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312B1 - 아기용 캐리어 장치 - Google Patents

아기용 캐리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312B1
KR101219312B1 KR1020120034610A KR20120034610A KR101219312B1 KR 101219312 B1 KR101219312 B1 KR 101219312B1 KR 1020120034610 A KR1020120034610 A KR 1020120034610A KR 20120034610 A KR20120034610 A KR 20120034610A KR 101219312 B1 KR101219312 B1 KR 10121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addle
support
guardian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2003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에 의해 안거나 업혀진 아기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여, 장시간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로 이동함에 따른 보호자, 및 아기의 피로가 감소되도록 하는 유아용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와;
상기 아기가 착석된 안장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몸무게가 지지부를 통해 분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용 캐리어 장치{Carrier apparatus for use of baby}
본 발명은 아기용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로 이동함에 따른 보호자, 및 아기의 육체 피로를 감소시키는 유아용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자들은 아기를 주기적으로 안거나 업어서 아기와의 스킨쉽을 유도하고 있으며, 어느 연구결과에 따르면 안거나 업는 과정을 통해 보호자와 아기가 스킨쉽을 자주 실시하면 아기의 정서발달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 보호자가 장시간 아기를 안거나 업게 되면 육체 피로가 가중되어 허리 등의 통증이 유발되기도 하고, 또 아기의 추락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에, 보호자들은 장시간 아기를 업을 경우, 아기띠나 포대기를 통해 아기를 보호자의 상체에 고정시켜, 아기의 추락 등에 따른 위험성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대기나 아기띠를 사용하더라도 아기를 안거나 업음에 따라 발생되는 과도한 육체 피로를 감소시킬 수 없고, 또 아기는 보호자의 상체에 메달려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아기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특히, 포대기나 아기띠를 착용한 상태로 서서 설거지를 하거나, 쇼핑이나 관람을 위해 백화점이나, 마트나, 전시장을 장시간 이동하면,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화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호자들은 장시간의 이동이 요구되는 백화점, 마트, 전시장 등을 이동할 때에는 유모차에 아기를 태워 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모차를 활용하여 아기를 이동시키게 되면 과도한 육체적 피로가 저감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유모차에 태워 아기를 이동하면 보호자와 아기 사이의 스킨쉽이 유도되지 아니하므로 아기의 정서 발달이 저해되고, 또 사람들이 붐비는 공간에서는 이동이 용이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에 의해 안거나 업혀진 아기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여, 장시간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로 이동함에 따른 보호자, 및 아기의 육체 피로가 감소되도록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기용 캐리어 장치는,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와;
상기 아기가 착석된 안장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몸무게가 지지부를 통해 분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지지부는 바퀴의 구름작용에 의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높이 조절구조가 형성되어, 지지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안장부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자에게 밀착되는 안장부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안장부는 고정부재를 통해 보호자에게 고정되고, 보호자와 마주하는 안장부의 전방에는 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안장부는 보호자를 감싼 상태로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부, 또는 지지부에는 핸들과 거상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호자는 핸들을 파지하여 진행방향을 조정하고, 거상 손잡이를 통해 안장부와 지지부를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거상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의 상체에 안기거나 업힌 아기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아기용 캐리어 장치를 활용하여 안거나 업혀진 아기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면 보호자에게 가해지던 아기의 몸무게가 지면으로 분산되므로, 장시간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보호자에게 과도한 육체 피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또 안거나 업혀진 아기는 안장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아기는 편안한 자세로 안거나 업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는 보호자의 신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이동이 가능하고, 보호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안장부의 위상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이동바퀴와 핸들을 통해 진행방향의 전환, 및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에 있어, 안장부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에 있어, 안장부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1)는, 아기가 안거나 업힌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힌 아기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여 아기의 몸무게를 지면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아기의 몸무게에 의한 보호자, 및 아기의 육체적인 피로가 저감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아기용 캐리어 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기가 안기거나 업힌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10)와; 상기 안장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장부(10)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호자에 의해 업히거나 안긴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10)는 통상,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의 경량성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에 스펀지 등의 큐션재를 적층한 형태, 우레탄 수지를 발포 성형하여 자체적인 신축성을 갖도록 한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장부는 스펀지, 또는 우레탄 등의 신축성에 의해 우수한 착석감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안장부(10)를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힌 아기가 착석되는 좌판(11)과, 아기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판(12)이 마련된 형태로 구성하여, 좌판(11)에 착석된 아기가 등 부위를 등판(12)에 지지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착석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장부(10)를 구성하는 좌판(11)의 전방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곡지게 돌출된 보호자의 상체를 감싸는 안착홈(11a)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안착홈(11a)을 통해 상호 마주하는 보호자와 안장부(10)는 보다 근접된 상태를 형성하여 밀착된다.
