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879B1 -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879B1
KR101221879B1 KR1020100121034A KR20100121034A KR101221879B1 KR 101221879 B1 KR101221879 B1 KR 101221879B1 KR 1020100121034 A KR1020100121034 A KR 1020100121034A KR 20100121034 A KR20100121034 A KR 20100121034A KR 101221879 B1 KR101221879 B1 KR 10122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quality measurement
water
samp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327A (ko
Inventor
이익재
김한수
강창익
김지선
최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0012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8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측정조로 유입된 샘플 오염수의 다항목 오염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질 측정 센서의 센서별 전압차가 동일 농도에서 재현성 있게 발생됨을 이용해 전압차를 이용한 항목별 패턴을 획득함으로써, 수질 측정조 내의 샘플 오염수의 오염 물질의 분석을 실효성 있게 수행하여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및 오염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MULTI-ITEM WATER QUALITY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수질 측정조로 유입된 샘플 오염수의 다항목 오염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질 측정 센서의 센서별 전압차가 동일 농도에서 재현성 있게 발생됨을 이용해 전압차를 이용한 항목별 패턴을 획득함으로써, 수질 측정조 내의 샘플 오염수의 오염 물질의 분석을 실효성 있게 수행하여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및 오염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질 측정조 내로 샘플 오염수를 유입시켜 샘플 오염수의 다항목 오염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유입관을 통하여 샘플 오염수의 수원으로부터 녹조 및 미생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질 측정 센서 어레이는 측정대상(납, 카드뮴, 수은, 구리, 염소이온, 질산성질소) 물질에 노출되면 노출된 항목 측정용 센서뿐만 아니라 다른 어레이 센서도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센서별 전압 변화가 발생된다. 일반적인 ISE 센서는 미량의 측정물질을 낮은 농도범위까지도 검출하는 장비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전기적 성질이 유사한 이온들이 섞여 있는 경우, 선택적으로 측정물질을 검출하기 어려우며 유사물질을 측정물질로 오인하여 정량값을 표현하기도 하여 전처리가 불가피한 장비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수질 측정조 내로 샘플 오염수를 유입시켜 샘플 오염수의 다항목 오염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유입관을 통하여 샘플 오염수의 수원으로부터 녹조 및 미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질 측정 센서의 센서별 전압차가 동일 농도에서 재현성 있게 발생됨을 이용해 전압차를 이용한 항목별 패턴을 획득함으로써, 오염 물질의 분석을 실효성 있게 수행하여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및 오염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샘플 오염수가 일시 저장되는 수질 측정조(10); 상기 샘플 오염수의 수원(水源)에 잠기는 일측에 메시망 형태의 유입부(21)가 형성되고 타측이 펌프(P)에 연결되며 제1 밸브(20V)가 구비되는 제1 유입관(20); 일측이 상기 펌프(P)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질 측정조(10)에 연결되는 제2 유입관(30); 일측이 상기 제1 유입관(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에어 컴프레셔(C)에 연결되며 역세척용 밸브(40V)가 구비되는 역세척관(40); 상기 제2 유입관(30)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샘플 오염수에 잠겨지도록 상기 수질 측정조(10)에 설치되며, 동일한 오염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수질 측정값을 나타내도록 상기 동일한 오염수의 오염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오염 성분을 상이하게 감지하는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로부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을 각각 획득하여, 상기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을 획득하는 샘플 오염 성분 패턴 획득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미리 획득된 기준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의 유사여부를 비교하는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의 합을 기준으로 상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 중 각각의 수질 측정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스펙트럼의 요소로 표현한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이고,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기준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의 합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 중 각각의 수질 측정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스펙트럼의 요소로 표현한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 중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d#j, 상기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s#j 라 할 때, Rk#j = Sd#j/Ss#j 인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400);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Cs = (Rk#1 + Rk#2 + ... + Rk#n)/n 인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 획득부(500); Wk#j = Sd#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의 비율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600); Rnk#j = Rk#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의 비율을 획득하는 평균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700); 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S=(Rnk#1×Wk#1 +...+ Rnk#n×Wk#n) 로 정의되는 유사도 S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상기 유사도 S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이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질 측정조 내로 샘플 오염수를 유입시켜 샘플 오염수의 다항목 오염 성분을 측정하는 경우 유입관을 통하여 샘플 오염수의 수원으로부터 녹조 및 미생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입관의 유입부에 부착된 상기 녹조 및 미생물을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질 측정 센서 어레이가 측정대상(납, 카드뮴, 수은, 구리, 염소이온, 질산성질소) 물질에 노출되어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센서별 전압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도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및 오염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략적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 구성도.
