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53B1 -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 Google Patents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53B1
KR101219153B1 KR1020120079475A KR20120079475A KR101219153B1 KR 101219153 B1 KR101219153 B1 KR 101219153B1 KR 1020120079475 A KR1020120079475 A KR 1020120079475A KR 20120079475 A KR20120079475 A KR 20120079475A KR 101219153 B1 KR101219153 B1 KR 10121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eight
temperature
moto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찬
서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7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은 내부 창, 외부 창, 프레임, 스크린, 결로수 유도홈, 모터, 높이 감지 센서, 조절 레버, 온도계, 타이머, 입력 패널,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DISTRIBUTING DEVICE HAVING A LED SOCKET}
본 발명은 삼중유리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방음 및 단열을 목적으로 이중창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이중창은 두 장의 유리가 창틀에 평행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되며, 이때 두 장의 유리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 이중창에서 한 유리는 실내 측에 위치하고 다른 한 유리는 실외 측에 위치하며, 두 장의 유리 사이 공간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차가운 온도 및 소음은 외부 유리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저감 및 차단되고, 외부 유리로 전달되는 차가운 온도 및 소음은 공기층에서 다시 저감 및 차단되므로 실내 공간은 외부의 온도 및 소음에 간섭되지 않고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3198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3808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중창은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상당한 간격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광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실내측 유리의 전방에 별도의 블라인드나 커튼을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광 및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실내측 유리의 전방에 별도의 블라인드나 커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이 유리를 포함하여 이중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창;
상기 내부 창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외부 창;
상기 내부 창 및 상기 외부 창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내부 창 및 상기 외부 창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권취 롤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 롤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는 스크린;
상기 권취 롤을 일 방향 및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심선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내부 창의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로수 유도홈;
상기 스크린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스크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입사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높이 감지 센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현재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상기 스크린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레버;
상기 스크린의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널;
상기 입력 패널에 입력되는 상기 개방시각, 상기 차단시각, 상기 개방온도 및 상기 차단온도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에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감지 센서는,
제1 발광부 및 제1 수광부를 포함하고, 제1 높이에 설치되는 제1 높이 감지 센서; 및
제2 발광부 및 제2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높이에 설치되는 제2 높이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에 보내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현재시간을 전달받고 상기 현재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개방시각 및 상기 차단시각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개방시각과 일치하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1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차단시각과 일치하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에 보내며,
상기 온도계로부터 상기 내부온도를 전달받고 상기 내부온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개방온도 및 상기 차단온도와 비교한 후,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개방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차단온도 미만이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1 높이로 상승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에 보내고,
상기 제1 수광부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감지된 후 상기 스크린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조절 레버가 조작되는 때 및 상기 제2 수광부에 의해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감지된 후 상기 스크린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조절 레버가 조작되는 때에는,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창 및 외부 창 사이에 스크린이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 창의 전면에 별도의 차광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광 및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용 공간의 하부에 결로수 유도홈이 설치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가 한 지점으로 집수되어 처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에 의해 현재시간이 측정되고, 제어부가 현재시간을 개방시각 및 차단시각와 비교하여 자동으로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주거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계에 의해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가 측정되고, 제어부가 내부온도를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주거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높이 감지 센서 및 제2 높이 감지 센서에 의해 스크린의 높이가 감지되고, 제어부에 의해 스크린이 제1 높이와 제2 높이 사이에서만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터 및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있어서 높이 감지 센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있어서 결로수 유도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있어서 높이 감지 센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에 있어서 결로수 유도홈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스크린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스크린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2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은 내부 창(200), 외부 창(300), 프레임(100), 스크린(400), 결로수 유도홈(120), 모터(440), 높이 감지 센서(700), 조절 레버(600), 온도계(800), 타이머(520), 입력 패널(500), 메모리(54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내부 창(200) 및 외부 창(300)은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내부 창(200)은 실내 측에 위치하고 외부 창(300)은 실외 측에 위치하도록 내부 창(200)과 외부 창(300)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내부 창(200)과 외부 창(300) 사이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은 프레임(100), 내부 창(200) 및 외부 창(30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된다. 수용 공간은 일반적인 공기 또는 아르곤 가스가 채워지거나, 필요에 따라 진공상태일 수 있다.
