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12B1 -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12B1
KR101220112B1 KR1020120103444A KR20120103444A KR101220112B1 KR 101220112 B1 KR101220112 B1 KR 101220112B1 KR 1020120103444 A KR1020120103444 A KR 1020120103444A KR 20120103444 A KR20120103444 A KR 20120103444A KR 101220112 B1 KR101220112 B1 KR 10122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cal
transmission
message
information
tac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조길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10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 메시지의 송신시기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전술 임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술정보를 상기 전술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전술정보 수신부, 구분된 전술정보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조건에 따라 상기 전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상기 송신조건을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설정된 송신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 상기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송신 버퍼에 저장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 및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이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될 수 있도록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TACTICAL DATA PROCESSING DEVICE, TACTICAL DATA LINK SYSTEMS USING THE TACTICAL DATA PROCESSING DEVICE AND TACTICAL MESSAGE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OF THE TACTICAL DATA LINK SYSTEM}
본 발명은 전술 메시지의 송신시기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전장은 플랫폼 중심의 전장환경에서 네트워크 중심의 전장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중심의 전장환경이란 다수의 다양한 무기체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획득된 전장 정보를 무기체계 상호 간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교환함으로써 공통의 전장 상황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기체계간 전술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음성 통신으로 전장 상황을 교환하고 지휘통제를 수행함으로써 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음성 통신으로 교환된 전장 상황 정보를 수동으로 처리함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효율적인 작전 수행이 제한될 수 있었다. 한편, 현재에는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전술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지털화된 전술 데이터링크(TDL: Tactical Data Link)를 사용함으로써 전술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임무의 수행이 가능해졌다.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전술 데이터 링크가 표준화되었으며, 각 전술 데이터 링크 별 전술 자료의 특성 및 중요도에 따라 전송조건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전술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다수의 다양한 무기체계 간에 전술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술 데이터의 종류 및 전술 메시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술 메시지의 전송조건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한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전술 임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술정보를 상기 전술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전술정보 수신부, 구분된 전술정보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조건에 따라 상기 전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상기 송신조건을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설정된 송신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 상기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송신 버퍼에 저장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 및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이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될 수 있도록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가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 검사하고,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전술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는 상기 전술정보 처리부의 검사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은 상기 전술 메시지의 초기 송신횟수 및 송신 주기와 관련되고,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는 데이터구조로 정의된 상기 송신조건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는 상기 초기 송신횟수는 음수로 설정되고, 상기 송신주기는 양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는 상기 전술 임무 처리장치로부터 전술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송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음수로 설정된 상기 초기 송신횟수 값을 1씩 증가시켜 0이 될 때까지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전술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송신조건이 설정된 경우, 양수로 설정된 상기 송신주기 값을 1씩 감소시켜 0이 되면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정보의 종류는 링크연결 설정 및 상태, 무기체계 위치 및 상태, 공중 트랙, 육상 트랙, 해상 트랙, 전자전 트랙, 항공기 통제, 무기통제 및 명령, 표적 교전상황 및 트랙 정보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은 전술 정보를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 구분된 전술정보를 검사하여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정의된 송신조건을 송신 리스트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송신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을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은 전술 데이터 링크의 종류 및 전술 메시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 전술 메시지의 전송에 요구되는 조건을 송신 리스트로 정의하고, 전송 메시지의 전송 처리를 통합하여 스케줄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 메시지의 전송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고, 전술 메시지의 송신 시점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러한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은 표준화된 전술 데이터링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표준화된 전술 데이터링크를 통해 전술정보의 종류 및 전술정보를 전달할 다양한 무기체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전술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전술 데이터 링크란, 두 개 이상의 무기체계 사이에서 전술정보의 전송을 위한 통신을 의미한다. 각각의 무기체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술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기체계와 전술정보를 교환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된 전술 데이터링크를 이용하여 전술정보를 송신할 때, 각 전술 메시지의 전송에 요구되는 전송조건을 송신리스트로 정의하여, 전술 메시지의 전송처리를 통합하여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1000)은 전술자료(또는 전술정보, 이하, "전술정보"로 통일함)를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장치(100),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200),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 및 전시 처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는 전술정보를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한다. 그리고, 전시 처리장치(400)는 전장 상황을 전시하고, 전술적 운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장치(100)는 이러한 전술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무기체계와 상기 전술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는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부터 전술정보를 수신하여, 전술 데이터링크로 전달할 전술 메시지를 구성하고, 이러한, 전술 메시지의 전송 스케줄을 스케줄링한다. 이와 같이, 전술 데이터링크로 전달할 전술 메시지가 구성되면, 통신장치(100)는 전송 스케줄에 따라 연동된 무기체계로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한다.
