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671B1 - 일회용 자화침 - Google Patents

일회용 자화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671B1
KR101218671B1 KR1020090121470A KR20090121470A KR101218671B1 KR 101218671 B1 KR101218671 B1 KR 101218671B1 KR 1020090121470 A KR1020090121470 A KR 1020090121470A KR 20090121470 A KR20090121470 A KR 20090121470A KR 101218671 B1 KR101218671 B1 KR 10121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magnetic
acupuncture
magnetization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751A (ko
Inventor
홍도현
Original Assignee
홍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도현 filed Critical 홍도현
Priority to KR102009012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 일회용 자화침 및 그 제조방법
2.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 한의학적 경락체계의 미약자기적 속성과 관련하여, 기존의 침기능에 부가하여 자기조절을 포함한 자석의 효용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으로 자성을 부여할수 있는 침의 개발이 필요
3. 과제해결수단
① 소재탐색 : 비자성체인 기존의 일회용 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침체로 사용가능한 강자성 소재를 생산성, 물성적 측면에서의 대체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탐색한 결과, 강자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선종을 적합한 소재로 채택하였다.
후공정에서의 정량적 자성(磁性) 부여 : 탐색된 강자성 소재를 사용, 기존의 제침공정에 준하여 침을 만들고, 이를 착자기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자성을 부여하여 강한 자성을 띄는 실용성 자석침의 개발을 실현하였다.
4. 효과
임의의 자력을 침체에 부여하는 기술적인 수단을 마련하므로써, 자성침을 통한 치료적 상승효과와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 다양한 의학적 응용을 기대할수 있다.
자석침 자화침 자침(磁針) 착자침(着磁針) 일회용침 자성침(磁性針)

Description

일회용 자화침{Magnetized disposable acupuncture needle}
본 발명은 한방병·의원을 비롯한 의료기관등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비자성 스테인레스 침선소재를 대체할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자성체를 침선(針線)소재로 하여 침을 제조한뒤, 이를 자기공간내에서 적정한 자성을 부여하므로써, 기존 침소재의 효용에 부가하여 자력 조절이 가능한 자화침에 관한 것이다.
1. 침재료의 변천과 현재의 침재료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침술의 주요한 수단으로써 침의 제조방법은 시대적으로, 그리고 기술적 진보 및 주변 의료 환경등의 변화로 다양하게 변화, 발전되어 왔다. 과거 돌을 갈아서 만든 폄석에서부터 근원하여 철기시대 이래로 철이 침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되기 시작한 이후, 침선(針線) 소재의 변화의 지향점은 강하면서도 내부식성, 내약품성, 내열성등 제반 물성이 우수한 현재의 스테인레스 강철로 귀납되었다고 할수 있다. 현재 한중일 3국을 비롯한 구미지역에 있어서도 스테인레스 강선은 일회용 침소재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철에 크롬(Cr)과 니켈(Ni)이 함유된 STS304소재(18Cr-8Ni)나 316소재(16Cr-10Ni-2Mo)로 대표되는 오스 테나이트계 강철소재는 내식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가공성도 좋은 장점등으로 인해 현재 가장 널리 유통되는 소재가 되었다. 