도4는 도3의 샘플 오염 성분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spectrum)의 일례.
도5는 도3의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의 일례.
도6은 도3의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에 의한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의 유사도 비교의 일례.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4는 도3의 샘플 오염 성분 획득부에서 획득되는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spectrum)의 일례를, 도5는 도3의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수개의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의 일례를, 도6은 도3의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에 의한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의 유사도 비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질 측정을 위한 샘플 오염수가 일시 저장되는 수질 측정조(10)를 가진다. 수질 측정조(10)의 측벽에는 일정 수위에 다다른 상기 샘플 오염수를 오버 플로우시키기 위한 오버 플로우 배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샘플 오염수의 수원(水源)에 잠기는 일측에 메시망 형태의 유입부(21)가 형성되고 타측이 펌프(P)에 연결되며 제1 밸브(20V)가 구비되는 제1 유입관(20)을 가진다. 메시망 형태의 유입부(21)는 상기 샘플 오염수의 수원(水源)의 녹조 및 미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밸브(20V)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이 상기 펌프(P)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질 측정조(10)에 연결되는 제2 유입관(30)을 가진다. 제2 유입관(30)에는 유량계(F)가 구비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이 상기 제1 유입관(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에어 컴프레셔(C)에 연결되며 역세척용 밸브(40V)가 구비되는 역세척관(40)을 가진다. 역세척용 밸브(40V)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역세척관(40)의 타측은 제1 유입관(20)의 일측과 타측 사이 중 제1 밸브(20V)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제1 유입관(20)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밸브(20V)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입관(20)을 폐쇄하고 역세척용 밸브(40V)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 컴프레셔(C)를 작동함으로써, 메시망 형태의 유입부(21)에 부착된 상기 녹조 및 미생물을 탈착시킬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질 측정 센서부(WS)를 가진다. 수질 측정 센서부(WS)는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를 포함한다.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는 제2 유입관(30)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샘플 오염수에 잠겨지도록 수질 측정조(10)의 내벽에 연결 설치된다.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는 동일한 오염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수질 측정값을 나타내도록, 상기 동일한 오염수의 오염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오염 성분을 상이하게 감지하는 센서들이다. 즉, 상기 동일한 오염수에 대하여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1, 102, … , 100 + j, … , 100 + n)는 서로 다른 수질 측정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1, 102, … , 100 + j, … , 100 + n)는 BOD, COD 등의 일반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외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특정 오염 성분을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도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샘플 오염 성분 패턴 획득부(200)를 포함한다. 샘플 오염 성분 패턴 획득부(200)는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로부터 샘플 오염수의 수질 측정값을 각각 획득하여, 상기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을 스펙트럼(spectrum)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 이를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이라 한다.
스펙트럼 방식은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0)에서 측정된 수질 측정값의 합을 기준으로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0)의 수질 측정값이 해당되는 비율을 산정하고, 이러한 비율을 스팩트럼의 요소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모든 수질 측정 센서(100)의 수질 측정값의 합을 100으로 가정할 때,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0)의 수질 측정값이 차지하는 값을 각각의 수질 측정 센서(100)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으로 할당하여 하나의 스펙트럼을 완성할 수 있다. 도4에는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스펙트럼(spectrum)인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펙트럼 방식으로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을 나타내면, 복합적인 오염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질 오염을 코드화(encode)하여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에서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기준 오염 성분 패턴(후술함)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300)를 가진다.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300)는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로부터 기준 오염수의 수질 측정값을 각각 획득하여, 상기 기준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기준 오염수의 오염 성분을 스펙트럼(spectrum)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 이를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이라 한다.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300)에는 m 개의 서로 다른 기준 오염수에 대한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이 각각 미리 저장된다. 5에는 기준 오염수에 대한 오염 성분 스펙트럼(spectrum)인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4개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400)를 가진다.
