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456B1 -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456B1
KR101220456B1 KR1020120015713A KR20120015713A KR101220456B1 KR 101220456 B1 KR101220456 B1 KR 101220456B1 KR 1020120015713 A KR1020120015713 A KR 1020120015713A KR 20120015713 A KR20120015713 A KR 20120015713A KR 101220456 B1 KR101220456 B1 KR 10122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arch
request
server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가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가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가톡
Priority to KR102012001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은,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TRANSCEIV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인터넷은 정보 소통의 채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은 종래에 없던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와 공급자가 인터넷이라는 가상 공간을 통하여 인터렉션을 한다는 점에서, 서로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제약이 따르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쇼핑몰의 경우, 상품 공급자의 신뢰도 지수를 소비자인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획득을 하여, 물품 구매시 반영을 하고 있으며,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소통을 위하여 게시판 형태의 묻고 답하기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공급자와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간의 웹-투-폰(web-to-phone) 메세지 전송 및 폰-투-웹 메세지 전송을 통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웹-투-폰 메세지 전송 기술은 웹에서 모바일, 또는 모바일에서 웹으로의 양방향으로만 가능하여, 모바일에서 웹으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경우, 모바일에서는 실시간으로 메세지를 전송하지만, 웹에서는 실시간으로 받을 수가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들어, 대량으로 문자를 쉽게 보낼 수 있는 웹-투-폰 메세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스팸 메세지를 보낸 비율이 폰-투-폰 스팸 메세지를 압도하고 있다는 언론의 발표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스팸 메세지 발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출원번호: 2011-009186)는 스팸 SMS 차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유 블랙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스팸 SMS 문자를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 웹-투-폰 메세지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모바일에서 웹으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응답을 받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186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인증을 받은 단말은 대화요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은 대화요청만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이동 단말인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로부터의 대화요청을,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증을 받은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달하고, 이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대화요청을 한 단말 간에 메세지가 송수신되도록 하여 실시간 메세지 전달이 가능한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은 검색에 의해서만 가능토록 함으로써, 과도한 검색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말을 스팸 단말로 처리하여 제 1 단말로 스팸 메세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은,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서버는,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인증부,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검색결과 출력부, 및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대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인증을 받은 단말은 대화요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은 대화요청만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이동 단말인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로부터의 대화요청을,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증을 받은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달하고, 이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대화요청을 한 단말 간에 메세지가 송수신되도록 하여 실시간 메세지 전달이 가능한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세지 송수신 서버가,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은 검색에 의해서만 가능토록 함으로써, 과도한 검색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말을 스팸 단말로 처리하여 제 1 단말로 스팸 메세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송수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시스템은 네트워크(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및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의 사용자는 기업, 홈페이지 운영자, 쇼핑몰 운영자, 고객 센터를 보유한 기업의 운영자, 특허법인 운영자, 농수산물 직거래 장터 운영자, 컴퓨터 수리점 운영자 등일 수 있고, 제 1 단말(100)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의 사용자는 모든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예정이거나, 구매한 소비자, 고객 등일 수 있고, 제 2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대화요청을 송신하고자 하는 제 2 단말(200) 및 제 2 단말(200)의 대화요청에 응답하여 메세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 1 단말(100)에 대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각각 생성하고, 각각 생성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의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검색 키워드는 다른 단말들이 제 1 단말(100)을 검색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제 1 단말(100)을 나타내기 위한 태그, 검색어 등일 수 있고, 아이디는 제 1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기호, 전화번호, 디바이스 ID, 고유 명칭 등일 수 있다.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에서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제 2 단말(2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수신한 검색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의 정보를 제 2 단말(200)로 송신할 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요청은 검색에 의해서 가능할 수 있으며,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해당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은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으나,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도 대화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단말(100)에 대한 제 2 단말(200)의 대화요청을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로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응답을 받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 중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제 2 단말(200) 간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브라우저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의 검색 패턴, 메세지 전송 패턴, 메세지 내용 등을 분석하여 스팸 메세지를 전송한다고 판단되는 제 2 단말(200)을 스팸 단말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검색, 메세지 전송, 동일한 메세지의 양이 과도하게 많거나, 하나의 제 2 단말(200)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필요 이상 많이 제 1 단말(100)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등 제 2 단말(200)이 비정상적인 메세지 전송 형태를 보일 경우, 해당 제 2 단말(200)을 스팸 단말로 간주하여, 스팸 메세지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스팸 단말로 간주된 제 2 단말(200)의 메세지 전송 자체를 막도록 해당 앱 또는 사이트의 이용을 정지시킬 수도 있고, 스팸 단말로 처리되어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해당 앱 또는 사이트를 이용하지 못한다는 메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 간의 메세지 전송 과정에서, 메세지 전송이 실패할 경우,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메세지를 재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운영자들은 쇼핑몰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불만 사항 및 의문 사항에 대한 빠른 답변을 통해 쇼핑몰의 신뢰도를 유지하려고 할 것이다. 