완성된 침에 있어서 침체(針體)는 가는선(線) 모양으로, 제조 공정상으로는 침선(針線)이라 불리우는데 이부분이 역시 가는 선모양이라 하여 강선(鋼線)이라 불리우는 강철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강선(鋼線)이 침의 주요 소재가 된 데에는 위에 언급한 소재 자체의 우수성뿐아니라 위생면에서 단회성(單回性) 사용의 강조와 이를 충족시킬수 있는 비용이나 재질면에서의 공급의 수월성, 말하자면, 구하기 쉬운 재질의 침을 상대적으로 값싸게 생산할 수 있게 된 점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상기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의 경우 합금과정에서 강자성체인 철이 자성을 잃고 비자성화하는데, 다만 강철의 제조 과정에서 약간의 조직변성이 생겨 미약한 정도의 자성이 부여될 뿐이다. 하지만 자성을 띄는 것이 그 용도에 있어서 필요한 물성이 아닌 많은 분야에서는 이 소재가 가진 전술한 장점들이 부각되면서 널리 유통되기 시작하였고, 침소재에 있어서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량이 증대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침에 자성을 부여하고자는 하는 측면에서 보자면 이는 침소재로써 중요한 태생적 결격사유가 되는데, 이렇게 된데에는 본 발명의 기술에서 주장하는 소재로써 마르틴사이트, 페라이트 합금소재가 침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해서라기 보다는, 자성을 고려하지 않을때의 오스테나이트계 소재가 여타계열 소재에 비해 더욱 우수해서라고 보는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말하자면 여타의 여러 물성을 제고하는 침의 전승과정상, 침소재의 요소중 중요한 자성(磁性)의 손상을 인식하지 못한 결과라고 하겠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경우 한의학계, 의학계, 생산자, 정부실무부서 담당자등이 포함된 표준선정위원들이 여러차례의 관련내용을 심도있게 검토하여 제정한, 국가표준원의 침소재 표준에 보면 ‘일회용 멸균호침’(Sterile Filiform Acupuncture Needles for Single Use)의 소재를 STS304와 STS316만으로 제한하고 있는데,
표준번호 KS P 3007
표준명(한글) 일회용 멸균 호침
표준명(영문) Sterile Filiform Acupuncture Needles for Single Use
표준분야 의료(P)일반의료기기(P07)
표준구분 제품
제정일 2009.08.20
최종개정확인일 2009.08.20
기술심의회 의료기기술심의회
전문위원회 의료용주사기 및 주사기(ISO/TC84)전문위원회
이것은 기술적 진보에 따른 침에 새로운 기능부여의 필요성이나 소재의 다양성 측면에서 보더라도 지나치게 축소된 결정이라고 보이며,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자성소재의 선정과 이의 자화에 대한 관점에서 보더라도 이와 관련한 기본적인 인식이 없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동일한 규정이랄수 있는 일본의 표준규격(JICST 9301)에서는 ‘回使用ごうしん毫鍼’(Acupuncture needle for single use)에서 일회용 침의 소재를 위의 두가지 소재(304,316)를 포함함은 물론, 영구자석소재, 경강선, 스텐레스강선재, 스텐레스 강선, 스프링용스테인레스강선등으로 침체의 소재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그러하다. 본 발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400계열의 스테인레스 강철소재(마르텐사이트, 페라이트계)는 니켈(Ni)이 포함되지 않은 소재로 오스티나이트계열(STS304,STS316등)과는 달리 강자성소재이다. 강자성 소재라함은 적정한 자기(磁氣)공간하에서 강자성화하여 영구자석화할수 있는 소재를 의미한다.
2. 침의 원리와 효과
한편, 한의학적 침의 작용원리및 효과에 관하여서는 ‘인체에 존재하는 기의 통로로서의 경락체계와 이에 근거한 기의 흐름조절’,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인체 고유의 생리활동을 정상화하고 향상시킴으로써 질병의 치료와 건강의 회복이라는 의학적 명제를 달성하는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는데, 침의 운용원리로서의 ‘침술’의 경우에 있어서는 침의 성능, 경혈점의 선택, 침의 조절방식이 중요한 핵심요소라 할수있는데 조절방식에 있어서는 자침의 깊이, 보사(補瀉)방식, 자극량, 유침(留針)시간등이 중요하며, 보사방식에는 크게 ① 침첨의 방향과 경맥의 방향과의 순역에 의한 영수보사, ② 침의 상하운동에 의한 제삽보사, ③ 침의 좌우 회전에 의한 염전(捻轉)보사를 주로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의 침술운용원리중 침의 성능과 조절방식의 효능 개선에 관한 내용이다.
