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301B1 - Micro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Micro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301B1
KR101217301B1 KR1020090059631A KR20090059631A KR101217301B1 KR 101217301 B1 KR101217301 B1 KR 101217301B1 KR 1020090059631 A KR1020090059631 A KR 1020090059631A KR 20090059631 A KR20090059631 A KR 20090059631A KR 101217301 B1 KR101217301 B1 KR 10121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rical
nonwoven fabric
microbubble generating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4311A (en
Inventor
요지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나카시마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나카시마고교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나카시마고교
Publication of KR2010009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과제

보다 미세한 기포를 충분한 양으로 보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외주면에 개구되는 통기 구멍을 구비한 통형상 기재에 고분자 수지 필름에 크레이즈를 생성하여 이루어지는 통기성 필름의 원통체가 외삽됨과 함께, 그 원통체의 외주면 상에 친수성 부직포층 (48) 이 적층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그 축 둘레로 회전 구동 수단 (14) 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회전 구동 수단 (14) 에 의한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회전 하에서, 기체 도입 기구 (15) 에 의해 그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기체를 도입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Figure R1020090059631

assignment

Provided is a fine bubble generator that can stably generate finer bubbles in a sufficient amount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Solution

A fine body formed by laminating a cylindrical body of a breathable film formed by forming a craze in a polymer resin film on a cylindrical substrate having a vent hole ope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laminating a hydrophilic nonwoven fabric layer 48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can be made to rotate th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by the rotation drive means 14 around the axis, and under the rotation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by the rotation drive means 14. By (15), it was comprised so that gas may be introduce | trans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said cylindrical base material.

Figure R1020090059631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 장치{MICRO BUBBLE GENERATOR}Micro Bubble Generator {MICR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것을 수중으로 분산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microbubbles and disperses them in water.

최근, 1㎜ 이하의 마이크로버블이라고 하는 미세한 기포가 많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져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미세 기포는, 예를 들어 어류나 가축, 식물 등의 활성화 또는 오수나 배수 등의 정화 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그러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감상어(鑑賞魚)용 수조나 활어조 등의 수중으로 산소 등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혹은 배수 처리조나 발효조, 배양조에 대한 통기 수단 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 및 2 참조).In recent years, it has been found that fine bubbles, such as microbubbles of 1 mm or less, have many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have attracted great attention. It is known that this microbubble exerts a very excellent effect in activation of fish, livestock, plants, etc., or purification of sewage, drainage, and the like. Therefore, in recent years, a device for generating such a microbubble is used as a device for supplying gas such as oxygen into water such as an aquarium for fish and live fish, or as a ventilation means for a wastewater treatment tank, a fermentation tank, a culture tank, and the like. Use is examined (for example, refer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nd 2).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원 출원인은, 먼저,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이용되는 분산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 를 제안하였다 (하기 특허 문헌 3 참조). 이 분산기는 다공질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통형상체의 외주면을 친수성 부직포 등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분산기를 형성하는 다공질재로서는, 고분자 수지 필름에 크레이즈 (craze) 를 생성시켜 이루어지는 통기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rst proposed a disperser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used in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fine bubbles (see Patent Document 3 below). This dispers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formed using the porous material is coated with a hydrophilic nonwoven fabric or the like. And as a porous material which forms this dispersion group, the air permeable film which produces | generates craze in a polymeric resin film is used preferably.

이러한 구조를 갖는 분산기는 수중에 가라앉은 상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 분산기에서는, 그 내부 공간으로 가압된 공기나 산소 등의 기체가 이송되고, 이러한 기체가 통기성 필름 등의 다공질재와 부직포를 통과함으로써 미세 기포가 되고, 부직포의 표면에서 수중으로 방출되어 분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분산기에서는, 부직포가 친수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통기성 필름을 투과하여 부직포 내로 들어온 기포가, 부직포 내로 들어온 물에 의해 분단되는 상태가 되어, 보다 미세한 기포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Disperser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used in a state of being submerged in water. In this disperser, gas such as pressurized air or oxygen is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gas passes through porous materials such as a breathable film and a nonwoven fabric to form fine bubbles, and is released into the water and dispersed i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It is intended to be. Moreover, in this disperser, since a nonwoven fabric has hydrophilicity, the bubble which permeated the air permeable film and entered into the nonwoven fabric becomes a state divided by the water which entered the nonwoven fabric, and can produce a finer bubble.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이러한 분산기에 대하여 그 사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더욱 검토한 결과, 수중에서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 수중의 미생물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부직포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혹은 그 내부로 들어가고, 이로 인하여, 부직포 내의 통공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미세 기포의 발생량이 감소되는 사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However, the inventors further examined such a dispers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ts usability. As a result, in the case of long-term use in wa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microorganisms and suspended solids in water adhere to or enter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or this reason, it has turned out tha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through-hole in a nonwoven fabric may be partially occluded and the quantity of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micro bubble is reduced.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806008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806008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68390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268390

[특허 문헌 3]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30562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30562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 과제로 하는 바는, 수중에서의 장기 사용에 의해서도, 보다 미세한 기포를 충분한 양으로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He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e circumstanc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he fine that can stably generate finer bubbles in a sufficient amount even by long-term use in water. It is to provide a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또는 본 명세서 전체의 기재나 도면으로부터 파악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 열거하는 각종의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하에 기재하는 각 양태는, 임의의 조합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태 내지는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 기재하는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전체의 기재 그리고 도면에 개시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is inventio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various aspects listed below,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or the subject grasped | ascertained from description or drawing of the whole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each aspect described below can be employ | adopted also in arbitrary combinat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sp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but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ntir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1> 수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 미세 기포를 수중으로 방출하여 분산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로서, (a) 통벽을 관통하여 외주면에 개구되는 통기 구멍을 구비한 통형상 기재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 필름에 크레이즈를 생성하여 이루어지는 통기성 필름의 원통체가 외삽되고, 또한 그 원통체의 외주면 상에 친수성 부직포층이 적층 형성되어, 그 통형상 기재의 상기 통기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가 상기 원통체 및 부직포층의 통과 중에 미세화되어, 미세 기포가 형성되도록 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와, (b)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를 그의 축심 둘레로 회전시켜,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 하에서, 상기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미세화된 기포를 잘라내어, 수중으로 분산시키도록 한 회전 구동 수단과, (c) 그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 하에서,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1>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which generates fine bubbles in a state arranged in water, and releases and disperses the fine bubbles in water, comprising: (a) a tubular substrate having a ventila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wall to be open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ylindrical body of the breathable film formed by forming craze in a polymer resin film is extrapola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nd the hydrophilic nonwoven fabric layer is laminated | stacked an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ga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ventilation hol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which is refined during passag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to form microbubbles, and (b)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is rotated around its axis, and under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Rotation drive means for cutting out the micronized bubbles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dispersing them in water; Under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ed by the cylinder drive means,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ith a gas introduction mechanism for introducing a gas from the outside into the space inside the tube of the tubular substrate.

