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327B1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327B1
KR101221327B1 KR1020110039552A KR20110039552A KR101221327B1 KR 101221327 B1 KR101221327 B1 KR 101221327B1 KR 1020110039552 A KR1020110039552 A KR 1020110039552A KR 20110039552 A KR20110039552 A KR 20110039552A KR 101221327 B1 KR101221327 B1 KR 10122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erminal
sound signal
devia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1636A (en
Inventor
박규호
김동진
유종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3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327B1/en
Publication of KR2012012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무선 통신 방법은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말기, 각각 집음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단말기를 흔드는 제1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단말기에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중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갖는 제2 단말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ime period for shaking the first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terminal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each having a sound collector, and a server Generating a sound signal at the first terminal for a time period comprising a; Receiving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And performing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having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among the second terminals.

Description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단말기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단말기간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using the Doppler effect, and a terminal therefor.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단말기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각각의 장치 내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하다. Recently, various mobi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including a smart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ave been used. Performing a specific task within each of these devices is a simple solution.

하지만, 상기 장치들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등의 상호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상기 장치에서 컴퓨터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외부 케이블 연결과 같은 과정이 요구된다. However, in order to perform interactions such as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the devices have to go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fer data from the device to a computer or the like, a process such as an external cable connection is required.

이동 단말기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작용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simplify and facilitate interaction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There is also a need to facilitate interaction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단말기간 상호작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and demand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asily and simply interacting between terminals using the Doppler effect, and a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집음기;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편차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의 발원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und collector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 processor for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frequ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은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의 발원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sound signal;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performing interaction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frequ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간 무선 통신 방법은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말기, 각각 집음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단말기를 흔드는 제1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단말기에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중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갖는 제2 단말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terminal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having a sound collector, and a server, the first terminal for shaking the first terminal Generating a sound signal at the first terminal for a time period comprising a one time period; Receiving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And performing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having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among the second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르면,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단말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연결 케이블 또는 추가의 조작 없이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만으로도 단말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that can easily and simply perform interactions between terminals using the Doppler effect.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which enable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by only shaking the terminal without an external connection cable or additional manipulation.

도1은 도플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차 주파수 계산 방법을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대상 선택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oppler effec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ccuracy of object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quot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Should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도플러 효과에 따른 주파수 천이 현상을 이용한다. 도플러 효과는 어떤 파동의 발원체와 관측체의 상대 속도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requency shift phenomenon according to the Doppler effect to perform an interaction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erminals. The Doppler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frequency and wavelength change depending on the relative velocity of the source and observer of a wave.

도1은 도플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원체(100)는 주파수 f0를 갖는 파동, 예컨대 소리 신호를 방출한다. 발원체(100)는 상기 관측체(200)와의 연장선 상에서 Vs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가정한다. 관측체(200)는 상기 동일 연장선 상에서 Vr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가정한다. 이때, 관측체(200)에서 측정되는 발원체의 주파수는 아래와 같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oppler effect. The source 100 emits a wave having a frequency f 0 , for example a sound signal. It is assumed that the source 100 moves at a speed of Vs on an extension line with the observer 200. It is assumed that the observation body 200 moves at a speed of Vr on the same extension line. At this time, the frequency of the source measured in the observer 200 is as follows.

Figure 112011031348735-pat00001
수학식1
Figure 112011031348735-pat00001
Equation 1

여기서, V는 발원체로부터의 파동의 매질 내에서의 속도, 즉 소리 신호의 속도이다. Vs는 매질에 대한 발원체의 속도이다. Vr은 매질에 대한 관측체의 속도이다. Where V is the speed in the medium of the wave from the source, i.e. the speed of the sound signal. Vs is the velocity of the source relative to the medium. Vr is the velocity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the medium.

여기서, 발원체(100)와 관측체(200)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관측체(200)에서 측정되는 주파수(f)가 증가하고, 발원체(100)와 관측체(20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관측체(200)에서 측정되는 주파수(f)는 감소한다.  Here, the frequency f measured by the observer 200 increases when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move toward each other, and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move away from each other.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the frequency f measured by the observer 200 decreases.

