트폰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폰 인증정보는 상기 경비주장치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폰의 MAC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폰은 경비주장치에 설정된 경계모드를 WIFI 존 내에서는 가입자의 버튼 조작으로 해제모드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비주장치는 출입인증을 위해 스마트폰이 감지되게 되면 다수의 출입문이 설치된 경우 스마트폰의 버튼 조작으로 어느 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비주장치는 스마트폰의 WIFI의 신호세기(RSSI)의 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설정범위 이내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해당 범위내에서만 출입문을 개방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직접 경계모드 변환이나 기타 조작을 위해 가입자가 경비주장치로 움직이지 않아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입력,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매우 높고,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카드보다 스마트폰을 더 잘 소지하므로 출입시의 불편함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경비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의 통신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통한 인증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의 통신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통한 인증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개인 통신을 위해 늘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경비주장치와 WIFI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시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출입문의 접근상태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를 자동 제어하며, 경비주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경비주장치(6)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며, 각 MAC 어드레스를 경비주장치(6)에 미리 등록하여 접속승인과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출입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스마트폰(20)과; 실내에 설치되어 가입자의 조작으로 출입문(18)이 개방되는 퇴실버튼(14)과; 상기 퇴실버튼(14)의 조작이나 스마트폰(20)의 인증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전기정(16)과; 상기 스마트폰(20)과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여, 현재 경비 설정상태를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20)으로 가입자를 인증하여 출입문(18) 개폐를 제어하는 경비주장치(6)와; 상기 경비주장치(6)와 유무선망으로 통신하며, 그 경비주장치(6)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고 각 가입자 댁내의 경비관련 처리를 수행하는 관제서버(도 1참조: 1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는 운영프로그램은 상기 경비주장치(6)의 내부에 구비하여 사용자 등록 및 삭제 및 조회를 위한 프로그램이고, 비단 상기 경비주장치(6) 이외의 원격지에 설치하여도 결국 상기 경비주장치(6)와 TCP/IP 통신을 통해 경비주장치(6)가 사용자 등록 및 삭제 및 조회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도록 해야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이루는 상기 스마트폰(20)과 경비주장치(6)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WIFI 통신이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경비주장치(6)는 그 내부에, 다수의 출입 인증자의 스마트폰(20) 정보를 등록하고, WIFI 모뎀을 통해 인가된 스마트폰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인증정보는 상기 경비주장치(6)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폰(20)의 MAC 어드레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폰(20)은 경비주장치(6)에 설정된 경계모드를 WIFI 존 내에서는 가입자의 버튼 조작으로 해제모드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서 상기 경비주장치(6)는 출입인증을 위해 어느 한 스마트폰(20)이 감지되게 되면 다수의 출입문이 존재하는 지를 우선 파악하여 다수 출입문 정보가 등록된 경우라면, 스마트폰(20)의 버튼 조작으로 어느 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비주장치(6)는 스마트폰(20)의 WIFI의 신호세기(RSSI)의 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20)의 설정범위 이내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해당 범위내에서만 출입문을 개방하게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경비주장치(6)에 등록된 가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20)에 대해서는 예컨대 1미터 이내로 출입문에 근접하게 되면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아도 상기 경비주장치(6)가 WIFI의 신호세기(RSSI)를 검출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먼저 경비주장치(6)가 스마트폰(20)의 WIFI 모뎀인 근거리 무선통신모뎀(22)을 통해 스마트폰 접속시도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폰이 접속을 시도한 경우에는 해당 스마트폰(20)의 MAC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기등록된 정보와 비교한다.
그로인해, 상기 경비주장치(6)가 비교한 해당 스마트폰(20)의 MAC 어드레스가 기등록된 스마트폰의 MAC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연동 기능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미등록된 스마트폰(20)인 경우에는 등록 처리를 수행한다. 등록처리는 일반적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연동 기능은 방범 설정상태 변경기능, 경비주장치(6)의 상태 진단기능, 출입문 개방기능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경비주장치(6)는 상기 스마트폰(2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방범확인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설정상태를 판단하고, 해당 스마트폰(20)으로 설정정보를 전송한다.
그로 인해, 가입자가 설정상태를 변경하고자 하여 스마트폰(20)의 버튼을 조작한 경우라면 설정 변경정보를 갱신한다. 즉, 경비주장치(6)로 가입자가 접근하지 않아도 현재 방범상태를 방범 해제상태로 변경하고자 할 때 간단하게 스마트폰(6)의 조작을 통해 경비주장치(6)에 방법상태 설정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비주장치(6)의 상태 진단 기능은 경비주장치(6)에 연결된 각종 부속장치 예컨대, 감지센서, 전원부, 관제통신부 등의 정보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하는 기능으로써, 예컨대 가입자가 스마트폰(20)을 소지한 상태에서 가입자 댁내 외부로부터 실내로 진입하고자 할 때 미리 경비상태를 체크해볼 수 있으므로 보안 성능이 강화된 기능이다.
한편, 상기 출입문 개방기능은 스마트폰(20)의 소지자의 접근으로 출입문이 자동 개방되는 기능이다.
예컨대, 상기 경비주장치(6)에 등록된 가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20)에 대해서는 예컨대 1미터 이내로 출입문에 근접하게 되면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아도 상기 경비주장치(6)가 WIFI의 신호세기(RSSI)를 검출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한다.
하지만, 이 기능도 세분화하면 경계 모드인지를 판단한 후, 경계모드가 아니면 본 기능을 구동하지 않고 실내로 진입하고 경계모드인 경우에는 해당 스마트폰(20)이 접근하는 출입문만 자동으로 개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직접 경계모드 변환이나 기타 조작을 위해 가입자가 경비주장치로 움직이지 않아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입력,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매우 높고,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카드보다 스마트폰을 더 잘 소지하므로 출입시의 불편함이 적다.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카드리더기, 4:감지센서,
6:경비주장치, 12:경비공간,
14:퇴실버튼, 16:전기정,
20:스마트폰, 22:근거리 무선통신 모뎀.

