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889B1 -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9889B1 KR101219889B1 KR1020080061486A KR20080061486A KR101219889B1 KR 101219889 B1 KR101219889 B1 KR 101219889B1 KR 1020080061486 A KR1020080061486 A KR 1020080061486A KR 20080061486 A KR20080061486 A KR 20080061486A KR 101219889 B1 KR101219889 B1 KR 101219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main body
- fixing
- modu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를 용이하고 신속하며 청결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잔여접합제를 절단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전기적으로 가열하는 가열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된다.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de for cutting the residual binder in order to easily and quickly and cleanly remove the residual binder present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blade electrically The configuration is shown.
PV모듈, 접합시트 PV Module, Bonding Sheet
Description
본 발명은 PV모듈의 제조공정에서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the residual binder present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V module.
최근, 건축물의 외측면에 전지판을 설치한 건물외장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지판을 통하여 태양광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이를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여 건설비용을 줄이고, 그 디자인적 요소를 이용하여 건물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Recently, building exteri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with panel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building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not only produce electricity from solar energy through these panels, but also use them as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design Enemy elements are used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building.
태양광발전을 건축물에 적용하는 방식은 다양하나, 그 중에서도 특히 PV(Photo Voltaic)모듈을 건축물의 외면에 적용하는 방식은 전력생산이라는 본래의 기능 외에 건물의 외피재료로서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기술이다.There are many ways to apply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o buildings, but the method of applying PV (Photo Voltaic) module to the exterior of buildings is especially effective by adding new functions as building materials of building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function of power generation. This is a particularly advantageous technolog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건축물의 외피 마감재로 사용되는 PV모듈은 일반적인 투명복층창호를 대체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크게 원판모듈(Raw Module), EVA시트(EVA Sheet), 투명유리로 구성되며, EVA시트는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원판모듈과 투명유리를 서로 접합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PV module used as the building's exterior finishing material is applied to replace the general transparent multilayer windows, and is mainly composed of raw module, EVA sheet, and transparent glass, and EVA sheet is composed of original module and transparent glass. Interposed between the functions of bonding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to each other.
PV모듈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EVA시트가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에 비하여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원판모듈, EVA시트 및 투명유리의 조립체를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에서 양압과 음압을 조절하면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하부챔버에 일체화되어 있는 플레이트에 열을 100ㅀC 이상의 열을 가하여 EVA시트를 용융시키면, EVA시트가 용해되면서 원판모듈과 투명유리가 서로 접합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V modules i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e EVA sheet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T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assembly of the disc module, the EVA sheet and the transparent glass in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while adjusting the positive pressure and the negative pressure, and the EVA sheet is heated by applying heat of 100 ° C. or more to the plate integrated in the lower chamber. When the melted, the EVA sheet is dissolved while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are bond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PV모듈의 제조공정에서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접합이 완료된 후에는 용해된 EVA시트가 압력에 의해서 PV모듈의 측면 둘레로 흘러나와 덩어리 형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EVA시트 덩어리는 후속공정인 단자함(Junction Box)작업에 걸림돌이 되며, 제품으로서 청결도면에서 부적당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된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bonding of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V module, the melted EVA sheet flows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PV module by pressure and exists in the form of a lump. The lump of EVA sheet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is a stumbling block to the junction box work,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and is inadequate in terms of cleanliness as a product, thus adding a process of removing it.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EVA시트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칼날을 이용하였다. 이때, 원판모듈 및 투명유리의 접합후에는 대기중에서 EVA시트의 덩어리가 고형화되어 단단한 상태로 존재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칼날을 알코올램프를 사용하여 EVA시트 덩어리의 용융온도인 약 76ㅀC 이상으로 가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remove the EVA sheet lump existing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in the conventional case was used a general blade. In this case, after bonding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the mass of the EVA sheet is solidified and exists in the air in the air, so that the blade is removed to a temperature of about 76 ° C. or higher by using an alcohol lamp to remove the blade. Heating was carried out.
