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40B1 -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40B1
KR101219540B1 KR20120135843A KR20120135843A KR101219540B1 KR 101219540 B1 KR101219540 B1 KR 101219540B1 KR 20120135843 A KR20120135843 A KR 20120135843A KR 20120135843 A KR20120135843 A KR 20120135843A KR 101219540 B1 KR101219540 B1 KR 101219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shaft
fram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현
이정기
이상권
Original Assignee
블루워터 종합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워터 종합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워터 종합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3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02F3/207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with axial thrust pro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C02F2209/225O2 in the gas ph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이나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발생기 우려되는 호소(湖沼) 등의 수질정화가 필요한 곳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수질을 개선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양되어 공기를 수중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기포 발생을 극대화하여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양수단에 의해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작동되므로 설치 및 수거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폭기수단의 회전축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프로펠러가 수중에서 회전되면서 미세한 기포를 더욱 많이 발생시키게 되므로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축관과 지지관이 형성하는 두 개의 공기배출로를 통해서 공기가 각각 유입되므로 용존산소량을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공급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산소수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있어 더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질정화용 폭기장치{Aerator for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이나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발생기 우려되는 호소(湖沼) 등의 수질정화가 필요한 곳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수질을 개선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양되어 공기를 수중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기포 발생을 극대화하여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이나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발생기 우려되는 호소 등에는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속의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켜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가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서 비교적 설비가 거대한 수차에 의한 방식이 있고, 근래에는 소형화 된 폭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05136호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이는 폭기조 내에 고정 설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되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산소용존률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폭기조 내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므로 넓은 면적의 하/폐수처리시설이나 호소(湖沼) 등에는 상기 장치가 다수개 설치되어야 하므로 각각의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상당한 작업의 복잡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폭기조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이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폭기조 내부의 물을 비운 뒤 비로서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에 부양되어 이동하면서 산소와 공기를 동시에 수중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기포 발생을 극대화하여 용존산소량을 더욱 높여 수질 개선에 효과적이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정화용 폭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에 떠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블로워가 구비된 부양수단; 및 상기 부양수단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후측에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플랜지의 전측에 후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후단부 외주연에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측으로 개방된 제1공기배출로가 형성된 축관과, 상기 축관 내부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후단부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축관 외부로 돌출된 채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후단부 일측에는 상기 에어블로워와 관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에어유입관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측으로 개방된 제2공기배출로를 형성하는 지지관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와 그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 작동시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1,2프로펠러로 이루어진 프로펠러수단으로 구성된 폭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펠러수단의 제1,2프로펠러는 날개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양수단에는 수중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일 때는 에어블로워에서 공급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반대일 경우에는 공기량을 줄이는 공기공급 제어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공급 제어수단은 상기 부양수단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면서 수중에서 