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16B1 -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16B1
KR101218516B1 KR1020110034603A KR20110034603A KR101218516B1 KR 101218516 B1 KR101218516 B1 KR 101218516B1 KR 1020110034603 A KR1020110034603 A KR 1020110034603A KR 20110034603 A KR20110034603 A KR 20110034603A KR 101218516 B1 KR101218516 B1 KR 10121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ell
component
cell
reception strength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081A (ko
Inventor
현승헌
윤규섭
김대희
박송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3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부시스템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셀, 및 상기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물리계층 셀 식별자를 구성하는 PCI 관리부를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COMPONENT CELL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RF(Radio Frequency) 부시스템이 형성하는 셀들을 서로 다른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ty)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있다. 물리계층 셀 식별자는 무선 셀에 대한 필수 구성 파라미터로서, 휴대 단말이 셀을 식별하는 파라미터로 이용된다. 또한, 물리계층 셀 식별자는 기지국의 초기 설치 시에 설정되는 구성 파라미터 중의 하나이다.
기지국은 다중 셀 모드 지원 기지국과 단일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운영되지만, 단순히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중계기 모드 지원 기지국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지국 운영 방안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셀 모드 지원 기지국은 휴대 단말이 셀간 이동하는 경우,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를 수행한다. 그러나, 잦은 핸드오버는 셀 경계지역에서의 신호 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계기 모드 지원 기지국은 RF 부시스템들이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되지만, 동일 신호를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므로, 무선자원(Resource Block; RB)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두 셀간 경계지역에서는, 두 개의 휴대 단말로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중계기 모드 지원 기지국은 셀 용량을 증가시켜 이득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컴포넌트셀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여 셀 간 핸드오버 발생 빈도를 낮춰, 셀간 경계지역에서의 신호 품질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되는 컴포넌트셀에게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자원 재사용율을 높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컴포넌트셀간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에게 각 컴포넌트셀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RF(Radio Frequency) 부시스템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셀, 및 상기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ty)를, 구성하는 PCI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은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여 물리계층 셀 식별자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 각각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의 휴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컴포넌트셀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여 셀 간 핸드오버 발생 빈도를 낮춰, 셀간 경계지역에서의 신호 품질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되는 컴포넌트셀에게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자원 재사용율을 높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컴포넌트셀간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에게 각 컴포넌트셀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지국 운영 방안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에서 제2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RF(Radio Frequency) 부시스템들이 형성하는 복수개의 컴포넌트셀(220)들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230)로 구성한다. 따라서,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복수개의 컴포넌트셀(220)들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230)로 구성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수 있다.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물리계층 셀 식별자(230)에 포함된 컴포넌트셀(220) 각각에 무선자원(Resource Block; RB)을 할당할 수 있다. 실시예로,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물리계층 셀 식별자(230)에 포함된 컴포넌트셀(220)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셀(220)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220)은 상기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의 휴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포넌트셀(220)은 컴포넌트셀 기지국(200)과 독립적으로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할 수 있고, 컴포넌트셀 기지국(200)과 무관하게 휴대 단말(240 내지 270)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뎀은 컴포넌트셀(22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뎀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Uplink)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220)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휴대 단말(240 내지 27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셀 3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260)이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셀 3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6(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휴대 단말(260)과 측정한 수신세기는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상기 컴포넌트셀 3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 6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3이 상기 컴포넌트셀 6과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휴대 단말(260)에게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컴포넌트셀 6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270)이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셀 6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3(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휴대 단말(270)과 측정한 수신세기는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상기 컴포넌트셀 6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 3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6이 상기 컴포넌트셀 3과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휴대 단말(270)에게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컴포넌트셀 4는 휴대 단말(250)과 측정된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250)이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셀 4와 인접한 컴포넌트셀 5(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휴대 단말(250)과 측정한 수신세기는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제2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상기 컴포넌트셀 4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제2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 5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5와 동일한 무선자원을 휴대 단말(250)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컴포넌트셀 1은 휴대 단말(240)과 측정된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240)이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포넌트셀 1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2(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휴대 단말(240)과 측정한 수신세기는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컴포넌트셀 1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4(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휴대 단말(240)과 측정한 수신세기는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상기 컴포넌트셀 1과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 1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2, 4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240)의 위치를 상기 컴포넌트셀 1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컴포넌트셀 2 또는 4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포넌트셀 기지국(200)은 상기 컴포넌트셀 1에서 휴대 단말(240)에게,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컴포넌트셀 2 또는 4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40)은 컴포넌트셀 간 핸드오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는, 컴포넌트셀 2는 휴대 단말(240)과 측정된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240)이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여 컴포넌트셀 간 핸드오버 발생 빈도를 낮춰, 컴포넌트셀간 경계지역에서의 신호 품질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관리되는 컴포넌트셀에게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자원 재사용율을 높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컴포넌트셀 기지국(300)은 자원 제어부(310),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 및 PCI 관리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PCI 관리부(360)는 복수개의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들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로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4개의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들을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로 구성하는 일례를 보여준다.
