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76B1 -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76B1
KR101220976B1 KR1020060070965A KR20060070965A KR101220976B1 KR 101220976 B1 KR101220976 B1 KR 101220976B1 KR 1020060070965 A KR1020060070965 A KR 1020060070965A KR 20060070965 A KR20060070965 A KR 20060070965A KR 101220976 B1 KR101220976 B1 KR 10122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conditioner
air
turne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0668A (en
Inventor
김재호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76B1/en
Publication of KR2008001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모드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여 냉방 모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악취 발생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컨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오프되었을 때 악취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에어컨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온/오프 판단단계와; 상기 에어컨 스위치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페이스 벤트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와;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에서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단계와;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내기모드일 경우에만 외기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와;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조케이스의 토출구측 공기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에 원 상태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for the vehicl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vehicle occupant by reducing the odor generation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oling mode is stopped by switching off the air conditioner in the operating state in the cooling mo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odor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ing an air conditioner switch on / off to determine whether it is off in an on state; A vent mod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Switching to a bi-level mode for switching to a bi-level mode when it is determined as a face vent mode in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An external mode switch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nal mode is the internal mode or the external mode 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After performing the external mode switching step, the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to return to the original mode when the slope of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0.

악취, 차량, 공기,조화, 제어 Od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타입중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으로, 증발기와 히터코어 유니트가 하나의 케이스내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unit are installed in one case in a semi-center mounting type of a gener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도 1의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에서 블로어 유니트와, 증발기와 히터코어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unit in the semi center mounting type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온도센서의 설치 위치와 템프도어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position of the temp door.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내기 모드를, (b)는 외기 모드를 나타낸 도면.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bet mode, (b) is a view of the outside air mo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럭도.6 is a control block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a,7b,7c,7d,7e,7f,7g,7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곡선으로 나타낸 그래프.7A, 7B, 7C, 7D, 7E, 7F, 7G, and 7H are graphs showing test resul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urve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막 대 그래프.Figure 8 is a bar graph showing th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제어수단50: control means

51 : 시동 스위치51: start switch

52 : A/C 스위치52: A / C switch

53 : 온도센서53: temperature sensor

54 :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 internal and external air switch door driving means

55 : 템프도어 구동수단55: temp door driving means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모드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여 냉방 모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악취 발생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turn off the air conditioner in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being operated, so that the odor gen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stat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일례로 블로어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피스 타입 공기조화장치가 있고, 다른 예로 블로어 유니트 및 증발기와 히터코어 유니트의 두 유니트가 서로 결합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블로어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for example, a three-piece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independently. There is a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and finally,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may be classified into a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조화장치중 증발기와 히터코어가 하나의 케이스내에 설치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23), 페이스벤트(24), 플로벤트(25)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22)와 각 벤트(23)(24)(25)들을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유로(21)를 갖는 공조케이스(20)와,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유로(21)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26) 및 히터코어(27)와, 상기 증발기(26)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히터코어(27)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템프도어(28) 및 상기 히터코어(27)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 실내의 특정위치와 연동하는 각 덕트(미도시)를 선택적으로 배분하여 유도하는 다수의 모드도어(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in one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frost vent 23, a face vent 24, and a flow vent 25 are formed and have a flow passage 21 therein to communicate the air inlets 22 and the respective vents 23, 24, 25. An air conditioner 20, an evaporator 26 and a heater core 27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air passage 2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and air blown through the evaporator 26 may include a heater core ( A plurality of mode doors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and inducing each of the ducts (not shown) that selectively interlock the temporal door 28 and the air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27 with a specific position in the vehicle interior. It is comprised including 29.

한편, 상기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와 히터코어 유니트(30)에 별도로 결합되는 블로어 유니트(6)가 구비되는데, 이 블로어 유니트(6)는 블로어 유니트(6)의 블로어 모터(6a')에 의해 회전되는 블로어 휠(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송풍력으로 내외기 전환도어(6d)의 전환에 의해 내외기 도입구(6b)(6c)중 어느 하나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가 전술한 도 1의 공기유입구(22)로 유입되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lower unit 6 that is separately coupled to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unit 30, and the blower unit 6 is a blower. Any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s 6b and 6c by switch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switching doors 6d with the blowing force generated by the blower wheel (not shown) rotated by the blower motor 6a 'of the unit 6. Through one of the bets or outside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22 of FIG.

