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993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993B1
KR101219993B1 KR1020110018685A KR20110018685A KR101219993B1 KR 101219993 B1 KR101219993 B1 KR 101219993B1 KR 1020110018685 A KR1020110018685 A KR 1020110018685A KR 20110018685 A KR20110018685 A KR 20110018685A KR 101219993 B1 KR101219993 B1 KR 101219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sistor
power supply
module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055A (ko
Inventor
구관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9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보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보드의 연결 개수에 따른 부하 변화로부터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의 과전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 보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실시 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소비 전류로 장수명 등의 특징을 갖고,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조명 기구 등에도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LED 조명 기구에서는, 소망의 조도를 얻기 위해, 복수개의 LED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조명 기구는 상용 AC 100V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많고, 백열전구 등의 일반적인 조명등구 대신 LED 조명등구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면, LED 조명등구도 일반적인 조명등구와 같이 상용 AC 100V 전원을 사용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LED 조명은 백열전구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다. 백열전구의 경우 전기에너지의 95%가 적외선과 열로 손실되고 5%만이 빛으로 방출되는 반면 LED조명은 15%가 빛으로 전환된다. 또한, 기존 조명이 수은이나 방전용 가스 등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LED조명에는 유해 폐기물이 전혀 없다는 것도 친환경 제품으로 꼽히는 이유다.
LED 조명장치는 일정 색상의 빛을 출사하는 LED 모듈과, LED모듈에서 출사되는 빛의 색상, 점멸상태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아울러 LED조명장치의 제어회로에는 외부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LED모듈과 제어회로에 적합한 전압, 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파워 서플라이, SMP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모듈은 주로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LED소자가 일정한 배열로 장착되어 구성되며, LED소자는 단일 색상의 빛을 출사하는 것일 수도 있고, 외부의 전기/전자 신호에 따라 여러 색상을 선택적으로 출사하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LED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는 LED 모듈을 과 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회로가 요구되고 있다.
실시 예는 새로운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미리 설정된 보드보다 더 적은 개수의 보드에 공급될 수 있는 과전류를 차단하여 발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미리 설정된 발광모듈의 개수와 실제 연결된 발광 모듈 개수의 차이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발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보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보드의 연결 개수에 따른 부하 변화로부터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의 과전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 보호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모듈과 이를 갖는 라이트 유닛과 같은 조명 시스템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는 보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 모듈의 개수 변화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별도의 퓨즈(FUSE)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 및 발광모듈의 연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있어서, 발광부에 과전류 공급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2저항과 세팅된 전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1저항과 발광부에 공급된 전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부(100A), 발광 모듈(121,131), 부하 검출부(140) 및 모듈 보호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10A)는 상기 발광 모듈(121,131)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며, 예컨대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0A)는 PFC부(111), 직류 변환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PFC(Power factor correction)부(111)는 입력 교류 전원에 포함된 역률 및 고조파 왜율을 개선시켜 주게 된다.
상기 PFC부(111)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필터(11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112)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직류 변환부(113)는 PFC부(111)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원을 부하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PFC부(111)의 입력 또는 출력 단에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직류 변환부(113) 내에는 SMPS와 같은 트랜스 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부(110A)는 상기 발광 모듈(120)에 대해 정전류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며, 이러한 정전류 방식으로의 제어를 위해 상기 발광 모듈(120)에 흐르는 전류를 피드백받아 출력 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주게 된다.
상기 발광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실시 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2개가 개시된 구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모듈(120)은 보드(121,131) 및 발광부(122,132)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121,131)는 수지 기판, 세라믹 기판, 금속 기판(예: Metal core PCB), 플렉시블 기판, 리지드(Rigid) 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부(122,132)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직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부(122,132)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 보드(121,131)에 탑재된다. 상기 보드(121,131)는 상기 직류 변환부(113)에 대해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이는 서로 다른 보드(121,131)에 배치된 발광부(122,13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부(122,132)는 직류 변환부(113)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가시광선 대역 또는/및 자외선 대역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나의 보드(121)에는 복수의 발광부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보드(121,131)에는 상기 발광부(122,132)와 전기적으로 오픈된 제1저항(123,13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저항(123,133)은 보드 저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 및 모듈 보호부(150)는 과전류 보호 회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상기 발광 모듈(120) 내의 보드 개수에 따라 과전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과전류로 검출되면 과전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의 과전류 검출 신호(T1)는 모듈 보호부(150)에 입력되며,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과전류 검출 신호(T1)에 의해 상기 전원부(110A)에 과전류 차단 신호(P1)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전원부(110A)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차단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상기 보드(121,131)의 연결 개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류로 인해 상기 발광 모듈(120)에는 정격 전류 이상의 과전류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부하 검출부(140)로부터 검출된 과전류 차단 신호(T1)에 의해 상기 발광 모듈(120)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모듈(1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전에, 보드의 연결 개수와 미리 설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과전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제1저항(123,133), 제2저항(142), 제3저항(141), 커패시터(143) 및 비교 소자(144)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150)는 옵토 커플러(153)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상기 발광 모듈(120)의 각 보드(121,131)에 배치된 보드 저항 즉, 제1저항(123,133)을 포함하며, 상기 각 보드(121,131)에 배치된 제1저항(123,133)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저항(123,133)의 개수는 상기 발광 모듈(120) 내에 배치된 보드(121,131)의 개수에 대응되며, 상기 각 보드(121,131)에 배치된 제1저항(123,133)의 값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저항(123,133)들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1저항(123,133)의 합은 상기 보드(121,131)의 연결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작아지게 되며, 상기 보드(121,131)의 연결 개수가 적어지면 적어질수록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제1저항은 R1이고 10개가 병렬로 연결되면 R1/10의 값이 되며, 5개이면 R1/5의 값이 된다.