위치하여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 및 상기 산소측정센서가 측정하는 값을 수신 받아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에어블로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양수단에 의해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작동되므로 설치 및 수거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폭기수단의 회전축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프로펠러가 수중에서 회전되면서 미세한 기포를 더욱 많이 발생시키게 되므로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축관과 지지관이 형성하는 두 개의 공기배출로를 통해서 공기가 각각 유입되므로 용존산소량을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공급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산소수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있어 더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폭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기수단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다른 폭기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기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수질정화용 폭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폭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수질정화용 폭기장치는 크게 부양수단(100) 및 폭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부양수단(100)은 수면에 뜰 수 있는 소재로 된 다수의 부력체(110)와, 상기 부력체(110)를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120) 및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블로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블로워(130)는 통상 송풍팬과 같은 장치로서 널리 공지되어 있어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폭기수단(200)은 상기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수중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블로워(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수중으로 공급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수중에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부양수단(100)에는 수중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일 때는 에어블로워(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반대일 경우에는 공기량을 줄이는 공기공급 제어수단(300)이 추가로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공급 제어수단(300)은 상기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면서 수중에서 위치하여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310) 및 상기 산소측정센서(310)가 측정하는 값을 수신 받아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에어블로워(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제어부(320)에 입력된 산소농도 10mg/L를 기준으로 그 이하일 때에는 에어블로워(130)의 작동을 지속적으로 혹은 출력을 최대화 시켜 공급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이상일 때에는 에어블로워(130)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출력을 줄여 공기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폭기수단(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기수단을 보인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다른 폭기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폭기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폭기수단(200)은 플랜지(210), 모터(220), 축관(230), 회전축(240), 지지관(250) 및 프로펠러수단(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210)는 중앙에는 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2)의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공(214)이 환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220)는 상기 플랜지(210) 후측에서 볼트공(214)을 매개로 볼트 결합되어서 모터 축(222)이 상기 플랜지(210)의 관통공(212)으로 돌출되며, 회전 작동되는 통상적인 회전기기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축관(230)은 상기 플랜지(210) 전측에 후측이 볼트 결합되며 후단부 외주연에는 공기 유입공(23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측으로 개방된 제1공기배출로(2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관(230)의 후단부 외면에는 다단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236)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지지관(25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240)은 상기 축관(230) 내부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후단부는 상기 모터(220)의 축(222)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축관(230) 외부로 돌출된 채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제1,2나사부(242,244)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프로펠러수단(260)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너트(N)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50)은 상기 축관(23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후단부 끝단이 상기 축관(230)에 형성된 안착부(236)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그 후단부 일측에는 에어유입관(252)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축관(230) 사이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2공기배출로(254)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로펠러수단(260)은 상기 회전축(240)의 선단부와 그 후측에 형성된 제1,2나사부(242,244) 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축(240)의 회전 작동시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1,2프로펠러(262,264)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제1,2프로펠러(262,264)는 동일한 회전축(240)에 설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나 그 날개부(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더라도 마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하여 두 