이에 운영자는 쇼핑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Q&A 페이지나 전화 상담에 대비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시간을 쇼핑몰 사이트 모니터링 작업에 할애해야 한다. 하지만, 운영자가 출장을 가거나, 물품 구입을 위해 외출한 경우 PC 등의 고정 단말을 통한 모니터링이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불만 사항 또는 의문 사항에 대한 빠른 답변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하는 메세지 입력창을 통해 운영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운영자의 단말에게 전송할 대화요청을 수신하며, 수신된 대화요청 및 메세지를 운영자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투-폰, 폰-투-폰 메세지 전송 기능은 이동 단말의 사용자와,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사용자(운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편리하게 해준다는 측면에서, 웹-투-웹 채팅 등과는 다른 측면의 효용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검색을 통해 편리하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패머들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 예를 들어, 일부 악의적인 사용자가 웹-투-폰, 폰-투-폰 메세지 전송 기능이 포함된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화된 스팸 메세지 발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스팸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패밍 행위는 불필요한 자원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의 이용자가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를 통해 제 1 단말(100)에게 전송하는 스팸 메세지를 차단할 수 있다.
스팸 메시지는 예를 들어,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작위로 송신된 이메일 메시지, 또는 다수의 뉴스그룹에 일제히 게재된 뉴스 기사. 우편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에게 무더기로 발송된 광고나 정크(junk) 메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를 예로 든 실시예는, 스팸 메시지 차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팸 메시지를 차단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팸 메시지 차단 방법은 인터넷 쇼핑몰뿐 아니라, 다양한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송수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등록 인증부(310), 검색부(320), 대화 전송부(330), 검색결과 출력부(340), 개인정보 처리부(350), 연결 생성부(360), 데이터베이스(DB, 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가 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로 전송하면,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는, 온라인 마켓이나 앱 스토어(App Store) 등에서 메세지 송수신으르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이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 외에도, 온라인 마켓, 앱스토어(App Store) 등에서 다운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은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과 메시지 송수신 서버(3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메시지 송수신 서버(3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시지 송수신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단말과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등록 인증부(310)는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고, 제 1 단말(100)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을 완료하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할 수 있다. 인증은 해당 아이디에 대해 인증을 받은 적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일 수 있으며, 식별되지 않는 아이디에 대해 인증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검색부(320)는 제 2 단말(2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해당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380)로부터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검색결과 출력부(340)는 수신한 검색어와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된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의 정보를 제 2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개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를 가진 해당 단말의 목록을 모두 제 2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검색 키워드가 복수인 경우, 제 2 단말(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정렬할 수 있다. 정렬 순서는 위치 기반일 수도 있으나, 다수의 단말로부터 검색이 많이 되는 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으며, 이전에 대화를 요청했던 목록을 상위에 두는 방식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대화 전송부(330)는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제 1 단말(100)로 전달하고, 제 1 단말(100)로부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제 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 전송부(330)는 제 2 단말(200)이 서버(300)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제 1 단말(100)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지만, 제 2 단말(200)이 서버(300)에 대해 제 2 단말(2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여 인증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처리부(350)는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제 1 단말(100)로 전달할 때, 제 2 단말(200)의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 2 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의 정보는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이 제 1 단말(100)에게 개인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황인 경우,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로 개인 정보를 포함시켜 대화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대화 전송부(330)는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단말(200)은 이동 단말일 수 있는데, 이동 단말의 고유 식별 아이디는 제 2 단말(200)을 타 단말과 식별할 수 있는 전화번호, 이동 단말(200)의 고유 번호, 맥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시 부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식별 아이디는, 네트워크 연결 과정 이외에, 스팸 등록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내에 다수의 제 1 단말(100)에게 무작위적으로 메세지를 전송하는 특정 제 2 단말(200)을 스팸 단말로 등록하는 경우에도, 해당 제 2 단말(200)의 