전술한 설명에서 일례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 뿐만 아니라 쓰피피스 타입의 공기조화장치 및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 점이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a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 addition to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the spigot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are as follows. I have the same problem.

즉, 봄, 여름, 가을에 냉방 모드를 실시할 경우 통상 낮은 온도로 유지되므로, 증발기의 표면에는 그 주위의 포화증기압이 낮아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증발기 코어에는 높은 습도에서 서식할 수 있는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를 냉방 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실내로 토출되는 악취가 냉기에 희석되어, 탑승자가 악취를 잘 느끼지 못하나, 냉방 모드가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오프후 특정 시점에서 탑승자는 악취를 느낄뿐만 아니라, 이 악취가 실내로 토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 강도가 증가하게 되어 차량 탑승자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ooling mode is performed in the spring, summer, and autumn, the temperature is generally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herefore, condensed water is often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due to the low saturated steam pressure around the evaporator. The evaporator core is often inhabited by various bacteria or fungi that can live at high humidity. 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witched to the cooling mode, the odor discharged into the room is diluted with cold air,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feel the odor well, but the passenger feels the odor at a specific time after turning off the cooling mo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such that a long time the odor is discharged to the room is increased, the odor intensity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satisfaction of the vehicle occupan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냉방모드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여 냉방 모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악취 발생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turning off the air conditioner switch in the operating state in the cooling mod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odor in the cooling mode is stopped state as possible to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vehicle occupa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컨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오프되었을 때 악취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에어컨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온/오프 판단단계와; 상기 에어컨 스위치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페이스 벤트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와;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에서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단계와;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내기모드일 경우에만 외기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와;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조케이스의 토출구측 공기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에 원 상태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odor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in the off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in the on state; Determining an air conditioner switch on / off; A vent mod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Switching to a bi-level mode for switching to a bi-level mode when it is determined as a face vent mode in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An external mode switch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nal mode is the internal mode or the external mode 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After performing the external mode switching step, the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to return to the original mode when the slope of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0.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온도센서의 설치 위치와 템프도어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내기 모드를, (b)는 외기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럭도이며, 도 7a,7b,7c,7d,7e,7f,7g,7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곡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막대 그래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and position of the temp door,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semi-center mounting typ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bet mode, (b) is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7B, 7C, 7D, 7E, 7F, 7G, and 7H are graphs showing a test resul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ar graph illustrating a test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related art.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가(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face vent mode is in operation.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 단계(S2-2)를 진행하지 않고,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to switch to the bi-level mode without proceeding to step (S2-2) Proce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 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the control means 50 finally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current bet mode or the outdoor mode.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단계(S5,S6)를 진행하지 않고,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공조케이스의 토출구측 공기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roceed with steps S5 and S6, an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ection is completed and no longer occurs (S7), the home mode return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bet mode and the vent mode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차량의 냉동싸이클이 작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에어컨 스위치(52)를 온시키면, 증발기(26)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혀있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더라도 증발기(26)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곰팡이등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결합되어 악취를 더욱 부추키게 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to operat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vehicle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condensate form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and the condensate is evaporator 26 even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t is combined with the factors that cause bad odor, such as mold inhabiting the surface of), which further induces bad odor.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53)는 출구측에 해당되는 벤트(23)(24)(25)중 바람직하게는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온도센서(53)를 설치하는 이유는 악취 발생이 온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Here, the temperature sensor 53 may be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of the vents 23, 24 and 25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ide.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odor. This is because occurrence is temperature related.

상기 제어수단(50)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페이스 벤트 모드인 경우에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토출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차량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악취 저감 모드를 실시한다.The control means 50 switches to the bi-level mode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ace and the foot in the case of the face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occupant's face from the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mplement the odor reduction mode to switch to the outside air mode to introduce a.

따라서, 본 발명은 내기 모드에서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보다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더욱 신선하기 때문에 악취를 희석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lute the odor because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is fresher tha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door mode.

아울러,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여 벤트 모드시 얼굴쪽으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지 않고,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악취를 느끼는 정도를 반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the odo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face in the vent mode, but is divided into the face and the foot so that the odor is discharged so that the passenger feels the odor.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a),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there was.