내부 창(200)은 이중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창은,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스 부재를 형성하고, 스페이스 부재의 양면에 부틸 고무 등의 접착액을 도포한 후 진공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과 열을 가하여 스페이스 부재의 양면에 유리관을 접착시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창은 유리판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부에 의해 방음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 이때, 내부 창(200)은, 모두 일반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로이 유리(Low-E Glass, Low-emissivity, 저반사 유리, 220)와 일반 유리(210)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이 유리는 투과율은 일반 유리와 비슷하지만, 일반 유리가 적외선의 일부만을 반사하는 데 반해 로이 유리는 일반 유리에 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금속막(일반적으로 은(Ag))을 코팅시킨 유리이다. 로이 유리의 금속막은 가시 광선을 투과시켜 실내의 채광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적외선은 반사하므로 실내외 열의 이동을 극소화시켜 실내의 온도 변화를 작게 만들어주는 에너지 절약형 유리이다. 이중창으로 형성되는 내부 창(200)과 외부 창(300)이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은 전체적으로 삼중 구조 창문으로 구성된다.
스크린(400)은 내부 창(200) 및 외부 창(300)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권취 롤(42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 롤(42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높이가 조절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스크린(400)의 높이가 조절된다는 것은 스크린(400)이 권취 롤(42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스크린(400)의 하단의 높이가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권취 롤(420)에는 모터(440)가 연결된다. 모터(440)는 권취 롤(420)을 일 방향 및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440)가 구동되면 권취 롤(420)이 일 방향 또는 그 반대 반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크린(400)이 감기거나 풀리고, 이에 의해 스크린(400)의 높이가 조절된다.
결로수 유도홈(120)은 수용 공간의 하부에 구비된다. 결로수 유도홈(120)은 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로수 유도홈(120)은 수용 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로수 유도홈(120)은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이 내부 창(200)의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용 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는 1차적으로 내부 창(200) 및 외부 창(300)을 타고 내려와 결로수 유도홈(120)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에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결로수들은 다시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을 따라 내부 창(200)의 측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한 곳으로 모인 결로수들을 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0)에는 결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700)는 발광부(710) 및 수광부(720)를 포함한다. 발광부(710)는 스크린(400)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적외선을 방출한다. 수광부(720)는 스크린(400)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710)와 마주하도록 스크린(400)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발광부(710)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입사받는다. 여기서, 스크린(400)의 전면측이란 내부 창(200)이 위치하는 쪽을 의미하고, 스크린(400)의 후면측이란 외부 창(300)이 위치하는 쪽을 의미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710)와 수광부(720) 사이에 스크린(400)이 존재하면 발광부(710)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도면의 점선 화살표)이 스크린(400)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720)로 입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광부(720)에는 적외선이 감지되지 않고, 이에 따라 스크린(400)의 높이가 적어도 높이 감지 센서(700)가 위치하는 높이 이하라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710)와 수광부(720) 사이에 스크린(400)이 존재하지 않으면 발광부(710)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스크린(4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수광부(720)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720)에는 적외선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400)의 높이가 적어도 높이 감지 센서(700)가 위치하는 높이보다는 높다라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
높이 감지 센서(700)는 제1 높이에 설치되는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 및 제1 높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높이에 설치되는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를 포함한다.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는 제1 발광부(710a) 및 제1 수광부(720a)를 포함하고,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는 제2 발광부(710b) 및 제2 수광부(720b)를 포함한다.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 및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스크린(400)의 높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 및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에 의해 스크린(400)의 높이가 감지되면 이는 제어부(900)로 전달된다.
온도계(800)는 내부 창(200)과 외부 창(300) 사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계(8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 창(200)의 상단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계(800)에 의해 측정되는 내부온도는 제어부(900)로 전달된다.
타이머(520)는 현재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520)의 현재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타이머(520)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시간은 제어부(900)로 전달된다.
조절 레버(600) 및 입력 패널(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조절 레버(600)는 상승, 정지 및 하강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조절 레버(600)의 모드를 조작하여 스크린(400)을 수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400)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면 스크린(400)의 승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조절 레버(600)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는 제어부(900)를 거쳐 모터(440)에 전달된다.
입력 패널(500)은 스크린(400)의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입력 패널(500)을 조작하여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크린(400)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에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메모리(540)에는 입력 패널(500)에 입력되는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가 저장된다. 이때, 개방시각 및 차단시각은 각각 복수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40)에 저장된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 값들은 제어부(900)가 읽을 수 있다.
