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754B1 -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754B1
KR101220754B1 KR1020100135487A KR20100135487A KR101220754B1 KR 101220754 B1 KR101220754 B1 KR 101220754B1 KR 1020100135487 A KR1020100135487 A KR 1020100135487A KR 20100135487 A KR20100135487 A KR 20100135487A KR 101220754 B1 KR101220754 B1 KR 10122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in
stand
inclined surfa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663A (ko
Inventor
이환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36Devices for emptying from the top
    • B65G65/38Mechanic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3Drives; Auxiliary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어 저장물을 저장 또는 분출하는 빈의 출구에 설치되어 저장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1호퍼; 제1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호퍼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2호퍼; 및 제1호퍼와 제2호퍼를 상대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ADHERENT ORE REMOVING APPARATUS OF BIN}
본 발명은 원료 또는 연료 등의 저장물을 저장 또는 분출하는 빈에 부착되는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는 원료 또는 연료 등의 저장물을 공급, 저장 또는 분출하기 위한 시설로 빈(bin)을 갖추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빈에 부착광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러한 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에 설치된 스탠드(1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빈(10)은 다수의 판재들을 연결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장물을 분출하는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빈의 출구에는 저장물의 분출을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호퍼(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빈(10)에 저장된 저장물이 자중에 의해 압착되거나 비산먼지 방지를 위한 살수 대기의 수분 등을 흡수함에 따라 빈(10)의 표면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빈(10)으로부터 저장물의 분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빈(10)에 저장물이 부착될 경우, 빈(10)의 저장 용량을 저감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저장물의 저장을 위한 빈(10)의 설치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빈(10)의 내부에 저장물의 부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분자 라이너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부착광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빈(10)의 내측에 부착광(P)이 부착될 경우, 고압의 공기가 부착광(P)으로 직접 분사될 수 없고, 이에 따라 고압의 공기로 부착광(P)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빈(P)의 표면에 부착된 고분자 라이너는 부착광(P)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분자 라이너가 손상된 부분에 부착광(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빈(10)은 구조상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에는 고분자 라이너를 형성할 수 없고, 이러한 연결부에 부착광(P)이 형성되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빈의 하부구조를 회전가능하도록 개선하여 빈에 부착된 부착광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어 저장물을 저장 또는 분출하는 빈의 출구에 설치되어 저장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1호퍼; 제1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호퍼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2호퍼; 제1호퍼와 제2호퍼를 상대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 및 제2호퍼의 내측면에 원주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제2호퍼는 스탠드의 일측 또는 제1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삭제
제1구동부는 제2호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와, 제1기어부와 치합되며 제2호퍼를 회전시키는 제1주동기어가 구비된 제1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는 제1호퍼 또는 스탠드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호퍼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3호퍼와, 제2호퍼와 제3호퍼를 상대회전 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호퍼는 스탠드의 일측 또는 제2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구동부는 제3호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와, 제2기어부와 치합되며 제3호퍼를 회전시키는 제2주동기어가 구비된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는 제2호퍼 또는 스탠드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는 제3호퍼를 제2호퍼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빈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퍼가 회전함에 따라 빈의 출구에 부착된 부착광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빈에 부착광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일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빈(110)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제1호퍼(120), 제2호퍼(130), 제1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빈(110)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빈(110)의 출구에 설치되어 자중 또는 습기 등에 의해 빈의 출구에 부착된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다.
빈(110)은 원료 또는 연료 등의 저장물을 저장 또는 보관하거나, 필요시 적정량을 분출하기 위한 장치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저장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빈(110)은 작업면에 설치된 스탠드(112) 상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저장물이 공급되고, 하부에는 저장물을 분출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호퍼(120)는 출구에 설치되어 저장물의 분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호퍼(120)는 저장물을 안쪽으로 모아서 분출할 수 있도록 출구단면적을 좁히는 경사면을 갖는다.