<2> 상기 부직포층이 부직포의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원통형 부직포층이 상기 통기성 필름의 원통체에 외삽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2>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1>, wherein the nonwoven fabric layer is made of a cylindrical body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layer is extrapolated to a cylindrical body of the breathable film.

<3>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또는 <2> 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3>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so as to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4> 상기 부직포층의 외주부의 전체면에 친수성 사상체가 감겨져, 그 부직포층 전체가 그 사상체에 의해 죄어져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4>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3>, wherein a hydrophilic filament is wound a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entire nonwoven fabric layer is clamped by the filament.

<5> 상기 기체 도입 기구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대기에 개방되어, 그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대기가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5> The above aspects <1> to <4>, wherein an introduction port for introducing gas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is opened to the atmosphere, and the atmosphere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substrate by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any one of them.

<6> 상기 기체 도입 기구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원에 접속되고, 그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압축 공기가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6> An inlet for introducing gas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is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nd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allows compressed air to be introduced into a space in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any one of said aspect <1>-<4>.

<7> 1 축 둘레의 회전에 의해 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가,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에 대하여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7> The above-mentioned aspects <1> to <6>, wherein the stirring blades for stirring water by rotation about an axis are formed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any one of the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통형상 기재의 외주면에 통기성 필름과 친수성 부직포가 전자를 내측으로 하여 적층되어 미세 기포 발생 통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러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에 의해 미세화된 기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permeable film and the hydrophilic nonwoven fabric are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with the electrons inward to form a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Thereby, the bubble refine | miniaturized by such a fine bubble generation cylinder is 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에 있어서의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기체가 도입되면서,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가 수중에서 회전됨으로써,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미세화된 기포가 잘리도록 하여 수중으로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보다 미세화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히, 미세 기포 발생 통체가 회전되면서, 수중에서 사용될 때부터, 예를 들어 수중의 미생물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부직포층의 외주부 (표면) 에 부착되거나, 부직포층의 통공 안으로 들어가거나 하는 것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또, 비록 이들 이물질이 부직포층의 외주부에 부착되거나 통공 안으로 들어가거나 했다 하더라도,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이 부직포층의 외주부나 통공 안으로부터 유리하게 제 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통체가 수중에서 장기간 사용되어도, 항상 부직포층의 외주부에서의 통공의 개구 면적이나 통공 안의 용적이 충분히 또한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gas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tubular substrat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by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is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means. By rotating in, it is made to disperse | distribute in water so that the bubble refine | miniaturized from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a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cut | disconnected. For this reason, more refined bubbles can be generated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Particularly, since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is rotated, foreign matter such as microorganisms or suspended solids in the water adheres to the outer peripheral part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or enters the through-hole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since it is used in water. It can be difficult. In addition, even if these foreign matters adher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or enter into the through holes, the foreign matter can be advantageously remov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or through the pores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 For this reason, even if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is used in water for a long time, the opening area of the through hole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volume inside the through hole can be sufficiently and stably ensured at all times.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수중에서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보다 미세한 기포를 충분한 양으로 안정적으로 발생시키고, 수중으로 방출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미세 기포를 수중으로 분산시켜 얻어지는, 예를 들어 어류나 가축, 식물 등의 활성화나 오수나 배수 등의 정화 등의 원하는 효과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매우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such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long-term use in water, finer bubbles can be stably generated in a sufficient amount, released into water, and dispersed. As a result, desired effects such as activation of fish, livestock, plants, etc., purification of sewage, drainage, etc., obtained by dispersing fine bubbles in water, can be exerted very stably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나 미세 기포의 분출 압력에 의해, 통형상 기재 내부의 공간 안의 기체가 통기성 필름이나 부직포층 각각의 통공 안으로 빨아올려지도록 하여 들어가고,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미세 기포가 되어 방출되게 된다. 이 때, 통형상 기재 내부의 공간 안은 감압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 하에서는, 통형상 기재 내부의 공간 안으로 가압 기체 등을 강제적으로 보내지 않고, 예를 들어 기체 도입 기구의 외부로부터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대기에 개방시켜 두는 것만으로, 통형상 기재 내부의 공간 안으로 기체가 자동적으로 또한 계속적으로 도입된다. 이로써, 압축 공기 등의 가압 기체를 미세 기포 발생 통체 안으로 보내기 위한 기체 공급원이나 그것에 부수하는 기체 공급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 기포를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수중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in the space inside the tubular base material flows into the through-holes of each of the breathable film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and the jet pressure of the microbubble. As it is sucked up, it enters and becomes a micro bubble from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a nonwoven fabric layer, and is discharged | emitted. At this time, the space inside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in a reduced pressure state. For this reason, under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for example, the pressurized gas or the like is not forcibly sent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rical substrate, and only the inlet for introducing the gas from the outside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is opened to the atmosphere. In addition, gas is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rical substrate. Thereby, microbubbles can be disperse | distributed in water from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a nonwoven fabric layer, without using the gas supply source for sending pressurized gas, such as compressed air, into a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the gas supply path accompanying it, etc.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보다 간략하고 또한 콤팩트한 구조가 유리하게 실현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미세한 기포를 보다 낮은 비용으로 수중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r and more compact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ly realized, and finer bubbles can be dispersed in water at a lower cost.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명백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in order to make this invention clear more concretely,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먼저,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를 갖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그 정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1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와, 그것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 (12) 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인 수중 모터 (14) 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부로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체 도입 기구 (1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First,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ts frontal form. As apparent from such FIG. 1,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the support mechanism 12 supporting the rotating thereof, a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underwater motor 14 which is a rotation drive means to drive, and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15 for introducing gas into the insid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s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는,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형상 기재 (16) 를 가지고 있다. 이 통형상 기재 (16) 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긴 원통형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져 있다. 통형상 기재 (16) 의 형성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중에서의 고속 회전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통형상 기재 (16) 를 수지 재료 이외의 재료,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has a cylindrical base 16 as shown in FIG. 2. This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consists of a long cylindrical resin molded object formed using the resin material. Although the resin material used for forma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ave rigidity which can endure high speed rotation in water. In this embodiment, a vinyl chloride resin is used. It is also possible, of course, to form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using materials other than the resin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통형상 기재 (16) 의 외주면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 (端部) 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또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연장되는, 반원상의 축 방향 단면 (斷面) 을 구비한 걸어맞춤 돌조 (18) 가 각각 1 개씩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각 걸어맞춤 돌조 (18) 의 형성 부위보다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둘레 홈 (20) 이 각각 1 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둘레 홈 (20, 20) 안에는 원 고리형의 시일 고무 (22) 가 각각 끼워넣어져 수용되어 있다. 한편,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그 둘레 상의 1 지점에 통벽을 관통하여 외주면에 개구되는 통기 구멍 (2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 (23) 은 통형상 기재 (16) 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Engaging protrusions having semi-circular axial cross-sections projecting at predetermined heights and extending continuous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t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ase material 16) Each one of 18) is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in the site | part located in the axial direction inner side rather than the formation site | part of each of these engagement protrusions 18, the circumferential groove 20 whos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is formed, respectively. In each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s 20 and 20, circular seal rubbers 22 are inserted and accommodate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axial direction intermediate part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the ventilation hole 23 which penetrates a cylinder wall and opens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n one point on the periphery. A plurality of vent holes 23 may be formed in the tubular base 16.