프로펠러(262,264)에서 기포를 발생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폭기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즉, 플랜지(210)의 후측에서는 모터(220)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고, 전측에는 축관(230)이 결합되며, 상기 축관(230) 내부로 회전축(240)이 삽입되어 상기 모터(220)의 축(22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40)과 축관(230) 사이에는 회전축(240)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위해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0)의 선단부 끝단에 형성된 제1나사부(242) 쪽에는 프로펠러수단(260)의 제1프로펠러(262)가 장착되어서 상기 제1나사부(242)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N)를 매개로 고정설치 되어 있고, 그 후측에 형성된 제2나사부(244) 쪽에는 제2프로펠러(264)가 장착되어서 상기 제2나사부(244)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N)를 매개로 고정설치 되어 있다. 즉, 제1프로펠러(262)는 축관(230) 외부에 위치되고, 제2프로펠러(264)는 축관(230) 내부 즉, 축관(230)이 형성하는 제1공기배출로(234)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0)에는 상기 제1,2프로펠러(262,264)를 고정하기 위해 너트(N)를 쪼임할 때 미부호 설명이나 더 이상 후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지지관이나 지지턱이 형성되어서 제1,2프로펠러(262,264)를 지지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축관(230)의 외측에는 지지관(250)이 결합되어서 후단부가 상기 축관(230)의 안착부(236)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제2공기배출로(254)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축관(230)의 안착부(236)와 지지관(250)의 후단부 내면에 탭을 형성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240)이 회전하게 됨은 너무나 당연한데, 상기 회전축(240) 상에 구비된 제1,2프로펠러(262,264)는 그 날개부(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폭기수단(200)은 앞서 살펴본 부양수단(100)에 장착되어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용 폭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부력체(110)를 매개로 수면에 떠 있는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에는 폭기수단(200)의 플랜지(210)가 고정 설치되되 모터(220)가 설치된 반대쪽인 선단부 일부가 수중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폭기수단(200)의 회전축(240)에 결합된 프로펠러수단(260)은 일부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위치하게 되며, 제1프로펠러(262)는 축관(230)의 외부에서 수중에 위치하고, 제2프로펠러(264)는 축관(230) 내부에 위치하면서 수중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 일측에 설치된 에어블로워(130)와 폭기수단(200)인 지지관(250)의 에어유입관(252)은 미부호 설명이나 파선으로 도시된 관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 제어수단(300)의 산소측정센서(310)는 부양수단(100)의 프레임(120)에 고정 설치되어서 수중에 위치하고 있으며, 프레임(120)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산소 측정값을 실시간 센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폭기수단(200)의 모터(2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에어블로워(130)를 작동시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에어블로워(130)에서 공급된 공기는 에어유입관(252)을 통해서 유입된 뒤 지지관(250) 내부에 형성된 제2공기배출로(254)를 통해서 수중으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 축(222)과 연결된 회전축(2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240)에 장착된 제1,2프로펠러(262,264)가 회전되는데, 특히 상기 제1프로펠러(264)는 제2공기배출로(254)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와 충돌하여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축관(230)의 외부에 구비된 제1프로펠러(262)의 추진력으로 인해 수면을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관(230)의 후단부에 형성된 유입공(232)으로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제1공기배출로(234)를 통해 수면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배출로(234) 상에서 회전되는 제2프로펠러(264)의 회전 작동으로 인해 더 많은 기포의 발생을 극대화할 수 있어 용존산소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2프로펠러(262,264)의 날개부(b)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더 많은 기포 발생을 유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비록, 상기 제1,2프로펠러(262,264)의 날개부(b)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제2프로펠러(264)는 축관(230)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프로펠러(262)의 추진력에는 큰 간섭을 하지 않으면서도 기포 발생만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수중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키는 과정에서 수중에 위치하고 있는 제어수단(300)의 산소측정센서(310)가 측정한 값에 의해 제어부(320)가 상기 에어블로워(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일정한 수준으로 산소용존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지관리에 있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폭기수단(200)은 부양수단(100)에 의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작동되므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폭기수단(200)의 회전축(240) 상에 구비된 두 개의 프로펠러(262,264)가 수중에서 회전되면서 미세한 기포를 더욱 많이 발생시키게 되므로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축관(230)과 지지관(250)이 형성하는 두 개의 공기배출로(234,254)를 통해서 공기가 각각 유입되므로 용존산소량을 더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공급 제어수단(300)이 구비되어 산소수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부양수단 110 : 부력체
120 : 프레임 130 : 에어블로워
200 : 폭기수단 210 : 플랜지
212 : 관통공 214 : 볼트공
220 : 모터 222 : 축
230 : 축관 232 : 유입공
234 : 제1공기배출로 236 : 안착부
240 : 회전축 242 : 제1나사부
244 : 제2나사부 250 : 지지관
252 : 에어유입관 254 : 제2공기배출로
260 : 프로펠러수단 262 : 제1프로펠러
264 : 제2프로펠러 300 : 공기공급 제어수단
310 : 산소측정센서 320 : 제어부

Claims (4)

  1. 수면에 떠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블로워가 구비된 부양수단; 및