나아가, 통신장치(100)는 연동된 무기체계로 전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연동된 무기체계로부터 수신되는 전술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술 메시지가 수신되면,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200)는 이러한 전술 메시지를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 전달한다.
또한,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전술정보를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전시 처리장치(400)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시해준다.
나아가,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는 전시 처리장치(4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와 무기체계에 포함된 각종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 처리한 전술정보를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로 송신한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와 함께,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1000)의 구성요소 중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는 전술 정보 수신부(210), 전술정보 처리부(220),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230),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 전술 메시지 송신부(260), 전술 메시지 수신부(270), 전술 메시지 처리부(280), 전술 정보 송신 설정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는 전술 메시지를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 정보 수신부(210), 전술정보 처리부(220),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230),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 전술 메시지 송신부(260)의 구성을 통해, 전술 메시지를 구성하고 전술 메시지의 전송 스케줄을 스케줄링하여, 통신 장치(1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외부의 연동된 무기체계로부터 전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 메시지 수신부(270), 전술 메시지 처리부(280), 전술 정보 송신 설정부(290)를 통해 수신된 전술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2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특히 전술 정보 수신부(210), 전술정보 처리부(220),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230),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 및 전술 메시지 송신부(260)를 통해, 전술 메시지의 전송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전술 정보 수신부(210)는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부터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할 전술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전술 정보 수신부(210)는 수신된 전술정보를 전술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여기에서, 전술정보의 종류는 링크연결 설정 및 상태, 무기체계 위치 및 상태, 공중 트랙, 육상 트랙, 해상 트랙, 전자전 트랙, 항공기 통제, 무기통제 및 명령, 표적 교전상황 및 트랙 정보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이와 같이, 전술 정보 수신부(210)에 의해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전술정보의 종류가 구분되면, 전술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가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를 새로운 전술정보 또는 갱신된 전술정보로 설정하고,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 설정부(230)에서는, 상기 전술 정보 수신부(210)에서 구분된 전술정보의 종류 및 상기 전술 정보 처리부(220)에서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가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에 대한 설정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설정된 송신조건은 데이터구조로 정의되어,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에 설정된다. 즉, 상기 송신조건은 데이터구조 형식으로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에 설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송신조건은 상기 전술 메시지의 초기 송신횟수 및 송신주기와 관련되어 있다.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230)에서는 상기 전술 메시지의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와 이후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메시지의 송신주기(Periodicity)를 데이터구조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초기 송신횟수 및 송신주기를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TxList)에 설정한다. 전술 메시지의 송신리스트는 음수 값을 갖는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와 양수 값을 갖는 송신주기(Periodicity)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메시지 송신리스트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송신리스트
(TxList)
초기 송신횟수
(InitTxCount)
송신주기
(Periodicity)
예 1 -1 1
예 2 -1 4
예 3 -4 0
예 4 -3 16
예 5 -2 4
표 1을 살펴보면, 예 1은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부터 전술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송신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하는 전술 메시지를 1회 송신하고 이후 매 전송 주기 마다 송신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예 2는 송신 이벤트 발생시 전술 메시지를 1회 송신하고 이후 4번째 전송 주기 마다 송신함을, 예 3은 송신 이벤트 발생시 전술 메시지를 4회 전송 주기 동안 송신하고 이후 송신을 중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예 4는 송신 이벤트 발생시 전술 메시지를 3회 전송 주기 동안 송신하고 이후 16번째 전송 주기 마다 송신함을, 예 5는 송신 이벤트 발생시 전술 메시지를 2회 전송 주기 동안 송신하고 이후 4번째 전송 주기 마다 송신함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 데이터링크는 송신할 전술 메시지가 생성되면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에 설정한 후 현재 시각을 조사하여 현재의 전송 주기 내에서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데, 전송상태와 차기 전송시점을 판단 기준으로 사용한다.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에서는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에서는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한다. 즉,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에서는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를 검사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연동된 무기체계로 전송해야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결과에 근거하여 송신 플래그를 설정한다.
