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68B1 -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68B1
KR101219168B1 KR1020090032189A KR20090032189A KR101219168B1 KR 101219168 B1 KR101219168 B1 KR 101219168B1 KR 1020090032189 A KR1020090032189 A KR 1020090032189A KR 20090032189 A KR20090032189 A KR 20090032189A KR 101219168 B1 KR101219168 B1 KR 10121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or
optical
signal
output
b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295A (ko
Inventor
장순혁
정환석
이상수
김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581,79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42964A1/en
Publication of KR2010006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 H04B10/5561Digital phas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3Laser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64Powe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초고속 광신호 전송을 위한 광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광 전송 장치는 병렬 연결된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 형태의 제1변조기 및 제2변조기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 및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광 변조기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광 변조기의 최종 출력 광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출력 안정화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안정된 광신호 출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Optical transmitting apparatus for stable optical signal output}
초고속 광신호 전송을 위한 광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 편이 변조 방식을 갖는 광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17-01, 과제명: 100Gbps급 이더넷 및 광전송기술개발]
파장 분할 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광전송 기술은 전송 용량의 급격한 수요 증가를 충족시킬 만한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WDM 광전송이란 여러 개의 파장 채널을 하나의 광섬유 내에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한 개의 파장 채널이 10Gb/s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면, 50개의 파장을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500Gb/s의 전송 속도를 가질 수 있어 대용량 전송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시분할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광전송 기술 또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최근 40Gb/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광 송수신 장치가 개 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100Gb/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광 송수신 장치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고속 전기 소자의 개발과 상용화가 요구되나, 고속 전기 소자의 발전은 아직 미비한 편이다. 그래서 100Gb/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QPSK(Quarternary Phase Shift Key) 변조 방식과 같은 멀티레벨 변조 방식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QPSK 변조 방식에서는 50GSymbol/s의 심볼 변조 속도로 100Gb/s의 전송 용량을 보낼 수 있다. 또한 PM(polarization-multiplexed)-QPSK 방식에 의해서는 25GSymbol/s로 100Gb/s의 전송 용량을 보낼 수 있다. QPSK에서는 1 심볼당 2bit를, PM-QPSK에서는 1 심볼당 4bit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레벨 변조 방식에서는 고속 전기 소자의 속도에 대한 요구를 많이 완화할 수 있다.
안정적인 광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광 전송 장치는 병렬 연결된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 형태의 제1변조기 및 제2변조기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 및 제1변조기와 제2변조기 및 광 변조기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광 변조기의 최종 출력 광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출력 안정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출력 안정화부는 광 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bia dithering) 신호를 제1변조기와 제2변조기 및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각각의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출력 안정화부는 제1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검출부, 제2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2검출부, 및 광 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3검출부를 포함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를 제1변조기와 제2변조기 및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제1검출부와 제2검출부 및 제3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각각의 바이어스 디더링 신 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출력 안정화부는 광 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분기하는 제1분기부 및 제2분기부; 제1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검출부 및 제2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2검출부를 포함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를 제1변조기와 제2변조기 및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제1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광 변조기에 인가된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그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며, 제2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제1변조기와 제2변조기에 인가된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QPSK 광 변조기의 두 개의 MZ 변조기 그리고 두 arm 사이의 위상 차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QPSK 변조된 안정적인 광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광 전송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2는 BPSK 광 변조기의 원리 및 바이어스 디더링(dithering)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광원(100)은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일 수 있다. BPSK 변조기(110)는 광원(100)의 출력 광신호를 입력받아 BPSK 변조하여 출력한다. BPSK는 위상을 변조시키기 위한 것이나, 일반적으로 마하젠더(mach-zehnder, MZ) 간섭계 타입의 진폭 변조기(amplitude modulator)를 이용하여 BPSK 변조기가 구현된다. BPSK 변조기(110)는 두 개의 MZ 변조기(111, 112)가 병렬 연결되며, lower MZ 변조기(112)의 출력을 위상 편이시키기 위한 위상 편이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하젠더 간섭계 타입의 진폭 변조기의 출력은 간섭계의 두 arm 사이의 위상 차이 ΔØ에 대하여 0.5(1+cosΔØ)의 투과율 T(201)를 갖는다. 투과율 T는 ΔØ가 각각 0과 π의 값을 가질 때, ‘1’의 값을 가진다. 프리코더(precoder)에서 생성되어 upper MZ 변조기(111)와 lower MZ 변조기(112)에 인가되는 변조 신호(modulation signal)(120)는 도 2의 도면부호 201과 같이 입력 광신호의 위상을 변조하며, 이때의 BPSK 변조기(110)의 출력은 도면부호 204와 같다. 변조 신호(120)에 의해 변조되는 위상 차이가 π가 되도록 변조 신호(120)의 진폭이 결정되도록 하면, 출력(204) 광 파워는 일정하나 위상은 0과 π의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광 출력은 위상 변조된 신호, 즉 BPSK 신호가 된다.