이러한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제 1 캡 (24) 과 제 2 캡 (25) 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캡 (24, 25) 은 모두 저부 (26) 와 통부 (28) 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대략 바닥이 얕은 원통형의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캡 (24, 25) 에서는, 통부 (28) 의 개구측 내주면 부분에 축 방향의 외측 (통부의 개구 방향) 으로 개구되는 노치 홈 (30) 이 주설 (周設) 되어 있는 한편, 저부 (26) 측의 내주면 부분에는 걸어맞춤 홈 (32) 이 주설되어 있다. 또, 각 캡 (24, 25) 의 저부 (26) 내면의 외주부에는 원형의 고리형 홈 (3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 홈 (34) 안으로 O 링 (36) 이 끼워넣어져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 1 캡 (24) 의 저부 (26) 의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 구멍 (38)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 (38) 에 대하여, 연결 슬리브 (40) 가,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관통 구멍 (38) 의 내주면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cap 24 and the second cap 25 are attach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cylindrical substrate 16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These first and second caps 24 and 25 all have the same shape of a substantially sha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bottom portion 26 and the cylinder portion 28 integrally. In the 1st and 2nd caps 24 and 25, the notch groove 30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outer side (opening direction of a cylinder part) is cast in the opening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part of the cylinder part 28, The engagement groove 32 is provid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art of the bottom part 26 side. In addition, a circular annular groove 34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26 of each cap 24, 25, and the O-ring 36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34 to be accommodated therein. have. Moreover, the through-hole 38 in which the internal thread wa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drilled in the center part of the bottom part 26 of the 1st cap 24, and with respect to this through hole 38, the connection sleeve 40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in the screw is fix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8 by screwing.

그리고, 이러한 제 1 및 제 2 캡 (24, 25) 이 저부 (26) 에 의해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개구부를 폐색시키고, 또한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대하여 통부 (28) 를 외부에서 끼운 상태에서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 그러한 장착 상태 하에서,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돌조 (18) 가 통부 (28) 의 걸어맞춤 홈 (32) 안으로 돌입하여, 걸어맞춤 홈 (32) 의 내측 측면에 걸어맞춰져 있다. 또한,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면이 각 캡 (24, 25) 의 고리형 홈 (34) 안의 O 링 (36) 에 대하여 각각 압접되어 있다.And these 1st and 2nd caps 24 and 25 block the opening part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by the bottom part 26, and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further. It is attached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cylinder part 28 from the exterior, respectively. Moreover, under such a mounting state, the engagement protrusions 18 respectively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ntrude into the engagement groove 32 of the cylinder part 28, and the engagement groove 32 It is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urther, both end fac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ase 16 are pressed against the O-rings 36 in the annular grooves 34 of the respective caps 24 and 25, respectively.

이로써, 통형상 기재 (16) 로부터 제 1 및 제 2 캡 (24, 25) 이 간단하게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통형상 기재 (16) 의 내공 (內孔) 이 제 1 및 제 2 캡 (24, 25) 에 의해 액밀하게 밀폐된 내측 공간 (42)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 공간 (42) 이, 제 1 캡 (24) 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 (38) 과 그것에 고정된 연결 슬리브 (40) 의 내공에 의해 구성되는 도입 구멍 (44) 과,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통기 구멍 (23) 에서만 외부로 연통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캡 (24, 25) 의 각 통부 (28) 의 노치 홈 (30) 의 저면이,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 양측 단부의 각 둘레 홈 (20, 20) 안으로 끼워넣어진 시일 고무 (22) 의 외주면에 대하여 축 직각 방향에서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다.As a result, the simple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ps 24 and 25 from the tubular substrate 16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internal holes of the tubular substrate 16 are first and second. The inner space 42 is hermetically sealed by the second caps 24 and 25. The inner space 42 includes an introduction hole 44 formed by a through hole 38 formed in the first cap 24 and an inner hole of the connecting sleeve 40 fixed thereto, and a cylindrical substrate ( Only the ventilation hole 23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16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Moreover, the bottom face of the notch groove 30 of each cylindrical part 28 of the 1st and 2nd caps 24 and 25 into each circumferential groove 20 and 20 of the axi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Moreover,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ed seal rubber 22 in the axial right angle direction.

그리고, 그러한 구조로 된 통형상 기재 (16) 에는, 통기성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필름 원통체 (46) 가 외삽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필름 원통체 (46) 를 형성하는 통기성 필름으로서, 고분자 수지 필름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크레이즈를 생성시켜 이루어지는, 소위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발수성을 나타내어 기체는 투과시키지만,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용액은 투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연통 구멍을 다수 구비한 공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And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formed using the air permeable film is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which has such a structure. Here, as a breathable film which forms the film cylinder 46, the so-called craze producing | generating breathable film which produces | generates craze to a polymeric resin film like a conventional thing is used. This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generally has a well-known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fine communication holes that exhibit water repellency and allow gas to pass therethrough but do not allow liquid or gel-like solutions such as water to pass through.