여기서, 도 7(a)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a),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is a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and the pink curve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65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65초 부터 77초가 되는 △12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increases until 65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12 seconds from 65 seconds to 77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이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특정 시점인 65초 경과후부터는 온도 상승의 변화의 기울기가 0이기 때문에, 제어수단은, 더 이상 악취가 발생하는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 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Then, since the slope of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rise is 0 after the elapse of 65 seconds, which is a specific time from the off time of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the control means judges that it is no longer a condition in which odor occurs, and thus the bet mode which is the original mode and Proceed with the return to the original mode to return to the vent mode (S8).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1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0.5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0.5 (see FIG. 8).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단계(S2-2)를 진행하지 않고,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bi-level mode switch step (S2-3) to switch to the bi-level mode without proceeding to step (S2-2) Proce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sinc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finally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다음으로,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 후, 블로어 모터(6a')를 구동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는 풍량증가단계(S5)를 진행한다.Next, after the air mode switching step S4 is performed, the air volume increasing step S5 for driving the blower motor 6a 'to increase the air volume is performed.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단계(S6)를 진행하지 않고,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roceed to step S6, and i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at is,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d and no longer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7), the process returns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mode, and also proceeds to the original mode return step of stopping the drive of the blower motor 6a '(S8).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차량의 냉동싸이클이 작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에어컨 스위치(52)를 온시키면, 증발기(26)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혀있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더라도 증발기(26)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곰팡이등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결합되어 악취를 더욱 부추키게 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to operat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vehicle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condensate forms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and the condensate is evaporator 26 even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t is combined with the factors that cause bad odor, such as mold inhabiting the surface of), which further induces bad odor.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54)는 출구측에 해당되는 벤트(23)(24)(25)중 바람직 하게는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온도센서(53)를 설치하는 이유는 악취 발생이 온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Here, the temperature sensor 54 may be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of the vent 23, 24, 25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ide,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odor This is because occurrence is temperature related.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7 (b),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gradually dropped while drawing a gentle curve. Could know.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측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48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48초 부터 54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o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48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from 48 seconds to 54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페이스 벤트 모드인 경우에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토출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차량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풍량을 증가시키는 악취 저감 모드를 실시한다.In this state, the control means 50 switches to the bi-level mode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ace and the foot in the case of the face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occupant's face from the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n order to switch to the outside air mode to introduce outside air, and to reduce the odor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따라서, 본 발명은 내기 모드에서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보다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더욱 신선하기 때문에 악취를 희석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lute the odor because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 is fresher than the air circulating in the indoor mode.

아울러, 외기 모드를 실시함과 아울러 풍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증발기(26)의 표면은 응축수가 존재하지 않은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volume is increased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can maintain a dry state in which no condensed water exists.

그리고,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여 벤트 모드시 얼굴쪽으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지 않고,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악취를 느끼는 정도를 반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the odo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face in the vent mode, but is divided into the face and the foot so that the odor is discharged so that the passenger feels the odor.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b),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there was.

여기서, 도 7(b)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b),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is a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and the pink curve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48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48초 부터 54초가 되는 △6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48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6 seconds from 48 seconds to 54 seconds, which is an elapsed time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이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특정 시점인 48초 경과후부터는 온도 상승의 변화의 기울기가 0이기 때문에, 제어수단은, 더 이상 악취가 발생하는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Thereafter, since the slope of the change in temperature rise is 0 from the time of turning off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after 48 seconds, which is a specific time point,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that it is no longer a condition in which odor is generated, and thus the bet mode and the original mode In addition to returning to the vent mode, the flow returns to the original mode for stopping the drive of the blower motor 6a '(S8).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2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one (see FIG. 8).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단계(S2-2)를 진행하지 않고,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bi-level mode switch step (S2-3) to switch to the bi-level mode without proceeding to step (S2-2) Proce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sinc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finally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이후, 제어수단(50)은 단계(S5)를 수행하지 않고, 템프도어 구동수단(55)에 전류를 인가하여 템프도어(28)를 구동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가 히터코어(27)를 경유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템프도어 개도량 증가단계(S6)를 진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erform step S5, but applies a current to the temporal driving means 55 to drive the temporal door 28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is heated. The temporal opening amount increasing step S6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temporal opening amount via the core 27.