침과 침술에 있어서 그 이론적 근본이랄수 있는 경락체계에 있어서 그 실체가 아직도 현대의 과학적인 잣대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경락체계가 일정부분 신경학적 연관, 근골격계와의 계통적 연관, 발생학적 유사성, 체표반사연관, 순환계통과의 연관등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는등 많은 연구결과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전체를 설명하는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근자에 고전역학으로 설명이 불가한 미시세계에서의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학문체계로서 양자역학이 발전하고, 또한 전자기적인 이론과 이를 이용한 장비등의 비약적인 발전과 궤를 같이 하여 인체의 경락체계에 대한 전자기적인 흐름으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흐름으로서의 ‘경락체계’와 국소영역으로서의 '경혈’이 체표 미세전류 및 저항, 미약자기장의 동질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같은 연구성과들은 보이는 체계로서의 경락연구와 별도로 보이지 않는 영역인 경락연구로서 중요한 연구의 한 축이 되고 있다.
예로써, ‘생체자기장을 통해 본 인체기의 기능구조 및 체질론(Journal of the Korean Jungshin Science Society Vol.1, No.2, 1997, pp 83-88)’에서 이의원은 인체기의 변화는 인체자기장의 변화로 측정가능하며, 초전도양자간섭소자(SQUID)를 사용하여 인체 기장의 남북 방향성, 동서활성 및 기활동성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할수 있다고 하였으며, 미약자기와 침구기전의 연관 연구에 있어서도 장언등은 ‘침구 작용기전의 미약자기 분석(Analysis of Acupuncture Action Mechanism by Micromagnetic Energy Field)’에서 (응용미약자기에너지학회지, 2008년12월 Vol.6 No.2 pp.20~26 장언, 권동렬, 심인섭, 정동명(교신저자) 위경락에 대한 침자의 결과해석을 침자석에 의한 유도전류의 작용기전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자기계측센터등이 중심이 된 연구진이 뇌(뇌자도), 심장(심자도) 및 인체의 미약자기의 측정 및 운영에 대해 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미약 생체신호와 응용;측정표준 24권 4호 pp16-23, 생체자기 측정; KRISS 2003. 10월 pp 16-19)들 역시 자기적 인체에 대한 관련 연구의 예라고 하겠다.
이러한 경락의 전자기적특성은 그것이 경락의 총체적인 실체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명백하게 자기적 성질이 규명되고 그러한 자기적 결함이나 과부족현상이 허실로 표현되는 한의학적 기존 경락이론과 완벽하게 조화되며, 이를 통한 경기(經氣)의 조 절이 다음에 설명하려고 하는 자기조절이 가능한 침과 같은 외부적인 자극수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면 그 의학적 응용가능성은 매우 광범위하게 될 것이다.
3. 전통침의 자화(磁化)에 관한 기록
또한 이는 어느면에서 고유의 침의 가치와 활용을 회복하는 의미가 될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통의 침법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것은 침을 통한 인체의 자기조절의 방편의 속성을 항상 가져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통침의 자기적 특성은 고대의 침의 제조 기록에서도 명백히 확인할수 있는데, 예로써 명대 양계주가 지은 이전의 침구관련 학술경험과 지식을 집대성한 <침구대성> 제침법 내용중의 자침법(煮鍼法) 편에서는 <煮鍼法> '先將鐵絲于火中紅, 次截之, 或二寸, 或三寸, 或五寸, 長短不拘. 次以蟾鍼上, 仍入火中微, 不可令紅, 取起, 照前二次, 至第三次, 乘熱揷入臘肉皮之裏, 肉之外, 將後藥先以水三碗煎沸, 次入鍼肉在內, 煮至水乾, 傾于水中, 待冷, 將鍼取出. 于黃土中揷百餘下, 色明方佳, 以去火毒, 次以銅絲纏上, 其鍼尖要磨圓, 不可用尖刃. 麝香五分, 膽礬 石斛各一錢, 川山甲 當歸尾 朱砂 鬱金 川芎 細辛各三錢, 甘草節 沈香各五錢, 磁石一兩 引諸藥入鐵內