상기 발원체(10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fo)와 관측체(200)에서 관측되는 주파수(f) 사이의 차이 값(Δf)은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he difference value Δf between the frequency fo generated at the source 100 and the frequency f observed at the observer 200 may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1031348735-pat00002
수학식2
Figure 112011031348735-pat00002
Equation 2

즉, 상기 주파수 차이 값(Δf)은 발원체(100)의 발생 주파수(fo)와 관측체(200)의 관측 주파수(f) 사이의 차이 값이다. That is, the frequency difference value Δf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occurrence frequency fo of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ation frequency f of the observer 200.

상기 수학식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 차이 값(Δf)은 상기 발원체(100)와 관측체(200) 사이의 상대 속도가 클수록 커진다. 상기 주파수 차이 값(Δf)은 상기 발원체(100)에서 발생되는 파동의 주파수(fo)가 클수록 커진다. 또한, 상기 발원체(100)와 관측체(200)가 움직이는 속도가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발원체(100)와 관측체(200)가 상기 발원체(100)와 관측체(200)를 잇는 연장선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차이 값(Δf )이 커진다.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the frequency difference value Δf increases as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increases. The frequency difference value Δf increases as the frequency fo of the wave generated in the source 100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is determined,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connecting the source 100 and the observer 200 is provided. When the phase moves, the difference value Δf becomes large.

상기 관측체(200)가 정지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상기 차이 값(Δf)은 발원체(100)가 움직이는 속도가 클수록 커진다. 또한, 상기 발원체(100)가 움직이는 속도가 고정된 경우라면, 상기 발원체(100)가 상기 관측체(200)와 발원체(100)를 잇는 연장선 상에서 움직일 때의 차이 값(Δf)이 상기 발원체(100)가 상기 연장선에 어긋나서 움직일 때의 차이 값(Δf)에 비해서 크다. Assuming that the observer 200 is stationary, the difference value Δf increases as the source 100 moves. In additio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source 100 is fixed, the difference value Δf when the source 100 moves on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observer 200 and the source 100 is It is large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value (DELTA f) when the source body 100 moves to shift | deviate from the said extension line.

본 발명은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서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고자 한다. 예컨대, 종래에는 단말기들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등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연결 등과 같은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소정 파동을 발생시키는 발원체 단말기를 흔드는 것만으로 상기 발원체 단말기와 대상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대상 단말기는 발원체 단말기의 소정 파동, 예컨대 소리 신호의 주파수 천이를 검출함으로써 발원체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단말기 사이의 연결,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폴더 공유 등의 여러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erform interaction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erminals using this Doppler effect. For example, in order to transfer data between terminals or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mputer, a complicated operation such as a cable connection is requi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and the target terminal only by shaking the source terminal generating a predetermined wave using the Doppler effect. That is, the target terminal may initiate interaction with the source terminal by detecting a predetermined wave of the source terminal, for example, a frequency shift of a sound signal. Such interaction may include various tasks such as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folder sharing, and the like.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말기(10)와, 각각 집음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 및 상기 제2단말기(21, 22, 23)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1, 22, 23 having a sound collector, and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server 30 that can communicate with).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1, 22, 23)는 스마트폰, 이동 전화,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1, 22, 23)는 랩탑(lap top) 컴퓨터, 데스크 탑(desk top)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1, 22, 23)는 소리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어떠한 단말기라도 가능하다.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may include a terminal such as a laptop (laptop) computer, a desktop (desk top) computer.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may be any terminal having a sound input / output device.

또한, 상기 제1단말기(10) 및/또는 제2단말기(21, 22, 23)는 데이터 송수신등과 같은 상호 작용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단말기(10) 또는 제2단말기(21, 22, 23)는 서버(3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 and / or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interaction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도2에서는 3개의 제2단말기(21, 22, 23)를 도시하였지만 더 많은 수의 제2단말기 또는 더 작은 수의 제2단말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wo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are shown in FIG. 2,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larger number of second terminals or a smaller number of second terminals.

서버(30)는 제1단말기(10) 또는 제2단말기(21, 22, 23)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1단말기(10) 또는 제2단말기(21, 22, 23)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브시스템이다. The server 3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wirelessly or by wire,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It is a subsystem that can provide certain services upon request.

도3은 도2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 chart for implemen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FIG.

이하에서는, 제1단말기(10)가 제2단말기(22)에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ase where the first terminal 10 intends to transmit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22)에 전송할 데이터를 지정한 후에 소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41). 전송할 데이터를 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단계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단계(S46) 이후에 상기 전송할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a sound signal may be generated after designat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2 (S41). It is possible to start the above step even without specify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the data to be transmitted after step S46 to be described below.