고유 식별 아이디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생성부(360)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제 2 단말(200) 간에 메세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중 제 1 단말(100)의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단말은 1 개의 단말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복수의 단말 모두가 아닌, 해당 1 개의 단말만을 이용하여 제 2 단말(200)과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이동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 1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에서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도, 제 2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 네트워크를 재성성 해야 하는 경우로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새로고침, 새창열기, 네트워크 불안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200)의 기지국 변경, 4G, 3G 통신에서 Wi-Fi로의 변경 등의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스팸 차단부(370)는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단말(200)의 검색어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시간 내에 1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12 개를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2 단말(200)에서 입력되는 검색어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대화요청의 횟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단말(200)의 대화요청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대화요청의 횟수가 1 시간 내에 1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0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1000 개를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2 단말(200)의 대화요청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메세지 중 동일한 내용의 메세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단말(200)의 메세지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로부터 1 시간 내에 동일한 메세지의 수가 1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000 개를 초과하는 경우, 1026 개를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2 단말(200)의 메세지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팸 차단부(370)는 제 2 단말(200)의 검색어 입력 차단, 대화요청 차단, 메세지 전송 차단 중 하나를 실시한 경우, 제 2 단말(200)로 송신 거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 입력 차단이 실시된 경우, 검색어 입력 자체를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증을 받지 않은 제 2 단말(200)이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인 검색어 입력을 차단하므로, 스팸 전송을 위한 대화요청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정보를 제 2 단말(200)로 전송하여 제 2 단말(200)에서 스팸 메세지 전송을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실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전송하게 되면, 스팸 메세지 전송을 위한 시도 등을 실시하지 않을 것이므로, 해당 기간 또는 횟수 동안 서버(300)로의 부하도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팸 차단부(370)는 차단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단말(200)을 데이터베이스(380)에 블랙리스트로 저장하고, 제 2 단말(200)을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자체를 불가능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애플리케이션의 구동불능에 대한 정보를 메세지의 형태로 제 2 단말(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80)는 등록 인증부(310)에서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인증을 받은 단말을 저장하여 인증을 받지 않은 단말을 구별하는 수단일 수 있다. 임의의 단말이 스팸 차단부(370)에 의해서 차단되는 경우, 차단 횟수 또는 기간을 카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스팸 차단부(370)에 의해 차단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블랙리스트로 분류된 경우, 블랙리스트가 된 단말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에서 입력되는 검색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검색이 많이 되는 순으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은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를 중심으로,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이 네트워크(10)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받는다(S3100).
그 후,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1 단말(100)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380)에 저장한다(S3200).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가 제 2 단말(200)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면(S3300),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3400), 수신한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가진 정보를 제 2 단말(200)로 송신한다(S3500).
여기서,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검색어의 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단말(200)의 검색어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가 제 2 단말(200)로부터 대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3600), 제 1 단말(100)로 제 2 단말(200)의 대화요청을 전송하며(S3700), 제 1 단말(100)의 응답을 수신한 경우(S3800),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단말(100) 중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제 2 단말(200) 간에 메세지 송수신이 되도록 연결한다(S3900).
여기서,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제 1 단말(100)로 전달할 때, 제 2 단말(200)의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 2 단말(2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이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은 하나 이상의 단말로 모두 전달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제 2 단말(200) 간에 메세지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1 단말(100)의 제 2 단말(200)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3910).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의 고유 식별 아이디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제 2 단말(200)에게 메세지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단말(200)의 사용자가 메세지를 작성하는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송 메세지의 전송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3100~S37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100~S37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1 단말(1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한다(S2100).
다음으로, 제 1 단말(100)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 후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200).
제 2 단말(200)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제 1 단말(100)의 정보를 제 2 단말(200)로 송신한다(S2300). 여기서, 제 2 단말(200)은 서버(300)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제 1 단말(100)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나, 제 2 단말(200)은 서버(300)에 대해 제 2 단말(200)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다.