제어부(900)는 모터(440)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440)에 보내는 기능을 한다. 이때, 메모리(540) 및 제어부(900)는 입력 패널(500)에 모듈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스크린(400)의 높이를 미리 설정된 변수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자동으로 스크린(400)을 승강시키기 위한 변수는 시각 및 온도가 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900)는, 타이머(520)로부터 현재시간을 전달받고 현재시간을 메모리(540)에 저장된 개방시각 및 차단시각과 비교한 후, 현재시간이 개방시각과 일치하면 스크린(400)이 제1 높이로 상승하고 현재시간이 차단시각과 일치하면 스크린(400)이 제2 높이로 하강하도록 제어신호를 모터(440)에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기상시간에 맞춰 스크린(400)의 개방시각을 오전 7시로 설정하고, 일조량이 강해지는 시간에 맞춰 스크린(400)의 차단시각을 오후 1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900)는 타이머(520)의 현재시간과 개방시각 및 차단시각을 비교하여, 현재시간이 오전 7시가 되면 스크린(400)을 제1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스크린(400)이 어떤 높이에 있던지 관계 없이 현재시간이 오후 1시가 되면 스크린(400)을 하강시킨다. 이때, 스크린(400)이 제1 높이까지 상승하면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에 의해 스크린(400)의 높이가 감지됨으로써 스크린(400)의 높이는 제1 높이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400)이 제2 높이까지 하강하면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에 의해 스크린(400)의 높이가 감지됨으로써 스크린(400)의 높이는 제2 높이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시각 및 차단시각이 설정되면 제어부(900)에 의해 스크린(400)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주거 자동화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900)는, 온도계(800)로부터 내부온도를 전달받고 내부온도를 메모리(540)에 저장된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와 비교한 후, 내부온도가 개방온도를 초과하면 스크린(400)이 제2 높이로 하강하고 내부온도가 차단온도 미만이면 스크린(400)이 제1 높이로 상승하도록 제어신호를 모터(440)에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개방온도를 18℃로 설정하고, 차단온도를 24℃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900)는 온도계(800)에 의해 측정되는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와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온도가 18℃ 미만이 되면 스크린(400)을 제1 높이로 상승시키고, 내부온도가 24℃를 초과하면 스크린(400)을 제2 높이로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400)의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가 설정되면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에 따라 스크린(400)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차단되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는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크린(40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인 상태에서 모터(440)가 작동하여 스크린(400)을 더 상승시키거나, 스크린(40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상태에서 모터(440)가 작동하여 스크린(400)을 더 하강시키는 경우, 모터(440)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스크린(400) 및 관련 작동 부품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크린(40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크린(400)을 상승시키도록 조절 레버(600)를 조작하더라도 모터(440)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400)의 높이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크린(400)을 하강시키도록 조절 레버(600)를 조작하더라도 모터(440)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린(400)이 제1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스크린(400)이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크린(400)을 상승시키도록 조절 레버(600)를 조작하더라도 제어부(900)는 모터(44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스크린(400)이 제2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스크린(400)이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크린(400)을 하강시키도록 조절 레버(600)를 조작하더라도 제어부(900)는 모터(44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크린(400)의 높이가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 및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900)에 의해 스크린(400)이 제1 높이와 제2 높이 사이에서만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터(440) 및 스크린(40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20: 결로수 유도홈
130: 전후 방향의 중심선 200: 내부 창
300: 외부 창 400: 스크린
420: 권취 롤 440: 모터
500: 입력 패널 520: 타이머
540: 메모리 600: 조절 레버
700: 높이 감지 센서 710: 발광부
720: 수광부 800: 온도계

Claims (1)

  1. 로이 유리를 포함하여 이중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창(200);
    상기 내부 창(200)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외부 창(300);
    상기 내부 창(200) 및 상기 외부 창(300)이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내부 창(200) 및 상기 외부 창(300) 사이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권취 롤(42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 롤(42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는 스크린(400);
    상기 권취 롤(420)을 일 방향 및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40);
    상기 수용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선(130)이 상기 내부 창(200)의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로수 유도홈(120);
    상기 스크린(400)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710) 및 상기 스크린(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710)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크린(400)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710)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입사되는 수광부(720)로 이루어지는 높이 감지 센서(700);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800);
    현재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520);
    상기 스크린(400)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레버(600);