이때, 상기 소리 신호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소리 신호이다. 예컨대,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는 3kHz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른 크기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sound signal is a sound signal having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may have 3 kHz.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different sizes of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여기서, 소리 신호는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된다. 예컨대, 대략 5초간 소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기간 중 일부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제1단말기(10)를 흔드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리 신호 발생 시작 후 2~3초가 경과한 후 1~1.5초 동안에 제1단말기(10)를 흔드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단말기(21, 22, 23)는 제1단말기(10)에서 발생된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를 획득한 후 흔드는 동작에 의한 편차 주파수의 크기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sound signal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a sound signal may be generated for about 5 seconds. The shaking of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performed during some time period of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after 2 to 3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sound signal generation,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shaken for 1 to 1.5 seconds. 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may calculate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frequency due to the shaking operation after obtain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10.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상기 소리 신호는 제1단말기(10)를 흔드는 동안에만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제2단말기(21, 22, 23)가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ound signal may occur only while shaking the first terminal 10. This is possible when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know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in advance.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 중 상기 제1단말기(10)로부터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획득하는 단말기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exist, data is stored in a terminal that obtains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from the first terminal 10 among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Can be transmitted.

상기 제1단말기(10)가 제2단말기(21, 22, 23) 중 중앙의 제2단말기(22)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가장 큰 편차 주파수가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제1단말기(10)의 흔드는 동작은 상기 제1단말기(10)와 상기 제2단말기(22)를 잇는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에서, 제1단말기(10)는 위아래로 반복적으로 움직이도록 흔드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흔드는 동작은 대략 1.5초간 왕복 3회의 움직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말기(21, 22, 23) 중 가운데의 제2단말기(22)에서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first terminal 10 to transmit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2 in the middle of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must be generated in the second terminal 22. To this end,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is preferably performed on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2. For example, in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shaken to repeatedly move up and down. This shaking motion can be three round trips in approximately 1.5 seconds. In this case,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terminal 22 among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상기 흔드는 동작은 제1단말기(10)의 소정 진폭을 갖는 반복적인 왕복 움직임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한 방향으로 1회에 걸쳐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The shaking operation may be in the form of repetitive reciprocating motion having a predetermined amplitude of the first terminal 1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moved once in one direction.

제1단말기(10)에서 발생한 소리 신호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에서 수신된다(S42).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기(21, 22, 23)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집음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10 is received by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S42).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 sound collector capable of receiving a sound signal.

여기서, 상기 제2단말기(21, 22, 23)는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단말기(21, 22, 23)에서 수신되는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단말기(21, 22, 23)가 제1단말기(10)에서 발생된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제2단말기(21, 22, 23)는 기준 주파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may have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in advance. In this cas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can be omitted. When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do not have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10,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calculate the reference frequency.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예컨대, 제1단말기(10)는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되 초반 소정 시간 동안에 흔드는 동작 없이 정지 상태에 머물 수 있다. 제2단말기(21, 22, 23)는 상기 초반 소정 시간 동안의 소리 신호의 주파수를 획득함으로써 기준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 may generate a sound signal but remain in a stopped state without a shaking operation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frequency by obtain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는 각각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Δf)를 계산한다(S43). 상기 편차 주파수(Δf)는 제1단말기(10)를 흔드는 동안에 상기 제2단말기(21, 22, 23)에서 측정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차이 값이다. 상기 제1단말기의 흔드는 동작에 의해 제2단말기(21, 22, 23)에서 측정되는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는 각자 다르게 나타난다.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calculate a deviation frequency Δf relative to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respectively (S43). The deviation frequency Δf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and the reference frequency while shaking the first terminal 10.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measured by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 각각에서 편차 주파수(Δf)의 계산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시간 도메인의 소리 데이터를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으로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된 주파수 데이터를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해 정규화(normalize)함으로써 편차 주파수(Δf)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alculation of the deviation frequency Δf in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may be performed in the frequency domain. That is, sound data in the time domain may be transformed into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by Fourier transform. In this case, the deviation frequency Δf may be obtained by normalizing the converted frequency data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제2단말기는 이러한 편차 주파수 및/또는 기준 주파수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단말기에서 이러한 편차 주파수 및/또는 기준 주파수의 계산은 상기 소리 신호를 녹음하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alculation of this deviation frequency and / or reference frequency. In addition, in the second terminal, the calculation of the deviation frequency and / or the reference frequency may be performed by recording the sound signal or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while receiving the sound signal.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차 주파수 계산 방법을 나타낸다. 제1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의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편차 주파수(Δf)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의 소리 데이터로부터 계산된다. 예컨대, 소리 데이터는 4초간의 소리 데이터를 포함한다. 4 illustrat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 The deviation frequency Δf is calculated from the sound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the sound data includes sound data for 4 seconds.