여기서 위상 차이 ΔØ는 π/2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위상 차이 Δ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값은 시간에 따라 좌우로 이동(DC bias drift)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이어스 제어를 위한 방안으로, 바이어스 제어부(150)는 위상 편이기(113)에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bias dithering signal)(203)를 인가한다. 여기서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의 주파수를 f라 가정한다. 그리고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의 주파수 f의 값은 변조 신호(120)의 주파수에 비하여 매우 작은 값으로 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ΔØ의 바이어스가 π/2에 잘 맞는 경우 광 출력의 2*f 주파수 성분이 커지고, 1*f 주파수 성분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ΔØ의 바이어스가 π/2에서 벗어남에 따라 2*f 주파수 성분이 작아지고, 1*f 주파수 성분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도 1의 분기부(130)에서 분기된 광 신호의 일부를 광 검출부(Photo-detector, PD)(140)에서 검출하고, 바이어스 제어부(150)에서 1*f 또는 2*f 주파수 성분을 측정하여 바이어스 값을 컨트롤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정적인 위상 차이인 π/2를 발생시키기 위한 바이어스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이상적인 QPSK 광 변조기 출력의 성상(constellation) 표현도이며, 도 5는 비이상적인 QPSK 광 변조기 출력의 성상(constellation) 표현도이다.
QPSK 광 변조기(310)는 광원(300)의 출력 광신호를 입력받아 QPSK 변조하여 출력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QPSK 광 변조기(310)는 도 3에서와 같이 병렬 연결된 2개의 MZ 변조기인 제1변조기(311) 및 제2변조기(312)와 제2변조기(312)의 출 력단에 직렬 연결된 위상 편이기(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변조기(311)와 제2변조기(312)는 도 1의 BPSK 변조기(110)와 동일하며, 도 2와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 4에서 x축은 광 출력 electric field의 x성분, y축은 y성분을 나타낸다. 도 3의 제1변조기(311)의 출력은 도 4의 upper arm(410)에 해당하는 constellation을 가진다. 도 3의 제2변조기(312)의 출력 또한 도 4의 upper arm(410)에 해당하는 constellation을 가진다. 그리고, 도 3의 위상 편이기(313)를 통해 π/2의 위상 편이가 이루어짐으로써 , 제2변조기(312)의 출력은 도 4의 lower arm(420)과 같게 된다. 결과적으로 Upper arm(410)과 lower arm(420)의 출력이 더해져서 도 4의 도면부호 430과 같은 QPSK 광신호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upper arm과 lower arm의 위상 차, 즉 위상 편이기(313)에 의한 위상 차이가 π/2에서 벗어나는 경우 QPSK 신호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5의 lower arm(520)의 경우 π/2가 맞지 않아 있으므로, upper arm(510)과 lower arm(520)의 더해지면 도 5의 도면부호 530과 같이 진폭이 일정하지 않은 constellation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QPSK 광 출력 신호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π/2 위상 차를 유지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320)가 QPSK 변조기(310)의 출력 광신호를 일부 분기하고, 이를 광 검출부(330)에서 검출하여 바이어스 제어부(340)에서 바이어스를 조절하면 π/2 위상 차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광원(600)은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일 수 있다. 광 변조기(610)는 PD(Photo Detector)로서, 광원(600)의 출력 광신호를 입력받아 QPSK 변조하여 출력하는 QPSK 변조기이다. 광 변조기(610)는 병렬 연결된 2개의 MZ 변조기인 제1변조기(620) 및 제2변조기(630)와 제2변조기(630)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된 위상 편이기(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변조기(620) 및 제2변조기(630)는 BPSK 변조기이다. 제1변조기(620)에 인가되는 제1변조신호(650)와 제2변조기(630)에 인가되는 제2변조신호(660)는 각각 제1변조기(620)와 제2변조기(630)의 광신호 변조를 위해 입력되는 신호이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리코더(precoder)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신호이다.