한편,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240)에서는 전술 임무처리장치(300)로부터 전술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송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음수로 설정된 상기 초기 송신횟수 값을 1씩 증가시켜 0이 될 때까지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전술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송신조건이 설정된 경우, 양수로 설정된 상기 송신주기 값을 1씩 감소시켜 0이 되면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는 상기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는 구성된 송신 프레임을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
즉, 상기 송신 프레임 구성부(250)는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전술 데이터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포맷(format)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송신 프레임이 구성되면, 전술 메시지 송신부(260)는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이,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송신 프레임을 통신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가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 송신되어야 하는 경우, 전술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전술 정보를 전술 정보 송신 설정부(290)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함께, 연동된 무기체계로부터 전술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전술 메시지가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200)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200)에서는 전술 메시지 수신부(270), 전술 메시지 처리부(280) 및 전술정보 송신 설정부(290)를 이용하여, 수신된 전술 메시지를 처리한다.
전술 메시지 수신부(270)는 통신장치(100)로부터 전술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술 메시지를 전술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여기에서 전술 정보의 종류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링크연결 설정 및 상태, 무기체계 위치 및 상태, 공중 트랙, 육상 트랙, 해상 트랙, 전자전 트랙, 항공기 통제, 무기통제 및 명령, 표적 교전상황 및 트랙 정보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그리고, 전술 메시지 처리부(280)에서는 구분된 전술 메시지를 검사하여, 새로운 전술 메시지인지, 갱신된 전술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그리고,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구분된 전술 메시지를 새로운 전술 메시지 또는 갱신된 전술메시지로 설정하고,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전술정보 송신 설정부(290)에서는 구분된 전술 메시지 및 설정정보에 따라,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 송신할 정보를 전술정보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송신 프레임을 전술 임무 처리장치(3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된 전술 메시지가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되어야 하는 경우, 전술 메시지 처리부(280)는 상기 전술 메시지를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230)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함께 전술 메시지의 송신리스트에 따라 전술 메시지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술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술정보를 종류에 따라 구분하고, 전술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설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현재 전송 주기에 송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가능 여부의 판단 기준은 상기 전술 메시지의 전송상태와 차기 전송시점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상태는 "미전송"과 "전송처리"로 구분되며, 초기의 전송상태는 '미전송'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차기 전송시점은 현재 시각에 전송 주기를 더한 시각이다. 한편, 차기 전송시점의 초기값은 '0'이다.
처음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 전술 데이터 링크 처리장치는 현재 시각을 저장하고, '미전송'인 전송상태를 '전송처리'로 설정한다. 그리고, 전송상태가 '전송처리'로 설정되면, 다음 과정이 처리된다.
다음으로, 현재 송신주기에 전송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면,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를 검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전술 메시지의 송신리스트(TxList)를 조사하여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음수이면(송신할 초기 전술 메시지가 있음을 의미)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을 1 증가시키고, 송신플래그를 설정하여 전술 메시지를 송신 처리한다. 이 과정은 1 증가시킨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0이 될 때(초기 송신 메시지를 모두 송신함을 의미) 까지 전송 주기마다 반복 수행된다. 그리고, 1 증가시킨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0이 되면 메시지의 주기적 송신을 위해 송신주기(Periodicity) 값을 초기 송신횟수(InitTxCount) 값으로 설정한다. 다음 전송 주기에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0 보다 크면(주기적으로 송신할 전술 메시지가 있음을 의미)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을 1 감소시키고, 이 과정은 1 감소시킨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0이 될 때(현재 시점이 설정된 송신주기임을 의미) 까지 전송 주기마다 반복 수행된다. 송신횟수(InitTxCount) 값이 0이 되면 송신플래그를 설정하여 전술 메시지를 송신 처리하고, 송신주기(Periodicity) 값을 다시 송신횟수(InitTxCount) 값으로 설정하여 전송 주기 마다 반복 수행함으로써 전술 메시지를 정해진 주기마다 송신하게 된다.