이때, 편차 주파수를 구하기 위해서 상기 4초간의 시간 구간은 소정 개수의 서브 구역으로 분할된다. 예컨대, 4개의 서브 구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 구역은 1초의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서브 구역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상기 소정 시간 기간 동안의 소리 데이터 중에서 의미가 있는 부분만을 채택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case, in order to obtain the deviation frequency, the four-second time period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zones. For example, it is divided into four subzones, each subzone representing a time interval of one second. The reason for dividing into sub zones is to adopt only meaningful portions of sound data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상기 소정 시간 기간 동안의 어느 시간 구간에서 제1단말기(10)의 흔드는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소정 시간 기간은 흔드는 동작의 지속 시간보다 길게 정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소정 시간 기간은 상기 흔드는 동작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한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소정 시간 기간이 상기 흔드는 동작의 시간 구간을 포함하되 그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소리 신호의 원래 주파수인 기준 주파수의 소리 신호를 더 포함하기 때문이다. 소리 신호가 녹음되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에 주파수 천이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무의미한 구간의 정보는 편차 주파수(Δf) 계산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Since it is not clear in which time perio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shaking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is made,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may b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duration of the shaking operation. However,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preferably shorter as long as it includes the time interval of the shaking operation. This is because if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ncludes the time interval of the shaking operation, the longer the period, the longer the sound signal of the reference frequency which is the original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 section in which no frequency shift occur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during which a sound signal is recorded occurs. This meaningless section information may cause an error in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Δf.

따라서, 흔드는 동작의 발생 시점의 불명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 구간의 소리 데이터에 대해서 주파수 천이를 계산해야 하지만, 상기 주파수 천이 계산에서 상기 시간 구간 중에 흔드는 동작이 없는 무의미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기 위해서 상기 시간 구간을 더 작은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uncertainty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shaking motion, the frequency shift should be calculated for the sound data of a relatively long time interval, but in order not to consider the meaningless part of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motion is not shaken in the frequency transition calculation. The step of dividing the time interval into smaller zones can be made.

상기 4개의 서브 구역 각각의 소리 데이터에 대해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 Fourier Transform)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Radix-2 Cooley-Tukey FFT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Cooley-Tukey FFT 알고리즘을 대신하여 추가의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를 필요로 하지 않는 In-place FFT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In-Place FFT는 프로그램 내에서 반복(recursion) 알고리즘 대신에 루프(loop)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Cooley-Tukey FFT와 유사하다. Fourier transform is performed on the sound data of each of the four sub-zones. Here, an FFT (Fast Fourier Transform) capable of performing Discrete Fourier Transforms at high speed may be used. For example, the Radix-2 Cooley-Tukey FFT algorithm may be used. In addition, an In-place FFT algorithm may be used instead of the Cooley-Tukey FFT algorithm, which does not require additional buffer memory. In-Place FFT is similar to Cooley-Tukey FFT except that it uses a loop algorithm instead of a recursion algorithm in the program.

FFT 수행시에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나이퀴스트 레이트(Nyquist rate)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말기(10)의 왕복 움직임과 같은 흔드는 동작시에 제2단말기(21, 22, 23)에서 실제 측정되는 주파수의 크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보다 클 수 있기 때문이다. In performing the FFT, the sampling rate is preferably set higher than the Nyquist rat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This is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actually measured by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may be great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in the shaking operation such a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terminal 10.

예컨대, 3kHz의 기준 주파수를 갖는 소리 신호에 대해서는 샘플링 주파수는 8kHz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3kHz보다 큰 기준 주파수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8kHz보다 큰 샘플링 주파수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 sampling frequency of 8 kHz may be used for a sound signal having a reference frequency of 3 kHz. If a reference frequency greater than 3 kHz is used, a sampling frequency greater than 8 kHz is preferably used.