출력 안정화부(670)는 분기부(671), 광 검출부(672), 및 바이어스 제어부(673)를 포함한다. 분기부(671)는 광 변조기(610)의 출력 라인에 형성되어 출력된 광신호를 광 검출부(672)로 분기한다. 광 검출부(672)는 분기부(671)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바이어스 제어부(673)로 출력한다. 바이어스 제어부(673)는 제1변조기(620)의 제1위상 편이기(621)와 제2변조기(630)의 제2위상 편이기(631), 및 광 변조기(610)의 제3위상 편이기(640)로 인가되는 바이어스 값을 제어한다.
바이어스 제어부(673)의 바이어스 제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이어스 제어부(673)는 각 변조기의 위상 편이기(621, 631, 540)에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bias dithering 신호를 인가한다. 제1위상 편이기(621)에 인가되는 bias dithering 신호의 주파수를 f1, 제2위상 편이기(631)에 인가되는 bias dithering 신호의 주파수를 f2, 그리고 제3위상 편이기(640)에 인가되는 bias dithering 신호의 주파수를 f3라 가정한다. 이때 bias dithering 신호의 진폭은 광 변조기(610)의 변조 진폭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 하여야 한다. 또한 f1, f2, f3는 각각 출력 광신호의 심볼 레이트에 비하여 상당히 작아야 한다.
분기부(671)에서 광신호를 일부 분기한 후 광 검출부(672)에서 분기된 광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광 검출부(672)의 대역폭은 심볼 레이트에 비해 현저히 낮고, f1, f2, f3의 값보다는 더 커야 한다. 광 검출부(672)의 출력은 바이어스 제어부(673)로 입력되고, 바이어스 제어부(673)는 f1, f2, f3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각의 전압 값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각각의 위상 편이기(621, 631, 64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변조기의 바이어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바이어스가 안정됨에 따라 안정된 QPSK 광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과 비교하면, 출력 안정화부(750)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7의 출력 안정화부(750)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 제1변조기(720)의 출력으로부터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제1검출부(751), 제2변조기(730)의 출력으로부터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제2검출부(752), 광 변조기(710)의 출력으로부터 분기부(753)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제3검출부(7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부 구성은 논리적으로만 혹은 물리적으로도 제1바이어스 제어부(755), 제2바이어스 제어부(756), 및 제3바이어스 제어부(757) 로 나뉠 수 있다.
