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59B1 -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 Google Patents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3459B1 KR101223459B1 KR1020100083308A KR20100083308A KR101223459B1 KR 101223459 B1 KR101223459 B1 KR 101223459B1 KR 1020100083308 A KR1020100083308 A KR 1020100083308A KR 20100083308 A KR20100083308 A KR 20100083308A KR 101223459 B1 KR101223459 B1 KR 101223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ipitation
- heating
- pad
- container
- sn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47—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where sensing or heating elements are not disturbing the fluid flow, e.g. elements mounted outside the flow du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수량계용 가열장치, 집수용기 및 위 가열장치를 이용한 강수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는 눈 또는 비를 집수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집수용기를 구비하여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계의 집수용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집수용기로 낙하된 비 또는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수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패드를 구비하며, 히팅패드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상기 집수용기에 부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악지형에서 산사태 등 자연재해를 예방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강수량계,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및 강수량계용 집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산지나 흙으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강우가 내릴 경우 표토층에서는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와 물이 사면의 낮은 곳으로 경사방향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로 인해 사면 상부 또는 중부는 토층의 침식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는 상부로부터 이동된 토사가 퇴적된다.
이와 같은 토층의 침식 및 퇴적은 자연적인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 되고, 침식이 심한 경우는 산사태 또는 사면붕괴로 전이되기도 한다. 또한 경사지로부터 유실된 토사는 소하천 등을 만날 경우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일부는 하천 저부에 퇴적되어 하상고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상고의 증가는 궁극적으로는 하천의 통수단면을 감소시켜 홍수의 잠재적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토사가 이동되는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는 강우 및 강설이다. 이에 토사의 이동량과 강우량 또는 강수량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산사태 우려가 있는 지역이나 자연산지에 강수량계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기상청의 정보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할 수도 있지만 고도가 높은 산지의 경우 고도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매우 크므로 산지에 직접 강수량계를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강수량계는 크게 무게측정방식과 티핑버켓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티핑버켓(tipping bucket)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1은 종래의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에서 커버를 벗긴 상태의 실제 사진이며, 도 2는 종래의 티핑커벳 방식의 강수량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 외부의 원통형 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커버 내부에는 눈이나 비가 수집되는 깔대기 모양의 집수구(1)와, 집수구(1)에서 낙하되는 물을 좌우 정량부에 의해 교대로 담아 회전축을 지점으로 좌우 시이소 작동하는 버킷(2)을 구비한다. 또한 버킷(2)의 좌우 회전에 의해 좌우 정량부에서 낙하되는 물을 받아 하부로 배출하는 배수통(4) 및 버킷(2)이 좌우 시이소 작동하는 횟수를 자석체와 리드스위치에 의해 검출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는 센서부(3)가 마련된다.
상기한 구성의 강수량계에서 비,눈 등이 집수구(1)로 유입되면 버킷(2)의 좌우 정량부로 가이드 된다. 버킷(2)의 좌우 정량부는 비, 눈 등이 일정량 낙하되면 좌우로 회전하면서 배수통(4)으로 배수하게 되는데, 버킷(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자석체가 좌우 회전하면서 리드스위치에 의해 횟수를 검출하여 버킷 정량부에 의해 집수된 강우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강수량계는 영상의 온도에서는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지만 영하의 온도에서는 강수량 측정이 용이하지 않다. 즉, 영하의 온도에서는 눈이 깔대기 형상의 집수구에 쌓인 상태로 얼어 버리고, 비도 집수구의 내주면에서 얼기 때문에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부 강수량계에서는 집수구의 내부에 히터를 매설하는 경우도 있지만, 집수구 내부에 히터를 매설하는 것이 제조상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하의 온도에서도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며, 매우 경제적이며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강수량계와, 이 강수량계에 사용되는 집수용기 및 발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장치는 눈 또는 비를 집수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집수용기를 구비하여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계의 집수용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수용기로 낙하된 비 또는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수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팅패드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상기 집수용기에 부착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드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서, 상기 히팅패드의 2장의 패드부재 중 상기 집수용기로 집수된 눈 또는 비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패드부재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패드부재에 