그리고, 제1호퍼(120)의 하부에는 제1호퍼(120)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2호퍼(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호퍼(130)는 제1호퍼(120)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며, 제2호퍼(130)의 경사면은 제1호퍼(120)의 경사면의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내측으로 단턱져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호퍼(130)는 제1호퍼(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호퍼(130)는 상단부에 플랜지부(13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32)가 스탠드(112)상에서 돌출된 돌출구조물(114)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돌출구조물(114)은 스탠드(112)에서 돌출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판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플랜지부(132)와 돌출구조물(114) 사이에는 제2호퍼(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134)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빈(110)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제1호퍼(120)와 제2호퍼(130)를 상대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1호퍼(120)는 빈(110)의 출구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제2호퍼(130)가 제1호퍼(120)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부(140)는 제2호퍼(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기어부(142)와 치합되는 제1주동기어(146)가 구비된 제1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주동기어(146)는 제1모터(144)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기어부(142)와 치합됨으로써 제1모터(144)의 회전시 제2호퍼(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모터(144)는 스탠드에(122) 설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2호퍼(130)를 지지하도록 스탠드(112)에 설치된 돌출구조물(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112)의 돌출구조물(114)은 제1모터(144)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구조물(114)의 일측에 제1모터(144)가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모터(144)는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스탠드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1호퍼(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모터(144)는 회전축에 스프라켓을 설치하고, 체인 등의 부재에 의해 제1주동기어(146)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호퍼(130)의 내측면에는 요철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36)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호퍼(1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요철부(136)가 함께 회전하며 부착광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부(136)는 제2호퍼(130)의 내측면에서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요철부(136)는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결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요철부(136)는 제2호퍼(130)의 회전시 빈(110)에 부착된 부착광과 단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부착광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요철부(136)의 상부에 부착된 부착광은 요철부(136)가 제2호퍼(13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다른 부착광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철부 사이의 공간, 즉 요부로 밀리면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빈(110)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제2호퍼(130)의 하부에 동일한 작동구조를 갖는 제3호퍼(1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호퍼(150)는 제2호퍼(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호퍼(130)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빈(110)의 부착광 제거장치는 제2호퍼(130)와 제3호퍼(150)를 상대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구동부(160)는 스탠드(112)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구조물(116)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160)는 제3호퍼(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기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어부(162)에는 제2모터(164)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주동기어(166)가 치합될 수 있다.
이때, 제2구동부(160)의 제2모터(164)에 의해 제2주동기어(166)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치합된 제3호퍼(150)의 제2기어부(162)가 회전되어 제3호퍼(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구동부(160)는 제3호퍼(150)를 제2호퍼(120)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구동부(160)는 제3호퍼(150)를 제2호퍼(120)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대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착광의 부착효율을 능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구동부(160)는 제3호퍼(150)를 제2호퍼(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구동부(140) 또는 제2구동부(160)의 구동부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기어부(142, 162)와 제1, 제2주동기어(146, 166)들의 형태나 결합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각 기어들은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제2기어부(142, 162)가 웜휠기어의 역할을 하고, 제1, 제2주동기어(146, 166)가 웜기어의 역할을 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호퍼(120) 또는 제3호퍼(140)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3호퍼(140)의 하부에는 제4호퍼(1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4호퍼(170)는 제2호퍼(120) 또는 제3호퍼(16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호퍼(140)는 