여기서, 상기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은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mporal drive means 55 preferably uses a drive motor.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온도센서(54)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템프도어(28)의 개도량을 줄여 히터코어(27)의 전방 통로를 막도록 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when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4 is zero, the control means 50,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 and no longer occurs (S7), In addition to returning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mode, the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to reduce the opening amount of the temporal door 28 to block the front passage of the heater core 27 is performed.

즉,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c),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there was.

여기서, 도 7(c)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c),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shows the change of the room temperatur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and the pink curve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used.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56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56초 부터 64초가 되는 △8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56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n interval of 8 seconds from 56 seconds to 64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상기와 같은 제3 실시예는 벤트 모드에서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외기모드로 전환하고,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로 이루어지는 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가 더 추가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vent mode to the bi-level mode and to the outside air mode, and to increase the open amount of the temp door. Incremental mode has been added.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다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을 구동시켜 템프도어(28)를 위치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를 히터코어(27)로 유동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면, 히터코어(27)로는 항상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고온인 상태로 통과하기 때문에, 이 히터코어(27)의 주변에는 고온의 열이 생성되며, 이 고온의 열은 증발기(26)측으로 전달되어, 증발기(26)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를 증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6)의 표면은 빠른 시간내에 건조 상태로 되어 악취 발생 요인이 제거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by positioning the temp door 28 by driving the temp door driving means 55 is heated by the heater core 27. When the amount of temporal opening is increased so that the flow rate increases, the hot water is generated around the heater core 27 because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engine always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27 at a high temperature. This high temperature heat is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26 side to evaporat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is dried quickly and the odor generation factor is removed.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3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third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one (see FIG. 8).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단계(S2-2)를 진행하지 않고,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bi-level mode switch step (S2-3) to switch to the bi-level mode without proceeding to step (S2-2) Proce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sinc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finally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다음으로,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 후, 블로어 모터(6a')를 구동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는 풍량증가단계(S5)를 진행한다.Next, after the air mode switching step S4 is performed, the air volume increasing step S5 for driving the blower motor 6a 'to increase the air volume is performed.

이후, 템프도어 구동수단(55)에 전류를 인가하여 템프도어(28)를 구동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가 히터코어(27)를 경유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템프도어 개도량 증가단계(S6)를 진행한다.Afterwards, a temp is applied to the temporal drive unit 55 to drive the temporal door 28 to increase the temporal opening amount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27. The door opening amount increasing step S6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은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mporal drive means 55 preferably uses a drive motor.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며, 템프도어(28)의 개도량을 줄여 히터코어(27)의 전방 통로를 막도록 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when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e control means 50,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 and no longer occurs (S7),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bet mode and the vent mode, the blower motor 6a 'stops driving, and reduces the opening amount of the temporal door 28 to block the front passage of the heater core 27. Proceed to step (S8).

상기와 같은 제4 실시예는 벤트 모드에서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와, 풍량을 증가시키는 모드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러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악취가 발생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mode for switching from the vent mode to the bi-level mode, a mode for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emporal opening, and a mode for increasing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generation of odor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즉,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d),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of about 3 minutes. there was.

여기서, 도 7(d)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d),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indicates the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nk curve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41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41초 부터 46초가 되는 △5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41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5 seconds from 41 seconds to 46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4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2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1.2 (see FIG. 8).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상승 판단단계(S2-2)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temperature rise determination step (S2-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rises do.

상기 온도상승 판단단계(S2-2)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temperature rising determination step S2-2,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for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is perform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 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the control means 50 finally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currently in the betting mode or the outside mode.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단계(S5,S6)를 진행하지 않고,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roceed with steps S5 and S6, and if the inclina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at is,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d and no more. If it is determined that no occurrence has occurred (S7), the home mode return step of returning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is the original mode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제5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차량의 냉동싸이클이 작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에어컨 스위치(52)를 온시키면, 증발기(26)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혀 있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더라도 증발기(26)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곰팡이등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결합되어 악취 발생을 더욱 부추키게 된다.When the air conditioning switch 52 is turned on to operat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vehicle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condensed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and the condensed water is evaporator 26 even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t is combined with the factors that cause bad odor, such as mold inhabiting the surface of), which further induces bad odor.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53)는 출구측에 해당되는 벤트(23)(24)(25)중 바람직하게는 페이스 벤트(24)측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온도센서(53)를 설치하는 이유는 악취 발생이 온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Here, the temperature sensor 53 may be installed at the face vent 24 side of the vents 23, 24 and 25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ide.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Odor generation is related to temperature.