제1바이어스 제어부(755)는 f1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upper MZ 변조기, 즉 제1변조기(720)에 인가한다. 그 출력을 제1검출부(751)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제1바이어스 제어부(755)가 입력받아서 f1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제2바이어스 제어부(756)는 f2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lower MZ 변조기, 즉 제2변조기(730)에 인가한다. 그 출력을 제2검출부(75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제2바이어스 제어부(756)가 입력받아서 f2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제3바이어스 제어부(757) 또한 f3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lower arm, 즉 광 변조기(710)의 위상 편이기(740)에 인가한다. 그 출력을 제3검출부(754)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제3바이어스 제어부(757)가 입력받아서 f3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바이어스 제어 방식은 도 6을 참조로 한 설명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출력 안정화부(850)는 제1분기부(851)와 제2분기부(852)를 포함하고, 제1검출부(853)와 제2검출부(854)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이어스 제어부는 논리적으로만 혹은 물리적으로도 제1바이어스 제어부(855)와 제2바이어스 제어부(856)로 나뉜다. 제1검출부(853)는 광 변조기(810)에서 출력되어 제1분기부(851)에 의해 분기된 광 신호를 검출하고, 제2검출부(854)는 광 변조기(810)에서 출력되어 제2분기부(852)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검출한다. 제1바이어스 제어부(855)는 f3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광 변조기(810)의 위상 편이기(840)에 인가하고, 제1검출부(853)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f3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위상 편이부(84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제2바이어스 제어부(856)는 f1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제1변조기(820)에 인가하고, f2 주파수를 갖는 bias dithering 신호를 제2변조기(83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2검출부(854)에 검출된 신호의 f2와 f3 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검출하며, 검출된 각각의 전압 값이 최소가 되도록 제1변조기(820)와 제2변조기(83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를 조절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QPSK 광 변조기(910)의 출력 라인에 RZ carver(920)를 연결하여 RZ(Return-to-Zero)-QPSK 변조된 광신호를 만들 수 있다. RZ-QPSK 변조된 광신호는 QPSK 변조된 광신호에 비하여 전송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분기부(931)는 RZ-QPSK 변조된 광신호를 분기하고, 광 검출부(932)는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출력하며, 바이어스 제어부(933)는 전기적인 신호에 근거하여 바이어스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바이어스 제어 방식은 도 6을 참조로 한 설명과 동일하다. RZ-carver를 추가하는 구성 예는 도 7,8,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의 구성에 π/4 광 하이브리드(optical hybrid)(1012) 구성이 더 포함되 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QPSK 광 변조기(1000)의 출력이 출력 안정화부(1010)의 분기부(1011)에서 분기되고, π/4 광 하이브리드(1012)를 거친 후 광 검출부(1013)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바이어스 제어부(1014)로 입력된다. π/4 광 하이브리드(1012)를 사용하는 경우 더 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같은 구성 예는 도 7,8,9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π/4 광 하이브리드의 제1예시도이며, 도 12는 제2예시도이다.
도 11은 마하젠더 타입의 간섭계를 나타내며, 도 12는 마이켈슨(Michelson) 타입의 간섭계를 나타낸다. 도 11의 입력 광신호(1101)는 도면부호 1102에서 둘로 분기되며, 도면부호 1104에서 다시 합쳐지게 된다. 아래와 위의 경로의 빛의 위상 차를 도면부호 1103에서 조절하거나 고정하여 π/4가 되도록 한다. 도 12에서는 입력 광신호가 beam splitter(1201)에서 둘로 분기되며, 반사거울(reflector)(1202, 1203)에서 반사되어 다시 beam splitter(1201)에서 합쳐지게 된다. 두 빛의 경로에서 위상 차이를 도면부호 1204에서 조절하거나 고정하여 π/4가 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BPSK 광 변조 전송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BPSK 광 변조기의 원리 및 바이어스 디더링(dithering)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3은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이상적인 QPSK 광 변조기 출력의 성상(constellation) 표현도.
도 5는 비이상적인 QPSK 광 변조기 출력의 성상(constellation) 표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QPSK 광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π/4 광 하이브리드 예시도.
도 12는 π/4 광 하이브리드의 또다른 예시도.

