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48B1 -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048B1
KR101224048B1 KR1020060120892A KR20060120892A KR101224048B1 KR 101224048 B1 KR101224048 B1 KR 101224048B1 KR 1020060120892 A KR1020060120892 A KR 1020060120892A KR 20060120892 A KR20060120892 A KR 20060120892A KR 101224048 B1 KR101224048 B1 KR 10122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ther substrate
mother
substrates
se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083A (ko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0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2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dispersed on the cell substrate, e.g. spherical particles, micro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의 셀이 마련된 모기판을 안정적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제1실라인과, 복수의 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실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의 복수의 셀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을 상호 대향 접착시키는 단계와; 접착된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을 동시에 각 셀별로 절단하여 상호 부착된 한 쌍의 제1기판의 제1기판 조립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기판 조립체를 각각의 제1기판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모기판의 절단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이 최소화되며,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도 1 및 도2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영동표시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전기영동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20 : 전극 30 : 전원부
40 : 미소캡슐 50 : 사용자
60 : 제1모기판 70 : 셀
81 : 제1실라인 85 : 제2실라인
90 : 제2모기판 95 : 셀
100 : 전기영동표시장치 110a : 제1기판 조립체
110 : 제1기판 111 : 제1절연기판
113 : 화소전극 210 : 제2기판
211 : 제2절연기판 213 : 공통전극
310 : 표시층 311 : 격벽
313 : 미소캡슐 315R, 315G, 315B : 색필터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셀이 마련된 모기판을 안정적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CRT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indication display)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은 공통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합착되는 제2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기판은 평판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 기판, 양(Positive) 또는 음(Negative)으로 대전된 안료입자를 갖는 유전필름 또는 제1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층(layer)을 보호하는 보호기판일 수 있 다.
제1기판과 제2기판은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면적의 모기판(1)을 복수의 셀(2)로 구분하고, 각 셀(2)에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된 복수의 층(layer)을 형성한 후, 모기판(1)을 각 셀(2)별로 절단함으로써 완성한다. 이렇게 복수의 제1기판과 제2기판이 완성되면,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상호 부착시켜 표시패널을 제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기판(1)의 절단, 복수의 제1 및 제2기판 각각을 정렬 및 합착하여야 하는 등의 일련의 공정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공정 중에 각 층(layer)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기판이 제조될 제1모기판(1a)과 복수의 제2기판이 제조될 제2모기판(1b)을 상호 정렬 및 합착한 후, 한 쌍의 모기판(1a, 1b)을 한번에 각 셀(2a, 2b)별로 절단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분의 필름을 각 모기판에 합착한 후 절단하고, 여분의 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모기판(1a)의 각 셀(2a)과 제2모기판(1b)의 각 셀(2b)이 상호 대응되도록 정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제1모기판(1a)과 제2모기판(1b)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 제2모기판(1a, 1b)이 절단되는 정도 및 절삭방법이 서로 달라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절단 과정 중에 양 기판이 서로 분리되어 이물질이 각 층(layer)으로 유입되거나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한편, 여분의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은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 간의 재질 차이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판의 절단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제1실라인과, 복수의 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실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의 복수의 셀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을 상호 대향 접착시키는 단계와; 접착된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을 동시에 각 셀별로 절단하여 상호 부착된 한 쌍의 제1기판의 제1기판 조립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기판 조립체를 각각의 제1기판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제1모기판에 마련된 복수의 셀과 제2모기판에 마련된 복수의 셀은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며, 제1모기판에 마 련된 복수의 셀과 제2모기판에 마련된 복수의 셀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라인과 제2실라인은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 및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라인은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라인은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의 접착 전에,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어느 하나에 비드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모기판과 제2모기판의 접착 단계와 절단 단계 사이에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배면을 식각액으로 식각하여 절연기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리된 상기 제1기판과 미리 준비된 제2기판을 상호 대향 접착시켜 표시패널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은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된 백색서브하전입자 및 흑색서브하전입자를 갖는 표시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indication display)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다른 표시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기판의 절단방법은 컬러필터 기판 등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3을 참조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의 구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10, 2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10, 20) 중 어느 하나는 화소전극이 되고 다른 하나는 공통전극이 된다. 한 쌍의 전극(10, 20)은 전원부(30)가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전위차를 형성한다. 양 전극(10, 20) 사이에는 수많은 미소캡슐(40)이 개재되어 있으며, 미소캡슐(40) 내부에는 유체(41)와 유체(41)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하전입자(43a, 43b)가 마련되어 있다. 하전입자(43a, 43b)는 양성(positive) 또는 음성(negative)을 띠고 있으며 흑색과 백색 중 어느 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마주하는 두 전극(10, 2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10, 20) 양단에 전위차(+,-)를 형성하면 하전입자(43a, 43b)가 반대극성의 전극(10, 20)으로 상하 이동한다. 관찰자(50)는 외부에서 입사되어 하전입자(43a, 43b)에서 반사된 빛을 인식하게 된다. 하전입자(43a, 43b)가 관찰자에 가깝게 상부로 이동하면 관찰자는 하전입자(43a, 43b)의 색상을 강하게 인식하며, 하전입자(43a, 43b)가 하부로 이동하면 관찰자는 하전입자(43a, 43b)의 색상을 약하게 인식한다.