메세지 송수신 서버(300)는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전달하는데(S2400), 제 1 단말(100)은 등록요청 및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대화요청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할 때, 제 2 단말(200)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인증받은 제 1 단말(100)은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제 2 단말(200)과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S2500). 해당 대화가 끝난 후에는 제 1 단말(100)과의 대화기록이 있더라도, 제 2 단말(200)의 제 1 단말(100)을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입력을 통해서만 제 1 단말(100)에게 대화요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는 기능, 및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기능 등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서 실행되는 메세지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할 때, 상기 제 2 단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 정보를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대화요청을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은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달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 간에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어 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어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대화요청의 횟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의 대화 요청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메세지 중 동일한 내용의 메시지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의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방법.
  8. 메세지 송수신 서버에 있어서,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등록요청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와 아이디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인증부;
    제 2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키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수신한 검색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검색 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단말로 송신하는 검색결과 출력부;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단말로 전달하는 대화 전송부; 및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 전달할 때, 상기 제 2 단말의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개인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한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제 1 단말로 대화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서버에 대해 상기 제 2 단말의 검색 키워드 및 아이디에 대한 등록요청 및 인증을 하기 전에는, 다른 단말로부터 대화요청을 수신할 수 없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서버.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고정 단말 및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화 전송부는 상기 제 2 단말의 제 1 단말에 대한 대화요청을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달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을 수신한 한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간에 메세지를 송수신하도록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메세지 송수신 서버.
  12. 메세지 송수신 방법을 실행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20015713A 2012-02-16 2012-02-16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KR10122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13A KR101220456B1 (ko) 2012-02-16 2012-02-16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13A KR101220456B1 (ko) 2012-02-16 2012-02-16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456B1 true KR101220456B1 (ko) 2013-01-21

Family

ID=4784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13A KR101220456B1 (ko) 2012-02-16 2012-02-16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329A (ko) * 2014-10-27 2016-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789575A (zh) * 2016-12-22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装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63A (ko) * 2001-11-20 2003-05-28 이광민 휴대전화의 무선 정보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교환 시스템및 방법
KR20060046246A (ko) * 2004-06-17 200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관심사 그룹 생성방법
KR20070100993A (ko) * 2006-04-10 2007-10-16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스팸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63A (ko) * 2001-11-20 2003-05-28 이광민 휴대전화의 무선 정보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교환 시스템및 방법
KR20060046246A (ko) * 2004-06-17 200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관심사 그룹 생성방법
KR20070100993A (ko) * 2006-04-10 2007-10-16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스팸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329A (ko) * 2014-10-27 2016-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54329B1 (ko) * 2014-10-27 2021-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789575A (zh) * 2016-12-22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装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916B2 (en) Method for verifying sensitive operations, terminal device, server, and verification system
US9253288B2 (en) Location-aware mobile connectivity and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11689898B2 (en)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20110154181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s for determining application protocol elements as different types of lawful interception content
US8620315B1 (en) Multi-tiered anti-abuse registration for a mobile device user
CN104980420A (zh)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220456B1 (ko)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CN108512803A (zh) 提醒更改账号绑定电话号码的方法及装置
US20160191490A1 (en) Identify a radio frequency emitting device by mac address
US9319858B2 (en) Manag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transmission
KR101174109B1 (ko)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웹-투-폰 스팸 메시지 차단 방법 및 서버
KR20120020679A (ko)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가계부 자동 기록방법
US10165126B2 (en) Method for securing a transac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through a platform
US20130281062A1 (en) Identify a radio frequency device by mac address system and method
KR101150807B1 (ko) 웹-투-폰 메시지 수신자 설정 방법 및 서버
KR101215066B1 (ko) 메신저 목록 제공 방법, 서버 및 메신저 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90699B1 (ko) 최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1123382B1 (ko) 웹투폰 접속 이력 송수신 방법 및 서버
KR101150815B1 (ko)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JP2005339148A (ja) 無線タグの読取りシステム
Πάπαρης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formation system for extraction and processing security data of mobile networks
US20150031380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CN106161195A (zh) 信息的推送、获取方法及装置、通讯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