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687B1 - 접속반의 구조 - Google Patents

접속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687B1
KR101223687B1 KR1020110050089A KR20110050089A KR101223687B1 KR 101223687 B1 KR101223687 B1 KR 101223687B1 KR 1020110050089 A KR1020110050089 A KR 1020110050089A KR 20110050089 A KR20110050089 A KR 20110050089A KR 101223687 B1 KR101223687 B1 KR 10122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input
main body
conn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722A (ko
Inventor
최귀동
Original Assignee
파워포인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포인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워포인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6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05K7/20163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isolated from air flow, e.g. hollow heat sinks, wind tunnels or fu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전력출력유니트를 갖는 상부단위실과, 상기 상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갖는 중부단위실과, 상기 중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유니틀 갖는 하부단위실로 구성된 배전함으로 구성하여 접속반에 전력입력을 하부로 입력하여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통해 상부로 출력하도록하여 접속반내에서 손실되는 전력손실량을 최소화하고, 접속반내에서 전력의 전달 및 제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전함의 상,중,하부에 설치된 환기부로 배출하며, 중부단위실의 배면에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방열판을 갖는 돌출단위실을 더 설치하여서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손쉽게 배출하도록 한 접속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반의 구조{Structure of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접속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전력출력유니트를 갖는 상부단위실과, 상기 상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갖는 중부단위실과, 상기 중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유니트를 갖는 하부단위실로 구성된 접속반으로 구성하여 접속반에 전력입력을 하부로 입력하여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통해 상부로 출력하도록하여 접속반내에서 손실되는 전력손실량을 최소화하고, 접속반내에서 전력의 전달 및 제어에서 발생되는 열을 좁속반의 상,중,하부에 설치된 환기부로 배출하며, 중부단위실의 배면에 주열발생원인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방열판을 갖는 돌출단위실을 더 설치하여서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는 열발생을 최소화하고 배면과 접속반 내부를 격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면서 열이 손쉽게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은 빌딩,공장 등과 같이 사용전력이 많은 경우에 전력회사와의 사이에 보완상의 책임분계점을 설정하고, 책임분계점 이후의 전기설비는 수용가 자신이 접속반인 자가용 전기설비를 하여서 전기보안담당자를 선임 또는 대행해서 보완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접속반은 수(배전)접속반이라고도 호칭되며 본 발명에서는 수(배전)접속반도 포함되는 용어로 사용되며 전동기제어반, 분전반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는 기술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접속반인 자가용 전기설비는 빌딩이나 공장등의 용도, 업종, 규모, 입지조건, 중요도 등에 따라서 주회로의 구성 등이 달라질 뿐아니라, 용량 또한 수백 킬로와트에서 수만킬로와트에 이르는 다양하게 사용되므로, 모든 경우에 적합한 표준적인 설비를 생각 하기란 전력공급용의 경우와 달라 곤란한 점이 많았다.
일반적으로, 접속반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등에서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각종 스위치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器機)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보호를 행하는 기기이며, 계기와 계전기 및 개폐장치 등의 기구류와 이를 부착하는 지지물, 그리고 기구 간을 접속하는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이러한 접속반 내에는 22.9kV와 7.2kV이하 고압이 흐르는 전선과 기기들로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각간에서부터 오는 부하등의 고장에 대하여 접속반 외부에서 항상 확인과 함께 즉시 제어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속반은 전력의 입력을 상부에서 입력하여 전력을 승하강시키나, 전력을 통전시키는 제어부를 거쳐 하부로 전력을 출력하는 구조로서, 전력을 상부에서 하부로 통전되는 구조는 전력을 통전시 전력의 소모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반은 전력을 입력하여 제어하여 출력시 발생되는 많은 열을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므로 상기 전력의 통전에 방해 또는 전력의 통전시 전력의 소모를 많이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속반이 실외설치시 태양로 인해 접속반의 내부에 열을 전달하여 접속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합류하여 접속함을 구성하는 전력입출부 및 제어부를 손상시켜 접속반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전력출력유니트를 갖는 상부단위실과, 상기 상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갖는 중부단위실과, 상기 중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유니트를 갖는 하부단위실로 구성된 좁속반으로 구성하여 접속반에 전력입력을 하부로 입력하여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통해 상부로 출력하도록하여 접속반내에서 손실되는 전력손실량을 최소화하고, 접속반내에서 전력의 전달 및 제어에서 발생되는 열을 좁속반의 상,중,하부에 설치된 환기부로 배출하며, 중부단위실의 배면에 주열발생원인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방열판을 갖는 돌출단위실을 더 설치하여서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는 열발생을 최소화하고 배면과 접속반 내부를 격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면서 열이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에 회동되고 투시창이 설치된 도어를 갖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전력입력단자가 다수개로 설치된 전력입력유니트가 설치되는 하부단위실과; 상기 하부단위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유니트에서 입력되는 전력의 입력을 개폐제어하고, 불규칙 하게 입력된 전압 전류를 제어하며, 입력된 전력을 자동개폐를 제어하고, 입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입력제어유니트가 설치되는 중부단위실과; 상기 중부단위실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출력단자가 설치된 전력출력유니트가 설치되는 상부단위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열전달을 최소하기 위하여 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다수개의 환기공으로 형성된 환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도어의 상부쪽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부의 내부에는 진공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에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방지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상기 열배출부와, 상기 온도컨트롤러는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중부단위실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단위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배출부는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단위실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환기공으로 형성된 환기부(52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입력단자는 전력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되는 