상기 4개의 서브 구역 각각의 소리 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변환으로 인해 주파수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서브 구역 각각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는 기준 주파수를 기준으로 정규화(normalize)된다. Sound data of each of the four sub-zones is converted into frequency data due to the above conversion. Frequency data for each of the subzones is normalized based on a reference frequency.

그 후, 서브 구역 각각에서 상기 정규화된 주파수 데이터의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 차이 값(Δf)이 계산된다. 그 다음, 상기 차이 값(Δf)이 0이 아닌 서브 구역 각각의 주파수 데이터를 합한다. 이때, 서브 구역 중 흔드는 동작이 없는 구간에서는 상기 Δf값은 0이 되므로 편차 주파수 계산에서 무시될 수 있다.Then, the frequency and reference frequency difference value Δf of the normalized frequency data in each of the subzones is calculated. Then, the difference value Δf sums the frequency data of each non-zero subzone. In this case, the Δf value becomes 0 in a section in which no shak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ubregion, and thus may be ignored in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주파수 차이 값이 0이 아닌 서브 구역의 주파수 데이터를 합산한 후 정규화하여 최종적으로 4초 시간 구간에 대한 소리 데이터의 편차 주파수(Δf)를 구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얻어진 편차 주파수(Δf)가 무시할 정도의 값인 경우에는 이를 무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편차 주파수(Δf)가 기준 주파수 크기의 10%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고 다음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단말기(10)에 의한 주파수 천이가 데이터 전송 등의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닌 미미한 움직임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에 의한 흔드는 동작이 해당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The frequency difference values of the non-zero sub-zones are summed and then normalized to finally obtain the deviation frequency Δf of the sound data for the 4-second time interval. In this case, when the finally obtained deviation frequency Δf is a negligible value, it may be ignored. For example, when the deviation frequency Δf has a magnitude less than 10% of the reference frequency magnitude, it may be ignored and the next procedure may not be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frequency shift by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due to a slight movement, not for the purpose of interaction such as data transmission. It is also because the shaking operation by the first terminal is not likely to be the target terminal.

다시 도3을 참조하여, 이렇게 획득된 편차 주파수(Δf)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로부터 각각 서버(30)에 전송된다 (S44). 이와 같은 서버(30)와의 통신은 제2단말기(21, 22, 23)의 통신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차 주파수(Δf)는 기준 주파수의 10%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thus obtained deviation frequency Δf is transmitted from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to the server 30, respectively (S44). Suc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3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In this case, the deviation frequency Δf may have a magnitude greater than or equal to 10% of the reference frequency.

상기 서버(30)는 소정 시간 동안에 수신된 편차 주파수(Δf)들의 크기를 비교한다. 예컨대, 상기 서버(30)는 최초로 편차 주파수(Δf)가 수신된 시점부터 5초 동안에 수신되는 편차 주파수(Δf)만을 고려할 수 있다. 서버(30)는 소정 시간 동안에 수신된 편차 주파수(Δf)의 크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편차 주파수(Δf)를 결정한다. 예컨대, 상기 서버(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1, 22, 23)로부터 전송된 편차 주파수들 중 가장 큰 편차 주파수(Δf)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말기(10)가 상기 제2단말기(21, 22, 23) 중 중앙의 제2단말기(22)를 대상으로 하여 흔드는 동작을 행하므로 상기 제2단말기(22)의 편차 주파수(Δf)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 The server 30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deviation frequencies Δf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server 30 may consider only the deviation frequency Δf received for 5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deviation frequency Δf is first received. The server 30 determines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Δf by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deviation frequencies Δf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server 30 may determine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Δf among the deviation frequencies transmitted from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erminal 10 shakes the second terminal 22 in the center of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the deviation frequency of the second terminal 22 ( It is likely that Δf) is determined to be the largest.

서버(30)는 상기 제2단말기(21, 22, 23)에 그 결과를 전송한다. 즉, 제2단말기(21, 22, 23) 중 중앙의 제2단말기(22)에게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음을 알리는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나머지 제2단말기(21, 23)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없음을 알리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명령 전달의 수단은 SMS(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단말기(22)의 상태를 데이터 수신 상태로 하는 어떠한 형태의 명령도 가능하다. The server 30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21, 22, 23. That is, the second terminal 22 in the middle of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transmits a command indicating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he remaining second terminals 21 and 23 may transmit a command indicating that data cannot be received. In this case, the means for delivering the command may be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In addition, any form of instruction for making the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22 a data reception state is possible.