이러한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수지, 니트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예시된 각종의 열가소성 수지 각각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특허 제3806008호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수지 재료는 각각이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의 것이 조합되어,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또한,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은 단층의 것이어도 되고, 혹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polymer resin constituting such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include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olefins, polyesters, polyamides, styrene resins, polycarbonates, halogen-containing thermoplastic resins, and nitrile resins. As a specific example of each of these illustrated various thermoplastic resins,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illustrat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3806008 can be mentioned. And these resin materials ar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and are used as a formation material of a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The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may be a single layer or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또, 여기에서 사용되는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0.5 ~ 1000㎛, 바람직하게는 1 ~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00㎛ 의 범위 내의 값이 된다.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의 크레이즈는, 기본적으로 고분자 수지 필름의 분자 배향의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무늬 형상을 나타내고, 그 폭이, 일반적으로는 0.5 ~ 100㎛ 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0㎛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무늬 형상의 크레이즈는,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크레이즈수의 비율이, 전체 크레이즈수에 대하여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40% 이상이다. 왜냐하면, 관통하고 있는 크레이즈수의 비율이 상기의 범위보다 작으면,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필름 원통체 (46) 를 구성하는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의 그 밖의 특성이나 크레이즈의 구조 및 그 생성 방법 등은, 일본 특허 제3806008호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used 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0.5 to 1000 µm, preferably 1 to 800 µm, and more preferably 2 to 500 µm. The craze of the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basically shows a pattern shape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polymer resin film, and its width is generally 0.5 to 100 µm, preferably 1 to 50. It is micromet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craze number which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of this pattern-shaped craze is 10% or more with respect to all the craze numbers, More preferably, it is 20%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40% or more to be. This is because, if the ratio of crazes penetrating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air permeability. In addition,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constituting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the structure of the craze,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806008.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크레이즈 생성 통기성 필름이, 예를 들어, 통형상 기재 (16) 의 외주면에 대하여 단부끼리가 중첩되도록 감겨 원통 형상이 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단부끼리가 열용착 등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름 원통체 (4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필름 원통체 (46) 가 그 내주면에서 통형상 기재 (16) 의 외주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통형상 기재 (16) 에 외삽되어 있는 것이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edges which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above craze-generating breathable film was wound so that the edges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became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By joining by welding etc., it is formed in cylindrical shape and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is formed. Thereby,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is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n the st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또, 그러한 필름 원통체 (46) 는, 그 축 방향의 길이가,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조 (18, 18) 간의 축 방향의 길이에 미치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로써, 통형상 기재 (16) 에 외삽된 필름 원통체 (4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가, 통형상 기재 (16) 의 양 단부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캡 (24, 25) 의 각 통부 (28) 의 노치 홈 (30) 안으로 돌입하고, 또한 필름 원통체 (46) 의 축 방향 양측 단부의 내주면 부분이, 통형상 기재 (16) 의 각 둘레 홈 (20, 20) 안으로 끼워넣어진 시일 고무 (22, 22) 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위 치되어 있다. 또,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중간부의 통벽 부분을 관통하여 통형상 기재 (16) 의 외주면에서 개구하는 통기 구멍 (23) 의 외주면측 개구부가, 필름 원통체 (46) 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서 복개되어 있다. Moreover, such a film cylindrical body 46 has the dimension which the length of the axial direction does not reach the length of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engagement protrusions 18 and 18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t is. Thereby, the edge part of the 1st and 2nd caps 24 and 25 with which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cylinder 46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was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was carried o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of both axial end portions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re plunged into the notch grooves 30 of the cylinder portion 28, and the circumferential grooves 20 and 20 of the tubular base material 16 are fitted into each other. It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al rubbers 22 and 22. More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opening part of the ventilation hole 23 which penetrates the cylindrical wall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open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s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It is covered in the middle of.

또한, 필름 원통체 (46) 가 외삽된 통형상 기재 (16) 에는,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필름 원통체 (46) 의 외주면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추가로 외삽되어 있다. 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친수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펄프를 소재로 이용한 펄프 부직포나, 화학 섬유를 소재로 이용한 화학 섬유 부직포, 혹은 펄프와 화학 섬유와 유리 섬유와 금속 섬유 중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소재로 이용한 복합 부직포 등이 모두 사용된다. 또, 소재로 화학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섬유가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n which the film cylinder 46 is extrapolate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formed using the hydrophilic nonwoven fabric is further laminated | stack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cylinder 46 further. Extrapolated If the nonwoven fabric which comprises this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has hydrophilicity, the kind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 pulp nonwoven fabric using pulp, a chemical fiber nonwoven fabric using chemical fibers, or a composite nonwoven fabric u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of pulp, chemical fibers, glass fibers, and metal fibers may be used. do. Moreover, when using chemical fiber as a raw material, the chemical fiber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mide, an acrylic resin, etc. is used, for example.