하전입자(43a, 43b)의 이동은 전기영동에 의한 것이데, 전기영동이란 표면 전하를 띈 입자들이 전기장 속에서 반대의 전하를 띈 전극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전기영동은 전자기적 현상이 아닌 콜로이드 과학(colloidal science)과 유체 역학(fluid mechanics)의 관점으로 해석해야 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4는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서로 대향하는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그리고 양 기판(110, 210) 사이에는 표시층(310)이 위치한다.
제1기판(110)에는 제1절연기판(111) 상에 게이트선(미도시), 데이터선(미도시) 및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 및 박막트랜지스터(T)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113)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은 표시패널에 사용되는 공지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이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는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폴리 실리콘(poly Si) 또는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박막트랜지스터(O-TFT)일 수 있다.
제2기판(210)은 제2절연기판(211) 상에 공통전극(213)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전극(213)은 화소전극(113)과 같이 통상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공통전극(213)은 제2절연기판(211)에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전극(113)과 함께 양성 또는 음성을 띤 하전입자(317)를 구동하기 위한 전계를 형성한다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에는 표시층(310)이 위치하며, 표시층(310)은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3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311) 사이에는 복수의 미소캡슐(313)이 분산되어 있는 색필터(315R, 315G, 315B)가 위치하고 있다. 미소캡슐(313) 내부에는 각각 검은색과 흰색을 띠고 있으며 양성(positive) 또는 음성(negative)으로 대전된 하전입자(317) 및 하전입자(317)가 분산되어 있는 유체(319)를 포함한다.
유체(319)에 분산되어 있는 하전입자(317)는 백색서브입자(317a)와 흑색서브입자(317b)를 포함한다. 백색서브입자(317a)와 흑색서브입자(317b)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한다. 백색서브입자(317a)는 산화 티타늄(TiO2) 또는 실리카(Si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흑색서브입자(317b)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으로 만들어지거나 티타늄(TiO2) 또는 실리카(SiO2)에 흑색 안료를 착색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하전입자(317)는 화소전극(113)과 공통전극(213)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상하운동하며 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백색서브입자(317a)가 상부로, 흑색서브입자(317b)가 하부로 이동하면 백색을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백색서브입자(317a)가 하부로, 흑색서브입자(317b)가 상부로 이동하면 흑색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색필터(315R, 315G, 315B)에 상술한 하전입자(317)를 갖는 미소캡슐(313)을 분산하여 사용하면 각 색상(R, G, B)의 명도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에 형성하는 박막트랜지스터(T) 등은 저온에서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저온에서 형성하기 위하여는 많은 비용이 든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제1절연기판(111)은 투명한 유리기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제2기판(210)에는 제1기판(110)과 달리 공통전극(213)과 같은 몇몇의 층(layer)만이 제2절연기판(211)의 전면 또는 일영역에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판(210)과 달리 저온에서 복수의 층(layer)을 형성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그래서, 제2절연기판(211)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제2절연기판(211)을 플라스틱으로 만들 경우 전기영동표시장치(100)를 가볍고 얇으며 또한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제조할 수 있다. 플라스틱 종류로는 폴리카본(polycarbon), 폴리 이미드(polyimide), 폴리이서설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기판(110, 도4참조)이 제조될 제1모기판(60)을 복수의 셀(70)로 구분한 후, 각 셀(70) 상에 데이터선(미도시), 게이트선(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화소전극(미도시) 등을 형성한다. 각 셀(70)은 차후에 절단되어 제1기판(110, 도4참조)이 된다. 각 셀(70)별로 절단하기 전에, 제1모기판(60)의 각 셀(70) 상에 격벽(311, 도4참조)을 형성하고, 격벽(311, 도4참조) 사이에 미소캡슐(313, 도4참조)이 분산된 색필터(315R, 315G, 315B, 도4참조)를 주입한다.