    상기 부양수단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후측에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플랜지의 전측에 후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후단부 외주연에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측으로 개방된 제1공기배출로가 형성된 축관과, 상기 축관 내부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후단부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축관 외부로 돌출된 채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후단부 일측에는 상기 에어블로워와 관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에어유입관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측으로 개방된 제2공기배출로를 형성하는 지지관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와 그 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 작동시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1,2프로펠러로 이루어진 프로펠러수단으로 구성된 폭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수단의 제1,2프로펠러는 날개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단에는 수중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기준값 이하일 때는 에어블로워에서 공급되는 공기량을 늘리고, 반대일 경우에는 공기량을 줄이는 공기공급 제어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 제어수단은
    상기 부양수단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면서 수중에서 위치하여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 및
    상기 산소측정센서가 측정하는 값을 수신 받아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에어블로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KR20120135843A 2012-11-28 2012-11-28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KR10121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5843A KR101219540B1 (ko) 2012-11-28 2012-11-28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5843A KR101219540B1 (ko) 2012-11-28 2012-11-28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540B1 true KR101219540B1 (ko) 2013-01-09

Family

ID=4784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5843A KR101219540B1 (ko) 2012-11-28 2012-11-28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968A (zh) * 2015-08-20 2015-12-09 安徽星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水处理的推进式曝气设备
KR20160076110A (ko) 2014-12-22 2016-06-30 청우에이스(주) 수질 정화를 위한 가변제어 폭기장치
CN108675468A (zh) * 2018-05-28 2018-10-19 芜湖裕优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的曝气设备及其曝气方法
KR20210045248A (ko)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01A (ko) * 2001-02-02 2002-08-09 이윤화 정수설비의 폭기조용 기포증발기
KR20020086317A (ko) * 2002-07-31 2002-11-18 이만기 폐수처리용 스크류형 폭기기
KR20050024465A (ko) * 2005-01-18 2005-03-10 주선미 산소공급과 부유물 포집이 용이한 수질정화용 불로워장치
KR20060005136A (ko) *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젠트로 산소용존이 용이한 폭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폭기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01A (ko) * 2001-02-02 2002-08-09 이윤화 정수설비의 폭기조용 기포증발기
KR20020086317A (ko) * 2002-07-31 2002-11-18 이만기 폐수처리용 스크류형 폭기기
KR20060005136A (ko) *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젠트로 산소용존이 용이한 폭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폭기조
KR20050024465A (ko) * 2005-01-18 2005-03-10 주선미 산소공급과 부유물 포집이 용이한 수질정화용 불로워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110A (ko) 2014-12-22 2016-06-30 청우에이스(주) 수질 정화를 위한 가변제어 폭기장치
KR101781357B1 (ko) * 2014-12-22 2017-09-25 청우에이스(주) 수질 정화를 위한 가변제어 폭기장치
CN105129968A (zh) * 2015-08-20 2015-12-09 安徽星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水处理的推进式曝气设备
CN108675468A (zh) * 2018-05-28 2018-10-19 芜湖裕优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的曝气设备及其曝气方法
KR20210045248A (ko)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KR102305562B1 (ko) 2019-10-16 2021-09-27 박문희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40B1 (ko) 수질정화용 폭기장치
KR101587265B1 (ko)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KR20140020592A (ko) 풍력을 이용한 녹조 방지 및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CN111072128B (zh) 一种臭氧催化氧化塔式反应装置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201411391Y (zh) 具有双层叶轮的曝气搅拌装置
KR101954931B1 (ko) 폭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CN205710069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US20100327590A1 (en)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using bubble buoyancy
US10532331B2 (en) Artificial-whirlpool generator
KR20050024465A (ko) 산소공급과 부유물 포집이 용이한 수질정화용 불로워장치
CN207375788U (zh) 软管搅拌外置式简易涡凹气浮装置
CN206521816U (zh) 一种节能型防沉积污水蓄水池
KR200172329Y1 (ko)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CN205838698U (zh) 一种多角度变化的自吸式螺旋曝气机
CN2156184Y (zh) 深层曝气机
CN203346155U (zh) 一种自吸气式螺旋曝气机
CN217627829U (zh) 一种污水处理池曝气装置
CN108394948A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211098656U (zh) 一种脱硫废水处理系统的中和箱的搅拌装置
KR200449930Y1 (ko) 부유식 수면 폭기장치
CN204999717U (zh) 一种双叶轮液下曝气机充氧控制装置
CN218089086U (zh) 一种新型用于污水处理站的一体式曝气固定床系统装置
CN212581620U (zh) 一种用于工业废水处理用的曝气器
CN213139986U (zh) 一种制备生物活性物质用废液收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