이러한 부직포가, 예를 들어, 통형상 기재 (16) 에 외삽된 필름 원통체 (46) 의 외주면에 대하여 단부끼리가 중첩되도록 감겨서 원통 형상이 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단부끼리가 열용착 등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로써, 이러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그 내주면에서 필름 원통체 (46) 의 외주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통형상 기재 (16) 및 필름 원통체 (46) 에 외삽되어 있다In the state in which such nonwoven fabric is wound so that end parts may overlap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became a cylindrical shape, the edges which overlapped with each other mutually heat-bond, etc. By joining, it forms in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formed. Moreover, this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in the st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이러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두께나 축 방향의 길이는 적절히 설정되는 바이지만, 일반적으로는 200 ~ 300㎛ 정도의 두께가 된다. 또, 여기에서는,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축 방향의 길이가, 필름 원통체 (46) 의 축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름 원통체 (46) 와 마찬가지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가, 통형상 기재 (16) 의 양 단부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캡 (24, 25) 의 각 통부 (28) 의 노치 홈 (30) 안으로 돌입하고, 또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축 방향 양측 단부의 내주면 부분이, 통형상 기재 (16) 의 각 둘레 홈 (20, 20) 안으로 끼워넣어진 시일 고무 (22, 22) 의 외주면에 대하여, 필름 원통체 (46) 의 축 방향의 양 단부를 통하여 접촉하여 위치되어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nd the length of an axial direction are set suitably, generally, it becomes thickness of about 200-300 micrometers. In addition, here, the length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the dimens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s shown in FIG. Thereby, similarly to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of the 1st and 2nd caps 24 and 25 with which the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were attached were carried o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s of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inserted into the notched grooves 30 of the respective cylindrical portions 28, and the respective peripheral grooves 20 and 20 of the cylindrical base 16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rue seal rubbers 22 and 22 are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또, 통형상 기재 (16) 에 외삽된 필름 원통체 (46) 에 대하여 더욱 외삽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부에는, 그 전체면에 친수성 사상체 (50) 가 감겨져 있다. 이 사상체 (50) 는 친수성을 갖고,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그 재질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단이나, 면, 마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상기에 예시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구성하는 화학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생물 분해되지 않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가 사상체 (50) 의 형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사상체 (50) 의 직경 (굵기) 도 충분한 인장 강도가 확보될 수 있는 정도에서 적절히 결정되는 바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직경이 50 ~ 500㎛ 정도가 된다.In addition, a hydrophilic filament 50 is wound a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extrapolated to the film cylinder 46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ase 16. As long as this filament 50 has hydrophilicity and sufficient tensile strength, the material is not limited at all. For example, it may consist of natural fibers, such as silk, cotton, and hemp, or may consist of chemical fibers which comprise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mentioned above. Among these, polyvinyl alcohol fibers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and not biodegradable are preferably used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lamentous body 50. Moreover, although the diameter (thickness) of the filament 50 is also suitably determined by the extent to which sufficient tensile strength can be ensured, the diameter generally becomes about 50-500 micrometers.

이러한 친수성 사상체 (50) 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부 전체면에 감김으로써, 원통형 부직포층 (48) 전체가 이러한 사상체 (50) 에 의해 단단히 죄어 진다. 이렇게 하여,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구성하는 섬유끼리가 조밀해져, 이러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안의 통공이 보다 미세해진다. As the hydrophilic filament 50 is wound a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layer 48, the entire cylindrical nonwoven layer 48 is tightly tightened by the filament 50. In this way, the fibers which comprise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become dense, and the through-hole in this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becomes finer.

또한, 사상체 (50) 는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부 전체면에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형 부직포층 (48) 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감겨져 있어도 된다. 또, 사상체 (50) 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에 대하여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성기게 감겨져 있어도 되고, 혹은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조밀하게 감겨져 있어도 된다. 또한, 사상체 (50) 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에 대하여 2 중 이상의 여러 겹이 중첩되도록 감겨져 있어도 된다.Moreover,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ament 50 is wound by the outer peripheral part whole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t may be partially wound by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s needed. Moreover, the filament 50 may be coarsely wound so that a clearanc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ones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or it may be wound tightly so that there may be no clearance gap between adjacent ones. In addition, the filamentous body 50 may be wound so that several or more layers of double or more may overlap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대하여 사상체 (50) 가 간극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는 한편,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성기게 감겨져 있다. 이로써,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각각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가, 통형상 기재 (16) 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되어, 이들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통형상 기재 (16) 로부터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그와 함께, 그러한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각각의 축 방향의 양측 단부와 이들 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감긴 사상체 (50) 부분이, 제 1 및 제 2 캡 (24, 25) 의 노치 홈 (30) 의 저면과 시일 고무 (22) 의 외주면 사이에서 협압 유지되어 있어, 이로써, 필름 원통체 (46) 의 내주면과 통형상 기재 (16) 의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의 액밀성, 및 필름 원통체 (46) 의 외주면과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내주면 사이에 있어서의 액밀성이 각각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amentary body 50 is tightly wound without gaps with respect to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while the other portions are wound roughly. Thereby,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each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firmly fixed with respect to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These film cylindrical bodies 46 And the separation from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prevented. In addition,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each of the said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nd the part of the filament 50 wound by the both ends of these axial directions are the 1st and 2nd cap ( The pressure is maintained between the bottom face of the notch groove 30 of the 24 and 2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 rubber 22, whereby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The liquid-tightness and the liquid-tightnes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each ensured.

이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는, 통형상 기재 (16) 에 대하여,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전자를 내측으로 하여 적층된 상태에서 외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에서는, 통형상 기재 (16) 의 도입 구멍 (44) 을 통하여 내측 공간 (42) 안으로 도입된 기체가, 통형상 기재 (16) 의 통벽을 관통하는 통기 구멍 (23) 으로부터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통과하여,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 기포 (50㎛ 이하 정도) 가 되어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필름 원통체 (46) 를 형성하는 통기성 필름이 발수성을 갖는 한편,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형성하는 부직포가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필름 원통체 (46) 를 투과하여 원통형 부직포층 (48) 안으로 들어온 기포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안으로 들어온 물에 의해 분단되는 상태가 되어 더욱 미세화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부 전체면에 친수성 사상체 (50) 가 감겨져, 원통형 부직포층 (48) 안의 통공이 보다 미세하게 되어 있으므로, 원통형 부직포층 (48) 안으로 들어온 기포의 미세화가 더욱 촉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us, the micro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is extrapolated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n the state in which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were laminated | stacked with the electron inside. For this reason, in such a micro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the gas introduce | transduced into the inner space 42 through the introduction hole 44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passes through the cylinder wall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It passes through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from the hole 23, and it is made to discharge | emit fine bubbles (about 50 micrometers or les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n addition, since the breathable film which forms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has water repellency, and the nonwoven fabric which forms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has hydrophilicity, it penetrates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has a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The bubbles introduced into the 48 are in a state of being divided b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so as to be further refined. In addition, since the hydrophilic filament 50 is wound a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nd the through hole in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made finer, further miniaturization of air bubbles entering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further promoted. It is intended to be.

한편,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 (12) 는 베이스판 (52) 을 가지고 있다. 이 베이스판 (52) 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또한 그 외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긴 직사각 형상의 스테인리스제나 알루미늄제의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러한 베이스판 (52) 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베 이스판 (52) 과 동일한 재질의 직사각형의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판 (54) 과 제 2 지지판 (56) 이, 베이스판 (52) 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mechanism 12 which supports the micro 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has a base plate 52. As shown in FIG. The base plate 52 is made of a long rectangular metal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or aluminum having a width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nd larger than its outer diameter. Further,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plate 54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6 made of a rectangular metal flat plat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plate 52 include a base plate ( 52 is bonded and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52.