비하여 열전도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히팅패드의 2장의 패드부재 중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패드부재는 알루미늄 소재이며, 나머지 패드부재는 비닐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열선은 상기 패드부재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패드부재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구부러져 상기 패드부재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수용기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이며, 상기 히팅패드도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용기에 복수 개 결합되며, 상기 각 히팅패드에 설치된 전열선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히팅패드는 상기 집수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집수용기에는 제1벨크로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히팅패드에는 제2벨크로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제1벨크로부재와 제2벨크로부재 사이에 탈부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수용기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중공형의 집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히팅패드에 설치된 전열선은 상기 집수관까지 연장되어 상기 집수관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발열장치와, 이 발열장치가 구비된 집수용기 및 상기한 구성의 발열장치와 집수용기가 구비되어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가 구비된 강수량계에서는 겨울철에도 집수용기 내의 결빙을 방지하여 온도에 상관없이 신뢰성있는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는 기존의 강수량계의 집수용기에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강수량계를 사용하여 영하의 조건에서도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는 벨크로부재를 이용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며 집수용기에 간단하게 탈부착되므로 사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에서 커버를 벗긴 상태의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티핑커벳 방식의 강수량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패드와 집수용기를 구비하는 강수량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가 부착된 집수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강수량계용 발열패드를 펼친 상태에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강수량계의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수량계의 전원공급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티핑커벳 방식의 강수량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패드와 집수용기를 구비하는 강수량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가 부착된 집수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강수량계용 발열패드를 펼친 상태에서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강수량계의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강수량계의 전원공급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패드와 집수용기를 구비하는 강수량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가 부착된 집수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강수량계용 발열패드를 펼친 상태에서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100)는 측정본체(50), 집수용기(60) 및 발열장치(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대상인 강수량계는 티핑버켓방식과 무게측정방식 등을 포함하여, 비 또는 눈을 집수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는 모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티핑버켓 방식의 강수량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100)는 원통형 케이싱(10)을 구비하며, 집수용기(60)는 원통형 케이싱(10) 내에 수납되며, 측정본체(50)는 집수용기(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측정본체(50)에는 하부에 베이스부재(30)가 마련되며, 베이스부재(30) 위에 티핑버켓(20)이 설치된다. 후술할 집수용기(60)로부터 배출된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티핑버켓(20)에는 좌우 대칭으로 정량수수조(21,22)가 형성된다. 또한 티핑버켓(20)은 좌우 양측의 정량수수조(21,22) 사이에 회동포인트(23)가 형성되어 티핑버켓(20)은 회동포인트(23)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티핑버켓(20)의 좌우 일측의 정량수수조(21,22)에 물이 일정량 채워지면 티핑버켓(20)은 무게에 의하여 회동되어 정량수수조(21,22)의 물을 하부로 낙하시킨 뒤 다시 평형위치로 위치복원된다.
또한 티핑버켓(20)의 좌우 정량수수조(21,22) 하부에는 각각 배수조(30)가 마련되어 정량수수조(21,22)로부터 낙하된 물을 외부로 가이드하여 배출시키거나, 베이스부재(40) 하부의 수조(미도시)로 물을 가이드한다.
한편, 티핑버킷(20)에는 자석체와 리드스위치로 구성된 센서부(45)가 설치되는데, 자석체가 회전되면 리드스위치가 회전된 횟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티핑버켓(20)이 회전되어 정량수수조(21,22)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 횟수를 검출하여 강수량을 산출한다.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본체(50)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의 구성 이외에 무게측정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측정본체(50)는 공지의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정본체(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집수용기(6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구(63, 64)된 형태로서 집수구(61)와 집수관(62)을 구비한다. 집수구(61)는 깔대기 형상으로 하부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며, 집수관(62)은 중공형으로 집수구(61)의 하측으로부터 직경이 일정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집수용기(60)에는 비 또는 눈이 수집되어, 눈은 녹은 상태로 하부로 배출되고 빗물은 직접 배출된다. 그러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조건에서 비 또는 눈이 집수용기(60) 내에서 얼면 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못해 강수량 측정이 곤란해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집수용기(60)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강수량계용 발열장치(90)를 구비한다.