제2호퍼(120)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제4호퍼(170)은 제3호퍼(140)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에 결합되는 호퍼는 상부에 위치된 호퍼의 경사면과 연속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는 호퍼가 상부에 위치된 호퍼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호퍼(230)는 제1호퍼(220)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제3호퍼(250)는 제2호퍼(230)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호퍼(230) 및 제3호퍼(250)가 각각 제1호퍼(220) 및 제2호퍼(23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각 호퍼 사이의 틈으로 부착탄이 쉽게 유입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2호퍼(130, 230)는 스탠드(112)에서 돌출된 돌출구조물(1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설치된 다른 스탠드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퍼(3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를 위해 제1호퍼(320)의 하단부 외측에는 홈부 또는 레일(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호퍼(330)의 상단부에는 이 홈부 또는 레일(321)에 결합되는 구조의 레일 또는 홈부(33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호퍼(320)의 하단부에는 제2호퍼(330)의 하단부로 연장된 스커트부재(32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호퍼(330)의 하단부에는 제3호퍼(350)의 하단부로 연장된 스커트 부재(33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스커트 부재(325,335)는 제1호퍼(320)와 제2호퍼 사이 또는 제2호퍼(330)와 제3호퍼(350) 사이의 틈으로 부착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 빈 112 : 스탠드
114 : 돌출구조물 120 : 제1호퍼
130 : 제2호퍼 132 : 플랜지부
134 : 베어링 136 : 요철부
140 : 제1구동부 142 : 제1기어부
144 : 제1모터 146 : 제1주동기어
150 : 제3호퍼 160 : 제2구동부
162 : 제2기어부 164 : 제2모터
166 : 제2주동기어 170 : 제4호퍼

Claims (10)

  1.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어 저장물을 저장 또는 분출하는 빈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1호퍼;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호퍼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2호퍼;
    상기 제1호퍼와 상기 제2호퍼를 상대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호퍼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를 포함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는 상기 스탠드의 일측 또는 상기 제1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2호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제2호퍼를 회전시키는 제1주동기어가 구비된 제1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호퍼 또는 상기 스탠드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호퍼의 경사면에 연속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3호퍼와,
    상기 제2호퍼와 상기 제3호퍼를 상대회전 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호퍼는 상기 스탠드의 또는 상기 제2호퍼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호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제3호퍼를 회전시키는 제2주동기어가 구비된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2호퍼 또는 상기 스탠드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호퍼를 상기 제2호퍼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20100135487A 2010-12-27 2010-12-27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122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87A KR101220754B1 (ko) 2010-12-27 2010-12-27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87A KR101220754B1 (ko) 2010-12-27 2010-12-27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63A KR20120073663A (ko) 2012-07-05
KR101220754B1 true KR101220754B1 (ko) 2013-01-09

Family

ID=4670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487A KR101220754B1 (ko) 2010-12-27 2010-12-27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91735A1 (en) * 2018-03-08 2019-09-12 Hyl Technologies, S.A. De C.V. Container,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or processing particulate materials to minimize or eliminate vibrations such as quaking or sha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584A (ja) * 2006-03-29 2007-10-11 Takubo Engineering Co Ltd 粉体塗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584A (ja) * 2006-03-29 2007-10-11 Takubo Engineering Co Ltd 粉体塗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63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45340U (zh) 一种水泥料仓内壁的清理装置
CN102001045B (zh) 履带式喷砂清理机
US6651805B2 (en) High-gradient high-pump-head screw conveyor device
KR101220754B1 (ko) 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KR20210018692A (ko) 컨베이어벨트 클리닝장치
CN210762611U (zh) 一种传送带
CN107161727B (zh) 圆形料仓的出仓清仓装置
US5849183A (en) Filtration apparatus
CN206720194U (zh) 带清扫装置的螺旋输送机
US650569A (en) Mechanism for discharging contents of tanks.
CN206955124U (zh) 一种转盘式自动螺丝输送机
CN1903440A (zh) 上摆式辊磨机
KR20230086097A (ko) 리클레이머
CN209781930U (zh) 一种软连接装置及其沉降离心机排料装置
CN113104607A (zh) 一种锥底仓用螺旋清仓机
CN209156663U (zh) 一种便于对罐状容器进行固定的清洗装置
KR101357548B1 (ko) 리크레이머
CN207346441U (zh) 一种筒仓内清仓破拱机构
CN220617349U (zh) 煤矿运输装置
CN200957984Y (zh) 平底筒仓用卸料装置
CN213567696U (zh) 一种智能型变倾角涡旋清堵机
CN201292164Y (zh) 平底筒仓螺旋给料机
JP6313557B2 (ja) 塵芥収集車及び塵芥収集装置
CN215157841U (zh) 一种可快速识别垃圾储量的垃圾桶
CN210285741U (zh) 一种带有机头清洁机构的装车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