그러나, 종래의 PV모듈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칼날을 가열하여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EVA시트 덩어리를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칼날의 온도를 EVA시트 덩어리의 녹는점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V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since the general blade is heated to remove the EVA sheet lump present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the process of heating the blade temperature to the melting point of the EVA sheet lump is accompan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또한, 종래의 PV모듈의 제조공정은 칼날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므로, 달궈진 칼날이 식는 경우에는 EVA시트 덩어리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PV모듈의 측면의 면처리가 고르지 못하여 상품의 가치 및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PV모듈을 단자함과 연결하는 경우에 불량이 발생하여 PV모듈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칼날의 온도가 내려갈 때마다 칼날을 가열시키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PV모듈을 제조하는 공정의 소요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V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lade at a constant level. When the heated blade cools,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lump of EVA sheet, resulting in uneven surface treatment of the PV module. The value of the product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Accordingly, when the PV modul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x, a problem occur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V module is deteriorat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ocess of heating the blade every time the temperature of the blade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V module is considerably longer.
또한, 반복적인 칼날의 가열에 의하여 칼날이 소성에 의하여 자주 파손되고, 알코올램프의 알코올이 소모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PV모듈의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lade is frequently damaged by firing by repeated heating of the bla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V module significantly increases due to the consumption of alcohol in the alcohol lamp.
이러한 과정들이 제품 양산시 거쳐야 하는 하나의 공정으로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감소시키고, 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Since these processes are generalized as one process that must go through mass production of products, work efficiency is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process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V모듈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를 효율적으로 짧은 시간에 제거함으로써, 소요 공정시간을 단축하고, PV모듈의 측면의 면처리를 고르게 하여 상품가치를 극대화하고, PV모듈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PV접합모듈의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remove the residual binder present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in a short time, thereby reducing the required process time, side of the PV module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of a PV junction module that can maximize the value of products by optimizing the surface treatment and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PV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본체와,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층 사이에 접합제가 개재되는 모듈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잔여접합제를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유닛과, 본체에 구비되어 블레이드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o remove the residual binder expos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module consisting of at least two or more layers and the bind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blade to the main body, and a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lectrically heat the blade.
여기에서, 고정유닛은 서로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양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듈의 측면의 폭에 적절히 대응하여 모듈의 측면의 표면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fixing parts that are installed so that the interval is adjustable to each other fixed both ends of the blade.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can be treated even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즉, 한 쌍의 고정부는,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플레트로 구성되어 블레이드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와,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 재에 결합되어 블레이드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fixing parts are composed of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fixing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fixed to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ixing part for fixing one end of the bla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to be fixed member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blade.
한편, 블레이드는 도체로 형성되고, 가열유닛은 외부전원을 블레이드의 양단에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is formed of a conductor, the heating unit may comprise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both ends of the blade.
또한, 가열유닛은 블레이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코일과, 발열코일에 연결되어 전원을 발열코일로 인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류가 블레이드를 통하여 직접 흐르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coil disposed inside the blad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heating coil to apply power to the heating coil. In this case, since the current does not flow directly through the bla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electric shock of the user in advance.
또한, 연결부재와 고정유닛의 사이에는 비전도성의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절연을 위해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for insulation to interpose a non-conductive insulating member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ed unit.
한편, 가열유닛은 연결부재로 통전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전류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통전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블레이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lade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is supplied to the current control device to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절단된 잔여접합제의 이동을 본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절단된 잔여접합제가 모듈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여 절단된 잔여접합제가 모듈에 다시 부착되거나, 절단된 잔여접합제가 본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sidual binder cut by the bla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remaining residual binder is easily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It is desirable to avoid problems such as the cleaved residual adhesive reattached to the module, or the cleaved residual adhesive hinders the movement of the body.