그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기판(60)의 가장지리에 제1실라인(81)과 복수의 셀(7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제2실라인(8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실라인(81)은 제1모기판(60)의 가장지리를 따라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실라인(85)은 각 셀(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라인(81)은 제1모기판(60)의 가장자리에 불연속적으로도 형성될 수 있고, 제2실라인(85)는 각 셀(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 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라인(81)과 제2실라인(85)은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모기판(60)의 제작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제1모기판(60)과 동일한 재질의 제2모기판(90, 도6참조)을 복수의 셀(95)로 구분하고, 각 셀(95)에 상기 제1모기판(60)과 동일한 방법으로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형성한다. 즉, 제1모기판(60)과 제2모기판(90)은 동일한 종류의 기판이다.
제1모기판(60)에 제1실라인(81)과 제2실라인(85)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2모기판(90)에 제1실라인(81)과 제2실라인(85)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나, 제1 및 제2모기판(60, 90)의 합착시 양 모기판(60, 90) 사이의 갭(gap)을 더 크게 하기 위하여 또는 양 모기판(60, 90) 사이의 합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모기판(90) 상에도 필요에 따라 제1실라인(81)과 제2실라인(8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종류의 제1 및 제2모기판(60, 90)이 완성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모기판(60, 90)의 복수의 셀(70, 95)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 모기판(60)과 제2모기판(90)을 상호 대향 정렬시킨다. 이 때, 제1모기판(60)과 제2모기판(90)은 동일한 종류이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각 셀(70, 95)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확히 정렬하는 것이 용이하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 모기판(60, 90)의 정렬 전에 제1모기판(60) 또는 제2모기판(90)에 비드스페이서(bead spacer, 미도시)를 산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드스페이서는 볼(ball) 형상으로 양 모기판(60, 90) 사이에 위치하여 양 모기판(60, 90)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스페이서에 의하여 양 모기판(60, 90)은 일정한 갭을 유지하게 되므로, 양 모기판(60, 90)의 부착시 각 셀(70, 95)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할 수 있다.
양 모기판(60, 90)이 정밀하게 정렬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모기판(60, 90)을 상호 부착시킨다. 그 후, 제1 및 제2실라인(81, 85)이 형성된 영역에 열 또는 빛을 조사하여 제1 및 제2실라인(81, 85)을 경화시켜 양 모기판(60, 90)의 합착력을 증가시킨다.
그 후,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 모기판(60, 90)의 배면을 식각액으로 식각하여 제1 및 제2절연기판(111, 211, 도4참조)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양 모기판(60, 90)의 배면을 식각하는 방법에는 HF와 같은 식각액에 합착된 모기판(60, 90)의 배면을 일정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표시장치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한편, 침지되는 과정에서 식각액이 양 모기판(60, 9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우려할 수 있으나, 배면식각은 제1 및 제2절연기판(111, 211, 도4참조)만이 침지되도록 제어하고, 양 모기판(60, 90)의 가 장자리를 따라 제1실라인(8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각액으로 인한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배면을 식각하는 다른 방법에는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1 및 제2절연기판(111, 211, 도4참조)의 배면을 깎아낼 수도 있다.