자원 제어부(310)는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 각각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원 제어부(310)는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셀 기지국(300)에 할당된 총 리소스 블록이 '100'이라고 가정한다면, 자원 제어부(310)는 상기 리소스 블록에서 도2의 휴대 단말(250)에게 스케줄러 4와 5가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고, 휴대 단말(240)의 경우 스케줄러 2와 4에게 스케줄러 1과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원 제어부(310)는 각 컴포넌트 셀(320 내지 350)에 100개 모두를 동일하게 할당하거나, 또는 25개씩 나눠서 할당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은 상기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의 휴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은 RF 부시스템들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 각각은 모뎀 및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321 내지 351)은 자신이 해당하는 컴포넌트셀(320 내지 35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모뎀 1(321)은 컴포넌트셀 1(320)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고, 모뎀 2(331)는 컴포넌트셀 2(330)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고, 모뎀 3(341)은 컴포넌트셀 3(340)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며, 모뎀 4(351)는 컴포넌트셀 1(350)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스케줄러(322 내지 352)는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줄러 1(322)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컴포넌트셀 1(320) 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자원 제어부(310)가 컴포넌트셀 1(320)에 할당한 무선자원 중 일부일 수 있다.
스케줄러 2(332)는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컴포넌트셀 2(330) 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자원 제어부(310)가 컴포넌트셀 2(330)에 할당한 무선자원 중 일부일 수 있다.
스케줄러 3(342)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컴포넌트셀 3(340) 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자원 제어부(310)가 컴포넌트셀 3(340)에 할당한 무선자원 중 일부일 수 있다.
스케줄러 4(352)는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컴포넌트셀 4(350) 내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자원 제어부(310)가 컴포넌트셀 4(350)에 할당한 무선자원 중 일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고하여 자원 제어부가 휴대 단말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서는 6개의 컴포넌트셀이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를 구성한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도 4과 같이 4개의 컴포넌트셀로 하나의 물리계층 셀 식별자를 구성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컴포넌트셀 1(410)의 모뎀 1은 컴포넌트셀 1(41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4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1(410)의 스케줄러 1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스케줄러 1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4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1(410)의 '중심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 2(420)의 모뎀 2는 휴대 단말(4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스케줄러 2는 상기 모뎀 2에 의해 측정된 수신세기와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4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2(420)의 '외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스케줄러 3 내지 6은 각각의 모뎀 3 내지 6에 의해 측정된 수신세기와 상기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4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3(430) 내지 컴포넌트셀 6(460)의 '외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제어부(310)는 컴포넌트셀 1(410)에서 측정된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서, 인접 컴포넌트셀들(420, 430, 440, 450, 및 460)에서의 수신세기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470)이 컴포넌트셀 1(410)의 중심지역에 있음을 확정하고, 컴포넌트셀 1(410)이 휴대 단말(470)에게, 인접 컴포넌트셀들(420, 430, 440, 450, 및 460)과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에서 제2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컴포넌트셀 1(510)의 모뎀 1은 컴포넌트셀 1(51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5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1(510)의 스케줄러 1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5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1(510)의 '경계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 1(510)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2(520)의 모뎀 2는 컴포넌트셀 2(52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5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2(520)의 스케줄러 2는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5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2(520)의 '경계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 1(510)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3(530)의 모뎀 3 내지 컴포넌트셀 6(560)의 모뎀 6은 휴대 단말(5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3(530)의 스케줄러 3 내지 컴포넌트셀 6(560)의 스케줄러 6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5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3(530) 내지 컴포넌트셀 6(560)의 '외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제어부(310)는 컴포넌트셀 1(510)에서 측정된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컴포넌트셀 2(520)에서의 수신세기가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휴대 단말(570)이 컴포넌트셀 1(510)과 컴포넌트셀 2(520)의 경계지역에 있음을 확정하고, 컴포넌트셀 1(510)과 컴포넌트셀 2(520)에서 휴대 단말(570)에게,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컴포넌트셀 1(610)의 모뎀 1은 컴포넌트셀 1(610)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6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1(610)의 스케줄러 1은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케줄러 1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6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1(610)의 '경계지역' 또는, 컴포넌트셀 1(6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셀 1(610)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2(620)의 모뎀 2는 휴대 단말(670)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셀 2(620)의 스케줄러 2는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6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2(62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컴포넌트셀 1(610)과 인접한 컴포넌트셀 3(630)의 스케줄러 3 내지 컴포넌트셀 6(660)의 스케줄러 6은 휴대 단말(670)과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670)의 위치를 컴포넌트셀 3(630) 내지 컴포넌트셀 6(66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제어부(310)는 휴대 단말(670)과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620, 630, 640, 650, 660)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휴대 단말(670)이 컴포넌트셀 1(610) 내부에 위치하지만, 인접 컴포넌트셀(620, 630, 640, 650, 660)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컴포넌트셀 1(610)이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인접 컴포넌트셀(620, 630, 640, 650, 660)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무선자원 재사용율을 높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 710에서,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여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 각각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셀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에 할당된 총 리소스 블록이 '500'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리소스 블록에서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각 컴포넌트셀에 500개를 모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이 모두 50개인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총 리소스 블록 '500'을 50으로 나눈 리소스 블록 '10'을 50개의 컴포넌트셀 각각에 할당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뎀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Uplink)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에서 측정된 수신세기와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이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과 독립적으로 휴대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을 상기 컴포넌트셀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과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휴대 단말에게 동일한 무선자원이 할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상기 컴포넌트셀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이 상기 휴대 단말에게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컴포넌트셀이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컴포넌트셀 기지국