한편, 블레이드가 모듈의 측면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블레이드에 의하여 절단되는 잔여접합제를 모듈의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본체와 고 정유닛의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xing unit so that the blade can easily access to the side of the module, and guide the remaining adhesive cut by the blade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또한, 블레이드는 그 중심축이 본체의 중심축의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모듈의 측면으로 노출된 잔여접합제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모듈의 측면을 고르게 처리하는 데에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ade is preferably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axis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to smoothly remove the residual adhesive exposed to the side of the module, thereby evenly treating the side of the modu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본체와,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층의 사이에 접합제가 개재되는 모듈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잔여접합제를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와, 본체에 서로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blade for removing the residual binder exposed to the side of the module consisting of at least two layers and the adhesive interposed between the layers, and the body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fixing parts which are installed so that the interval is adjustable to each other, the both ends of the blade is fixed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PV모듈의 측면에 덩어리 상태로 존재하는 잔여접합제를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블레이드로 제거함으로써, 잔여접합제의 제거를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PV모듈의 측면의 표면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V모듈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불량제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등, 제품생산에 따른 손실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residual binder present in a lump state on the side of the PV module with a blade that is electrically heat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to efficiently remove the residual binder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surface of the side of the PV module evenly,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V modu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such as loss of product production This can greatly reduce the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블레이드의 양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V모듈의 측면의 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V모듈의 측면의 표면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fixing part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blade, thereby effectively respond to the width of the side of the PV module, accordingly, PV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venly treat the surface of the sid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체결부재를 체결 및 해제하는 것을 통하여 블레이드의 조립 및 제거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 그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assembly and removal of the blade by fastening and releasing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replacement operation is easy and quick when the blade is damaged or damag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residual bind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 Embodiment 1 >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moving a residual bi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거장치의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of the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removal device of Figure 1, 7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moval device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손잡이부(101)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PV(Photovoltaic)모듈(80)의 제조공정에서 PV모듈(8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잔여접 합제(90)를 제거(트리밍)하기 위한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30)과, 본체(10)에 구비되어 블레이드(20)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본체(10)에는 가열유닛(40)과 연결되는 전기인입선(45)이 연결되며, 본체(10)의 손잡이부(101)와 고정유닛(30)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부(102)는 블레이드(20)가 PV모듈(80)의 측면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절단되는 잔여접합제(90)를 PV모듈(8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
접합제는 PV모듈(80)의 제조공정에서 접합시트의 형태로 원판모듈(Raw Module)과 투명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원판모듈과 투명유리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합제는 접합되기 전 초기에 고무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합과정에서 압력을 받으면서 열을 흡수하게 되면 액체형태로 변화되어 상하부의 원판모듈과 투명유리를 접합시킨다.The bonding agent is interposed between the raw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in the form of a bonding shee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접합시트는 일반적으로 원판모듈 및 투명유리의 면적에 비하여 큰 면적으로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사이에 개재되며,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접합이 완료된 후에는 PV모듈(80)의 측면에 덩어리 형태로 남게 되는데, PV모듈(90)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는 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제거된다.The bonding sheet is generally interposed between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in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onding of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in a lump form on the side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는 고정유닛(30)에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의 관통홀(21)(22)은 고정유닛(30)에 고정되는 경우 그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20)의 선단은, 잔여접합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 절단면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through