상기 제어수단(50)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온도센서(5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페이스 벤트 모드인 경우에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토출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차량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모드로 전화되도록 하는 악취 저감 모드를 실시한다.The control means 5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3 indicating that the temperature is rising from the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and the face is in the face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ace of the occupant. The odor reduction mode is performed to switch to the bi-level mode that is bisected and discharged to the side and the foot, and to switch to the outside air mode for introducing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이렇게 되면, 내기 모드에서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보다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더욱 신선하기 때문에 악취를 희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odor may be diluted because fres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fresher than air circulating in the indoor mode.

아울러,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여 벤트 모드시 얼굴쪽으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지 않고,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희석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악취를 느끼는 정도를 반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the odo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face in the vent mode, and the odor diluted by dividing into the face and the foot is discharged so that the passenger feels the odor.

즉,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가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e),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there was.

여기서, 도 7(e)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e), the blue curve locat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lue line is a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nk curv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positioned on the basis of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yellow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113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113초 부터 133초가 되는 △20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113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the section of Δ20 seconds, which becomes 133 seconds from 113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time of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 온도센서(53)에서 검출된 온도 상승의 변화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113초 부터 133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 경우에, 제어수단(50)은 더 이상 악취가 발생하는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복귀 단계를 진행한다.(S8)Thereafter,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the interval of 113 seconds to 133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has elapsed since the time of turning off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n this case, the control means 50 determines that it is no longer a condition in which odor occurs and proceeds to the original state return step of returning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state.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5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fifth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one (see FIG. 8).

<제6 실시예>Sixth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상승 판단단계(S2-2)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temperature rise determination step (S2-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rises do.

상기 온도상승 판단단계(S2-2)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temperature rising determination step S2-2,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for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is perform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 mode, the outside air mode is switched to the outside air mode by driving the outdoor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Proceed to step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sinc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finally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다음으로,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 후, 블로어 모터(6a')를 구동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는 풍량증가단계(S5)를 진행한다.Next, after the air mode switching step S4 is performed, the air volume increasing step S5 for driving the blower motor 6a 'to increase the air volume is performed.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단계(S6)를 진행하지 않고,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roceed to step S6, and i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at is,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d and no longer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7), the process returns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mode, and also proceeds to the original mode return step of stopping the drive of the blower motor 6a '(S8).

상기와 같은 제6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차량의 냉동싸이클이 작동하여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에어컨 스위치(52)를 온시키면, 증발기(26)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혀 있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더라도 증발기(26)의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곰팡 이등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결합되어 악취 발생을 더욱 부추키게 된다.When the air conditioning switch 52 is turned on to operate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vehicle to discharge cold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condensed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and the condensed water is evaporator 26 even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It is combined with the factors that cause odor, such as mold inhabiting the surface of the), which further induces odor.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53)는 출구측에 해당되는 벤트(23)(24)(25)중 바람직하게는 페이스 벤트(24)측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온도센서(53)를 설치하는 이유는 악취 발생이 온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Here, the temperature sensor 53 may be installed at the face vent 24 side of the vents 23, 24 and 25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ide.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Odor generation is related to temperature.

상기 제어수단(50)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온도센서(5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벤트 모드인 경우에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토출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차량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풍량을 증가시키는 악취 저감 모드를 실시한다.The control unit 5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3 indicating that the temperature is rising from the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and the face and the face unit in the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ace of the occupant. In addition to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which is bilaterally discharged to the foot, and to the external air mode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 odor reduction mode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s performed.

이렇게 되면, 내기 모드에서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보다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더욱 신선하기 때문에 악취를 희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odor may be diluted because fres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fresher than air circulating in the indoor mode.

아울러,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여 벤트 모드시 얼굴쪽으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지 않고, 얼굴과 발쪽으로 양분되어 희석된 악취가 토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악취를 느끼는 정도를 반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the odo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face in the vent mode, and the odor diluted by dividing into the face and the foot is discharged so that the passenger feels the odor.