베이스판 (52) 의 축 방향의 중앙보다 제 1 지지판 (54)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또한 제 2 지지판 (56) 으로부터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큰 거리를 둔 위치에는, 원통형의 지지 통체 (58) 가 베이스판 (5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통체 (58) 는, 제 1 및 제 2 지지판 (54, 56) 과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통체 (58) 에서는, 그 축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제 1 지지판 (54)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직사각 프레임형태를 나타내는 외측 플랜지부 (60)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외측 플랜지부 (60) 의 하단부면에서 베이스판 (52) 의 상면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first support plate 54 side from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2, and at a position larger than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56, The cylindrical support cylinder 58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52. This support cylinder 58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54 and 56. And in the support cylinder 58, the outer flange part 60 which shows a rectangular frame form is integrally formed in the edge part located in the 1st support plate 54 side among the both end part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is outer plan It is join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2 a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ranch part 60.

그러한 지지 통체 (58) 의 내공 안에는 회전체 (62) 가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체 (62) 는 지지 통체 (58) 의 내경보다 한층 작은 외경과, 지지 통체 (58) 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큰 축 방향의 길이를 구비한 가늘고 긴 대략 원주형의 전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회전체 (62) 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로 (64) 가 회전체 (62) 의 축 방향 중간부의 외주면 부분과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면에서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ng body 6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ner hole of such the support cylinder 58. As shown in FIG. The rotating body 62 has an overall shape of an elongated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cylinder 58 and an axial leng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cylinder 58 in the axial direction. . In the inside of this rotating body 62, the communication path 64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art of the axial direction intermediate part of the rotating body 62, respectively, and is open at the end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이 회전체 (62) 가 지지 통체 (58) 의 내공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연통로 (64) 가 개구되는 단부면을 구비한 축 방향 일방측의 단부를 이러한 내공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 그러한 배치 상태 하에서, 지지 통체 (58) 의 내주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서로 이간시켜 고정된 2 개의 베어링 (66, 66) 을 통하여 축심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Then, the rotary body 62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and the end portion on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provided with the end face on which the communication path 64 is opened is projected outward from the inner hole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arranged in a state. Moreover, under such an arrangement state, it is supported so that it can rotate about an axis center through the two bearings 66 and 66 which mutually fixed and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58. As shown in FIG.

또한, 이러한 회전체 (62) 에는 2 개의 베어링 (66, 66) 에 의해 지지된 부위 사이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2 개의 시일링 (72, 72) 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삽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시일링 (72, 72) 이 그 내외주면에서 회전체 (62) 의 외주면과 지지 통체 (58) 의 내주면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체 (62) 의 외주면과 지지 통체 (58) 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중, 2 개의 시일링 (72, 72) 사이에 낀 부분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통기부 (67) 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 (62) 의 외주면으로 개구되는 연통로 (64) 의 개구부가 이러한 통기부 (67) 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이로써 통기부 (67) 와 연통로 (64) 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In addition, two seal rings 72 and 72 made of polytetrafluoroethylene are extrapolated in the rotator 62 between the portions supported by the two bearings 66 and 66 at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 And each of these sealing rings 72 and 72 can slide from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58. Thereby, the part caught between the two sealing rings 72 and 72 of the clearanc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58 is the ventilation part 67 sealed from the outside. . And the opening part of the communication path 64 ope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62 is open toward this ventilation part 67, and the ventilation part 67 and the communication path 6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is.

또, 지지 통체 (58) 의 내공으로부터의 회전체 (62) 의 돌출 부위의 선단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클램프 부재 (68) 가 외삽, 고정되어 있다. 즉, 이 클램프 부재 (68) 는, 그 저부의 중심부에 중심 구멍 (70)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이 중심 구멍 (70) 을 통하여 회전체 (62) 의 돌출 부위의 선단부가 클램프 부재 (68) 안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체 (62) 의 중심 구멍 (70) 으로의 삽입 통과 부분이, 고정 나사 (71) 에 의해 중심 구멍 (70)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Moreover, the bottomed cylindrical clamp member 68 is extrapolated and fixed to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protrusion part of the rotating body 62 from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lamp member 68 has a center hole 7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thereof,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62 is clamped through the center hole 70. It is inserted in. And the insertion passage part of this rotating body 62 to the center hole 70 is being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hole 70 by the fixing screw 71.

한편, 제 2 지지판 (56) 의 중앙부에는, 그것을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 (7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 (74) 안으로 축 부재 (76)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축 부재 (76) 는 높이가 낮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클램프부 (78) 와, 이러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클램프부 (78) 의 저부 외면의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세워서 설치된 환봉형의 축부 (80) 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part of the 2nd support plate 56, the insertion passage hole 74 which penetrates i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nd the shaft member 76 is inserted through this insertion hole 74. The shaft member 76 has a low-profile bottomed cylindrical clamp portion 78 and an annular shaft portion 80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uter surface of the bottomed cylindrical clamp portion 78. ) Is integrated.

