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388B1 -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388B1
KR101217388B1 KR1020110034606A KR20110034606A KR101217388B1 KR 101217388 B1 KR101217388 B1 KR 101217388B1 KR 1020110034606 A KR1020110034606 A KR 1020110034606A KR 20110034606 A KR20110034606 A KR 20110034606A KR 101217388 B1 KR101217388 B1 KR 10121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collecto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083A (ko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웹싱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싱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싱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3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AP(Access Point)를 검색가능한 사용자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위치 수집부 및 동작 센스 디바이스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위치 수집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가 미리 저장된 AP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위치를 수집할 시 배터리 소모가 많은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어 이동 단말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POWER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의 위치 수집 모듈의 상태를 관리하여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이동 통신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망도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에 대한 위치 측위 서비스는 기존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Cell-ID 방식 외에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에 실내에 있는 단말기 위치 측위 오차가 최대 수 Km에 이르므로 이를 기반으로 제대로 된 위치기반 서비스를 할 수가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는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을 장착하거나 지그비(Zigbee) 모듈을 장착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시범적인 수준에서는 많이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대부분 실패하거나 활성화 되지 못한 이유는 수 많은 리더 혹은 액세스 포인트들을 직접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의 어려움 및 설치 비용 과다로 사업성을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와이파이망인 경우는 예전부터 개인이나 기업이 인터넷을 목적으로 이미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 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환경적으로 기존의 방식처럼 액세스 포인트 설치의 문제점으로부터 훨씬 자유롭게 되었다.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는 그 전송 거리가 비교적 짧고 실내에 많이 설치 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알아야 하는 조건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실내의 위치 측위 정확도는 엄청나게 개선될 것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와이파이 망에서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모듈의 상태를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검색한다. 만약, 이동 단말이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검색하지 못할 시 차량이나 도보로 직접 해당 지역을 순회하면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GPS 모듈의 상태를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이동 단말은 와이파이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모듈 및 GPS 모듈을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할 경우 배터리의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검색 가능한 AP를 스캔하여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위치 수집부 및 동작 센스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전원상태를 제어하거나 제1 위치 수집부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가 미리 저장된 AP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이동 단말에 포함된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스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한 후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AP의 정보와 미리 저장된 AP의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 수집부 및 상기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 이동 단말에서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수집할 시 배터리 소모가 많은 GPS/WIFI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어 이동 단말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중 검색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중 검색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이동 단말(200)은 내장된 제 1 위치 수집부및 제 2 위치 수집부, 예를 들어 WIFI 모듈 및 GPS 모듈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제1 위치 수집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스캔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100_1, 100_2, 100_3)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이동 단말(200)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00_1, 100_2, 100_3)를 제 2 위치 수집부를 제어하기 위한 즉, 위치 이동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로 결정한다.
기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를 결정한 사용자 이동 단말(200)은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0_1, 200_2, 200_3)의 위치 정보 및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이동 단말(200)이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내장된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한다. 반면, 사용자 이동 단말(200)이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첫째, 사용자 이동 단말(200)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단말이 이동중이라고 판단하고, 내장된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한다.
반면, 사용자 이동 단말(200)이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액세스 포인트(200_1)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내장된 제 1 위치 수집부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200)은 제 1 위치 수집부(201), 제 2 위치 수집부(203), 동작 수신부(205), 제어부(207) 및 저장부(2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위치 수집부(201)는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스캔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동작 수신부(205)의 동작 센스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제어부(207)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이동 단말에 포함된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위치 수집부(201)는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식별자 정보, 예를 들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신하며, BSSID는 무선 LAN표준인 802.11에서 기본 서비스 영역(BSS: Basic Service Set)을 식별하는 48비트의 식별자 또는 네트워크 식별자, 예를 들어 MAC 주소를 의미한다. BSSID는 임의의 영역에서 여러 액세스 포인트가 공존할 때 서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로부터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부(209)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로부터 수신된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로부터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07)는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먼저, 제어부(207)가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이동 단말은 제 1 위치 수집부(201) 및 제 2 위치 수집부(2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 1 위치 수집부(201)은 와이파이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제어부(207)가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어부(207)는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첫째, 제어부(207)는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둘째, 제어부(207)는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동작 수신부(205)의 동작 센스 디바이스의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제 1 위치 수집부(201) 및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 1 위치 수집부(201) 및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스 디바이스가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둘째,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어부(207)가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의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셋째,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어부(207)가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207)가 저장부(20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일정 시간 동안 동작 센스 디바이스가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07)는 제 1 위치 수집부(201)의 상태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203)의 상태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209)는 제어부(207)의 제어에 따라 제 1 위치 수집부(201)에 의해 스캔되었던 복수개의 스테이션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및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전원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은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S301) 동작 센스 디바이스가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S302),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03).
만약,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서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을 감지 하지 않을 경우(S304), 이동 단말은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01).
반면,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서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을 감지할 시, 이동 단말은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식별자 정보를 수신(S305)한 후,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06).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S306),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03).
하지만,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S306),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07). 이동 단말이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S307),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상태로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03).
만약, 이동 단말이 미리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S307),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308).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S308) 이동 단말의 동작 센서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을 감지 하지 않을 경우(S304), 이동 단말은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301).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_1, 100_2, 100_3: 액세스 포인트 200: 이동 단말
201: 동작 수신부 203: 제어부
205: 저장부 207: 제 1 위치 수집부
209: 제 2 위치 수집부