그리고, 풍량을 증가시키는 모드를 실시하게 되면, 증발기(26)의 표면은 응축수가 존재하지 않은 건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n, when the mode to increase the air volume,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is maintained in a dry state in which no condensed water is present.

즉,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가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f),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on for about 3 minutes,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there was.

여기서, 도 7(f)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f), the blue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indicates the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nk curve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yellow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94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94초 부터 110초가 되는 △16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94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16 seconds from 94 seconds to 110 seconds, which is an elapsed time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 온도센서(53)에서 검출된 온도 상승의 변화가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94초 부터 110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 경우에, 제어수단(50)은 더 이상 악취가 발생하는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는 원상태 복귀 단계를 진행한다.(S8)Thereafter,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the interval of 94 seconds to 110 seconds, the time elapsed when the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has elapsed since the time of turning off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n this case, the control means 50 determines that it is no longer a condition in which odor occurs, and returns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mode, and also proceeds to the original state return step of stopping the drive of the blower motor 6a '. (S8)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6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3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during the cooling mode in the bet mode, the odor intensity can be reduced by 1.3 (see FIG. 8).

<제7 실시예>Seventh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상승 판단단계(S2-2)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temperature rise determination step (S2-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rises do.

상기 온도상승 판단단계(S2-2)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temperature rising determination step S2-2,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for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is perform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 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the control means 50 finally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current bet mode or the outdoor mode.

이후, 제어수단(50)은 단계(S5)를 수행하지 않고, 템프도어 구동수단(55)에 전류를 인가하여 템프도어(28)를 구동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가 히터코어(27)를 경유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템프도어 개도량 증가단계(S6)를 진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means 50 does not perform step S5, but applies a current to the temporal driving means 55 to drive the temporal door 28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is heated. The temporal opening amount increasing step S6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temporal opening amount via the core 27.

여기서, 상기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은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mporal drive means 55 preferably uses a drive motor.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템프도어(28)의 개도량을 줄여 히터코어(27)의 전방 통로를 막도록 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when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e control means 50,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 and no longer occurs (S7), In addition to returning to the bet mode and the vent mode, which are the original mode, the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to reduce the opening amount of the temporal door 28 to block the front passage of the heater core 27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제7 실시예는 벤트 모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로 이루어져 있는 바, 전술한 제5 실시예에 비해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가 더 추가된 것이다.In the seven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vent mode, the mode is switched to the bi-level mode, the external air mode, and the temporal opening amou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is, a mode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temp door opening has been added.

이러한 제7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을 구동시켜 템프도어(28)를 위치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를 히터코어(27)로 유동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면, 히터코어(27)로는 항상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고온인 상태로 통과하기 때문에, 이 히터코어(27)의 주변에는 고온의 열이 생성되며, 이 고온의 열은 증발기(26)측으로 전달되어, 증발기(26)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를 증발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by positioning the temporal door 28 by driving the temporal driving unit 55 is heated by the heater core 27. When the amount of temporal opening is increased so that the flow rate increases, the hot water is generated around the heater core 27 because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engine always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27 at a high temperature. This high temperature heat is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26 side to evaporat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따라서, 증발기(26)의 표면은 빠른 시간내에 건조 상태로 되어 악취 발생의 요인이 제거된다.Therefore,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6 becomes dry quickly, and the cause of a bad smell is eliminated.

즉,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g),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bout 3 minutes. there was.

여기서, 도 7(g)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g),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is a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and the pink curve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97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97초 부터 111초가 되는 △14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97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14 seconds from 97 seconds to 111 seconds, which is the time elapsed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7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2만 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while the cooling mode is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1.2 times (see FIG. 8).

<제8 실시예>Eigh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50)은, 시동 스위치(51)가 온되어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사용자에 의해 에어컨 스위치(52)가 온된 상태(S1)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다가 다시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판단단계(S2)를 진행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means 50 maintain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S1) by the vehicle user while the start switch 51 is turned on and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again. The air conditioner switch determination step S2 of determining whether 52 is turned off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수단(50)은 상기 에어컨 스위치(52)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페이스 벤트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다.In the abo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control means 50 proceeds to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vent switch is in the face vent mode.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S2-1)를 진행한 후,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승하는지를 판단하는 온도상승 판단단계(S2-2)를 진행한다.After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S2-1)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vent mode, the temperature rise determination step (S2-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rises do.