한편, 본 발명은 관통홀(21)(22)이 형성되는 블레이드(20)가 적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블레이드(20)가 고정유닛(30)에 단순히 끼워지는 방식인 경우에는 관통홀(21)(22)이 형성되지 아니한 블레이드(20)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to which the
블레이드(20)는 도체로 형성되어 전류가 인가되며, 인가되는 전류에 대한 저항에 의한 줄(Joule)열에 의하여 발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는 대략 잔여접합제(90)의 용융온도로 가열되어 PV모듈(80)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를 용융시키면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는 그 중앙이 PV모듈(80)의 측면을 향하는 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평한 블레이드(20)를 사용하여 잔여접착제(90)를 제거한 경우에는 PV모듈(80)의 측면의 원판모듈층, 접착제층 및 투명유리층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나, 중앙이 오목한 블레이드(20)를 사용하여 잔여접착제(90)를 제거한 경우에는 PV모듈(80)의 측면의 접착제층이 원판모듈층 및 투명유리층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지 않고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는 그 중심축(24)이 본체(10) 의 중심축(11)의 수직축(1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25)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PV모듈(80)의 측면으로 노출된 잔여접합제(90)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PV모듈(80)의 측면을 고르게 처리하는 데에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고정유닛(30)은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블레이드(20)의 일단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31)와, 제1고정부(31)와의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되고 블레이드(20)의 타단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에는 PV모듈(80)의 측면이 위치되므로, 고정유닛(30)은 블레이드(20)를 고정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잔여접합제(90)의 제거 시 블레이드(20)를 포함한 본체(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xing
고정유닛(30)의 제1고정부(31)는 본체(10)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31)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311)와, 지지플레이트(311)와 체결부재(313)를 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체결부재(313)로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313)가 적용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311) 및 고정플레이트(312)에는 체결부재(313)의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각각 결합홀(314)(3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314)(315)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이에 따라, 고정유닛(30)의 제1고정부(31)는 지지플레이트(311)와 고정플레이트(312)의 사이에 블레이드(20)의 일단을 개재시키고 체결부재(313)를 통하여 지지플레이트(311)와 고정플레이트(312)를 결합시키는 조립공정을 통하여 블레이 드(20)의 일단이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fixing
고정유닛(30)의 제2고정부(32)는 제1고정부(31)의 고정플레이트(312)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플레이트(311)에 체결부재(324)를 통하여 고정되는 결합부재(321)와, 결합부재(321)와 체결부재(323)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홀(327)을 갖는 고정부재(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결합부재(321)와 지지플레이트(31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재(321) 및 지지플레이트(311)에는 소정의 결합홀(325)(319)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325)(319)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플레이트(311)의 결합홀(319)은 그 연장되는 방향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321)가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In order to firmly couple the
이에 따라, 고정유닛(30)의 제2고정부(32)는 결합부재(321)와 고정부재(322)의 사이에 블레이드(20)의 타단을 개재하고 체결부재(323)를 통하여 결합부재(321)와 고정부재(322)를 결합시키고,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결합부재(321)를 지지플레이트(311)에 고정하는 조립공정을 통하여 블레이드(20)의 타단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고정유닛(30)의 각 구성부품은 통전에 따른 감전 등의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세라믹이나 내열성이 큰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component of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은 고정유닛(30)의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 사이의 간격 조절이 제2고정부(32)의 제1고정부(31)로의 고정위치의 변경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체에 고정되는 구성,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는 구성 등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유닛(30)의 구성부품이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블레이드(20)가 본체(10)에 고정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블레이드가 단순치 고정유닛에 끼워지는 구성 등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의 제거장치는 본체(10)에 서로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0)의 축방향과 대략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부(31) 및 제2고정부(32)에 블레이드(2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힘은 본체(10)를 미는 힘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PV모듈(80)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본체(10)의 축방향과 대략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moving the residual bin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in the
가열유닛(40)은 본체(10)와 연결되는 전기인입선(45)과 각각 연결되며 각각 블레이드(20)의 양단쪽으로 각각 연장되어 블레이드(20)를 통전시키는 제1연결부재(41) 및 제2연결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제1연결부재(41) 및 제2연결부재(42)는 비전도성의 연결라인(411)(421) 및 연결라인(411)(421)과 연결되고 블레이드(20)의 양단과 접촉되는 전도체(412)(422) 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인(411)(412)은 블레이드(20)의 길이조절 또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와의 사이의 간격조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신장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ng
또한, 제1연결부재(41) 및 제2연결부재(42)로 통전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블레이드(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류조절장치가 본체(10)의 내부에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urrent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PV모듈(80)의 제조공정에서 원판모듈과 투명유리의 접합이 완료되면, PV모듈(80)의 측면에는 용해된 접합시트가 압력에 의하여 노출되어 덩어리 형상으로 존재하게 된다.When the bonding of the original module and the transparent glass is comple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V모듈(80)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를 제거하기 위하여, PV모듈(80)의 측면의 폭에 대응되는 블레이드(20)를 준비한 후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블레이드(20)를 제1고정부(31) 및 제2고정부(32)에 조립한다.In order to remove the