일 예로서, 앞서 살펴본 [표 1]의 예 3(TxList: InitTxCount=-4, Periodicity=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는 주기적으로 시간을 조사하여 현재 전송 주기에서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전송 주기 내에서 송신이 가능한 경우,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 TxList의 InitTxCount 값이 음수(-4)이므로 InitTxCount 값을 1 증가시키고, 송신플래그를 설정하면 전술 메시지는 송신 처리되고, InitTxCount 값은 -3(음수)이 된다. 이 과정을 4회 반복하면 전술 메시지는 4회 전송 주기 동안 송신되고, 1 증가시킨 InitTxCount 값이 0이 되면 이벤트 발생시의 전송 과정은 완료하게 된다. Periodicity 값 0을 InitTxCount 값으로 설정하여 주기적 메시지의 송신을 설정한다. 다음 전송 주기에서 InitTxCount 값이 0이므로 주기적 전술 메시지의 송신없이 송신 과정은 완료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앞서 살펴본 [표 1]의 예 5(TxList: InitTxCount=-2, Periodicity=4)는 다음과 같다.
현재 전송 주기 내에서 송신이 가능한 경우,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 TxList의 InitTxCount 값이 음수(-2)이므로 InitTxCount 값을 1 증가시키고, 송신플래그를 설정하면 전술 메시지는 송신 처리되고, InitTxCount 값은 -1(음수)이 된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면 전술 메시지는 2회 전송 주기 동안 송신되고, 1 증가시킨 InitTxCount 값이 0이 되면 이벤트 발생시의 송신 과정은 완료하게 된다. Periodicity 값 4를 InitTxCount 값으로 설정하여 주기적 메시지의 송신을 설정한다. 다음 전송 주기에서 InitTxCount 값이 양수(4)이므로, InitTxCount 값을 1 감소시킨다. 이 과정을 4회 전송 주기 동안 반복하여 InitTxCount 값이 0이 되면 송신플래그를 설정하여 전술 메시지를 송신 처리한다. 이 과정은 송신 중인 정보가 삭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위의 과정에 따라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에 설정된 전술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상태를 ‘미전송’으로 설정하고, 현재 시각에 해당 전술데이터링크의 전송 주기를 더하여 ‘차기 전송시점’으로 설정하고 현재 시각을 저장한다. 이 과정은 시스템의 운용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100: 통신장치 200: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300: 전술 임무 처리장치 400: 전시처리장치
220: 전술 정보 처리부 210: 전술정보 수신부
230: 전술 메시지 송신리스트 설정부
240: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
250: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
260: 전술 메시지 송신부
270: 전술 메시지 수신부 280: 전술 메시지 처리부
290: 전술 정보 송신 설정부 1000: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

Claims (6)

  1. 전술 임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술정보를 상기 전술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전술정보 수신부;
    구분된 전술정보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조건에 따라 상기 전술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상기 송신조건을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설정된 송신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
    상기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송신 버퍼에 저장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 프레임 구성부; 및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이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송신 프레임을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전술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된 전술정보가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 검사하고,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전술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 설정부는
    상기 전술정보 처리부의 검사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은 상기 전술 메시지의 초기 송신횟수 및 송신 주기와 관련되고,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는 데이터구조로 정의된 상기 송신조건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는 상기 초기 송신횟수는 음수로 설정되고, 상기 송신주기는 양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여부 설정부는
    상기 전술 임무처리장치로부터 전술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송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음수로 설정된 상기 전술 메시지의 초기 송신횟수 값을 1씩 증가시켜 0이 될 때까지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고,
    상기 전술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송신조건이 설정된 경우, 양수로 설정된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주기 값을 1씩 감소시켜 0이 되면 상기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처리장치.