또, 이러한 축 부재 (76) 의 클램프부 (78) 에는 4 개의 교반 날개 (82)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 4 개의 교반 날개 (82) 는, 각각 클램프부 (78) 의 저부 외면과 통부 외면에 걸쳐 연장되는 갈고리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클램프부 (78) 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를 둔 위치에 일체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four stirring blades 82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lamp portion 78 of the shaft member 76. As shown in FIG. 1 and FIG. 3, these four stirring blades 82 each consist of a hooked flat plate extending over the bottom outer surface and the tube outer surface of the clamp portion 78, and the clamp portion 78. Are installed integrally at positions equidistan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이러한 축 부재 (80) 가 지지 통체 (58) 의 내공에 삽입된 회전체 (62) 와 소정 거리를 두고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또 이러한 배치 하에서, 축부 (80) 에서, 제 2 지지판 (56) 의 삽입 통과 구멍 (74) 안으로 베어링 (84) 을 통하여 축심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삽입 통과 고정되어 있다. And this shaft member 80 is coaxially arrange | positioned at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rotating body 62 inserted in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and under such arrangement, in the shaft part 80, the 2nd support plate ( The insertion passage is fixed while being able to rotate about the shaft center through the bearing 84 into the insertion passage hole 74 of 56.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베이스판 (52) 상의 지지 통체 (58) 와 제 2 지지판 (56) 사이에서, 제 1 캡 (24) 측의 단부를 지지 통체 (58) 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제 2 캡 (25) 측의 단부를 제 2 지지판 (56)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 통체 (58) 와 동축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러한 배치 하에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제 2 캡 (25) 이, 축 부재 (76) 의 클램프부 (78) 안으로 끼워넣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이러한 클램프부 (78)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제 1 캡 (24) 에 고정된 연결 슬리브 (40) 의 선단부가, 지지 통체 (58) 의 내공 안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체 (62) 의 돌출 부위의 선단에 고정된 클램프 부재 (68) 안으로 삽입되고, 이 클램프 부재 (68) 에 대하여 고정 나사 (8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cylinder 58 on the base plate 52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6. It is the same as the support cylinder 58 in the state which positioned the edge part of the 1st cap 24 side to the support cylinder 58 side, and located the edge part of the 2nd cap 25 side to the 2nd support plate 56 side. It is arranged to extend in scale. Moreover, under this arrangement, the second cap 25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fitted into the clamp portion 78 of the shaft member 76, and such a clamp portion 78 is provided with a fixing screw (not shown). It is fixed to). On the other han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leeve 40 fixed to the first cap 24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62 which protrudes from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ing cylinder 58. It is inserted into the fixed clamp member 68 and is fixed to the clamp member 68 by the fixing screw 86.

이렇게 하여,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베이스판 (52) 에 고정된 지지 통체 (58) 와 제 2 지지판 (56) 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통체 (58) 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회전체 (62) 와 함께, 그 축심의 둘레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 그러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회전체 (62) 와의 일체 회전에 수반하여, 축 부재 (76) 의 클램프부 (78) 에 형성된 4 개의 교반 날개 (82) 도 동시에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 (62) 의 연통로 (64) 가, 연결 슬리브 (40) 의 내공과 제 1 캡 (24) 의 관통 구멍 (38) 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도입 구멍 (44) 을 통하여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기구 (12) 가 베이스판 (52), 제 2 지지판 (56), 축 부재 (76), 지지 통체 (58), 회전체 (62) 및 클램프 부재 (6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cylinder 58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cylinder 58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6 fixed to the base plate 52.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62, it is possible to rotate integrally around the shaft center. In addition, with the integral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with the rotating body 62, the four stirring blades 82 formed in the clamp portion 78 of the shaft member 76 can also simultaneously rotate integrally. It is supposed to b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th 64 of the rotating body 62 is a microbubble generating body (through the introduction hole 44 consisting of the inner hole of the connecting sleeve 40 and the through hole 38 of the first cap 24). It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42 of 10). As apparent from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mechanism 12 includes the base plate 52, the second support plate 56, the shaft member 76, the support cylinder 58, the rotating body 62, and the clamp. The member 68 is comprised.

그리고, 여기에서는, 베이스판 (52) 에 고정된 제 1 지지판 (54) 과 지지 통체 (58) 의 외측 플랜지부 (60) 의 서로의 대향면 사이에, 수중 모터 (14) 가 이들 제 1 지지판 (54) 과 외측 플랜지부 (60) 의 사이에서 협지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 수중 모터 (14) 는, 그 구동축 (88) 의 선단부를 지지 통체 (58) 의 내공 안으로 돌입하여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축 (88) 에 대하 여, 지지 통체 (58) 의 내공 안에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회전체 (62) 가 상대 회전할 수 없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수중 모터 (14) 의 구동축 (88) 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에 대하여 회전체 (62) 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수중 모터 (14) 의 회전 구동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회전체 (62) 와 함께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And here, the underwater motor 14 carries out these 1st support plates betwee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1st support plate 54 fixed to the base board 52 and the outer flange part 60 of the support cylinder 58. As shown in FIG. It is fixed in the state sandwiched between 54 and the outer flange part 60. This submersible motor 14 intrudes and locates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drive shaft 88 in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As shown in FIG. And about this drive shaft 88, the rotating body 62 arrange | positioned so that rotation in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is mounted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not possible. Thereby, the drive shaft 88 of the underwater motor 14 is connected so that it may rotate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via the rotating body 62. As shown in FIG. Thereby, the micro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is rotationally driven with the rotating body 62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underwater motor 14.

또, 지지 통체 (58) 의 통벽부의 축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그것을 관통하는 통공 (9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 (90) 은, 지지 통체 (58) 의 외주면에서 개구되는 외측 개구부의 측이 대직경이 되는 한편, 지지 통체 (58) 의 내주면에서 개구되는 내측 개구부의 측이 소직경이 된 계단식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공 (90) 의 대직경부 내에 대략 원통형의 접속 통부 (92) 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접속 통부 (92) 의 내공의 외부로의 개구부에는 흡기 튜브 (94) 가 장착되어 있다. 이 흡기 튜브 (94) 는, 접속 통부 (92) 로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의 개구부가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 (96) 로 되어 있고, 이 도입구 (96) 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통공 (90) 의 소직경부는 대직경부에 삽입, 고정된 접속 통부 (92) 의 내공과 연통되어 있음과 함께, 지지 통체 (58) 의 내공 내에 형성되는 통기부 (67) 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Moreover, the through hole 90 which penetrates it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of the support cylinder 58. The through hole 90 has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side of the outer opening open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58 has a large diameter, while the side of the inner opening open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58 has a small diameter. Have. And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necting cylinder part 92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arge diameter part of such the through hole 90. Moreover, the intake tube 94 is attached to the opening part of this connection cylinder part 92 to the outside of the inner hole. The intake tube 94 is an inlet 96 through which an opening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onnecting side to the connecting cylinder 92 introduces air, and the inlet 96 is open to th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9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hole of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92 inserted and fixed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is opened toward the vent portion 67 formed in the inner hole of the support cylinder 58. have.