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400)는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100+j)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d#j, 상기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100+j)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s#j 라 할 때, Rk#j = Sd#j/Ss#j 인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Rk#j의 소문자 k는 Sd#j가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 중 k번째 기준 오염수에 대응하는 값임을 나타낸다.
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400)에서는 모든 수질 측정 센서(100)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이 획득되므로, j = 1 부터 n 까지 모두 n 개의 스펙트럼 요소 비율이 획득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 획득부(500)를 가진다.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 획득부(500)는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Cs = (Rk#1 + Rk#2 + ... + Rk#n)/n 인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600)를 가진다.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600)는 Wk#j = Sd#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의 비율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Wk#j의 소문자 k는 Sd#j가 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300)에 저장된 값 중 k번째 기준 오염수에 대응하는 값임을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평균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700)를 가진다.
평균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700)는 Rnk#j = Rk#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의 비율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를 가진다.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의 유사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에는 상기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과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과의 유사여부를 비교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유사도 S를 획득하게 된다. 유사도 S는 S=(Rnk#1×Wk#1 +...+ Rnk#n×Wk#n) 로 정의된다.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상기 유사도 S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k번째 기준 오염수의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이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즉, 상기 유사도 S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샘플 오염수는 상기 k번째 기준 오염수와 유사한 오염 성분 및 오염 성분비로 오염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특정값은 70% 일 수 있다. 도5에는 도1의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에 의한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의 유사도 비교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하나의 특정한 상기 샘플 오염수와 k = 1 부터 m 까지 모든 기준 오염수의 유사도 S를 획득할 수 있다.
10:수질 측정조 20:제1 유입관
21:유입부 20V:제1 밸브
30:제2 유입관 40:역세척관
40V:역세척용 밸브
100:수질 측정 센서 200:샘플 오염 성분 패턴 획득부
300:기준 오염 성분 패턴 저장부 400: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
500: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 획득부 600:스펙트럼 비율 획득부
700:평균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 800: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
P:펌프 C:에어 컴프레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샘플 오염수가 일시 저장되는 수질 측정조(10);
    상기 샘플 오염수의 수원(水源)에 잠기는 일측에 메시망 형태의 유입부(21)가 형성되고 타측이 펌프(P)에 연결되며 제1 밸브(20V)가 구비되는 제1 유입관(20);
    일측이 상기 펌프(P)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질 측정조(10)에 연결되는 제2 유입관(30);
    일측이 상기 제1 유입관(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에어 컴프레셔(C)에 연결되며 역세척용 밸브(40V)가 구비되는 역세척관(40);
    상기 제2 유입관(30)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샘플 오염수에 잠겨지도록 상기 수질 측정조(10)에 설치되며, 동일한 오염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수질 측정값을 나타내도록 상기 동일한 오염수의 오염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오염 성분을 상이하게 감지하는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로부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을 각각 획득하여, 상기 샘플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을 획득하는 샘플 오염 성분 패턴 획득부(200) ;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로부터 미리 획득된 기준 오염수의 오염 성분 패턴인 기준 오염 성분 패턴과의 유사여부를 비교하는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
    를 포함하되,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의 합을 기준으로 상기 샘플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 중 각각의 수질 측정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스펙트럼의 요소로 표현한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이고,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은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100)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기준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의 합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오염수의 다수의 수질 측정값 중 각각의 수질 측정값이 차지하는 비율을 스펙트럼의 요소로 표현한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 중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d#j, 상기 샘플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을 Ss#j 라 할 때, Rk#j = Sd#j/Ss#j 인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획득부(400);
    상기 다수의 수질 측정 센서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Cs = (Rk#1 + Rk#2 + ... + Rk#n)/n 인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 획득부(500);
    Wk#j = Sd#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기준 오염 성분 스펙트럼 가운데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스펙트럼 요소값의 비율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600);