又法: 用烏頭, 巴豆各一兩, 硫黃, 麻黃各五錢, 木鱉子, 烏梅各十個, 同鍼入水, 用磁罐內煮一日 , 洗擇之, 再用止痛沒藥, 乳香, 當歸, 花乳石各半兩, 又如前水煮一日, 取出, 用角水洗, 再于犬肉內煮一日, 仍用瓦屑打磨淨端直, 用松子油之, 常近人氣爲妙' 이라고 하여 침을 상당양의 자석이 들어간 약재에 끓여낸다거나 자석으로 된 용기속에서 다른 약재와 같이 처리한다고 기록하고 있고, 청나라 정부에서 발간한 의학총서인 의종금감 煮針藥方(침을 달이는 약 처방)편에서도 역시 '麝香五分 膽礬 一錢 石斛一錢 穿山甲三錢 朱砂三錢 沒藥三錢 鬱金三錢 川芎三錢 細辛三錢 甘草節五錢 沈香五錢 磁石一兩' 이라하여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침의 자화에 관한것과 그 자성소재로서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는 기록들인데, 여기에서 침의 제조에 상당량의 자석을 사용한다거나 자곽에 장시간 처리하는 것이 침에 일정정도의 자성을 부여하는 공정외에는 다른 목적을 생각하기 어려운 과정이며, 또한 이는 곧 강자성 소재의 자화라고 하는 현대적인 의미를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구체적인 예라고 하겠다.
4. 치료소재로서의 자석
치료용 자석과 관련하여 중국은 최초로 자석을 발견하고 응용하여 병을 치료한 나라이다. 한(漢)나라 시대에 사마천은 사기에는 자석을 달여마셨다는 기록도 있고, 7세기경 당(唐)나라의 손사막의 저서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에는 '자석을 가루로 만들어 칼에 찔린 곳이나 상처가 나서 피가 나는 곳에 바르면 아픈 것이 없어지고 피가 멎는다.’라는 기록도 있다. 자석이 갖고 있는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환자의 체표에 붙여서 질병을 치료했던 방법 또한 중국에서 일찍 시작하였으며 그 기록을 보면 송(宋)나라 엄용화가 펴낸 제생방(濟生方)과 양자영이 펴낸 직지방(直指方)’이라는 책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콩알만한 크기의 진자석(眞磁石)과 천산갑(穿山甲)을 까맣게 태운 가루 약간을 솜에 싸서 귀를 틀어막고 입에 쇠붙이 한 조각을 물고 있으면 귓속에서 비바람이 몰아치는 소리가 들리고 얼마 후에 귀가 트인다.’ 또 ‘흡철석 0.5전을 병이 난 쪽의 귓속에 넣고 사철분말을 안 아픈 쪽 귓속에 넣으면 곧 귀가 들리게 된다.’ 진자석과 흡철석은 자석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며 이를 이용해 치료한 것을 알 수 있다.
자석의 인체에 적용은 1960년대이후 다양한 자석의 개발과 더불어 일본을 중심으로 대단히 활성화되어 그 여파로 우리나라에서도 부착식, 걸이식(목, 손목, 발목등) 자기제품을 중심으로 수많은 자석 제품들이 명멸하여 왔다. 다양한 자석요법 중에서는 자성을 한의학적 경락체계에 운용하여 나름의 상당한 효과를 거둔 사례들도 다수등장하였는데, 자석의 치료효과에 관한 근자의 연구에 있어서도 예를들면, "자기장이 경기(經氣)의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에서(대한침구학회지 제 16권 제 1 호, 1999년 1 월)는, 인체에서 자석은 여유 있는 것은 소제시키고 부족한 것은 보충시켜 음양의 평형을 이루게 하다는 내용을, "자기치료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한방재활의학회지의 vol.7, 1997.1)에서는 자기치료가 통증을 그치게하고 담을 제거하고, 소종(消腫), 활혈(活血), 보신익정(補腎益精) 작용이 있고, 눈에 이롭고 눈을 밝게하고, 신경안정 작용하며, 몸속의 돌을 배출하며, 구충, 거담, 호흡을 고르게하고 가래를 그치게 하며, 지사, 혈압강하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기존에 여러 가지 이름으로 행해져온 다양한 ‘자석요법’들이 경혈점들을 주로 운용하고 있다는 것은 자기적 인체에 대한 선험적 치료효과의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수 있는데, 왜냐하면 각종의 자석요법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효과는 역으로 자기적 경락체계의 간접적 증거일수 있기 때문이다.