강수량계용 발열장치(90)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패드(70)를 구비하며, 히팅패드(70)는 집수용기(6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수용기(60)의 거의 전 영역을 가열할 수 있도록 3개의 히팅패드(70)가 마련되며, 집수용기(60)의 내면에 부착된다.
히팅패드(70)는 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열선(71)과 이 전열선(71)을 사이에 두고 상호 부착되는 패드부재(72,73)로 이루어진다. 전열선(71)은 전류가 흐를 때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점을 이용하는 가열도구로서, 패드부재(72,73)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다만, 지그재그 형태에서 전열선(71)이 구부러지는 부분은 패드부재(72, 73)의 상부와 하부가 되게 하여, 전열선(71)이 패드부재(72,73)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게 하였다.
집수용기(60)에 쌓인 눈은 전열선(71)을 따라 녹게 되므로, 전열선(71)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면 눈이 녹은 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달리 전열선이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경우 횡방향을 따라 수로가 형성되므로, 종방향으로 수로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눈이 녹은 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패드부재(72,73)는 집수용기(6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집수용기(6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가능하도록 패드부재(72,73)는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얇은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수용기(60)에 가깝게 배치되는 패드부재(73)는 비닐 소재를 사용하며, 비 또는 눈과 직접 접촉되는 패드부재(72)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한다.
두 장의 패드부재(72,73)의 소재를 각각 다르게 하는 것은 전열선(71)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눈을 녹이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두 장의 패드부재(72,73) 중 눈 또는 비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패드부재의 열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패드부재의 열전도도 보다 우수하면, 전열선(71)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집수용기(60)에 수집된 눈으로 보다 많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히팅패드(70)가 집수용기(6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집수용기(60)의 내면과 직접 접촉되는 패드부재(73)가 눈이 수집되는 부분과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므로 열전도도가 알루미늄보다 작은 비닐 소재로 제조되며, 눈과 직접 접촉되는 패드부재(72)는 비닐보다 큰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히팅패드(70)는 집수용기(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히팅패드(70)가 집수용기(60)에 고정되지 않고 착탈되는 것이 많은 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1년 중 영하의 온도가 형성되는 시기는 겨울철에 국한된다. 이에 온도가 높은 여름철 등에는 히팅패드(7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히팅패트가 착탈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강수량계 중 히터가 매설된 형태를 제외하고는 눈이 집수용기 내에서 얼어 버리면 강수량 측정이 곤란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발열장치(90)를 이용하여 히팅패드(70)를 집수용기(60)에 별도로 부착할 수 있게 하여 겨울철에도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강수량계에서 집수용기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가 부착된 집수용기(60)로 기존의 집수용기를 교체하여 겨울철에도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팅패드(70)를 집수용기(60)에 착탈되게 하기 위하여 벨크로부재를 채용한다. 즉, 집수용기(60)에 제1벨크로부재(78)가 부착되고, 히팅패드(70)에는 제2벨크로부재(79)가 부착되어, 제1벨크로부재(78)와 제2벨크로부재(79) 사이의 결합에 의해 히팅패드(70)를 집수용기(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물론 히팅패드(70)를 집수용기(60)에 착탈되게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90)의 사용상의 편의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벨크로부재를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히팅패드(70)가 복수 개 배치되지만, 전열선(71)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전열선(71)이 복수 개의 히팅패드(70)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전원과 연결된다. 또한, 전열선(71)은 집수용기(60)의 집수관(62)으로 연장된다. 즉, 집수구(61)의 하측에 배치되는 집수관(62)에서도 눈이나 비가 얼 수 있으므로, 집수관(62)의 내면에도 코일형상으로 연장된 전열선(71)이 밀착되어 집수관(62)을 가열한다. 히팅패드(70) 사이에 배치된 절연선(71)은 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피복에 의하여 감싸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와 강수감지센서가 마련된다. 온도센서는 디지털방식의 온도계이며, 강수감지센서는 눈 또는 비가 오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수분의 존재를 측정하는 수분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열선(71)은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 있으며, 눈이나 비가 오지 않는 경우는 물론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영상인 경우에는 전원으로부터 전열선(71)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눈이나 비가 수분센서에 의하여 감지되고, 온도가 영하로 감지되는 경우에 전원이 전열선(71)에 공급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강수량계(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강수량계의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설, 강우가 감지되고 기온이 영하로 측정되는 경우, 전원에서 전열선(71)에 전원을 공급하여 집수용기(60)를 가열한다. 