다음, 합착된 모기판(60, 90)을 깨끗이 씻은 후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70, 95) 별로 합착된 모기판(60, 90)을 절단한다. 절단 방법에는 톱과 같은 절삭기구(400)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각 셀(70, 95) 별로 합착된 모기판(60, 90)이 절단되더라도, 각각의 제1기판 조립체(110a)들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는 각각의 제1기판 조립체(110a)의 측면에 제2실라인(8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2실라인(85)에 의하여 절단 공정 중 또는 그 후에 양 모기판(60, 9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양 모기판(60, 90)의 절단 공정에서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정렬에 의한 절단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양 모기판(60, 90)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절단공정에서 양 모기판(60, 9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양 모기판(60, 90)은 동일한 종류의 것이므로 양 모기판(60, 90)의 절단정도 및 절단방법이 동일하여 절단공정이 용이하며, 양 모기판(60, 90)을 동시에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 후, 제1기판 조립체(110a)를 분리하여 복수의 제1기판(110)을 완성한다. 여기서, 제1기판 조립체(110a)에는 적은 량의 제2실라인(85)만이 형성되어 있으므 로, 제1기판 조립체(110a)를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제2기판(110, 도4참조)이 완성되면, 미리 준비된 제2기판(210, 도4참조)을 제1기판(110, 도4참조)에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영동표시장치(100)를 완성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모기판(60)에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형성한 후에 각 셀(70) 별로 격벽(311, 도4참조), 미소캡슐(313, 도4참조)이 분산된 색필터(315R, 315G, 315B, 도4참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기판 조립체(110a)로부터 제1기판(110, 도4참조)을 분리한 후에, 각각의 제1기판(110, 도4참조) 상에 격벽(311, 도4참조), 미소캡슐(313, 도4참조)이 분산된 색필터(315R, 315G, 315B, 도4참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셀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모기판이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셀 사이의 간격이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르는 모기판 절단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의 셀 중에서 적어도 어느 두 라인에 해당하는 셀들이 서로 붙어있도록 디자인된 경우, 제2실라인을 셀의 가장자리에 얇게 도포하고 두개의 모기판을 상호 접착시킨 후 절단할 수 있다. 모기판의 셀들이 서로 붙어있도록 디자인 된 경우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기판을 절단하는 횟수가 감소되어 공정효율이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기판의 절단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이 최소화되며,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0)

  1.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모기판 및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제1실라인과, 상기 복수의 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실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의 복수의 셀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을 상호 대향 접착시키는 단계와;
    상호 접착된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을 동시에 각 셀별로 절단하여 상호 부착된 한 쌍의 제1기판의 제1기판 조립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 조립체를 각각의 제1기판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기판에 마련된 복수의 셀과 상기 제2모기판에 마련된 복수의 셀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기판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셀과 상기 제2모기판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셀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라인과 상기 제2실라인은 디스펜싱(dispensing) 방법 및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라인은 상기 제1모기판 및 상기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라인은 상기 제1모기판 및 상기 제2모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의 접착 전에, 상기 제1모기판 및 상기 제 2모기판 중 어느 하나에 비드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의 접착 단계와 절단 단계 사이에 상기 제1모기판과 상기 제2모기판의 배면을 식각액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1, 제2모기판 각각을 구성하는 제1, 제2절연기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제1기판과 미리 준비된 제2기판을 상호 대향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된 백색서브하전입자 및 흑색서브하전입자를 갖는 표시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120892A 2006-12-01 2006-12-01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22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92A KR101224048B1 (ko) 2006-12-01 2006-12-01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92A KR101224048B1 (ko) 2006-12-01 2006-12-01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83A KR20080050083A (ko) 2008-06-05
KR101224048B1 true KR101224048B1 (ko) 2013-01-18

Family

ID=3980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892A KR101224048B1 (ko) 2006-12-01 2006-12-01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40B1 (ko) * 2015-09-24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15A (ko) * 2001-07-14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인라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90048B1 (ko) * 2001-06-19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인라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54917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048B1 (ko) * 2001-06-19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인라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0006715A (ko) * 2001-07-14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인라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54917A (ko) * 2005-11-2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83A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N104583853B (zh) 用于生产电光显示器的工艺
US20160349589A1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881075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266741B2 (ja) 表示装置
KR101247680B1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963897B2 (en) Display device with pixels of differing display typ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749872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and spacing layer
US20130162511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Garner et al.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lexible glass substrates
CN102289109A (zh) 显示面板
KR101224048B1 (ko)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879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34569A1 (ja) 表示装置
KR1018595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79573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9086153A (ja) 帯電粒子移動型表示パネル、帯電粒子移動型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帯電粒子移動型表示装置
KR101085570B1 (ko)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87079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363341B1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00309111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CN102402080A (zh) 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
JP2014182257A (ja) 反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0815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