5. 침과 자석의 기능적 융합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침과 자석의 상보적(또는 기능향상적) 결합은 침재료 발전과정에서의 당연한 하나의 흐름일수 있었고, 실제로 과거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그 기 술적 조합이 시도되어왔다. 몇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째로 일반 체침을 이용하여 특정 경혈에 침자한후에 여기에 자석을 부착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경우에 있어서도 침병에 자석을 부착하여 침체에 자성을 부여하는 방식(a)과 또는 침을 놓은 자리에 원통형 자석을 표피에 올려놓아 침과 별개의 자석효과를 도모하는 방식(b)두가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실체 치료과정중에 침자후 탈부착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침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자석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일정 깊이 이하의 천자의 경우 휘어지거나 쏠림등이 생기는 등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침체의 특성상 적정한 자력을 부여하기가 실질적으로 곤란한 점등의 문제가 따르게 된다. 후자의 방식에 있어서는 그 과정이 수행된 방법의 타당성은 차치하더라도 기존의 대다수 체표부착식 자석요법의 한계라고 할수 있는 난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테면 실제로 경혈이 위치하는 체내가 아닌 체표에 자석이 위치하게 되므로 경혈의 위치가 음경양경에 따른 깊이의 차이, 심지어 체질적, 계절적, 주야별, 영위(榮衛)별 심천(深淺)이 차이를 두고 이의 정밀한 조절을 도모하는 한의학적 경락운용 속성상 그 원시성을 면키 어려운 수법이라고 하겠다.
두 번째 방식으로는 침체를 직접자화하는 방식인데, 1997년 10월 인민위생출판사에서 출판된 <실용독특침자법; 장인편저>에 자성체인 침선을 영구자석에 마찰시키거나(a) 강자장 공간에 침체를 놓아서 인위적으로 자성을 부여하는 방식(b)및 침자후 전자기를 사용하여 침병에 물려 침체에 변동 자성을 부여하는 방식(c)등의 자화 기술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a)의 경우 착자방법상 실용성면에서, (b)는 일반적인 자성체의 자화방식에 다름아니며, 모든 자성체를 자기공간에서 모두 자화할수 있다는 것이 특정 제품의 기술적 효용을 전적으로 담보할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c)는 이원화된 침과 자석의 효용 결합차원이라는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일체형 자화침의 내용과는 다르다.
1. 제침(制針))의 효율적인 생산공정상 후공정에서 임의의 자성을 부여할수 있는 침의 제작이 가능하려면, 소재가 현재 유통되는 비자성 스테인레스로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강자성 소재의 탐색이 필요하다.
2. 현재 유통되는 침제품의 경제성을 포함한 생산성측면, 인체적합성 측면 및 물성적 측면에서의 요구 조건을 충족할수 있는 소재이어야 한다. 즉 침이 가져야할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충족시킬수 있으면서도 비싸지 않은 소재이어야 한다.
3. 침의 다단 제조공정상 침체에 선자화(先磁化)가 되면 연이은 제반 공정에서 엉겨붙음등으로 인한 다양한 공정상의 어려움을 야기할수 있으므로, 후공정에서 자화시킬수 있는 실용성이 있어야 한다.
4. 원하는 정도의 자성을 정량적으로 부여할수 있어야 한다.