이때, 안착홈(11a)을 통해 보호자와 밀착되는 안장부(10)에는 보호자와 안장부(10)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보호자의 허리에 밀착된 안장부(10)는 고정부재(13)를 통해 보호자에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보호자의 허리부위에 결박되는 결박끈(13a)과 상기 견박끈(13a)을 연결, 및 분리시키는 버클(13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결박형의 고정부재(13)를 안장부(10)에 형성하여, 아기가 착석되는 안장부(10)는 결박끈(13a)을 통해 보호자의 허리부위에 결박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3)를 통해 안장부(10)가 보호자의 허리부위에 고정되면, 안장부(10), 및 안장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는 보호자에게 고정된 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안장부(10)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20)는, 안장부(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대(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1)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바퀴(22a)가 형성되어, 바퀴(22a)의 구름작용에 의해 지지부(20), 및 이 지지부(20)에 지지된 안장부(10)를 포함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1)의 원활한 이송이 도모된다.
상기 지지대(21)의 하단에는 바퀴(22a)를 고정한 한 쌍의 바퀴 장착편(22)이 분지구조로 설치되어, 도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지구조를 형성한 바퀴 장착편(22)들 사이에는 보호자의 발이나 다리가 진입되는 진입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1)의 하부에 진퇴 가이드(21b-c)를 형성하고, 이 진퇴 가이드(21b-c)에 바퀴 장착편(22)을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바퀴(22a)가 설치된 바퀴 장착편(22)의 진퇴거리에 따라 바퀴 장착편(2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장부(10)를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하여 보행하는 보호자의 다리나 발이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지지부(20)의 바퀴 장착편(22)에 간섭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보호자는 바퀴 장착편(22)에 의한 간섭없이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행하고자 하는 공간의 폭에 따라 바퀴 장착편(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장부(10)의 안정된 지지상태를 확보하면서도 다리나 발과의 간섭없이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장부(10)와, 상기 안장부(10)를 지면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20) 사이에는 회동 연결부가 형성되어, 지지부(20)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허리부위에 고정된 안장부(10)의 전후방향으로 젖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장부(10)의 저면과 지지부(20)의 상부 사이에 힌지 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 회동 연결부를 형성하여, 힌지 브라켓(24)의 굴절작용에 의해 안장부(10)의 전후로 젖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장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에는 높이 조절구조가 형성되어, 보호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안장부(1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절구조는, 실린더의 신축을 이용한 형태, 텔레스코프형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다면, 본 발명에서는 예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21)를 안장부(10)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재(21a)와 하단에 바퀴 장착편(22)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재(21b)로 분리 구성하는 한편, 하부 지지부재(21b)에는 상하 관통된 승강 가이드(21b-a)를 형성하고, 이 승강 가이드(21b-a)에 상부 지지부재(21a)를 승강구조로 설치하여, 상부 지지부재(21a)가 상승하면 안장부(10)의 위상은 상승하고, 상부 지지부재(21a)가 하강하면 안장부(10)의 위상은 하강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21a)의 하부에는 스프링(21c)이 배치되어, 스프링(21c)의 압축을 통해 상부 지지부재(21a)는 높이 조절과정에 서서히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21b)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21b-a)에는 관통된 상부 지지부재(21a)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21b-b)가 설치되어, 높이 조절을 마친 상부 지지부재(21a)는 고정볼트(21b-b)에 의해 가압하여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재(21b)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상부 지지부재(21a)의 승강거리에 따라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된 안장부(10)의 위상이 조절되고, 필요에 따라 상부 지지부재(21a)와 하부 지지부재(21b)의 분리를 통해 부피를 축소시켜서, 휴대, 및 보관에 따른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안장부(10), 또는 지지부(20)에 핸들(14)을 형성하여, 아기를 안거나 업은 보호자가 파지한 핸들(14)을 통해 진행방향을 쉽게 전환하면서 이동하도록 한다.