이때, 서버(30)가 상기 제2단말기(21, 22, 23) 각각에 정확하게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버(30)는 어떤 편차 주파수(Δf) 값이 어떤 단말기에 속하는 것인지를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server 30 to correctly transmit a command to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the server 30 needs to know which deviation frequency value Δf belongs to which terminal. have.

제2단말기(21, 22, 23) 각각은 자신의 편차 주파수를 서버에 보낼 때 자신의 ID(Identification)를 함께 서버(30)에 보낼 수 있다. 이 ID는 서버(30) 접속 시에 상기 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 있다.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21, 22, and 23 may transmit its ID to the server 30 when sending its deviation frequency to the server. This ID may be provided from the server 30 when the server 30 is connected.

상기 명령 전달에 대응하여 상기 제2단말기(22)는 제1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S47). In response to the command transfer, the second terminal 22 receives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0 (S47).

이상에서는 제1단말기(10)가 제2단말기(2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은 제2단말기(22)에서 제1단말기(1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2) 사이의 상호작용은 파일 공유와 같은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first terminal 10 transmits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2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data transmission may be made from the second terminal 22 to the first terminal 10.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2 may include tasks such as file shar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사이에 간단히 이동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만으로 타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기 사이에서도 이동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만으로 컴퓨터 등에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상호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mutual operation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other mobile terminals by simply shaking the mobile terminals. In addition, eve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fixed terminal such as a computer, it is possible to perform mutual operations such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only shaking the mobile terminal.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대상 선택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실험에서 소리 신호 발생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로서 UMPC(Ultra Mobile PC)를 사용하였다. 소리 신호 발생 단말기의 흔드는 동작의 진폭은 대략 10cm이고 상기 흔드는 동작은 대략 1.5초 동안 3회 이루어졌다.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는 3kHz이고 수신 단말기의 샘플링 레이트는 8kHz이다. 이때, 두 개의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대상 선택의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상기 두 개의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대략 40cm이상인 경우에 그 대상 선택의 정확도가 거의 100%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accuracy of object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xperiment, UMPC (Ultra Mobile PC) was used as a sound signal generating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The amplitude of the shaking motion of the sound signal generating terminal was approximately 10 cm and the shaking mot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for approximately 1.5 seconds.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is 3 kHz and the sampling r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8 kHz. At this time, it is a graph showing the accuracy of the obj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erminals. From the graph,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erminals is about 40 cm or more, the accuracy of the object selection is almost 100%.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해서는 제1단말기(10)와 대상 단말기(22) 사이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이러한 거리는 제1단말기(10)에서 발생시키는 주파수의 크기, 움직임의 속도, 움직임의 방향, 및/또는 제2단말기(22)의 집음 능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대상 단말기(22) 주변에 다른 단말기(21, 23)가 위치하는 경우에 대상 단말기(22)에서 편차 주파수가 가장 큰 방향으로 제1단말기(10)를 흔드는 것이 요구된다.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target terminal 22. In this case, it is apparent that the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10, the speed of the movement,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 or the sound collecting ability of the second terminal 22. In addition, when the other terminals 21 and 23 are located around the target terminal 22, it is required to shake the first terminal 10 in the direction where the deviation frequency is the largest in the target terminal 22.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관측체 200: 발원체
10: 제1단말기 21, 22, 23: 제2단말기
30: 서버
100: observer 200: source
10: first terminal 21, 22, 23: second terminal
30: server