1. 소재 탐색
자기적 경락특성과 관련하여 인체내부에 존재하는 경혈의 자성을 조절할수 있는 침습적 치료도구인 침의 자화, 구체적으로는 정량적으로 자력을 부여할수 있는 침소재의 탐색을 하였다. 우선 현재 유통되는 스테인레스 침소재를 자성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스테인레스강은 그 합금조성에서, 크롬(Cr)계 스테인레스강과 크롬-니켈(Cr-Ni) 계 스테인레스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또 금속조직에 따라서는 오스테나이트테,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의 강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오스테나이트테나이트계 (Ostenite Type) 스테인레스의경우, 크롬과 니켈을 함유하여 염분이나 산에 대해 내식성이 우수하여 식품,화학,해양,건축등과 같은 고내식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되며 STS304(18%cr-8%Ni)가 대표적인데 자성이 없다.
페라이트계 (Ferrite Type)는 비교적 다량의 크롬을 함유하고 마르텐사이트텐사이트계보다 내식성이 우수하며, 니켈 함유량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며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는추세에 있는 소재로 강자성체이다.
마르텐사이트텐사이트계 (Martensite Type)는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고 열처리에 의해 경화가 가능하고 사무기계,가전제품 등의 부품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강자성체이다. 따라서 위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 소재중 강자성을 띄는 마르텐사이트, 페라이계 강철의 대표적 강종인 STS410, STS430소재를 일회용침 용도로 우선 채택, 시험하고자 하였다.
2. 경제성, 인체적합성 및 물성적 요구 조건
한편, 이러한 범유통적인 소재의 생산은 이러한 기술적 실현가능성과는 별도로 경제성측면, 인체적합성 측면 및 물성적 측면에서 요구조건을 충족할수 있을 정도의 상용성과 실용성을 담보할수 있어야 하는 현실적 과제를 안고 있다. 마르텐사이트계,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소재는 오스테나이트계 소재에 비해 가공성이나 내식성이 약간 부족하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강철소재로서 탄성이나 강력을 갖추고 있으며 내화학성, 내부식성등이 인체적합성에 부적합할 정도의 물성을 갖는 재료가 아니며 오히려 전기전도성이나 온도전이성등에서는 더욱 우수한 소재이다. 더구나 비싼 니켈을 함유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재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침체로써 의 기본물성을 가지는 강자성소재이면서도 오히려 가격이 싼 소재인 것이다.
3. 후공정에서의 자화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생산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주지않으면서 최종 단계에서 적절한 자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편으로 적절한 자기공간에서 포장된 완성품으로서의 일회용침의 자화를 도모하였다. 스테인레스스틸재질을 사용한 일회용 침을 만드는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다. 스테인리스 강선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한쪽 끝에 침자루를 끼워 만들고, 절단된 강선의 한쪽 끝을 뾰족하게 연마한다(수동과 자동으로 연마한다). 그런 다음 세척과 알코올 등으로 소독을 하고, 코팅을 하며 포장한후, 감마레이로 멸균처리를 한다
물론 실제 공정에서는 더욱 많은 세부적인 공정흐름을 거치지만, 이러한 다양한 공정의 특성상 선자화처리된 침선을 소재로 하여 이어지는 계속된 공정을 작업하는 것은, 작업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수 있다. 따라서 후공정에서 자성의 부여는 여러 작업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중요한 과제가 되는데 이것은 자성이 가지는 투과특성 즉, 기존의 고분자 포장재로 포장되고 감마선멸균처리된 최종제품단계에서도 적절한 자기공간에서 자력을 가하면 원하는 자력을 가할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기술적으로 가능함을 적용하였다.
4. 침체에 대한 정량적 자성부여
한편, 강자성 소재의 자기력은 외부의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여 포화에 이르기까지 증가하며, 외부자기장의 세기는 영구자석인 경우는 각각에 해당하는 자석을 선택하여, 전자석인 경우 정량적으로 계산에 의해 그 조절이 가능하므로 필요한 만큼 의 자성을 침체에 부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만, 전자의 경우 조건이 확정된 침체에 연속적으로 동일한 자성을 부여할 때 유리한 방식으로, 후자의 경우 다양한 자력을 부여할 때 유리한 방식으로 활용할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침의 효과에 자기조절 효과를 상보적으로 결합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1. 자석의 효용을 침의 기능에 일체형으로 부여하는 기술적인 수단을 마련하였다.