그리고 전기인입선(45)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전류는 제1연결부재(41), 블레이드(20) 및 제2연결부재(42)를 흐르게 되는데, 이에 따라, 블레이드(20)가 저항에 의하여 발열된다.When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블레이드(20)의 온도가 잔여접합제(90)의 용융온도로 발열되면, 사용자가 본체(10)를 PV모듈(80)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가열된 블레이드(20) 에 의하여 PV모듈(80)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가 용융되어 절단되면서 제거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PV모들(80)의 측면에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의 제거공정이 완료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블레이드(20)를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PV모듈(80)의 측면에 덩어리 형상으로 존재하는 잔여접합제(90)를 큰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2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PV모듈(80)의 측면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heats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블레이드(20)를 별도로 가열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PV모듈(80)의 제조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PV모듈(80)의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ocess for separately heat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2)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PV모듈(80)의 측면의 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V모듈(80)의 측면의 표면을 고르게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ixing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체결부재(313)(323)를 체결 및 해제하는 것을 통하여 블레이드(20)의 조립 및 제거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20)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 그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assembly and removal of the
<제2실시예>≪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residual bind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ade of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블레이드(20)는 그 양단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1연결부재(41) 및 제2연결부재(42)의 전도체(412)(422)와 연결되는 도체부(201)(202)와, 블레이드(20)에 내장되고 도체부(201)(202)와 연결되는 발열코일(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블레이드(20)는 비전도성의 세라믹이나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전기인입선(45)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전류는 제1연결부재(41), 제2연결부재(42), 블레이드(20)내의 발열코일(210)을 통하여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발열코일(210)이 저항에 의하여 발열되고, 발열코일(210)의 열이 블레이드(20)로 전달되어 블레이드(20)가 잔여접합제(90)를 용융하여 제거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된다.As such, the 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여기에서, 제1고정부(31) 및 제2고정부(32)와 제1연결부재(41) 및 제2연결부재(42)의 전도체(412)(422)의 사이에는 비전도성의 절연부재(203)(204)가 구비되는 것이 전류가 제1고정부(31) 및 제2고정부(32)를 통하여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Here, the non-conductive insulating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xin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비전도성의 블레이 드(20)의 내부에 내장되는 발열코일(210)의 발열에 의하여 블레이드(20)가 가열되므로, 전류가 블레이드(20)를 통하여 직접 흐르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다른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Other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residual bind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서 블레이드(20)를 고정하는 고정유닛(30)은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블레이드(20)의 일단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31)와, 제1고정부(31)와의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되고 블레이드(20)의 타단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2)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the fixing
여기에서, 제2고정부(32)는 결합부재(321a)와 고정부재(322a)가 그 사이에 블레이드(20)의 타단이 삽입되는 슬릿(329)을 가진 형상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결합부재(321a)와 고정부재(322a)의 결합체가 제1고정부(31)의 지지플레이트(311)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second fixing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제2고정부(32)의 결합부재(321a)와 고정부재(32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고정부(32)가 제1고정부(31)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블레이드(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remaining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다른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Other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residual bind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손잡이부(101)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PV모듈(80)의 제조공정에서 PV모듈(8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잔여접합제(90)를 제거(트리밍)하기 위한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30)과, 블레이드(20)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40)과, 본체(10)에 설치되어 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절단된 잔여접합제(90)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 록 잔여접합제(9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가이드부재(60)의 블레이드(20)와 인접하는 부분은 블레이드(20)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잔여접합제(90)의 원활한 제거에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재(60)의 중앙부는 외측에 비하여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rtion adjacent to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는 절단된 잔여접합제(9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0)가 구비되어 절단된 잔여접합제(90)를 PV모듈(8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절단된 잔여접합제(90)가 PV모듈(80)에 다시 부착되거나, 절단된 잔여접합제(90)가 본체(10)의 이동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sidual bind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다른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Other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from this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거장치의 고정유닛이 분해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xing unit of the removal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
도 4는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
도 5는 도 1의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정편도이다.5 is a front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lade of the removal device of FIG.
도 6은 도 1의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the removal apparatus of FIG. 1.
