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815B1 -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815B1
KR101150815B1 KR1020110103760A KR20110103760A KR101150815B1 KR 101150815 B1 KR101150815 B1 KR 101150815B1 KR 1020110103760 A KR1020110103760 A KR 1020110103760A KR 20110103760 A KR20110103760 A KR 20110103760A KR 101150815 B1 KR101150815 B1 KR 10115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web
phone
internet terminal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to KR102011010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815B1/ko
Priority to PCT/KR2012/008027 priority patent/WO201305506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METHOD AND SERVER FOR RETRANSMITTING PHONE-TO-WEB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위시한 퍼스널 기기의 발달은 인터넷과 유선 통신망, 이동통신망을 통합적으로 연계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인터넷은 정보 소통의 채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은 종래에 없던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와 공급자가 인터넷이라는 가상 공간을 통하여 인터랙션을 한다는 점에서, 서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제약이 따르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쇼핑몰의 경우, 상품 공급자의 신뢰도 지수를 소비자인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획득을 하여, 물품 구매시 반영을 하고 있으며,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소통을 위하여 게시판 형태의 묻고 답하기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공급자와 연결시켜줄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웹-투-폰(web-to-phone) 메시지 전송 및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 전송을 통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그 중, 폰-투-웹 메시지는 인터넷 사용자의 단말과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거나, 네트워크 오류 등으로 인해 전송 실패 확률이 높으며, 따라서, 폰-투-웹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공개번호: 2008-0036293)에서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메신저 서버에 구성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일반 PC 단말의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으며,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 경우의 처리 방법에 대한 기재 또한 없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해당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해당 인터넷 단말이 메시지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 경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해당 인터넷 단말로 재전송할 수 있는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해당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인터넷 단말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인터넷 단말과 연관되어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이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수신하고, 해당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에 대한 조건 정보를 메시지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미수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터넷 단말에게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실패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로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패할 경우, 상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대응하여 저장할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른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메시지 서버는,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해당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해당 인터넷 단말이 메시지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 경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해당 인터넷 단말로 재전송할 수 있는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시지 서버가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해당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인터넷 단말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인터넷 단말과 연관되어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이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수신하고, 해당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에 대한 조건 정보를 메시지 서버에 등록할 수 있는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네트워크(10)에 연결된 인터넷 단말(100), 모바일 단말(200) 및 메시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넷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메시지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인터넷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에 대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각각 생성하고,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단말(200)로의 웹-투-폰(web-to-phone)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단말(100)로의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300)는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와 연결된 DB(390), 메시지 서버(300) 내에 위치한 로컬 저장소 또는 메시지 서버(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별도의 DB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이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 하거나,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에 의해 수신 완료되지 않은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저장함으로써, 인터넷 단말(100)과 모바일 단말(200) 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폰-투-웹 메시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단일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시스템 설계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서버(301), DB 서버(302) 및 웹 서버(303)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 시스템은 네트워크 연결 서버(301), DB 서버(302), 웹 서버(303) 이외에 로드 밸런싱 서버, 사용자 인증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과의 인터랙션 측면에서 하나의 논리적(logical) 서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네트워크 연결 서버(301), DB 서버(302) 및 웹 서버(303)가 각각의 서버에 의해 분리되어 구성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네트워크 연결 서버(301)는 인터넷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생성된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소켓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DB 서버(302)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저장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MS-SQL, My-SQL, Oracle 등의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B 서버(302)는 폰-투-웹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 전송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환경 설정 정보, 인터넷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 아이디 및 단말 정보와 수신자 설정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 서버(301) 및 웹 서버(30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웹 서버(303)는 인터넷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200)의 요청(request)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웹 서버(303)는 인터넷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200)에게 메시지 송수신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전송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환경 설정 정보 등록 및 열람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관리,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 전송 실패 메시지 제공, 수신 환경 설정 정보 독출 및 관리, 데이터 송수신, 기타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과 모바일 단말(200) 간의 메시지 송수신,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이외에 스팸 메시지 차단,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단말(100)의 접속 이력을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스팸 메시지 차단과 관련하여, 인터넷 단말(100)의 메시지 전송 패턴을 분석하여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다고 판단되는 인터넷 단말(100)을 스팸 단말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웹-투-폰 메시지의 양이 과도하게 많거나, 하나의 인터넷 단말(100)이 기 설정한 시간 이내에 필요 이상의 많은 모바일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인터넷 단말(100)이 비정상적인 메시지 전송 행태를 보일 경우, 해당 인터넷 단말(100)을 스팸 단말로 간주하여, 스팸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하이브리드 메시지 전송과 관련하여, 인터넷 단말(100)과 모바일 단말(200) 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에서, 메시지 송신이 실패할 경우, SMS 또는 MMS를 통해 메시지를 재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의 접속 이력을 관리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접속 이력은 인터넷 단말(100)이 접속한 도메인 서버의 정보, 접속 시간, 체류 시간, 방문 빈도, 인터넷 단말(100)의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메인 서버는 인터넷 단말(100)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페이지의 서버를 포함하며, 도메인 서버의 정보는 도메인 서버의 도메인 네임, IP, 도메인 서버의 소유자 정보, 도메인 서버의 운영 체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단말(100)의 단말 정보는 인터넷 단말(100)의 운영체제, 웹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운영자들은 쇼핑몰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불만 사항 및 의문 사항에 대한 빠른 답변을 통해 쇼핑몰의 신뢰도를 유지하려고 할 것이다. 