가열하는 온도는 대략 섭씨 5℃이하이다. 5℃면 집수용기(60) 내의 결빙을 충분히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전열선(71)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전열선(71)의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예컨대 5℃를 초과하는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다시 전열선(71)의 온도가 하강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온도센서와 강수감지센서에서는 눈, 비가 지속되는지 여부와 온도를 측정하여 집수용기 내의 물이 결빙될 수 있는 조건인지를 게속적으로 탐지하며, 전원에서는 위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지금까지 강수량계용 가열장치(90)가 집수용기(6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서와 같이 집수용기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즉, 히팅패드(70)가 집수용기(6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경우 열전달에 있어 유리한 점이 있지만, 외면에 부착되어도 눈을 녹일 정도의 열전달은 가능하며 히팅패트가 집수용기에 의하여 가려져 눈 또는 비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년한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집수용기(60)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이 내면에 부착하는 것보다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위와 같이 히팅패드(70)를 집수용기(60)의 외면에 부착하는 경우 집수용기(60)와 직접 접촉되는 패드부재(73)가 집수용기 내부에 집수된 눈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므로, 이 패드부재(73)의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제조하며 외측에 배치되는 패드부재(72)의 소재를 비닐로 제조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200)에서는 히팅패드와 집수관(62)을 감싸는 전열선(71)이 각각 집수구(61)와 집수관(62)의 외주면에 부착된다는 것 이외에 다른 모든 구성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90)가 구비된 강수량계(100,200)에서는 겨울철에도 집수용기 내의 결빙을 방지하여 온도에 상관없이 신뢰성있는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90)는 기존의 강수량계에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히터가 매설되어 있는 별도의 강수량계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의 강수량계를 사용하여 영하의 조건에서도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강수량계용 가열장치(90)는 벨크로부재를 이용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가능하며 집수용기에 간단하게 탈부착되므로 사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100,200 ... 강수량계 10 ... 케이싱
20 ... 티핑버켓 21,22 ... 정량수수조
30 ... 배수조 40 ... 베이스부재
50 ... 측정본체 60 ...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70 ... 히팅패드 71 ... 전열선
72,73 ... 패드부재 78,79 ... 제1,21벨크로부재
90 ... 강수량계용 가열장치
20 ... 티핑버켓 21,22 ... 정량수수조
30 ... 배수조 40 ... 베이스부재
50 ... 측정본체 60 ...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70 ... 히팅패드 71 ... 전열선
72,73 ... 패드부재 78,79 ... 제1,21벨크로부재
90 ... 강수량계용 가열장치
Claims (13)
- 눈 또는 비를 집수하도록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집수용기를 구비하여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계의 집수용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수용기로 낙하된 비 또는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수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패드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과, 상기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상기 집수용기에 부착되도록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히팅패드의 2장의 패드부재 중 상기 집수용기로 집수된 눈 또는 비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패드부재는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소재이며,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패드부재는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비닐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열선은 상기 패드부재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패드부재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구부러져 상기 패드부재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패드는 상기 집수용기의 내면 또는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집수용기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중공형의 집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히팅패드에 설치된 전열선은 상기 집수관까지 연장되어 상기 집수관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이며,
상기 히팅패드도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수용기에 복수 개 결합되며,
상기 각 히팅패드에 설치된 전열선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에는 제1벨크로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히팅패드에는 제2벨크로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제1벨크로부재와 제2벨크로부재 사이의 탈부착에 의하여 상기 히팅패드는 상기 집수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 삭제