2. 인체의 자기적 경락특성을 조절하는 침습적 도구로서의 자성화된 침, 나아가 정량적 자력의 부여가 가능한 침체의 필요성에 부합한 소재의 준비가 가능하게 되었다.
3. 자기공간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침병과 침첨간의 착자 방향(N 또는 S극)을 임으로 선택하여 자성을 부여할수 있으며, 이는 한의학적 경기조절 방식인 이른바 보사의 원리에 상응하는소재로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4. 비싸고 금속성분인 니켈(Ni)이 배제된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소재의 가격을 줄일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와 더불어 기존 주류소재에 비해 금속에 의한 인체 알러지 발생가능성을 줄일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이룩할수있다.
5.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직접적인 수단외에도, 예를들면 특정부위에 자성물질과 효과약물이 결합된 약물을 내복하고 자성침을 침습시켜 내복한 약물의 발현 부위를 특정케하여 치료효과를 도모하는등의 새로운 의료수단으로서의 용도확대도 기대할수 있다.
1. 제조방법
① 상기에서 탐색된 STS 430강선의 준비 (기성 생산제품)
위에 배경기술 내용에 언급한 바와 같이 침선의 소재인 강선의 경우 이미 다양하게 강종별로 제품화되어 있으며 침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정된 기성 강선을 직선화작업을 통해 공급받아야 한다. 여기까지는 보통 강철강선의 원제조업체나 후공정업체의 작업공정 범위에 해당하고, 제침회사의 침생산공정은 직선처리된 준비된 기성 강선의 입고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유통되는 제침규격에 맞는 STS 430으로 대표되는 규격화된 페라이트계 강선소재를 준비하였다. 이후의 제침공정이나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자화의 과정은 청구의 범위에서 주장하는 강자성 소재특성만 채택되면 발명의 실현 과정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음을 부기해둔다.
② 제침 (기성제품생산과정)
위에서 다단계의 제침공정에 대해 기술했는데 역시 ①에서 준비된 마르텐사이트계, 혹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선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침병을 만들며, 후에 침체의 연마, 소독, 코팅, 포장 및 멸균 처리로 이어지는 동일한 제침 공정을 따른다. 본 발명 실시에서는 ①에서 준비된 강선소재를 연마기를 통해 침첨을 뾰족하게 연마하고, 연마된 침체에 침병을 만드는 방식으로 강자성 소재를 채용한 침을 제조한 예를 기록하였다.
③ 자화 및 기성제품과의 비교
②에서 만들어진 침과 현재 유통되는 침을 각각 착자기를 통해 착자하였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에서 제작된 침과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침의 자력 비교를 실시하였다.
< 착자전후의 자성비교>
구분 규격 착자전자성 착자후자성 비고
본발명 STS430 0.30*40 실시예
A사 STS304 0.30*40 비교예
B사 STS304 0.30*40 비교예
C사 STS316 0.30*40 비교예
착자전후의 자성비교는 가우스미터등을 통해 정밀한 계산값을 얻어낼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강약의 표시와 더불어 후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될 정도의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며 또한 이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사고 내용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기록자체는 부연에 불과하므로 생략하였다.
1 . 일회용 호침의 부위별 명칭
1.침점(鍼尖): 침끝의 뾰족한 부분
2.침체(鍼體): 침첨과 침병의 사이,호침의 장단, 굵기는 주로 침체를 말함
3.침병(鍼柄): 침체의 뒷부분. 침을 사용할 때 힘을 주는 부분
본발명은 침체(2)의 강자성 소재 채용 및 착자화에 관련한 것이다.
