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96B1 -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 Google Patents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96B1
KR101218396B1 KR1020110003619A KR20110003619A KR101218396B1 KR 101218396 B1 KR101218396 B1 KR 101218396B1 KR 1020110003619 A KR1020110003619 A KR 1020110003619A KR 20110003619 A KR20110003619 A KR 20110003619A KR 101218396 B1 KR101218396 B1 KR 10121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luid flow
coupled
hole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239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에스씨티
Priority to KR102011000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member actuated by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를 가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유체유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사이에 위치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이며 평면적인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파여진 관통공인 위치결정공이 복 수개 형성된 스톱플레이트와, 상기 핸들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어 그 핸들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핸들부재의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결정공과 분리되어 그 핸들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핸들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의 멈춤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삽입됨으로써 유체의 통과량을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어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Handle miss operation and decoupling prevention valve}
본 발명은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을 각 단계별 유동량으로 고정하여 허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하고, 밸브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허가된 작업자만이 밸브를 조작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밸브는 각종의 산업 현장에서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체 유동의 극단적인 차단이나 극단적인 허용만을 위해서 사용하는 밸브가 아니라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흔히 집이나 아파트 등지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경우는 주로 가스 흐름의 극단적인 허용이나 차단만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그 외 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밸브는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사용하면서 그 밸브의 사용 위치가 진동이 꾸준히 발생하는 곳이거나, 유체의 유동량의 조그마한 변화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곳일 경우에는, 밸브의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부위가 임의적인 움직임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밸브가 개발되지 않아 그러한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를 구현하면서 각종 전자 장치를 사용하면 그 밸브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어며,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면서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조작으로 인한 변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의 개발이 시급한 것이다.
특히 반도체의 생산 공장에서 사용되는 밸브의 경우는 그 통과되는 유체의 중요성으로 인해서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사용함은 물론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허가된 작업자 만이 그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어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조작으로 인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를 가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와, 상기 본체부재의 유체유동통로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사이에 위치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이며 평면적인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파여진 관통공인 위치결정공이 복 수개 형성된 스톱플레이트와, 상기 핸들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하방으로부터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어 그 핸들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핸들부재의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결정공과 분리되어 그 핸들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핸들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의 멈춤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삽입됨으로써 유체의 통과량을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는, 상기 핸들부재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파여진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위에는 지름이 좁아진 관통단턱을 가지는 결합관통공과, 상기 결합관통공에 삽입되며, 그 끝단에는 자석이 결합된 스틱키와, 상기 자석에 결합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관통공에 삽입되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부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를 구비하며, 그 하방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구를 가지는 멈춤부와, 그 일단은 상기 멈춤부의 광폭부 끝단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관통단턱에 결합되어 상기 멈춤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스틱키가 상기 결합관통공으로 삽입되면 상기 멈춤부가 상기 자석이 가지는 자력의 힘으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멈춤부와 상기 스톱플레이트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회전이 허용되고, 상기 스틱키가 상기 결합관통공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멈춤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구가 상기 스톱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상기 핸들부재에는, 상기 결합관통공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파여진 관통공인 삽입방지관통공과, 상기 삽입방지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띠 형상을 가지는 타이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타이부재가 상기 삽입방지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부재와 결합되었을 때는 상기 스틱키가 상기 결합관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인 상기 핸들부재의 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의 발생이 억제되어 그 보수나 수리가 용이하며, 진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도 유체 유동량의 임의적인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첨가하여 허가된 작업자가 아니면 그 밸브의 조작을 엄격히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스톱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핸들위치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삽입방지관통공과 타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스톱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핸들위치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삽입방지관통공과 타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는 본체부재(10)와, 제1유체유동구(20)와, 제2유체유동구(30)와, 개폐부재(40)와, 핸들부재(50)와, 스톱플레이트(60)와, 핸들위치고정부재(70)와, 삽입방지관통공(80)과, 타이부재(8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재(10)는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12)를 가진다.