이에 운영자는 쇼핑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Q&A 페이지나 전화 상담에 대비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시간을 쇼핑몰 사이트 모니터링 작업에 할애해야 한다. 하지만, 운영자가 출장을 가거나, 물품 구입을 위해 PC 등의 단말을 통한 모니터링이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불만 사항 또는 의문 사항에 대한 빠른 답변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메시지 입력창을 통해 운영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로부터 운영자의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메시지를 운영자의 모바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운영자의 답변을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투-폰 및 폰-투-웹 메시지 전송 기능은 인터넷 단말의 사용자와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운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웹-투-웹 채팅 또는 폰-투-폰 문자 채팅 등과는 다른 측면의 효용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운영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빠른 답변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원활한 쇼핑몰 운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항상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운영자의 답변을 기다릴 수는 없으며, 네트워크 재연결, 네트워크 에러 등의 문제로 인해, 상호 간의 메시지 송수신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운영자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인터넷 쇼핑몰에 재접속을 하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폰-투-웹 답변 메시지를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에 다시 표시해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운영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낸 폰-투-웹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못할 때, 폰-투-웹 메시지를 보관하였다가, 추후 사용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재접속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태가 안정될 경우,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한 폰-투-웹 메시지의 보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및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한 운영자에게 보관 메시지의 전송 또는 수신 여부에 대한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가 메시지 서버(300)를 통해 인터넷 단말(100)로 전송한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해당 메시지를 DB(390), 메시지 서버(300)의 로컬 저장소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DB 서버(302)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는 메시지 서버(300)가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수신 완료 응답을 받지 못하거나, 네트워크의 불안정 등으로 인해 메시지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300)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 메시지 수신부(320), 메시지 전송부(330),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340), 메시지 재전송부(350), 전송 실패 메시지 요청 수신부(360), 전송 실패 메시지 제공부(370), 환경 설정 정보 등록부(380) 및 DB(39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은 인터넷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200)과 메시지 서버(3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메시지 서버(3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시지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단말과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는 인터넷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이동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인터넷 단말(100)의 웹브라우저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 네트워크를 재성성 해야 하는 경우로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새로고침, 새창열기, 네트워크 불안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200)의 기지국 변경, 3G 통신에서 wifi로의 변경 등의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하고, 재생성된 네트워크 연결을 해당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통신 프로그램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은 잘 끊어지지 않는데 반해, 웹 브라우저에서는 네트워크 연결이 페이지 이동 등으로 인해 빈번하게 끊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시지 서버(300)는 메시지 서버(300)와 인터넷 단말(100)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때마다,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하고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를 대응시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기지국 변경 또는 3G 통신과 wifi 통신 간의 통신 방식 변경 등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빈번하게 끊어지므로, 이때마다 네트워크 연결을 재생성하고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 아이디를 대응시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연결 정보 관리부(미도시)는 인터넷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 대해 생성한 네트워크 연결의 웹 연결 아이디와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를 대응시켜 관리하고, 인터넷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 대해 재생성한 네트워크 연결의 웹 연결 아이디와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재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 관리부(미도시)는 모바일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생성된 네트워크 연결의 앱 연결 아이디와 모바일 단말의 고유 아이디를 대응시켜 관리하고, 모바일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재생성된 네트워크 연결의 앱 연결 아이디와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재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연결 정보 관리부(미도시)는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아이디를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아이디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310)를 통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생성한 통신 객체의 고유 아이디를 의미한다.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는 인터넷 단말(100)을 다른 인터넷 단말(100)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인터넷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세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아이디는 인터넷 단말(100)의 로컬 저장소에 위치한 고유 파일에 기록하거나, 메시지 서버(300)와 연결된 DB(390)에 함께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파일은 인터넷 단말의 로컬 저장소에 위치한 sol(shared object file)파일, HTML5 파일, 쿠키(cookie) 파일 및 기타 로그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ol 파일은 접속 이력을 기록하는 플래시 실행 파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HTML5 파일은 Local Storage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단말(100)의 접속 이력 등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Local Storage는 보안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HTML5 웹 페이지의 도메인 주소를 기초로 하여, 고유 파일을 생성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의 경우,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 아이디는 모바일 단말(200)을 타 모바일 단말(200)과 식별할 수 있는 전화번호,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번호, 모바일 단말(200)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 부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인터넷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의 고유 아이디는, 모바일 단말(200)이 인터넷 단말(100)로 전송하는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전송 실패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가 ‘A1001’인 인터넷 단말에게 보내는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할 경우, 메시지 서버(300)는 고유 아이디 ‘A1001’과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서로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에 인터넷 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이 재생성되거나,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연관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아이디는, 