상기 제2저항(142)은 고정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저항(142)은 연결하고자 하는 보드(121,131)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는 전체 전류에 상응하는 저항값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저항값은 드라이버에 고정된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상기 제2저항(142)는 상기 발광 모듈(120)에 흘리고자 하는 전류가 크면 큰 값을 가지게 되며, 상기 제1저항(123,133)의 값은 상기 보드(123,133)의 개수가 적을수록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저항(123,133)과 상기 제2저항(142)의 합은 상기 제1저항(123,133)의 값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저항(123,133)과 상기 제2저항(142)의 합은 병렬 저항값으로 구해진다.
부하 검출부(140)는 제3저항(141)에 연결된 제1전압(V1)을 입력받고, 상기 제1전압(V1)은 상기 제1저항(123,133)및 제2저항(142)에 의해 전압 강하되며, 상기 전압 강하된 제1전압(V1)은 비교 전압(Vc)이 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143)는 상기 비교 전압(Vc)에 실린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비교 전압(Vc)의 레벨은 상기 제1저항(123,133)의 개수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된다. 즉, 병렬 저항의 노드(N1)에 걸리는 비교 전압(Vc)은 병렬 저항값이 작으면 상기 노드(N1)에 걸리는 비교 전압(Vc)은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병렬 저항값이 커지면 상기 노드(N1)에 걸리는 비교 전압(Vc)은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상기 비교 전압(Vc)은 비교 소자(144)에 기준 단으로 입력되며, 상기 비교 소자(Vc)의 일단은 접지되며, 타단은 모듈 보호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교 소자(144)는 제1저항(123,133)과 상기 제2저항(142)의 병렬 저항 노드(N1)에 걸리는 비교 전압(Vc)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상기 비교 소자(144)는 상기 비교 전압(Vc)과 내부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전압(Vc)이 내부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트리거되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 전압(Vc)이 내부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오프된다.
상기 비교 소자(144)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3단자 션트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2저항(142)의 값은 미리 설정된 보드(121,131)의 수량에 따라 정해지는 전류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5개의 보드 또는 그 이상이 연결된 경우, 5개의 보드 또는 그 이상의 보드에 공급되어야 하는 전류에 상응하는 제2저항(142)의 값이 설정된다. 이러한 제2저항(142)은 고정된 저항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
제1저항(123,133)의 병렬 저항값은 실제 연결된 보드(121,131)의 연결 수량이 증가하면 감소하게 되며, 상기 보드(121,131)의 연결 수량이 감소하게 되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저항(123,133)과 제2저항(142)의 병렬 저항값은 상기 제1저항(123,133)의 병렬 저항값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보드의 수량보다 실제 연결되는 보드(121,131)의 개수가 더 작은 경우, 상기 제1저항(123,133)의 병렬 저항값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제1저항(123,133) 및 제2저항(142)의 병렬 저항값은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저항(142)에 미리 설정된 보드 수량에 따라 정해지는 전류에 상응하는 값보다 큰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각 보드(121,131)에는 정격 전류보다 큰 과전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노드(N1)에 걸리는 비교 전압(Vc)이 큰 경우, 비교 소자(144)를 통해 과전류 검출신호(T1)를 출력한다.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옵토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옵토 커플러는 2차측 다이오드가 온 되어 발광하며, 1차측 수광소자가 온 되어,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차측 다이오드에는 제5저항(151)을 통해 제2전압(V2)이 연결되며, 1차측 수광소자의 일단에는 제3전압(V3)이 연결된다. 제6저항(152)은 상기 2차측 다이오드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제7저항(154)은 상기 2차측 수광소자의 출력 단에 연결된다.