도 7은 도 1의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moval device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의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ade of the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bind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여접합제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bind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본체 20: 블레이드10: main body 20: blade
30: 고정유닛 40: 가열유닛30: fixed unit 40: heating unit
60: 가이드부재 80: PV모듈60: guide member 80: PV module
90: 잔여접합제90: residual bind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1486A KR101219889B1 (en) | 2008-06-27 | 2008-06-27 |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1486A KR101219889B1 (en) | 2008-06-27 | 2008-06-27 |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544A KR20100001544A (en) | 2010-01-06 |
KR101219889B1 true KR101219889B1 (en) | 2013-01-08 |
Family
ID=4181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1486A KR101219889B1 (en) | 2008-06-27 | 2008-06-27 |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988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5112A (en) * | 2017-09-26 | 2019-04-03 | (주)대은 | A Recycling System of Unusable Solar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608B1 (en) * | 2010-01-29 | 2011-04-27 | 주식회사 인맥 | Trimming apparatus for solar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
CN101983848A (en) * | 2010-08-26 | 2011-03-09 | 常州亿晶光电科技有限公司 | Special cutter for packaging solar cell components |
CN102814824A (en) * | 2011-06-10 | 2012-12-12 | 中电电气(上海)太阳能科技有限公司 | Trimming cutter for solar laminated piece |
CN106564075B (en) * | 2016-10-17 | 2019-05-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Crystal silicon photovoltaic module edging sword and edging device |
KR102277629B1 (en) * | 2020-03-24 | 2021-07-15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Tire specimen collection device and tire groove depth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
KR102700650B1 (en) | 2024-01-19 | 2024-08-30 | 주식회사 이엠테크 | Rainproof and explosion-proof connector |
KR102700657B1 (en) | 2024-01-24 | 2024-08-30 | 주식회사 이엠테크 | Rainproof and explosion-proof connector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36299U (en) * | 1983-03-02 | 1984-09-11 | 新田 晴彦 | Cutter equipped with ceramic blade |
JPH02185400A (en) * | 1989-01-09 | 1990-07-19 | Techno Abanza Kk | Heat cutter device |
JPH08257257A (en) * | 1995-03-20 | 1996-10-08 | Daisen Menburen Syst Kk | Thin shaving cutter |
JP2001260076A (en) * | 2000-03-10 | 2001-09-25 | Honda Motor Co Ltd | Cutter for finishing solar cell module and cutter device |
-
2008
- 2008-06-27 KR KR1020080061486A patent/KR10121988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36299U (en) * | 1983-03-02 | 1984-09-11 | 新田 晴彦 | Cutter equipped with ceramic blade |
JPH02185400A (en) * | 1989-01-09 | 1990-07-19 | Techno Abanza Kk | Heat cutter device |
JPH08257257A (en) * | 1995-03-20 | 1996-10-08 | Daisen Menburen Syst Kk | Thin shaving cutter |
JP2001260076A (en) * | 2000-03-10 | 2001-09-25 | Honda Motor Co Ltd | Cutter for finishing solar cell module and cutter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5112A (en) * | 2017-09-26 | 2019-04-03 | (주)대은 | A Recycling System of Unusable Solar Module |
KR101986837B1 (en) * | 2017-09-26 | 2019-06-10 | (주)대은 | A Recycling System of Unusable Solar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544A (en)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9889B1 (en) | Apparatus for trimming adhesive sheet | |
KR101113027B1 (en) | Bonding device for ribbon on solar cell module | |
CN1137399C (en) | Optical-fiber strip welding device | |
US11211518B2 (en) | Tiled solar module repair process | |
CN101281934B (en) | A method for maintaining a solar module | |
EP1128960A4 (en) | Use of a laser to fusion-splice optical components of substantially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 |
WO2012101732A1 (en) | Optical fiber fusion connector | |
CN105449047A (en) | Assembly repairing device | |
KR101397678B1 (en) | Solarwall with snow melting function | |
KR101225984B1 (en) | Ribbon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cells | |
HK1044592B (en) | Use of a laser to fusion-splice optical components of substantially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 |
KR102025667B1 (en) | Apparatus for soldering | |
CN205303497U (en) | Device is reprocessed to subassembly | |
CN116871672A (en) | Series welding device and series welding method for battery pieces | |
SE533459C2 (en) | Method of encapsulating solar cells | |
CN215151955U (en) | Hot melt splicing apparatus | |
KR101018672B1 (en) | Induction heating type bonding head for ribbon of solar cell | |
CN208819904U (en) | Hot pressing die for solar cell module | |
CN108355925B (en) | Glue gun heating device | |
CN207543058U (en) | Solar cell module | |
CN114055388A (en) | Electrostatic chuck separating device | |
CN103760651B (en) | A kind of for optical fiber being carried out to the frock of air-tight packaging | |
CN202600222U (en) | Optical fiber arrangement device for integrating single-core optical fibers to strip-shaped optical fibers | |
CN220218737U (en) | Heating trimming device of photovoltaic module | |
CN220614959U (en) | Hot-melt connecting device for safety air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