상기 제1유체유동구(2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제2유체유동구(3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40)는 상기 본체부재(10)의 유체유동통로(12)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12)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40)는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볼로 구성되며, 이는 기존의 볼 밸브에서 채택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핸들부재(50)는 상기 개폐부재(40)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4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톱플레이트(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50)와 상기 본체부재(10)에 사이에 위치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이며 평면적인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파여진 관통공인 위치결정공(62)이 복 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플레이트(60)의 위치결정공(62)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맞도록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70)는 상기 핸들부재(50)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하방으로부터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그 핸들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결정공(62)과 분리되어 그 핸들부재(50)의 회전을 허용하는 멈춤부(76)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70)를 도 3을 참조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70)는 결합관통공(72)과, 스틱키(74)와, 멈춤부(76)와, 스프링(79)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관통공(72)은 상기 핸들부재(50)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파여진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위에는 지름이 좁아진 관통단턱(71)을 가진다.
상기 스틱키(74)는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되며, 그 끝단에는 자석(7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멈춤부(76)는 상기 자석(73)에 결합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되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부(75)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76)를 구비하며, 그 하방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구(77)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79)은 그 일단은 상기 멈춤부(76)의 광폭부(75) 끝단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관통단턱(71)에 결합되어 상기 멈춤부(76)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틱키(74)가 상기 결합관통공(72)으로 삽입되면 상기 멈춤부(76)가 상기 자석(73)이 가지는 자력의 힘으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멈춤부(76)와 상기 스톱플레이트(6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허용되고, 상기 스틱키(74)가 상기 결합관통공(7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멈춤부(76)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구(77)가 상기 스톱플레이트(60)의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50)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관통공(7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파여진 관통공이다.
상기 타이부재(85)는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는 띠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타이부재(85)가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부재(50)와 결합되었을 때는 상기 스틱키(74)가 상기 결합관통공(72)으로 삽입되는 방지하여 임의적인 상기 핸들부재(50)의 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100)가 유체의 유동을 어느 일정한 양에서 허용하는 상태라 가정한다.
이 때는 상기 멈춤부(76)의 돌출구(77)가 상기 스톱플레이트(60)의 위치결정공(6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이 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움직임이 방지된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을 관통하여 상기 타이부재(85)가 체결된 상태라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틱키(74)를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하려고 해도 상기 타이부재(85)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틱키(74)의 하방으로의 진행을 방해한다.
따라서, 상기 타이부재(85)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스틱키(74)를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할 수 없으므로, 허가 받지 않은 작업자의 임의적인 상기 핸들부재(50)의 조작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어서, 허가받은 작업자가 상기 타이부재(85)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스틱키(74)를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하면, 상기 자석(73)에 의해서 상기 멈춤부(76)가 상기 스프링(79)의 복원력을 이기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구(77)가 상기 위치결정공(62)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핸들부재(50)의 회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50)를 원하는 만큼 회전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핸들부재(50)를 원하는 만큼 회전하고 나서, 상기 스틱키(7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멈춤부(76)와 상기 자석(73)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멈춤부(76)는 상기 스프링(79)의 복원력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돌출구(77)가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다시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타이부재(85)를 다시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을 관통하여 체결하면 허가받지 않은 작업자의 상기 스틱키(74)의 상기 결합관통공(72)으로의 삽입이 방지되어 상기 핸들부재(50)의 임의적인 조작이 방지되는 것이다.