스팸 등록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내에 다수의 모바일 단말(200)에게 무작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특정 인터넷 단말(100)을 스팸 등록하는 경우에도, 해당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메시지 수신부(320)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연결은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하며, 인터넷 단말(100)과 메시지 서버(300) 간의 메시지, 인터넷 단말(100)의 접속 이력, 기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부(320)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와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대상이 되는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연결은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하며, 모바일 단말(100)과 메시지 서버(300) 간의 메시지, 기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330)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340)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340)는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인터넷 단말(100)의 수신 완료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전송 실패 폰-투-웹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와 연결된 DB(390), 메시지 서버(300) 내에 위치한 로컬 저장소 또는 메시지 서버(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별도의 DB 서버(302)에 저장할 수 있다.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340)는 메시지 서버(300)의 정책, 인터넷 단말(100) 또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전송 실패 메시지를 기 설정된 기간에 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전송 실패 메시지는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송 실패 저장부(340)는 재전송이 불필요한 전송 실패 메시지의 경우, 저장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전송 실패 메시지는 인터넷 단말(100)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인터넷 단말(100)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는 이하에서 후술할 환경 설정 정보 등록부(380)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로부터 등록 받을 수 있다.
메시지 재전송부(350)는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제 3 네트워크 연결은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하며, 인터넷 단말(100)과 메시지 서버(300) 간의 메시지, 기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
메시지 재전송 여부는 메시지 서버(300)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 일괄적으로 결정될 수 있지만,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이 전송 실패한 시간으로부터 2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전송 실패 후, 24시간을 초과한 시점에서, 인터넷 단말(100)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이 생성된 경우, 해당 전송 실패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메시지 재전송부(350)는 모바일 단말(200)에게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 정보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메시지 재전송 여부에 대한 재전송 조건 정보를 수신한 후,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 대하여 생성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전송하고,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전송 실패 메시지 요청 수신부(360)는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 실패 메시지 제공부(370)는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단말(100)의 사용자는 메시지 서버(300)에게 HTTP 요청(request)을 통해 자신에게 전송되었지만, 미 수신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할 수 있고, 메시지 서버(300)는 그에 대한 응답(response)로 인터넷 단말(100)에게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사용자는 인터넷 단말(100) 상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미수신 폰-투-웹 메시지를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 설정 정보 등록부(38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또한, 환경 설정 정보 등록부(380)는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의 타 단말을 통해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 받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타 단말은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설정 정보는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 실패 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은 메시지 서버(300)를 중심으로 인터넷 단말(100), 모바일 단말(200)이 네트워크(10)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31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한다(S32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33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한다(S35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한다(S36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S3700),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한다(S375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인터넷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3800).
다음으로, 메시지 서버(300)는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3900).
상술한 단계들(S3100~S3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100~S3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은 상기 S3750 단계 이후에, 인터넷 단말(100)로부터 상기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단말(100)의 사용자는 메시지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실패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인터넷 단말(100)에게 제공되는 메시지 작성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은 상기 S3100 내지 S3750 단계를 통해, 전송 실패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DB 서버(302)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서버(300)와 DB 서버(302)를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서버에 집중되는 트래픽(traffic)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인터넷 단말(100)의 사용자가 지정한 서버를 DB 서버(302)로 사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200)은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2100).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이 모바일 단말(200)에게 전송한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한다(S2200).
여기서, 고유 아이디는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할 인터넷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인터넷 단말(100)의 인터넷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세션 아이디, 인터넷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단말(100)의 로컬 저장소에 위치한 고유 파일 또는 메시지 서버(300)에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100)로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0).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의 미수신 응답을 수신한다(S2400).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S2500).
여기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은 메시지 재전송 여부,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메시지 재전송과 관련된 다양한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2100~S2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2100~S2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200)은 인터넷 단말(100)에게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실패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메시지 서버(300)에 등록한다(S5100).
상기 S5100 단계에서의 환경 설정 정보는 메시지 서버(300)가 인터넷 단말(100)에게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패할 경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와 대응하여 저장할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5200).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100)이 모바일 단말(200)에게 전송한 인터넷 단말(100)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한다(S5300).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메시지 서버(30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100)로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한다(S5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메시지 서버가 인터넷 단말에게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h) 상기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i) 상기 제 3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및
    (j)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및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2. 메시지 서버가 인터넷 단말에게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h)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재전송 방법.