Claims (7)

  1. 경비주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며, 각 스마트폰 인증정보를 경비주장치에 미리 등록하여 접속승인과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고, 경비주장치로부터 현재의 경비 설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화면 출력하고, 경비주장치의 경비 설정상태(경계모드 또는 경계 해제모드)를 버튼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출입시 가입자 인증을 경비주장치가 수행할 수 있게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실내에 설치되어 가입자의 조작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는 퇴실버튼과;
    상기 퇴실버튼의 조작이나 스마트폰의 인증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전기정과;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으로 통신하여, 현재 경비 설정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가입자가 현재 경비설정상태를 인자할 수 있게 하며 스마트폰 정보를 통해 가입자를 인증하여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경비주장치와;
    상기 경비주장치와 유무선망으로 통신하며, 그 경비주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고 각 가입자 댁내의 경비관련 처리를 수행하는 관제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주장치는 그 내부에, 다수의 출입 인증자의 스마트폰 정보를 등록하고, WIFI 모뎀을 통해 인가된 스마트폰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인증정보는 상기 경비주장치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폰의 MAC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주장치는 출입인증을 위해 스마트폰이 감지되게 되면 다수의 출입문이 설치된 경우 스마트폰의 버튼 조작으로 어느 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주장치는 스마트폰의 WIFI의 신호세기(RSSI)의 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설정범위 이내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해당 범위내에서만 출입문을 개방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KR1020110046432A 2011-05-17 2011-05-17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KR10122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32A KR101224675B1 (ko) 2011-05-17 2011-05-17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32A KR101224675B1 (ko) 2011-05-17 2011-05-17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65A KR20120128465A (ko) 2012-11-27
KR101224675B1 true KR101224675B1 (ko) 2013-01-22

Family

ID=4751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32A KR101224675B1 (ko) 2011-05-17 2011-05-17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3624A (zh) * 2016-06-29 2016-08-31 陈智 基于wifi的智能安防系统布撤防系统及其方法
KR102054366B1 (ko) 2019-08-01 2019-12-11 박종철 무인 경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154B1 (ko) 2014-07-07 2016-05-19 최연석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60006126A (ko) 2015-08-31 2016-01-18 최연석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1959849B1 (ko) 2015-11-04 2019-03-19 최옥재 Sns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출입통제 및 출입정보 관리 및 통보 시스템
JP6629097B2 (ja) * 2016-02-24 2020-01-15 セコム株式会社 警備システム
KR101944753B1 (ko) 2017-11-06 2019-02-01 (주)와이파이브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KR102132090B1 (ko) * 2018-11-15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원 방범 기능을 포함하는 초소형 중계기 및 이의 방범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000A (ko) *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50034173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KR20070044191A (ko) *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9325A (ko) * 2009-04-30 2010-11-09 (주)라람인터랙티브 단말기 사용자의 본인확인을 강화한 보안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000A (ko) *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50034173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KR20070044191A (ko) *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9325A (ko) * 2009-04-30 2010-11-09 (주)라람인터랙티브 단말기 사용자의 본인확인을 강화한 보안 인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3624A (zh) * 2016-06-29 2016-08-31 陈智 基于wifi的智能安防系统布撤防系统及其方法
KR102054366B1 (ko) 2019-08-01 2019-12-11 박종철 무인 경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65A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7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KR102467468B1 (ko) 태그 인증과 결합된 생체 인식을 사용한 자동화된 물리적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KR101595413B1 (ko) 계층적 관리자 승인 구조형 ict 융합기술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8858B1 (ko) 생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구 제어방법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211661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577036B1 (ko) Ip 카메라 기반의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6311B1 (ko)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KR20070044191A (ko) Rfid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36581B1 (ko)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JP5574754B2 (ja) 出入管理装置および出入管理システム
KR101249940B1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7173890A (ja) 入退室管理装置及び入退室管理方法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2498B1 (ko) Nfc를 이용하는 도어 오픈 시스템 및 방법
KR102091322B1 (ko)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출입 관리 시스템
TWI642032B (zh) Access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