상기 온도상승 판단단계(S2-2)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진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temperature rising determination step S2-2,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for switching to the bilevel mode is performed.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S2-3)를 수행한 후, 내기모드인지 외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S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S3).

상기 단계(S3)의 판단 결과, 내기 모드일 경우에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켜 외기 도입구(6c)가 개방되도록 외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 as shown in FIG. 5 only in the betting mode,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so as to open the outside air inlet 6c by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Proceed to (S4).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엔진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현재 차량 상태 가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Her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vehicle state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while the engine is running.

즉, 내외기 전환도어(6d)를 구동시키는 내외기전환 도어 구동수단(54)으로서 구동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와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 모터로 인가된 전류 신호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제어수단(50)은 최종적으로 내외기 전환도어 구동수단(54)에 인가된 제어 정보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is used as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for driving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6d,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when switching to the betting mode and when switching to the outside air mode is desired. Due to the different signals, since the control means 50 recognizes the control information finally applied to the internal / external air switching door driving means 54,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in the bet mode or the outside mode.

다음으로,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S4)를 진행한 후, 블로어 모터(6a')를 구동시켜 풍량을 증가시키는 풍량증가단계(S5)를 진행한다.Next, after the air mode switching step S4 is performed, the air volume increasing step S5 for driving the blower motor 6a 'to increase the air volume is performed.

이후, 템프도어 구동수단(55)에 전류를 인가하여 템프도어(28)를 구동시켜 증발기(26)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가 히터코어(27)를 경유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템프도어 개도량 증가단계(S6)를 진행한다.Afterwards, a temp is applied to the temporal drive unit 55 to drive the temporal door 28 to increase the temporal opening amount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6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27. The door opening amount increasing step S6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템프도어 구동수단(55)은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mporal drive means 55 preferably uses a drive motor.

마지막으로, 제어수단(50)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 부언하면 온도 변화의 변곡이 완료되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7), 원상태 모드인 내기 모드 및 벤트 모드로 복귀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터(6a')의 구동을 정지하며, 템프도어(28)의 개도량을 줄여 히터코어(27)의 전방 통로를 막도록 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한다.(S8)Finally, when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s zero, the control means 50,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ec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is complete and no longer occurs (S7), Returning to the original mode bet mode and the vent mode, the blower motor 6a 'stops driving, and reduces the opening amount of the temporal door 28 to block the front passage of the heater core 27. Proceed to step (S8).

상기와 같은 제8 실시예는 벤트 모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벤트 모드에서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모드와, 풍량을 증가시키는 모드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러한 제8 실시예에 따르면, 악취가 발생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In the eigh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vent mode, the vent mode is switched to the bi-level mode, the external air mode is set, and the temporal opening amount is increased, and the air volum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occurrence factor of odor.

즉,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스위치(52)를 일정 시간인 대략 3분 동안 온 상태에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하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h),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gradually decreases while drawing a curve whil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of about 3 minutes. there was.

여기서, 도 7(h)에서 3분(180초) 지점에 수직으로 그어진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노란색 곡선은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최하부에 위치한 분홍색 곡선은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벤트측 토출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내온도 변화곡선과 벤트측 토출온도 변화 곡선 사이에 위치한 파란색 곡선은 외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Here, in FIG. 7 (h), the yellow curve located at the top of the line based on the dotted line perpendicular to the point 3 minutes (180 seconds) indicates the change i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pink curve at the bottom thereof is located at the temperature sensor 53. The change in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above is shown, and the blue curve loc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change curve and the vent side discharge temperature change curve indicates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에어컨 스위치(52)를 오프시키게 되면, 페이스 벤트(24)내에 설치된 온도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96초 경과할때까지 상승한 후, 에어컨 스위치(52)의 오프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인 96초 부터 108초가 되는 △12초 구간에서는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제로(0)가 된다. 이후부터는 온도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3 installed in the face vent 24 rises until 96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air conditioner switch 52 is turned off, The slope of the temperature change becomes zero (0) in a section of 12 seconds from 96 seconds to 108 seconds, which is the elapsed time since the switch 52 is turned off. After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gain.