10. 본체부재 12. 유체유동통로
20. 제1유체유동구 30. 제2유체유동구
40. 개폐부재 50. 핸들부재
60. 스톱플레이트 62. 위치결정공
70. 핸들위치고정부재 71. 관통단턱
72. 결합관통공 73. 자석
74. 스틱키 75. 광폭부
76. 소폭부 77. 돌출구
78. 멈춤부 79. 스프링
80. 삽입방지관통공 85. 타이부

Claims (3)

  1.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는 유체유동통로(12)를 가지는 본체부재(10);
    상기 본체부재(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제1유체유동구(20);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와 연통되는 제2유체유동구(30);
    상기 본체부재(10)의 유체유동통로(12)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유동통로(1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유체유동통로(12)로의 유체의 유동을 허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40);
    상기 개폐부재(40)와 결합되어, 그 개폐부재(40)를 회전시키는 핸들부재(50);
    상기 핸들부재(50)와 상기 본체부재(10)에 사이에 위치되며, 측면적인 형상은 판 형상이며 평면적인 형상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파여진 관통공인 위치결정공(62)이 복 수개 형성된 스톱플레이트(60);
    상기 핸들부재(50)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하방으로부터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62)에 삽입되어 그 핸들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결정공(62)과 분리되어 그 핸들부재(50)의 회전을 허용하는 멈춤부(76)를 포함하는 핸들위치고정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위치고정부재(70)는,
    상기 핸들부재(50)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부재(50)의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파여진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위에는 지름이 좁아진 관통단턱(71)을 가지는 결합관통공(72)과,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되며, 그 끝단에는 자석(73)이 결합된 스틱키(74)와,
    상기 자석(73)에 결합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관통공(72)에 삽입되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부(75)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소폭부(76)를 구비하며, 그 하방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돌출구(77)를 가지는 멈춤부(76)와,
    그 일단은 상기 멈춤부(76)의 광폭부(75) 끝단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관통단턱(71)에 결합되어 상기 멈춤부(76)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9)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재(50)에는, 상기 결합관통공(7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파여진 관통공인 삽입방지관통공(80)과,
    상기 삽입방지관통공(80)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는 띠 형상을 가지는 타이부재(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2. 삭제
  3. 삭제
KR1020110003619A 2011-01-13 2011-01-13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KR10121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19A KR101218396B1 (ko) 2011-01-13 2011-01-13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19A KR101218396B1 (ko) 2011-01-13 2011-01-13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39A KR20120082239A (ko) 2012-07-23
KR101218396B1 true KR101218396B1 (ko) 2013-01-03

Family

ID=4671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19A KR101218396B1 (ko) 2011-01-13 2011-01-13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383B (zh) * 2012-09-17 2014-11-26 福建省海洋阀门科技有限公司 改进型阀门锁定机械
CN102840384B (zh) * 2012-09-17 2014-11-26 福建省海洋阀门科技有限公司 阀门加密机构
CN103292023A (zh) * 2013-06-03 2013-09-11 宁波世亚燃气仪表管件有限公司 一种磁性锁控球阀
KR101377474B1 (ko) * 2013-12-27 2014-04-01 주식회사 유니락 마스터키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
KR102182044B1 (ko) * 2019-05-09 2020-11-23 (주)신우하이테크 잠금기능이 구비된 볼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550A (ja) * 1992-11-12 1994-06-07 Tanaka Seisakusho Kk 減圧弁
JP3148301U (ja) * 2008-08-14 2009-02-12 同一工業有限公司 バルブ装置
JP2010255663A (ja) * 2009-04-21 2010-11-11 Ckd Corp ロック機構付き手動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550A (ja) * 1992-11-12 1994-06-07 Tanaka Seisakusho Kk 減圧弁
JP3148301U (ja) * 2008-08-14 2009-02-12 同一工業有限公司 バルブ装置
JP2010255663A (ja) * 2009-04-21 2010-11-11 Ckd Corp ロック機構付き手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39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396B1 (ko)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KR101221432B1 (ko) 핸들 오작동 및 풀림 방지 밸브
JP5943980B2 (ja) 電気式のフィードバック装置
US8997536B2 (en) Lockout device
US20170284560A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Locking Device
DE602005023515D1 (de) Schloss für verriegelungsbolzen mit zwei rasten mit einem einzigen schalter
US6843083B2 (en) Lockable valve cover
US5709112A (en) Tamperproof locking and latching mechanism for rotatable controls
US20160368552A1 (en) Holder
EP2137443A1 (en) Valve operated by a master key
JPH0664505B2 (ja) 施錠可能な機素駆動機構
JP5684784B2 (ja) ロックアウト装置を有する手動弁操作装置
CN208565689U (zh) 一种单向阀
US6467500B2 (en) Ball valve locking device
JP6448464B2 (ja) ガスメータ用保護カバー器具
US8806906B1 (en) Actuator lock-out bracket
KR102182044B1 (ko) 잠금기능이 구비된 볼 밸브
KR20180008944A (ko)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KR101819460B1 (ko) 임의 조작을 제한하는 볼밸브
JP2009204053A (ja) 回転弁用レバー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KR101031099B1 (ko) 볼밸브
KR101722879B1 (ko) 밸브 잠금 장치
KR200314027Y1 (ko) 밸브 조작 방지 장치
JP6920732B2 (ja) ガス切替装置
KR102222893B1 (ko) 볼 밸브의 레버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볼 밸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