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다른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옵토 커플러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1차측 및 2차측은 직류 변환부(113)의 1차측 및 2차측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비교 소자(144)로부터 로우 신호 즉, 전류 차단 신호가 출력되면, 활성화되고, 전류 차단 신호(P1)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는 상기 제1저항(123,133)의 값에 따라 가변되는 비교 전압(Vc)으로부터 과전류 여부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부하 검출부(140)로부터 검출된 과전류 검출 신호(T1)에 의해 상기 전원부(110A)에 전류 차단 신호(P1)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10A)는 상기 전류 차단 신호(P1)에 의해 상기 발광 모듈(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보호부(150)는 상기 직류 변환부(113)에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 요소 (예 : PFC부) 또는 다른 경로 상에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전류를 차단토록 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비교 전압의 변화되는 값을 전원부(110A)에 제공함으로써, 비교 전압의 전위 변화에 따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드라이버와 발광 모듈의 연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버(110)에는 전원부(110A), 모듈 보호부(150) 및 비교 소자(113)와 같은 구성 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포함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110)의 제1포트(F1) 및 제2포트(F2)에는 발광모듈(120)의 보드(121,131)에 탑재된 발광부(122,132)가 연결되며, 공급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드라이버(110)의 제3포트(F3)은 제2저항(14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저항(142)은 미리 연결하고자 하는 보드의 개수에 맞춰 정해지는 전류에 상응하는 저항 값으로 연결되며, 제5포트(F5)의 접지단에 연결된다.
상기 드라이버(110)의 제4포트(F4)는 각 보드(121,131)에 배치된 제1저항(123,133)들이 병렬로 연결되며, 제5포트(F5)에 연결된 접지단(GND)에 연결된다.
상기 제3포트(F3)에 연결된 라인과 상기 제4포트(F4)에 연결된 라인은 드라이버(11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드라이버(110)의 기준 포트(Pv)에는 기준 저항(Rv)이 연결되며, 상기 기준 저항(Rv)은 미리 연결하고자 하는 보드의 개수에 맞춰 정해지는 전류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기준 저항(Rv)은 제2저항(142)의 저항 값과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지게 되며, 상기 제2저항(142)와 전기적으로 오픈되게 배치된다. 상기 기준 저항(Rv)은 보드 저항인 제1저항(123,133)의 연결 개수에 따라 제2저항(142)의 값과 함께 전체 공급 전류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기준 저항 값을 설정해 주어, 드라이버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기준 량을 항상 결정해 주게 된다.
또한 실시 예는 미리 설정된 보드의 수량보다 더 많은 보드가 연결된 경우, 전류 공급에 따른 과전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3은 발광 모듈의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드(121)에는 제1커넥터(121A) 및 제2커넥터(12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121A) 및 제2커넥터(121B)에는 4개의 포트(F1,F2,F4,F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커넥터(121A)의 제1포트(F1)는 정 극성 단으로서 직렬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중 첫 번째 제1발광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포트(F2)는 부 극성단으로서 직렬 연결된 발광부 중 마지막 번째의 제n 발광 다이오드((Dn)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커넥터(121A,121B))의 제4포트(F4)는 제1라인(L1)에 의해 연결되며, 제5포트(F5)는 제2라인(L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라인(L1)과 제2라인(L2) 사이에는 제1저항(123)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보드와 보드의 연결은 제1커넥터(121A) 및 제2커텍터(121B)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며, 제1포트(F1) 및 제2포트(F2)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부(122)가 병렬로 연결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있어서, 발광부의 연결에 따른 전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보드에 맞는 전류(Ia)는 4개 이상의 보드 또는 4개 이상의 발광부로 세팅된 경우, 4개의 발광부(122,132,142,152)에는 전류(Ia)가 공급되어, 각 발광부(122,132,142,152)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보드에 맞는 전류(Ia)에는 4개의 보드 즉, 4개의 발광부에 세팅된 전류에 의해 과전류로 검출되지는 않는다.
도 4(B)와 같이, 도 4(A)와 같이 세팅된 보드에 공급되는 전류에 보다 작은 2개의 보드 또는 2개의 발광부(122,132)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할 경우, 전류(Ia)는 과전류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부하 검출부는 보드 저항 즉, 제1저항의 값을 검출하여 과전류 검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부하를 보다 정확하게 체크하여 과전류로부터 발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제2저항과 세팅된 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저항의 값(Rset)이 커지면 전류(Iset)도 어느 레벨까지는 비례하여 커지도록 세팅하게 된다.