    상기 스크린(400)의 개방시각, 차단시각, 개방온도 및 차단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패널(500);
    상기 입력 패널(500)에 입력되는 상기 개방시각, 상기 차단시각, 상기 개방온도 및 상기 차단온도가 저장되는 메모리(540); 및
    상기 모터(440)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440)에 보내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감지 센서(700)는,
    제1 발광부(710a) 및 제1 수광부(720a)를 포함하고, 제1 높이에 설치되는 제1 높이 감지 센서(700a); 및
    제2 발광부(710b) 및 제2 수광부(7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높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높이에 설치되는 제2 높이 감지 센서(7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조절 레버(6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린(4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440)에 보내고,
    상기 타이머(520)로부터 현재시간을 전달받고 상기 현재시간을 상기 메모리(540)에 저장된 상기 개방시각 및 상기 차단시각과 비교한 후,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개방시각과 일치하면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제1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차단시각과 일치하면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440)에 보내며,
    상기 온도계(800)로부터 상기 내부온도를 전달받고 상기 내부온도를 상기 메모리(540)에 저장된 상기 개방온도 및 상기 차단온도와 비교한 후,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개방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차단온도 미만이면 상기 스크린(400)이 상기 제1 높이로 상승하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440)에 보내고,
    상기 제1 수광부(720a)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부(710a)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감지된 후 상기 스크린(40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조절 레버(600)가 조작되는 때 및 상기 제2 수광부(720b)에 의해 상기 제2 발광부(710b)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감지된 후 상기 스크린(400)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조절 레버(600)가 조작되는 때에는, 상기 모터(440)를 동작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KR1020120079475A 2012-07-20 2012-07-20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KR10121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75A KR101219153B1 (ko) 2012-07-20 2012-07-20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75A KR101219153B1 (ko) 2012-07-20 2012-07-20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153B1 true KR101219153B1 (ko) 2013-01-10

Family

ID=4784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475A KR101219153B1 (ko) 2012-07-20 2012-07-20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358A (zh) * 2016-06-28 2016-10-12 青岛威奥轨道装饰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弧形导轨司机室遮阳装置
KR20170118305A (ko) * 2016-04-15 2017-10-25 한진규 불면증 환자용 시계
CN110219576A (zh) * 2019-05-28 2019-09-10 黄艳 一种智能窗帘
CN112746803A (zh) * 2020-12-30 2021-05-04 哈尔滨工业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应用于历史保护建筑单层玻璃窗的保温防凝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48B1 (ko)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103720B1 (ko) 2011-06-02 2012-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에 의한 중공층의 온도제어가 가능한 일체형 다중유리 복합창짝
KR101117972B1 (ko) 2011-07-01 2012-03-09 김태섭 건축물의 냉난방 및 공조 기능을 하는 태양광발전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48B1 (ko)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103720B1 (ko) 2011-06-02 2012-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에 의한 중공층의 온도제어가 가능한 일체형 다중유리 복합창짝
KR101117972B1 (ko) 2011-07-01 2012-03-09 김태섭 건축물의 냉난방 및 공조 기능을 하는 태양광발전 창호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05A (ko) * 2016-04-15 2017-10-25 한진규 불면증 환자용 시계
KR102065815B1 (ko) 2016-04-15 2020-01-13 한진규 불면증 환자용 시계
CN106004358A (zh) * 2016-06-28 2016-10-12 青岛威奥轨道装饰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弧形导轨司机室遮阳装置
CN110219576A (zh) * 2019-05-28 2019-09-10 黄艳 一种智能窗帘
CN110219576B (zh) * 2019-05-28 2020-10-27 安徽汇川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智能窗帘
CN112746803A (zh) * 2020-12-30 2021-05-04 哈尔滨工业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应用于历史保护建筑单层玻璃窗的保温防凝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153B1 (ko) 차양조절이 가능한 삼중유리 창문
US20140345807A1 (en) Motorized roller shade system with a sun angle sensor
CN110382810A (zh) 用于建筑物的竖直推拉窗
JP2000054762A (ja) 電動ブラインド等の制御方式
KR101890277B1 (ko) 친환경 건축물용 창호
KR10159240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창호
KR101065073B1 (ko) 복층유리 내장용 결로 방지장치
KR101808268B1 (ko) 건축물 자동 채광장치
KR101896736B1 (ko) 결로방지 롤 블라인드 창호 시스템
CN205858112U (zh) 一种带卷曲窗帘的防雨防火窗
KR20160117929A (ko) 기능성 창호 스크린 장치
KR20140022567A (ko) 상변환물질을 이용한 도어 장치
KR200457397Y1 (ko) 차양장치 개폐량 자동조절장치
KR101191917B1 (ko) 태양광 발전 및 자연 채광이 가능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US20220360210A1 (en) Self powered building unit
KR101125347B1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CN106088978A (zh) 一种多功能型活动窗
KR101003269B1 (ko) 투과성 가변 유리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조도를 제어하는창문
TWM553358U (zh) 百葉窗溫控裝置
JP2001314696A (ja) 物干しシステム
KR20180013578A (ko) 스마트형 차광블라인드 장치
KR102472197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시스템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190094530A (ko) 필름 블라인드가 내장되는 이중창
JP2580935Y2 (ja) 通風型室内温度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