접지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삽입공의 둘레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단자가 상기 접지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상기 분할부의 내측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단자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할부의 외측둘레에 밴드를 감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는 탄성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입단자들은 상기 전력입력유니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쏠라셀을 갖는 반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단위실상에 공간부 또는 진공공간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환기공을 갖는 환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배출부의 내측에는 절연판(33b)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전력출력유니트를 갖는 상부단위실과, 상기 상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갖는 중부단위실과, 상기 중부단위실의 하부에 전력입력유니틀 갖는 하부단위실로 구성된 접속반으로 구성하여 접속반에 전력입력을 하부로 입력하여 전력입력제어유니트를 통해 상부로 출력하도록 하여 접속반내에서 손실되는 전력손실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반내에서 전력의 전달 및 제어에서 발생되는 열을 좁속반의 상,중,하부에 설치된 환기부로 배출하며, 중부단위실의 배면에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방열판을 갖는 돌출단위실을 더 설치하여서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는 열발생을 최소화하고 배면과 접속반 내부를 격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면서 열이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여 접속반내의 전력의 손실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의 상부에 진공부를 갖는 커버부재 또는 반사판 설치하여 실외에 접속반을 설치할때 태양의 열로부터 접속반의 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의 상부단위실의 상부에 공간부 또는 진공부를 형성하여 접속반에 실외에 설치시 태양의 열로부터 접속반의 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단자 접지삽입공을 다수개의 분할부로 구성하여 전력케이블의 단자가 접지삽입공에 삽입시 상기 접지삽입공의 다수개의 분할부들의 내측둘레가 상기 단자의 외측둘레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분할부들의 외측둘레에 탄성밴드로 감아 구성하여 상기 단자가 상기 접지삽입공에 삽입되어 전력을 공급할때 발생되는 열과 입력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커버부재에 형성된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단위실에 형성된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삽입공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삽입공에 전력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커버부재에 형성된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단위실에 형성된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 환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삽입공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삽입공에 전력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반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반의 구조는 본체(10)와, 하부단위실(20)과, 중부단위실(30)과, 상부단위실(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로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11)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2)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13)에 회동되고 투시창(14)이 설치된 도어(1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배기공부(16)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기공부(16)는 상기 본체(10)내에서 전력통전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50)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50)의 하부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환기공(51)으로 형성된 환기부(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환기부(52)는 매쉬/ 타공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부(52)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도어(15)의 상부쪽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환기부(52)의 상기 환기공(51)들은 상기 본체(10)내에서 전력통전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50)의 내부에는 진공부(5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진공부(53)가 설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접속반의 상기 본체(10)가 외부설치시 태양의 열로 인해 상기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부에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에서 발생되는 열이외 더 추가적인 열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에서 통전되는 전력이 열에 의해 전력손실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환기공(51b)을 갖는 환기부(52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환기부(52a)는 매쉬/ 타공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부(52a)의 상기 환기공(51a)들은 상기 본체(10)내에서 통전되는 전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쏠라셀(61)을 갖는 반사판(60)이 설치되는 것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반사판(60)은 본 발명의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에 태양열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에 태양열 등에 의한 외부 열전달로 도선에 온도상승이 되며 이로 인하여 도선에 저항이 증가되어 전력의 손실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쏠라셀(61)은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내에 축전지(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상기 접속반내에 필요한 전력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단위실(40)상에 공간부(70a) 또는 진공공간부(70b)가 더 설치되는 것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간부(70a) 및 상기 진공공간부(70b)로 인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태양열이 가해질때 상기 공간부(70a) 및 상기 진공공간부(70b)로 인해 상기 본체(10)에 태양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10)내의 열을 부가적으로 발생하는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10)내에서 통전되는 전력이 열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단위실(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단위실(20)은 상기 공간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단위실(20)은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전력입력단자(21)가 다수개로 설치된 전력입력유니트(2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력입력단자(21)는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가 삽입되는 접지삽입공(2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지삽입공(21a)의 둘레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1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분할부(21b)들은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가 접촉시 접지부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가 상기 접지삽입공(21a)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상기 분할부(21b)의 내측면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할부(21b)의 외측둘레에 밴드(21c)를 감아 설치한다.