Claims (19)

  1. 병렬 연결된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 형태의 제1변조기 및 제2변조기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상기 광 변조기의 최종 출력 광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출력 안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변조기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된 RZ 변조기(RZ car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광 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bia dithering) 신호를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각각의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그 대역폭이 상기 광 변조기의 출력 심볼 레이트에 비해 낮고 상기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의 주파수들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광 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광 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기이며, 상기 광 변조기는 QPSK(Quarter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6. 삭제
  7. 병렬 연결된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 형태의 제1변조기 및 제2변조기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상기 광 변조기의 최종 출력 광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출력 안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제1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검출부, 상기 제2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2검출부, 및 상기 광 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3검출부를 포함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를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 및 상기 제3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각각의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그 대역폭이 변조기의 출력 심볼 레이트에 비해 낮고 상기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의 주파수들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광 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제1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제2변조기에서 출력되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는 BPSK 변조기이며, 상기 광 변조기는 QPSK 변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기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된 RZ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4. 병렬 연결된 마하젠더(Mach-Zehnder) 간섭계 형태의 제1변조기 및 제2변조기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를 제어하여 상기 광 변조기의 최종 출력 광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한 출력 안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광 변조기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분기하는 제1분기부 및 제2분기부;
    상기 제1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1검출부 및 상기 제2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제2검출부를 포함하는 광 검출부; 및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를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 및 상기 광 변조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상기 광 변조기에 인가된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그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제2검출부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에 인가된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 주파수의 전압을 확인하여 각각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바이어스를 제어하는 바이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그 대역폭이 변조기의 출력 심볼 레이트에 비해 낮고 상기 바이어스 디더링 신호의 주파수들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제1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광 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안정화부는 :
    상기 제2분기부에 의해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광 검출부로 출력하는 광 하이브리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기와 상기 제2변조기는 BPSK 변조기이며, 상기 광 변조기는 QPSK 변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기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된 RZ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장치.
KR1020090032189A 2008-12-08 2009-04-14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 KR10121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81,797 US20100142964A1 (en) 2008-12-08 2009-10-19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with stable optical signal 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4166 2008-12-08
KR1020080124166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95A KR20100066295A (ko) 2010-06-17
KR101219168B1 true KR101219168B1 (ko) 2013-01-18

Family

ID=4236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89A KR101219168B1 (ko) 2008-12-08 2009-04-14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97B1 (ko) * 2016-08-08 2018-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멀티레벨 광신호 생성 장치
KR101897364B1 (ko) 2016-11-16 2018-09-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광 출력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7191A1 (en) * 2001-11-30 2005-06-02 Robert Griffin Modulation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7191A1 (en) * 2001-11-30 2005-06-02 Robert Griffin Modulat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95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2964A1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with stable optical signal output
US10122467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control method for optical transmitter
US8676060B2 (e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ignal generating device
JP5287239B2 (ja) 差動4位相偏移変調器およびその位相シフト量制御方法
US8400702B2 (en) Optical modulation device and optical modulation method
EP3068062B1 (en) Optical transmitter,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1397363B2 (en) Automatic bias control circuit
US10122507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modulator
JP5724792B2 (ja) 光送信器、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送信方法
JP2008092172A (ja) 光送信機
US9448458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modulator
JP2008066849A (ja) 光送信機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6805687B2 (ja) 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変調器のバイアス制御方法
US20160056896A1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modulator
JP5009963B2 (ja) Qpsk変調器
US8606114B2 (en) Alignment of a data signal to an alignment signal
US9762331B2 (en)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modulator
JP5811531B2 (ja) 光送信機、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送信方法
KR102004727B1 (ko) 광 전송 장치 및 방법
US9634768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modulator
JP5321591B2 (ja) 光送信装置、光受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KR101219168B1 (ko) 안정된 광신호 출력을 위한 광 전송 장치
JP2013174761A (ja) 光送信器、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送信方法
KR101282414B1 (ko) Rz-dpsk 및 rz-dqpsk 광 송신 장치
Yamada et al. InP-based Mach Zehnder modulators for next-gener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