2 . 영구자석의 히스테리시스
강자성체에 외부 자장을 부여하면 그림 O에서 S까지의 경로로 자화하며 (착자과정)
착자후 외부자성을 제거하여도 잔류자속밀도(Br)만큼의 자력을 갖는 영구 자석으로 남는다. 따라서 침체의 소재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따라 적정한 외부 자기장을 정량적으로 부여하면 이 에 상응한 적절한 자석을 갖는 자석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3. 착자의 원리
상기의 침체(2)에 착자장치(3)를 통해 순간적인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화방향이(N/S극) 결정되고 영구 자석화한다. 더욱이 이때 전류의 세기등을 조절하여 침체의 포화자력한도내에서 필요한 자력을 정량적으로 부여할수 있다

Claims (2)

  1. 인체를 포함한 생체에 접촉하거나 천피하여 시술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침에 있어서,
    페라이트계 또는 마르틴사이트계 강선으로 침제를 형성하고, 자화공정에 의해 침체 표면자력을 원소재인 강선 표면자력보다 큰자력으로 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침.
  2. 삭제
KR1020090121470A 2009-12-08 2009-12-08 일회용 자화침 KR10121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70A KR101218671B1 (ko) 2009-12-08 2009-12-08 일회용 자화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470A KR101218671B1 (ko) 2009-12-08 2009-12-08 일회용 자화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751A KR20110064751A (ko) 2011-06-15
KR101218671B1 true KR101218671B1 (ko) 2013-01-07

Family

ID=4439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470A KR101218671B1 (ko) 2009-12-08 2009-12-08 일회용 자화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57A (zh) * 2020-02-21 2020-05-19 张明 神经内科康复治疗装置
CN112402243A (zh) * 2020-11-19 2021-02-26 燕山大学 一种可控磁化的医疗针灸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12Y1 (ko) * 1990-11-19 1992-12-26 금덕현 자력을 가진 침
KR950007536Y1 (ko) * 1992-07-31 1995-09-13 박원근 한방시술용 침
KR200296736Y1 (ko) * 2002-08-24 2002-12-05 김영기 침 구조
KR20070005226A (ko) * 2005-07-05 2007-01-10 신석균 자화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012Y1 (ko) * 1990-11-19 1992-12-26 금덕현 자력을 가진 침
KR950007536Y1 (ko) * 1992-07-31 1995-09-13 박원근 한방시술용 침
KR200296736Y1 (ko) * 2002-08-24 2002-12-05 김영기 침 구조
KR20070005226A (ko) * 2005-07-05 2007-01-10 신석균 자화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751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0075A (ja) 組織修復を向上するための電磁力
CN206472860U (zh) 超声波远红外磁能生殖器官及前列腺保健内裤
KR101218671B1 (ko) 일회용 자화침
CN100569208C (zh) 针灸短柄粗针及其制作方法
Chung et al. Case report of hypoesthesia of lower limb with additional CP pharmacopuncture
T IIMURO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tifacts and the magnetic attachment system
Livingston Magnetic Therapy: Plausible Attraction?
KR100699224B1 (ko) 은 나노 코팅 침
Sosnin et al. Import substitution in medicine on the basis of Russian precision alloys
Slopek et al. Magnetism and acupuncture
JP4443201B2 (ja) 身体装着用健康用品
WO201206083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magnetic poisoning and/or magnetically induced rouleaux
KR20120004971U (ko) 무릎 관절 보호 보조대
KR200404907Y1 (ko) 은 나노 플라스마 코팅 침
KR20060043659A (ko) 나노 실버가 함유된 침
KR101067293B1 (ko) 자석을 이용한 척추디스크 예방용 건강증진 기구
JP2017145519A (ja) 下着
Schenck Magnetism in Medicine
CN1082880A (zh) 磁性毫针
KR200402785Y1 (ko) 은 나노 코팅 침
KR200393034Y1 (ko) 은 나노가 함유된 기능성 침
Zhou et al. ASO Author Reflections: Consideration of a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Upper Limb Exercise Program Following Surger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Lee et al. Therapeutic Effect of Ten case Treated with Scalp and Do-ma acupuncture related with Governer Vessel and Bladder Meridian on Acute Low Back Pain
KR101002728B1 (ko) N극 자기장을 인체에 발산하는 기능성 침
CN201308716Y (zh) 一种电磁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