  6. 전술 정보를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
    구분된 전술정보를 검사하여 새로운 전술정보인지 갱신된 전술정보인지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술정보에 대응되는 전술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정의된 송신조건을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술 메시지 송신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전술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송신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술 메시지를 송신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송신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설정된 송신 플래그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송신 프레임을 연동된 무기체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1020120103444A 2012-09-18 2012-09-18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KR10122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44A KR101220112B1 (ko) 2012-09-18 2012-09-18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44A KR101220112B1 (ko) 2012-09-18 2012-09-18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112B1 true KR101220112B1 (ko) 2013-01-11

Family

ID=478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44A KR101220112B1 (ko) 2012-09-18 2012-09-18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765B1 (ko) 2016-08-03 2017-11-07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데이터 링크 처리기 상에서 쓰레드 스케줄링 방법
KR101986495B1 (ko) 2017-12-20 2019-06-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술 데이터 링크 운용을 위한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4998B1 (ko) 2019-03-20 2019-07-01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 환경에서의 전술 정보 분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351450B1 (ko) * 2021-09-16 2022-01-14 한화시스템(주) 전술 데이터링크 단말기의 정지영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4523B1 (ko) 2022-12-21 2023-04-21 국방과학연구소 원격 운용이 요구되는 군사용 전술데이터 링크의 대역폭 절감을 위한 운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554A (ko) * 2006-06-12 2007-12-1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모바일 장치로의 동적 콘텐츠의 혼합 모드 전송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554A (ko) * 2006-06-12 2007-12-1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모바일 장치로의 동적 콘텐츠의 혼합 모드 전송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765B1 (ko) 2016-08-03 2017-11-07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데이터 링크 처리기 상에서 쓰레드 스케줄링 방법
KR101986495B1 (ko) 2017-12-20 2019-06-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술 데이터 링크 운용을 위한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4998B1 (ko) 2019-03-20 2019-07-01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 환경에서의 전술 정보 분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351450B1 (ko) * 2021-09-16 2022-01-14 한화시스템(주) 전술 데이터링크 단말기의 정지영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4523B1 (ko) 2022-12-21 2023-04-21 국방과학연구소 원격 운용이 요구되는 군사용 전술데이터 링크의 대역폭 절감을 위한 운용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12B1 (ko)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 전술 데이터 처리장치를 이용한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의 전술 메시지 전송 스케줄링 방법
CN108024303B (zh) 多跳无线传感器网络内节点选择方法和系统
CN111818493B (zh) 数据传输方法及无线网络系统、节点、可读存储介质
KR102535781B1 (ko)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항공기 통신 시스템
US20190289487A1 (en) Communicating packets in a mesh network
US1080588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9853772B2 (en) Intelligent network checksum processing
CN104378284B (zh) 网关的消息处理方法
US2017001947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US1097217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840770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reliable symmetric data synchronization
CN110493736A (zh) 短信发送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182006B (zh) 一种航班数据更新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20317681A1 (en) Transport control method, transport apparatus, and transport control system
WO2015066077A1 (en) Node control in a distributed peer-to-peer network
CN115220788A (zh) 在轨航天器指令序列冲突消解方法及装置
CN109525315A (zh) 基于时间触发的光纤通道网络端系统
CN113010285B (zh) 用于处理数据的方法、装置、设备、介质和产品
CN104518925A (zh) 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EP3188423B1 (en) Frame reception monitoring method in serial communications
CN104936271A (zh) 通信装置、无线通信系统和通信方法
WO2008134764A4 (en) Topographical display generator for ad hoc network
US20240007423A1 (en) Enabling smart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asset information in a supply chain environment
US10353846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in bus architecture
CN103747480A (zh) 数据包传输方法及通信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