상기 밴드(21c)는 탄성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밴드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상기 분할부(21b)가 상기 단자(101)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력입력단자(21)는 상기 전력입력유니트(22)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전력입력단자(21)가 상기 전력입력유니트(22)에 설치되는 것은 상기 전력입력단자(21)에 접속된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상기 단자(101)가 삽입되어 전력이 통전시 상기 전력입력단자(21)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본체(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본체(10)내에서 상기 전력입력단자(21)로 인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본체(10)내에서 통전되는 전력의 소모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부단위실(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부단위실(30)은 상기 하부단위실(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부단위실(30)의 배면에는 열 발생의 주요인이 되는 역전류방지다이오드와 방열판을 갖는 돌출단위실(30a)을 더 설치하여서 접속반내에서 발생되는 열발생을 최소화하고 배면과 접속반 내부를 격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면서 열이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여 접속반내의 전력의 손실량을 최소화 하였다.
상기 중부단위실(30)은 상기 전력입력유니트(22)에서 입력되는 전력의 입력을 개폐제어하고, 입력된 전력을 승,하강 변압을 제어하며, 입력된 전력을 자동개폐를 제어하고, 입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전력차단은 전력차단기(미도시)로 하며,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내에서 전력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기(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는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 유입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방지다이오드(3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부(3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열배출부(33)는 방열판(33a)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판(33a)은 상기 열배출부(33)의 외측에 다수개로 횡렬로 구성된 횡렬부와, 상기 횡렬부가 다수개의 종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판(33a)은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열배출부(33)의 내측에는 절연판(33b)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연판(33b)은 상기 본체(10)내에서 통전되는 전력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역전류방지다이오드(32)와 상기 열배출부(33)와, 상기 전력입력전제어유니트(31)가 설치된 상기 중부단위실(30)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단위실(30a)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돌출단위실(30a)이상기 중부단위실(30)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본체(10)내로 열을 유입하는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출단위실(30a)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환기공(51a)으로 형성된 환기부(52a)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환기부(52b)는 매쉬/타공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부(52a)의 상기 환기공(51a)들은 상기 방열판(33a)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위실(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단위실(40)은 상기 중부단위실(3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위실(40)은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출력단자(41)가 설치된 전력출력유니트(4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력출력단자(41)는 외부에서 필요로 하는 동력원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기 전력출력유니트(42)를 갖는 상기 상부단위실(40)과, 상기 상부단위실(40)의 하부에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를 갖는 상기 중부단위실(30)과, 상기 중부단위실(30)의 하부에 상기 전력입력유니(22)틀 갖는 상기 하부단위실(2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접속반으로 구성하여 접속반에 전력입력을 하부로 입력하여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를 통해 상부로 출력하도록하여 본 발명의 접속반의 상기 본체(10)내에서 손실되는 전력손실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개구부
13 : 힌지 14 : 투시창 15 : 도어
20 : 하부단위실 21 : 전력입력단자 22 : 전럭입력유니트
30 : 중부단위실 30a : 돌출단위실 31 : 전력입력제어유니트
32 : 역전류방지다이오드 33 : 열배출부 33a : 방열판
33b : 절연판 40 : 상부단위실
42 : 전력출력유니트 50 : 커버부재
51,51a,51b : 환기공 52,52a,52b : 환기부 53 : 진공부
60 ; 반사판 61 : 쏠라셀 70a : 공간부
70b : 진공공간부 100 : 전력케이블 101 : 단자

Claims (13)

  1.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와, 상기 공간부(11)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2)와, 상기 개구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일측에 설치되어 힌지(13)에 회동되고 투시창(14)이 설치된 도어(15)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공간부(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전력입력단자(21)가 다수개로 설치된 전력입력유니트(22)가 설치되는 하부단위실(20)과;
    상기 하부단위실(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유니트(22)에서 입력되는 전력의 입력을 개폐제어하고, 입력된 전력을 승,하강 변압을 제어하며, 입력된 전력을 자동개폐를 제어하고, 입력된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가 설치되는 중부단위실(30)과; 상기 중부단위실(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출력단자(41)가 다수개로 설치된 전력출력유니트(42)가 설치되는 상부단위실(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50)와, 상기 상부커버(50)의 하부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는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50)의 하부에 다수개의 환기공(51)으로 형성된 환기부(52)가 형성되며, 상기 환기부(52)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도어(15)의 상부쪽 외측으로 돌출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50)의 내부에는 진공부(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방지다이오드(32)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열배출부(33)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컨트롤러(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방지다이오드(32)와 상기 열배출부(33)와, 상기는 상기 전력입력제어유니트(31)가 설치된 상기 중부단위실(30)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단위실(30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배출부(33)는 방열판(33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위실(30a)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환기공(51a)으로 형성된 환기부(52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입력단자(21)는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가 삽입되는 접지삽입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삽입공(21a)의 둘레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1b)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가 상기 접지삽입공(21a)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상기 분할부(21b)의 내측면이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단자(101)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할부(21b)의 외측둘레에 밴드(21c)를 감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1c)는 탄성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쏠라셀(61)을 갖는 반사판(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위실(40)상에 공간부(70a) 또는 진공공간부(70b)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환기공(51b)을 갖는 환기부(5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배출부(33)의 내측에는 절연판(33b)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반의 구조.