Claims (11)

  1.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AP(Access Point) 중 하나의AP에 접속을 하여 통신하는 사용자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검색 가능한 AP를 스캔하여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위치 수집부 및
    동작 센스 디바이스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AP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위치 수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의 정보와 미리 저장된 AP 정보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한 결과 AP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AP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AP 정보 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단말이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AP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AP 정보 리스트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수집부에 의해 스캔된 적어도 하나의 AP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AP(Access Point) 를 검색가능한 사용자 이동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동 단말에 포함된 제 1 위치 수집부 및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동작 센스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한 후 검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AP 로부터 AP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AP의 정보와 미리 저장된 AP의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 수집부 및 상기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된 AP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AP의 정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AP 정보 리스트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된 AP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AP의 정보 리스트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 1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위치 수집부의 상태를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10034606A 2011-04-14 2011-04-14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121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06A KR101217388B1 (ko) 2011-04-14 2011-04-14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06A KR101217388B1 (ko) 2011-04-14 2011-04-14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83A KR20120117083A (ko) 2012-10-24
KR101217388B1 true KR101217388B1 (ko) 2012-12-31

Family

ID=4728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06A KR101217388B1 (ko) 2011-04-14 2011-04-14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354A (ko) * 2013-01-02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5814925B (zh) * 2013-12-04 2020-03-06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接入的接入点信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19B1 (ko) 2002-12-12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 에이피 자동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19B1 (ko) 2002-12-12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 에이피 자동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83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8772B2 (ja) ポータブル端末で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自動接続の方法及び装置
US10674320B2 (en) Initial access of wireless access network using assistance information
US9668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MAP and applications
KR101745742B1 (ko) 이동 무선 장치에서의 빠른 셀 선택
TWI388233B (zh) 用來調整行動基地台的內部掃描週期的方法與系統
RU2010139467A (ru) Эффективное назначение частоты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совместно существующих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180376448A1 (en) Wi-fi protocol enhancement techniques for low power networking for the internet-of-things
JP6552620B2 (ja) 動作モードを切り替えるときに無線信号のブロードキャストを可能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79798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geographic position of an equipment
JP5814466B2 (ja) 異種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小セルを発見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7104432A (ja) 携帯通信装置
RU201010986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мехами
JP2016146668A (ja) セル発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80051100A1 (en) Network acquisition for wireless clients
WO2013140880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及びバッテリセービング方法
JP2012169971A (ja) 通信経路選択装置、通信経路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86640B2 (ja) 基地局、ネットワーク識別符号の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67183A (ja) 無線通信端末
KR101217388B1 (ko) 이동 단말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KR20150135974A (ko) 무선 네트워크 탐색 방법 및 장치
JP2016111778A (ja) 非接触充電において送電システムの優先順位を決定する方法
JP2012005048A (ja) 無線通信装置
KR101813505B1 (ko) 무선랜 인프라에서의 핑거프린트 이용 방법 및 시스템
US90146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thereb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7274252A (ja) ステルスアクセスポイントと通信する端末、プログラム及びアクセスポイント発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