210: RF 부시스템
220: 컴포넌트셀
230: 물리계층 셀 식별자
240 내지 270: 휴대 단말

Claims (16)

  1. RF(Radio Frequency) 부시스템을 구비하는 컴포넌트셀;
    상기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물리계층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ty)를, 구성하는 PCI 관리부; 및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셀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은,
    상기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의 휴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은,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모뎀; 및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스케줄러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1)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2)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3)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이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과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자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과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이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자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은,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에서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이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자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은,
    상기 모뎀을 통해 상기 컴포넌트셀 기지국과 무관하게 상기 휴대 단말과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10. 컴포넌트셀을 복수개 포함하여 물리계층 셀 식별자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물리계층 셀 식별자에 포함된 컴포넌트셀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셀에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의 휴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수신세기를, 제1 임계값 및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제2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경계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컴포넌트셀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이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과 독립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과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이 동일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셀의 커버리지 내 휴대 단말과의 수신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세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컴포넌트셀과 인접한 인접 컴포넌트셀의 수신세기가 상기 제2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에게, 상기 컴포넌트셀이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인접 컴포넌트셀에서 상기 임의의 무선자원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포넌트셀 기지국 동작 방법.
KR1020110034603A 2011-04-14 2011-04-14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KR10121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03A KR101218516B1 (ko) 2011-04-14 2011-04-14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03A KR101218516B1 (ko) 2011-04-14 2011-04-14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81A KR20120117081A (ko) 2012-10-24
KR101218516B1 true KR101218516B1 (ko) 2013-01-09

Family

ID=4728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03A KR101218516B1 (ko) 2011-04-14 2011-04-14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9574A1 (en) * 2013-12-26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dormant cell signaling for advanced cellular network
KR101700612B1 (ko) * 2014-12-17 2017-01-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932A (ko)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 방법
WO2010011970A1 (en) * 2008-07-25 2010-01-28 Qualcomm Incorporated Cell identifier assignment and selection
KR20100067345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의 캐리어 선택 방법 및 그것의 호 접속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932A (ko)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 방법
WO2010011970A1 (en) * 2008-07-25 2010-01-28 Qualcomm Incorporated Cell identifier assignment and selection
KR20100067345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의 캐리어 선택 방법 및 그것의 호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81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12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to prevent femtocell interference
RU25985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ыми ресурсам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99364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ow transmission power cell base station, macrocell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load distribution method
US8971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40086194A1 (en) Spectrum control system, spectrum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20257544A1 (en) Configuration space feedback and optimization in a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system
KR102012257B1 (ko) 빔간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95872A1 (en) SYSTEM AND METHOD TO ALLOCATE FREQUENCY DYNAMICALLY BASED ON PRIORITY OF QUALITY OF EXPERIENCE (QoE) IN 3GPP LTE HETEROGENEOUS NETWORK
EP2885942A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425823B2 (en) Cell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cell management apparatus
KR102018252B1 (ko)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101218516B1 (ko) 컴포넌트셀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CN111034349A (zh) 无线基站及通信控制方法
US98946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hakur et al. An energy efficient cell selection scheme for femtocell network with spreading
EP4075878A1 (en) Determining coverage access
KR101429339B1 (ko)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38661B2 (en) Partitioning resources with soft reuse in a wireless network
KR102018529B1 (ko) 이웃 셀의 버퍼 상태를 이용한 자원 배분 방법 및 장치
KR101325352B1 (ko)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EP2978157A1 (en)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582598B1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11286B1 (ko) 적응적인 셀 모드 관리 장치 및 방법
Ghazzai et al. Mobile user association for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optimal transport theory
KR101939071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