도면을 안장부(10)의 양편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핸들(14)이 각각 형성되어, 보호자는 양손으로 핸들(14)을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아기가 착석된 캐리어 장치(1)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이동하도록 하고, 또 핸들(14)에 의해 보호자의 양방이 감싸진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장부(10), 또는 지지부(20)에 거상 손잡이(23)를 형성하여, 바퀴(22a)를 통해 주행이 어려운 불균일한 노면이나 계단 등을 통과할 때, 거상 손잡이(23)를 파지하여 캐리어 장치(1)를 거상시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기용 캐리어 장치(1)는, 최초 포대기나 아기띠(B)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에 아기를 안거나 업은 보호자는, 높이 조절구조를 통해 높이가 조절된 캐리어 장치(1)를 근접시켜 안장부(10)를 허리에 밀착시킨다.
이때, 안장부(10)는 안착홈(11a)을 통해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보다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형성하고, 안장부(10)에 착석된 아기의 몸무게는 지지부(20)를 통해 지면에 분산된다.
그리하여, 아기를 안거나 업은 보호자는 아기 몸무게에 의한 피로가 감소하고, 또 아기는 안장부(10)에 착석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아기를 감싸는 아기띠(B)와, 이 아기띠(B)가 안착되는 안장부(10) 사이에 벨크로(10a)를 대응되게 형성하면, 아기띠(B)와 안장부(10) 사이의 보다 안정된 고착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는 안장부(10)에 형성된 고정부재(13)를 통해 안장부(10)를 허리에 고정하고, 파지한 핸들(14)을 통해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바퀴(22a)를 통해 이동하면서 쇼핑이나 전시회 관람, 설거지 등의 개인용무를 보게 된다.
그리고, 이동 경로 상에 계단이나 노면이 불균일한 구간 등 바퀴(22a)를 통한 이동이 어려운 구간에 도달하면, 보호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상 손잡이(23)를 통해 지지부(20), 및 안장부(10)를 거상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1. 아기용 캐리어 장치
10. 안장부 11. 좌판
11a. 안착홈
12. 등판 13. 고정부재
13a. 결박끈 13b. 버클
14. 핸들
20. 지지부 21. 지지대
21a. 상부 지지부재 21b. 하부 지지부재
21b-a. 승강 가이드 21b-b. 고정볼트
21b-c. 진퇴 가이드 21c. 스프링
22. 바퀴 장착편 22a. 바퀴
23. 거상 손잡이 24. 힌지 브라켓
S. 진입공간 B. 아기띠
B'. 벨크로

Claims (6)

  1. 보호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착석공간을 형성하는 안장부와;
    상기 아기가 착석된 안장부를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호자에게 안거나 업혀진 아기의 몸무게가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분산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지지부는 바퀴의 구름작용에 의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높이 조절구조가 형성되어, 지지부의 높이 조절을 통해 안장부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보호자에게 밀착되는 안장부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안장부는 고정부재를 통해 보호자에게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의 전방에는 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안장부는 안착홈을 통해 보호자를 감싼 상태로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 또는 지지부에는 핸들이 형성되어, 안장부에 아기를 착석시킨 보호자는 핸들을 파지하여 진행방향을 조정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용 캐리어 장치.