KR1020110050089A 2011-05-26 2011-05-26 접속반의 구조 KR10122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89A KR101223687B1 (ko) 2011-05-26 2011-05-26 접속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89A KR101223687B1 (ko) 2011-05-26 2011-05-26 접속반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22A KR20120131722A (ko) 2012-12-05
KR101223687B1 true KR101223687B1 (ko) 2013-01-22

Family

ID=4751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089A KR101223687B1 (ko) 2011-05-26 2011-05-26 접속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2032A (zh) * 2013-10-13 2014-01-22 昆山顺康达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配电箱
CN104716590A (zh) * 2013-12-17 2015-06-17 魏玉斌 一种防水配电箱
CN106058684A (zh) * 2016-07-18 2016-10-26 安徽状元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散热式电力柜
CN107968322A (zh) * 2017-12-06 2018-04-27 江苏艮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易散热的智能化开关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9636B (zh) * 2014-10-21 2016-07-06 苏州承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配电柜的保护顶罩
CN105932572A (zh) * 2016-07-06 2016-09-07 张家港富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户外电力配电柜
CN111182760B (zh) * 2020-01-03 2021-01-12 江苏睿之铖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透风散热型电子通讯箱
KR102137233B1 (ko) * 2020-03-24 2020-07-2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공동주택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기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722A (ja) 2001-10-30 2003-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
KR200414669Y1 (ko) 2006-02-10 2006-04-21 주식회사 베스텍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KR100857439B1 (ko) 2008-02-29 2008-09-08 한빛전기감리(주) 수변전 장치
JP2009520455A (ja) 2005-12-20 2009-05-21 ブラッドレー・リートン・ロス 個別に絶縁可能な複数の機能ゾーンを有する配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722A (ja) 2001-10-30 2003-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
JP2009520455A (ja) 2005-12-20 2009-05-21 ブラッドレー・リートン・ロス 個別に絶縁可能な複数の機能ゾーンを有する配電システム
KR200414669Y1 (ko) 2006-02-10 2006-04-21 주식회사 베스텍 단위격실 유니트로 구성된 수배전반
KR100857439B1 (ko) 2008-02-29 2008-09-08 한빛전기감리(주) 수변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2032A (zh) * 2013-10-13 2014-01-22 昆山顺康达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配电箱
CN104716590A (zh) * 2013-12-17 2015-06-17 魏玉斌 一种防水配电箱
CN106058684A (zh) * 2016-07-18 2016-10-26 安徽状元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散热式电力柜
CN107968322A (zh) * 2017-12-06 2018-04-27 江苏艮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易散热的智能化开关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22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7B1 (ko) 접속반의 구조
US8341837B2 (en) Modular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system
US20100300508A1 (en) Photovoltaic system
JP3189106U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8737076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form factor
JP2011015501A (ja) 配電システム
US20170214225A1 (en) Interconnect and metering for renewables, storage and additional loads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disconnect capability for increased functionality
US20140183977A1 (en) Plug and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Apparatus
WO2014112135A1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CN204696516U (zh) 一种智能型低压环网柜
CN105914588A (zh) 一种多断路器配电柜或配电箱
CN106992433A (zh) 用于使用成型组件使电力导体绝缘的系统
KR101266963B1 (ko)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Hirose DC power demonstrations in Japan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JP6182562B2 (ja) 集合住宅用電力供給システム
CN205104446U (zh) 一种断路器安装座
CN206349682U (zh) 一种固体环网柜
KR200411502Y1 (ko) 기중 인출형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CN219980172U (zh) 一种应用于箱式变电站的控制系统
CN217444879U (zh) 一种分布式配网终端二次箱
CN218648782U (zh) 一种光伏关断器
CN210640552U (zh) 变电站视频与环境监控系统集中控制箱
JP6106388B2 (ja) 屋外スイッチギヤ
CN206878547U (zh) 应急供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