    Rnk#j = Rk#j/Cs 인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 평균값에 대한 상기 j번째 수질 측정 센서의 수질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스펙트럼 요소 비율의 비율을 획득하는 평균 스펙트럼 비율 획득부(700);
    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S=(Rnk#1×Wk#1 +...+ Rnk#n×Wk#n) 로 정의되는 유사도 S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성분 패턴 비교부(800)는 상기 유사도 S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오염 성분 패턴이 상기 샘플 오염 성분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KR1020100121034A 2010-11-30 2010-11-30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KR10122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034A KR101221879B1 (ko) 2010-11-30 2010-11-30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034A KR101221879B1 (ko) 2010-11-30 2010-11-30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27A KR20120059327A (ko) 2012-06-08
KR101221879B1 true KR101221879B1 (ko) 2013-01-16

Family

ID=4661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034A KR101221879B1 (ko) 2010-11-30 2010-11-30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04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안정적인 잔류 염소 측정이 가능한 수질 다항목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658A (zh) * 2014-09-28 2015-03-04 定远县金胜农业开发有限公司 水产养殖环境信息智能采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122A (ja) 2002-11-22 2004-06-24 Kurita Water Ind Ltd 水質検出方法及び水質浄化装置の運転方法
KR20050071350A (ko) * 2003-12-30 2005-07-07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오염물의 검출방법
KR100903015B1 (ko) 2009-03-13 2009-06-16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하이드로 시료수 채수장치
KR100939378B1 (ko) * 2009-09-02 2010-01-29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흡입펌프를 이용한 자동 채수 및 역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122A (ja) 2002-11-22 2004-06-24 Kurita Water Ind Ltd 水質検出方法及び水質浄化装置の運転方法
KR20050071350A (ko) * 2003-12-30 2005-07-07 롬 앤드 하스 캄파니 오염물의 검출방법
KR100903015B1 (ko) 2009-03-13 2009-06-16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하이드로 시료수 채수장치
KR100939378B1 (ko) * 2009-09-02 2010-01-29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흡입펌프를 이용한 자동 채수 및 역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04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안정적인 잔류 염소 측정이 가능한 수질 다항목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27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gergraber et al. A multivariate calibration procedure for UV/VIS spectrometric quantification of organic matter and nitrate in wastewater
Lepot et al. Calibration of UV/Vis spectrophotometers: A review and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to estimate TSS and total and dissolved COD concentrations in sewers, WWTPs and rivers
Moo et al. New development of optical fibre sensor for determination of nitrate and nitrite in water
US8269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optical brighteners in water samples
Torres et al. Partial Least Squares local calibration of a UV–visible spectrometer used for in situ measurements of COD and TSS concentrations in urban drainage systems
CN104034684A (zh) 一种基于紫外-可见吸收光谱的水质多指标检测方法
Bieroza et al. Unravell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biogeochemistry in groundwater-fed rivers under baseflow conditions: uncertainty in in situ high-frequency analysis
Birgand et al. First report of a novel multiplexer pumping system coupled to a water quality probe to collect high temporal frequency in situ water chemistry measurements at multiple sites
CN104237189B (zh) 一种印染行业废水污染的快速识别和定量分析的方法
Rieger et al. Uncertainties of spectral in situ measurements in wastewater using different calibration approaches
Fard et al. Capability of vis-NIR spectroscopy and Landsat 8 spectral data to predict soil heavy metals in polluted agricultural land (Iran)
CN106442474B (zh) 一种基于偏最小二乘法的水泥生料三率值测量方法
Lepot et al. Accuracy of different sensors for the estimation of pollutant concentrations (total suspended solids, total and dissolved chemical oxygen demand) in wastewater and stormwater
Pacheco Fernández et al. Multi-parameter calibration of a UV/Vis spectrometer for online monitoring of sewer systems
KR101221879B1 (ko) 다항목 수질 측정 시스템
CN107807098A (zh) 一种基于图像处理的重金属比色识别装置及方法
Rieger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a spectral sensor for nitrite and nitrate
CN110736723A (zh) 一种在线式同时检测低浊和高浊的方法与系统
Torres et al. Local calibration for a UV/Vis spectrometer: PLS vs. SVM. A case study in a WWTP
CN112014344A (zh) 一种污水在线监测方法
Kasper et al. The effect of filter type and porosity on total suspended sediment determinations
KR101256418B1 (ko) 수질 측정 센서 및 가스 농도 측정 센서를 이용한 수질 오염 측정 시스템
Van den Broeke On-line and in-situ UV/vis spectroscopy
Kimoto et al. Achieving high time-resolution with a new flow-through type analyzer for total inorganic carbon in seawater
Sun et al. Research on Multi-Parameter Portable Water Quality Detection System Based on ZYNQ Image Process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