-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수량계에 결합되어 눈 또는 비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과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있는 강수량계용 집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수량계용 발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 눈 또는 비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과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있는 집수용기와, 상기 집수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아 강수량을 측정하는 측정본체를구비하는 강수량계에 있어서,
상기 제1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수량계용 발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눈 또는 비가 내리는 것을 감지하는 수분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여,
온도가 영하로 내려간 조건에서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에만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308A KR101223459B1 (ko) | 2010-08-27 | 2010-08-27 |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308A KR101223459B1 (ko) | 2010-08-27 | 2010-08-27 |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9821A KR20120019821A (ko) | 2012-03-07 |
KR101223459B1 true KR101223459B1 (ko) | 2013-01-25 |
Family
ID=4612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3308A KR101223459B1 (ko) | 2010-08-27 | 2010-08-27 |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34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785B1 (ko) | 2014-01-27 | 2015-02-04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수형태와 얼음상황의 진단을 위한 강수온도 감지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2373B1 (ko) * | 2014-02-26 | 2017-01-03 |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 빗물 집수 장치 |
KR102571784B1 (ko) * | 2017-02-24 | 2023-08-29 | 대한민국(기상청장) | 자동강수샘플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
KR102106563B1 (ko) * | 2019-08-14 | 2020-05-26 | 남지현 | 집수량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강수량계 |
WO2024210219A1 (ja) * | 2023-04-07 | 2024-10-10 | 株式会社第一科学 | 雨量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322B1 (ko) * | 2009-02-17 | 2009-09-11 | (주)정한전자시스템 | 적외선을 이용한 개선된 구조의 우설량 측정 장치 |
-
2010
- 2010-08-27 KR KR1020100083308A patent/KR101223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6322B1 (ko) * | 2009-02-17 | 2009-09-11 | (주)정한전자시스템 | 적외선을 이용한 개선된 구조의 우설량 측정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785B1 (ko) | 2014-01-27 | 2015-02-04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수형태와 얼음상황의 진단을 위한 강수온도 감지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9821A (ko) | 2012-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62566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now cover and snowfall using electrical conduction | |
KR101223459B1 (ko) | 강수량계용 발열장치, 강수량계용 집수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강수량계 | |
KR20080073557A (ko) |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 |
Giadrossich et al. | Evaporation in a Mediterranean environment by energy budget and Penman methods, Lake Baratz, Sardinia, Italy | |
CN109143414A (zh) | 一种基于红外测距的防冻型雨量计及控制方法 | |
CZ2013444A3 (cs) | Zařízení na měření časového průběhu výšky a teplotního profilu sněhové vrstvy a teploty vzduchu | |
Young et al. | Hydrology of hillslope‐wetland streams, Polar Bear Pass, Nunavut, Canada | |
KR101224270B1 (ko) | 강수량 측정장치 | |
Coppola et al. | Pre-failure suction-induced deformation to inform early warning of shallow landslides: proof of concept at slope model scale | |
CN105204095B (zh) | 一种适用于冻雨降水测量的称重式雨量计结构 | |
KR100957242B1 (ko) | 강우 및 강설량 계측 장치 | |
KR101772323B1 (ko) | 융,적설량 관측장치 | |
KR20120105711A (ko) |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 |
KR101270655B1 (ko) | 고정식 적설판 | |
Špulák et al. | Snow cover accumulation and melting measurements taken using new automated loggers at three study locations | |
KR101779581B1 (ko) |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 |
KR100569719B1 (ko) | 고 신뢰 무접점 우량측정장치 | |
JPH05273172A (ja) | 雨雪の導電率自動測定装置 | |
Sarayloo | A Sensor for Measuring Liquid Water Content of Wet Snow on Superstructures | |
US11828907B2 (en) | Apparatus for measuring precipitation with high accura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RU277417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наледи с радиологгером | |
CN107045155A (zh) | 一种防冻型翻斗雨量计 | |
Suzuki | Effect of winter warming on the stream water acidification | |
Dinicola | Estimates of recharge from runoff at the Hanford Site, Washington | |
Vogel et al. | Cornice dynamics above Nybyen in Svalbards high arctic landsca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