KR1020120034610A 2012-04-03 2012-04-03 아기용 캐리어 장치 KR10121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10A KR101219312B1 (ko) 2012-04-03 2012-04-03 아기용 캐리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610A KR101219312B1 (ko) 2012-04-03 2012-04-03 아기용 캐리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312B1 true KR101219312B1 (ko) 2013-01-10

Family

ID=4784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610A KR101219312B1 (ko) 2012-04-03 2012-04-03 아기용 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31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462A (ko) * 2014-02-07 2015-08-18 신영우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CN104856508A (zh) * 2014-02-20 2015-08-26 吴世浩 混合式婴儿承载器
KR101590619B1 (ko) * 2015-09-24 2016-02-18 주식회사 제이씨텍 유아용 부스터 겸용 힙시트 캐리어
CN106455818A (zh) * 2014-04-02 2017-02-22 王咏梅 婴儿承载装置
KR20180061768A (ko) 2016-11-30 2018-06-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힙시트 캐리어 장치
CN108338592A (zh) * 2017-01-20 2018-07-31 中西合璧有限责任公司 婴儿承载装置
CN108741825A (zh) * 2018-06-22 2018-11-06 王海忠 一种可调节称重老年座椅
KR20190011589A (ko) * 2017-07-25 2019-02-07 정준오 힙시트 캐리어
CN109431163A (zh) * 2018-12-06 2019-03-08 李冰清 背带式多功能婴儿车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KR20200065173A (ko) * 2018-11-29 2020-06-09 피씨오낙(주) 이동 상태에 따른 다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유아 체중 지지 장치
US10709261B2 (en) 2014-04-02 2020-07-14 BridgeHub LLC Baby carrier
US11045014B2 (en) 2017-10-13 2021-06-29 BridgeHub LLC Device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bab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93U (ko) * 1998-03-11 1998-06-05 김복규 베이비 케리어
KR200213105Y1 (ko) 2000-08-30 2001-02-15 주식회사이에프이 차양이 설치된 유아용 케리어
KR200336872Y1 (ko) 2003-10-02 2003-12-24 정상민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93U (ko) * 1998-03-11 1998-06-05 김복규 베이비 케리어
KR200213105Y1 (ko) 2000-08-30 2001-02-15 주식회사이에프이 차양이 설치된 유아용 케리어
KR200336872Y1 (ko) 2003-10-02 2003-12-24 정상민 유아용 캐리어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09B1 (ko) 2014-02-07 2015-12-30 신영우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KR20150093462A (ko) * 2014-02-07 2015-08-18 신영우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CN104856508A (zh) * 2014-02-20 2015-08-26 吴世浩 混合式婴儿承载器
KR101562329B1 (ko) * 2014-02-20 2015-10-22 오세호 하이브리드 아기띠
US9357853B2 (en) 2014-02-20 2016-06-07 Se-Ho OH Hybrid baby carrier
CN106455818A (zh) * 2014-04-02 2017-02-22 王咏梅 婴儿承载装置
US10709261B2 (en) 2014-04-02 2020-07-14 BridgeHub LLC Baby carrier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KR101590619B1 (ko) * 2015-09-24 2016-02-18 주식회사 제이씨텍 유아용 부스터 겸용 힙시트 캐리어
KR20180061768A (ko) 2016-11-30 2018-06-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힙시트 캐리어 장치
CN108338592A (zh) * 2017-01-20 2018-07-31 中西合璧有限责任公司 婴儿承载装置
KR101972011B1 (ko) * 2017-07-25 2019-04-24 정준오 힙시트 캐리어
KR20190011589A (ko) * 2017-07-25 2019-02-07 정준오 힙시트 캐리어
US11045014B2 (en) 2017-10-13 2021-06-29 BridgeHub LLC Device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baby
CN108741825A (zh) * 2018-06-22 2018-11-06 王海忠 一种可调节称重老年座椅
KR20200065173A (ko) * 2018-11-29 2020-06-09 피씨오낙(주) 이동 상태에 따른 다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유아 체중 지지 장치
KR102127371B1 (ko) 2018-11-29 2020-06-30 피씨오낙(주) 이동 상태에 따른 다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유아 체중 지지 장치
CN109431163A (zh) * 2018-12-06 2019-03-08 李冰清 背带式多功能婴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312B1 (ko) 아기용 캐리어 장치
US5058912A (en) Combination chair/walker
EP1145696B1 (en) Vehicle to assist walking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US6003940A (en) Arm chair with massaging wrist supports
US6182304B1 (en) Bathing transfer apparatus
US2597105A (en) Easy chair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KR200471283Y1 (ko) 허리밀착 의자
CN211461091U (zh) 多功能助行器
US5758892A (en) Restraint chair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US20220227407A1 (en) Vehicle combination
JP7030337B2 (ja) おむつ交換台用のマット
KR101274582B1 (ko) 의자의 보조 등받이 장치
KR101100857B1 (ko) 적재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3륜 바퀴의 쇼핑카트
CN105934180A (zh) 体干支撑垫
CN104042068A (zh) 一种省力抱婴凳
KR101407695B1 (ko) 음경 압박 방지용 자전거 안장
FR3020750A1 (fr) Dispositif de maintien corporel en position debout
JP2002238700A (ja) ソファー
KR102167648B1 (ko) 의자가 부설된 여행용 가방
CN209404200U (zh) 一种可安装在拉杆箱上的儿童座椅
KR200222778Y1 (ko) 아기 운반용 배낭이 구비된 유모차
CN215604413U (zh) 一种防水红木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