도 6은 제1저항과 발광 모듈에 공급된 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드의 연결 개수가 증가하면 또는 제1저항(Rb)들의 병렬 값이 증가하면, 각 보드 또는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류(Ib)는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보드의 연결 개수가 감소하거나 제1저항들의 병렬 값이 감소하면, 각 보드 또는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류(Ib)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드에 연결된 보드 저항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로부터 과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하 검출부(140)는 비교기(144A)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144A)는 노드(N1) 즉, 병렬 저항(142//123)의 합 노드에 걸린 비교 전압(Vc)을 부 단자(-)로 입력받고, 정 단자(+)에는 기준 전압(Vref)이 연결된다. 상기 비교기(144A)는 비교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로우 신호는 과전류 검출 신호(T1)가 된다. 상기 부하 검출부(140)의 과전류 검출신호(T1)는 모듈 보호부(150)를 활성화시켜, 과전류 차단 신호(P1)를 출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발광 모듈에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보드 간의 커텍터 접속 방식은 직접 접속되거나 간접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는 각 종 표시 장치, 전조등, 가로등, 실내등, 실외등, 신호등, 조명등 등과 같은 조명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드라이버, 110A:전원부, 120: 발광모듈, 121,131:보드, 122,132:발광부, 123,133:제1저항, 140:부하 검출부, 142:제2저항, 144:비교소자, 150: 모듈 보호부

Claims (9)

  1.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보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보드의 연결 개수에 따른 부하 변화로부터 과전류 여부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부; 및
    상기 부하 검출부의 과전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부에 전류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모듈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검출부는 상기 각 보드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오픈된 제1저항 및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2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저항과 전기적으로 오픈된 기준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에 걸린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하는 비교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소자는 션트 레귤레이트 또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보호부는 옵토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옵토 커플러의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비교 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부는 제1저항의 값이 기준 값보다 작을 때 트리거되고 상기 모듈 보호부를 활성화시켜 주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광부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병렬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2항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복수의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저항은 상기 각 보드에 배치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저항은 상기 제2저항의 저항 값과 동일한 값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10018685A 2011-03-02 2011-03-02 전원 공급 장치 KR10121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85A KR101219993B1 (ko) 2011-03-02 2011-03-02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85A KR101219993B1 (ko) 2011-03-02 2011-03-02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55A KR20120100055A (ko) 2012-09-12
KR101219993B1 true KR101219993B1 (ko) 2013-01-09

Family

ID=4710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85A KR101219993B1 (ko) 2011-03-02 2011-03-02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542A (ja) * 1993-03-05 1994-09-16 Toko Inc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8122226A (ja) * 2006-11-13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過電流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冷蔵庫、洗濯機
KR20100098821A (ko) * 2009-03-02 2010-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용 과전류 보호장치
KR20100009736U (ko) * 2009-03-25 2010-10-05 문호준 무부하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멀티 탭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542A (ja) * 1993-03-05 1994-09-16 Toko Inc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8122226A (ja) * 2006-11-13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過電流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冷蔵庫、洗濯機
KR20100098821A (ko) * 2009-03-02 2010-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용 과전류 보호장치
KR20100009736U (ko) * 2009-03-25 2010-10-05 문호준 무부하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멀티 탭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55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4065B1 (en) Illumination lamp and illumination apparatus
EP2385746B1 (en) Light source module, lighting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473003B1 (en) Led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JP5480668B2 (ja) 光源モジュール、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5379922B2 (ja)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9351366B1 (en) Isolation dimmer circuit structure
JP2006222377A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EP2413662A2 (en) Power source unit for LED lamps, and LED lamp system
US9041306B2 (en) Dimmable light source with temperature shift
EP3030051A1 (en) Signal converter circuit for dimming of a light source
US11172551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driver controllable by a power-line dimmer
US9635717B2 (en) LED lamp
US8072162B2 (en) Bi-direction constant current device
JP5473377B2 (ja) 発光素子の制御回路
US10219332B2 (en) Constant-current constant-voltage (CCCV) control unit power supply
KR101219993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317852B1 (ko) 엘이디 조명등용 의사부하 전원회로
KR101474075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9967935B2 (en) LED light source with improved glow reduction
KR101091046B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를 이용한 led 점등회로
KR20110004892U (ko) Led소자 정전류 구동장치
KR20110027328A (ko) 엘이디 드라이버 보호 장치
US9198249B1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lighting appliance
KR101107035B1 (ko) 무컨버터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78973B1 (k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