  3. 메시지 서버가 인터넷 단말에게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g-2)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g-3)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재전송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및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이되,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의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미리 등록 받은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i-1)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i-2)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i-3)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재전송 방법.
  9. 모바일 단말이 메시지 서버를 통해 인터넷 단말에게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이 상기 메시지 서버에게 전송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에게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미수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폰-투-웹 메시지의 재전송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서버는,
    (1)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미수신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10. 모바일 단말이 메시지 서버를 통해 인터넷 단말에게 폰-투-웹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전송할 폰-투-웹 메시지의 전송실패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인터넷 단말이 상기 메시지 서버에게 전송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 및 웹-투-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메시지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로 폰-투-웹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실패할 경우, 상기 전송 실패한 폰-투-웹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대응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할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및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서버는,
    (1)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2)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인
    메시지 재전송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인터넷 단말로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메시지 서버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실패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인
    메시지 서버.
  14. 인터넷 단말로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메시지 서버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폰-투-웹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제공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버.
  15. 인터넷 단말로 폰-투-웹(Phone-to-Web)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메시지 서버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에서 실행 중인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중인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연결 생성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웹-투-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폰-투-웹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제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웹-투-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에게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상기 폰-투-웹 메시지에 대한 수신 완료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폰-투-웹 메시지를 전송 실패 메시지로서 상기 인터넷 단말의 고유 아이디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전송 실패 메시지 저장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 실패 메시지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등록 받는 환경 설정 정보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 전송 실패 메시지의 재전송 기간 및 전송 실패 여부에 대한 알림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서버.

KR1020110103760A 2011-10-11 2011-10-11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KR10115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60A KR101150815B1 (ko) 2011-10-11 2011-10-11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PCT/KR2012/008027 WO2013055060A2 (ko) 2011-10-11 2012-10-04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60A KR101150815B1 (ko) 2011-10-11 2011-10-11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815B1 true KR101150815B1 (ko) 2012-06-13

Family

ID=4660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60A KR101150815B1 (ko) 2011-10-11 2011-10-11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0815B1 (ko)
WO (1) WO2013055060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82428A1 (en) 2002-03-19 2003-09-25 Jiang Li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1734A (ko) * 2005-12-30 2007-07-04 이승호 유무선 기간통신망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40A (ko) * 2000-07-19 2002-01-29 공남수 통신망식별번호를 이용한 인터넷폰 가입자 접속 방법 및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US6996393B2 (en) * 2001-08-31 2006-02-07 Nokia Corporation Mobile content delivery system
KR100466857B1 (ko) * 2001-12-01 2005-01-15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인터넷 기반 홈 오토메이션 서버 및 제어 방법
KR100922436B1 (ko) * 2007-11-15 2009-10-16 주식회사 커런트네트웍스 와이브로 기반의 복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82428A1 (en) 2002-03-19 2003-09-25 Jiang Li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1734A (ko) * 2005-12-30 2007-07-04 이승호 유무선 기간통신망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5060A2 (ko) 2013-04-18
WO2013055060A3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5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 provisioning event
US20090083060A1 (en) Automated computer electronics device reporting
CN106170970B (zh) 评估通信网络中的服务的qoe
CN101731000A (zh) 使服务供应商能够获得并使用用户信息的系统和方法
KR101575136B1 (ko) 단말의 유해 자원 접근을 관리하는 유해 자원 접근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115533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messaging with local and remote applications with e-commerce and data collection
US2014003249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contact information
US115583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messaging with local and remote applications
US20130091198A1 (en) Method of Reducing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DM Client and DM Server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9572013B2 (en) OTA file upload servers
WO2014020530A2 (en) Collecting application sharing information
WO2013117472A2 (en) Real-time intera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150815B1 (ko) 폰-투-웹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서버
WO2016044919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media for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networked devices in data communication with a local network access point
KR101150807B1 (ko) 웹-투-폰 메시지 수신자 설정 방법 및 서버
CN103987017A (zh) 一种用于在wlan中建立服务访问的方法及系统
KR101220456B1 (ko) 메세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Van Do et al. A disruption analysi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business ecosystem concept
KR101123382B1 (ko) 웹투폰 접속 이력 송수신 방법 및 서버
KR101111523B1 (ko) 웹투폰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서버
KR101174109B1 (ko)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웹-투-폰 스팸 메시지 차단 방법 및 서버
US202301884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for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information sharing using plural channels
US20140068050A1 (en) Method of Handling Interaction Sessions
Sugiura et al. Proposal of service framework for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delay tolerant networks
WO2021171145A1 (en) Establishing an over the air (o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