따라서, 내기 모드로 냉방 모드를 진행하던 중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였을때 탑승자가 느끼는 냄새 강도를 종래보다 제8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1.3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eighth embodiment, the odor intensity felt by the occupant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bet mode can be reduced by 1.3 (see FIG. 8).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모드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 에서 에어컨 스위치를 오프하여 냉방 모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악취 발생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to the vehicle occupant by turning off the air conditioner switch in the state of operating in the cooling mode to shorten the odor occurrence time as much as possi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oling mode is stopped. do.

아울러, 본 발명은 발생되는 악취의 토출구를 탑승자의 발쪽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smell by dispersing the discharge outlet of the odor generated to the foot of the occupant.

Claims (4)

에어컨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오프되었을 때 악취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odor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in the off state, 에어컨 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서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에어컨 스위치 온/오프 판단단계와;Determining an air conditioner switch on / off to determine whether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in an on state; 상기 에어컨 스위치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페이스 벤트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벤트모드 판단단계와;A vent mod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ff; 상기 벤트모드 판단단계에서 페이스 벤트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하는 바이레벨 모드로 전환단계와;Switching to a bi-level mode for switching to a bi-level mode when it is determined as a face vent mode in th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바이레벨 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내기 모드인지 외기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내기모드일 경우에만 외기모드로 전환하는 외기모드 전환단계와;An external mode switch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nal mode is the internal mode or the external mode after performing the bi-level mode switching step;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를 수행한 후,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조케이스의 토출구측 공기 온도 변화의 기울기가 0인 경우에 원 상태 모드로 복귀하는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After performing the external air mode switching step, the vehicle air, including the original mode return step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mode when the inclination of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0 Control method of harm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페이스 벤트모드 판단단계를 진행한 후,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상승하는 지를 판단하는 온도상승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And a temperature ris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ises after the face vent mode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원상태 모드 복귀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블로어 모터를 구동시켜 풍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풍량증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And a wind volume increasing step of driving a blower motor to increase the air volume after the outside air mode switching step and before the return to the original mode mode step.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외기모드 전환단계를 진행한 후, 상기 원상태 복귀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템프도어를 구동시켜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중의 일부가 히터코어를 경유하도록 템프도어 개도량을 증가시키는 템프도어 개도량 증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After the external air mode switching step, the temp door opening amount increasing step of increasing the temporal opening amount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before driving the temporal return step.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60070965A 2006-07-27 2006-07-27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220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965A KR101220976B1 (en) 2006-07-27 2006-07-27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965A KR101220976B1 (en) 2006-07-27 2006-07-27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668A KR20080010668A (en) 2008-01-31
KR101220976B1 true KR101220976B1 (en) 2013-01-11

Family

ID=3922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965A KR101220976B1 (en) 2006-07-27 2006-07-27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3850B (en) * 2021-09-03 2023-06-2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Automatic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 air conditio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649B1 (en) * 1995-12-19 1998-08-01 김태구 Humidity defrosting method & device in the duct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9990027015U (en) * 1997-12-22 1999-07-15 정몽규 Air conditioner of vehicle with odor removal function
KR100534896B1 (en) 2003-08-28 2005-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isture removing system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649B1 (en) * 1995-12-19 1998-08-01 김태구 Humidity defrosting method & device in the duct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9990027015U (en) * 1997-12-22 1999-07-15 정몽규 Air conditioner of vehicle with odor removal function
KR100534896B1 (en) 2003-08-28 2005-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isture removing system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668A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9143B2 (en) Air conditioner
CN108698487B (en) System for preventing and removing smell generated in vehicle
JP200424997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618113B2 (en) Air conditioner
KR10122097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222506B1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or fogging prevention
WO2000007836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40055628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125312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187224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20050023480A (en) Moisture removing system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35040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JP5447414B2 (en) Air conditioner
KR10203225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ent diffusion of the same
KR20100022772A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ut-off temperature of compressor of air conditioner in vehicle
JP637211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90106691A (en) Air conditioner interlocked with navigation and method for drying evaporator using navigation
JP588468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03509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conditioner of vehicles
KR101511507B1 (en) Temperature door control method of Air-conditining system for vehicle
KR201300393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of vehicle
JPS59160645A (en) Dew-condensation preventer for outside of window glass of vehicle
KR20030052302A (en) Evaporator heating device and it&#39;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system
KR200356259Y1 (en) Cleaner for air conditioner of car
JPS6010891Y2 (en) Auto air conditioner outle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