Claims (25)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집음기;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편차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의 발원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A sound collector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 processor for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발원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데이터 공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a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data sharing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편차 주파수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ransmitting the deviation frequency to a server and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server as to whether to perform the interaction, and performing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상기 소리 신호의 피크(peak)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erence frequency is a peak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최대의 차이 값으로서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viation frequency is,
And a maximum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크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 크기의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determined size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10% of the reference frequency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 기간을 소정 개수의 서브 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각의 서브 구역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차이값을 구하고, 및
상기 차이값이 0이 아닌 서브 구역 각각에서의 주파수값을 합한 후 정규화함으로써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Divide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zones,
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in each sub-zone, and
And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by normalizing the sum of frequency values in each of the non-zero subzones.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deviation frequency is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의 발원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Receiving a sound signal;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Performing interaction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viation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발원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데이터 공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said interaction comprise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sharing data with said originating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편차 주파수를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Performing the interaction includes:
Transmitting the deviation frequency to a serve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server as to whether to perform the interaction, and performing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상기 소리 신호의 피크(peak)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ference frequency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ak (peak)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pea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최대의 차이 값으로서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viation frequency is,
And a maximum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크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 크기의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edetermined siz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10% of the reference frequency siz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기간을 소정 개수의 서브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서브 구역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차이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0이 아닌 서브 구역 각각에서의 주파수값을 합한 후 정규화하여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is:
Divid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zones;
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in each sub-zone; And
And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by summing and then normalizing frequency values in each of the sub-zones whose difference is not equal to zero.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eviation frequency is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말기, 각각 집음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단말기를 흔드는 제1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단말기에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기준 주파수에 대한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중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갖는 제2 단말기 사이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간 무선 통신 방법.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terminal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each having a sound collector, and a server,
Generating a sound signal at the first terminal for a time period comprising a first time period for shaking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Calculating a devi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t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Perform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having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among the second terminal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발원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데이터 공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wherein said interaction comprise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data sharing with said originating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 고유의 ID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Before generating the sound signal,
Connecting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to a server; And
And providing a unique ID to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at the serv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이 상기 편차 주파수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편차 주파수 중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큰 편차 주파수를 갖는 제2 단말기에 상기 상호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fter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Each of the second terminals transmitting the deviation frequency to a server;
Determining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of the deviation frequencies received by the server; And
Transmitting a command to perform the interaction to a second terminal having the largest deviation frequenc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상기 소리 신호의 피크(peak)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reference frequency is a peak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최대의 차이 값으로서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deviation frequency is,
And a maximum difference value between a frequency of said sound signal and said reference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크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 크기의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predetermined magnitude is 10% of the reference frequency magnitud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소정 시간 기간을 소정 개수의 서브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서브 구역에서 상기 소리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기준 주파수 사이의 차이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0이 아닌 서브 구역 각각에서의 주파수값을 합한 후 정규화하여 상기 편차 주파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is:
Divid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ub-zones;
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sign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in each sub-zone; And
And calculating the deviation frequency by summing and then normalizing the frequency values in each of the sub-zones whose difference value is not zero.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 주파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deviation frequency is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KR1020110039552A 2011-04-27 2011-04-27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KR101221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52A KR101221327B1 (en) 2011-04-27 2011-04-27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52A KR101221327B1 (en) 2011-04-27 2011-04-27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36A KR20120121636A (en) 2012-11-06
KR101221327B1 true KR101221327B1 (en) 2013-01-11

Family

ID=4750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552A KR101221327B1 (en) 2011-04-27 2011-04-27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191A (en) * 2005-11-25 2007-05-30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Mobile device with sensing danger function and method for sensing unpxected danger sound on the mobile device
KR20090089674A (en) * 2008-02-19 2009-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of sound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191A (en) * 2005-11-25 2007-05-30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Mobile device with sensing danger function and method for sensing unpxected danger sound on the mobile device
KR20090089674A (en) * 2008-02-19 2009-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An apparatus of sound recogni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36A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0880B1 (en) Generating geofences
US11861621B2 (en) Payment risk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10019373A (en) Location determination
TW201134237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hree dimensional sound at a wireless device
EP2312726A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201302349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US10292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46434A1 (en) Generating geofences
JP2009085798A (en)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method for determining acquisition timing of positional information in the system, mobile terminal and server apparatus in the system, and program for mobile terminal and server apparatus
US1063730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19213488A5 (en)
CN10438083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peer-to-peer connection
KR201300121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ress book based on user relationship and record medium
KR10122132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oppler effect and terminal therefor
JP6512799B2 (en) POWER SUPPL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2422614B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device interaction
US106023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848122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ushing information and showing information
KR20150078757A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method for predicting moving route of device,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113426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743151B (en) Content push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erver
CN108663658B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KR20200108348A (en) Data transfer
KR201901189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in FMCW radar
JP6488243B2 (en) Providing feedback based on electronic devices located on the wireless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