이로써, 흡기 튜브 (94) 의 도입구 (96) 로부터 도입된 공기 (대기) 가, 흡기 튜브 (94) 와 접속 통부 (92) 의 내공과 통공 (90) 을 거쳐 통기부 (67) 안으로 도입되고, 또한 이 통기부 (67) 내로부터, 회전체 (62) 의 연통로 (64) 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도입 구멍 (44) 을 통하여 내측 공간 (42) 안으로 도입되도 록 되어 있다. 이 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 (15) 가, 흡기 튜브 (94) 와 접속 통부 (92) 와 통공 (90) 과 회전체 (62) 의 연통로 (64) 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도입 구멍 (44) 으로 구성되어 있다.As a result, the air (atmosphere) introduced from the inlet 96 of the intake tube 94 is introduced into the vent 67 through the inner and through holes 90 of the intake tube 94 and the connecting tub 92. Moreover, it is made to introduce | transduce into the inner space 42 from the ventilation part 67 through the communicating path 64 of the rotating body 62, and the introduction hole 44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s shown in FIG. As is apparent from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15 is fine with the communication path 64 of the intake tube 94, the connecting cylinder portion 92, the through hole 90, and the rotating body 62. It is comprised by the introduction hole 44 of the 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은 구조가 된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관상어용 수조나 활어조 등의 수중으로 산소 등의 기체를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기구 (12) 에 대하여,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수평면 내의 회전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됨과 함께, 수중 모터 (14) 가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판 (52) 이 수조 등의 저면 상에 수평으로 탑재된다. 이 때, 흡기 튜브 (94) 의 접속 통부 (92) 로의 접속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수상 (水上) 에 위치되어, 그 도입구 (96) 가 대기 중으로 개방된다.In this way,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which has such a structure, when it is used to supply gas, such as oxygen, in water, such as an aquarium for fish or a live fish tank, it is shown in FIG. As will be appreciated, while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rotation axis in the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chanism 12, the base plate 52 is in the state where the underwater motor 14 is fixed. It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bottom of a water tank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onnection side to the connection cylinder part 92 of the intake tube 94 is located in a water phase, and the introduction port 96 is opened to air | atmosphere.

그리고, 그러한 상태 하에서, 수중 모터 (14) 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 때,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제 2 캡 (25) 에 장착되는 축 부재 (76) 에 일체로 형성된 교반 날개 (82) 도,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와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이로써,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주위의 물이 교반되게 된다.Then, under such conditions, the submersible motor 14 is driven to rotate so that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rotated and used at a high speed. At this time, the stirring blade 82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ft member 76 attached to the second cap 25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also integrally rotated together with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Thereby, the water arou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will be stirr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수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대기가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공간 (42) 안의 공기가, 통형상 기재 (16) 의 통기 구멍 (23) 으로부터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통과하여,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 기포가 되어 수중으로 방출되어,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하는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통형상 기재 (16) 에 대하여, 발수성 필름 원통체 (46) 와 친수성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삽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 전체면에 친수성 사상체 (50) 가 감겨져 있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기포가 더욱 미세화되는 것이 실현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n a state where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ater. It is. Thereby, the air in the inner space 42 passes through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from the ventilation hole 23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t becomes a fine bubble, is discharged in water, and is disperse | distributed. Moreover, as mentioned above,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is extrapolated and comprised by the water-repellent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hydrophilic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laminated | stacked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16, and is comprised. In addition to this, the hydrophilic filament 50 is wound a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nd the bubbles relea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further miniaturized.

그리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 (15) 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도입되면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수중 모터 (14) 에 의해 고속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필름 원통체 (46) 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을 통과해 온 기체가,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의 통공의 개구부에서 잘라지고, 또한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친수 기능으로 통공의 개구부로부터 신속하게 이탈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 기포의 미세화가 더욱 촉진된 상태에서 방출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by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15,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the underwater motor 14. Is rotated at high speed. Thereby, the ga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lm cylindrical body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cut out by the opening part of the perfora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nd is made through the hydrophilic function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t is quickly released from the opening of. As a result, the microbubbles can be relea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n a further accelerated state.

또, 이러한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고속 회전될 때부터,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친수성이고, 게다가 미세 기포의 방출로 인하여, 수중의 미생물이나 부유물 (미생물 이외의 것) 등의 이물질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에 모여 부착되는 것이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이들 이물질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고속 회전하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원심력에 의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10, since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is rotated at a high spee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hydrophilic, and due to the release of microbubbles, Foreign matters such as those other than microorganisms can be prevented from gathering and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s much as possible. And even if these foreign matters are sometime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layer 48, they can b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layer 48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which rotates at high speed. .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수중에서 장기간 사용되어도,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에 의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이 갖는 다수의 통공의 외주면에서의 개구 면적이나 각 통공 안의 용적이 감소되는 경우가 유리하게 회피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same microbubble generation cylinder 10 is used for a long time in water, the foreign material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may be used fo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The case where the opening are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volume in each through hole is reduced can be advantageously avoided.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에서는, 수중에서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보다 미세한 기포를 충분한 양으로 안정적으로 발생시켜 수중으로 방출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이러한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를 관상어용 수조나 활어조 등의 수중으로 산소 등을 공급하는 데에 사용했을 때에 있어서, 수중으로의 산소의 보급이 보다 장기간에 걸쳐 매우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such a fine bubble generator 10 of this embodiment, even a long-term use in water can generate | occur | produce fine bubble stably in sufficient quantity, it can be discharged in water, and can disperse | distribute. As a result, whe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10 is used to supply oxygen and the like into an aquarium such as a tub for aquarium fish or a live fish tank, the diffusion of oxygen into the water is highly efficient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It can also be done with certainty.

또, 이러한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는, 예를 들어 가축, 식물 등의 활성화나 오수나 배수 등의 정화 등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원하는 효과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매우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Moreover, even when it is used as an apparatus which activates livestock, a plant, etc. and purifies sewage, wastewater, etc., such a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desired, the desired effect is very stable for a long time. It can be exercis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내의 공기가, 필름 원통체 (46) 나 원통형 부직포층 (48) 각각의 통공 안으로 빨아올려지도록 하여 들어가, 내측 공간 (42) 안이 감압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흡기 튜브 (94) 의 도입구 (96) 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고, 예를 들 어, 압축 공기 등을 공급하는 컴프레서 등의 압축 공기 공급원에 대하여 흡기 튜브 (96) 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공기가 계속적으로 도입되어,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 기포가 안정적으로 또한 계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And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the air in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a film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The cylinder 46 and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sucked into the through-holes, and the inside space 42 is depressurized. For this reason, the inlet 96 of the intake tube 94 is open to the atmosphere, and for example, the intake tube 96 is not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such as a compressor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or the like. Nevertheless, ai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so that the microbubbles can be stably and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따라서,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에서는, 압축 공기 공급원 등의 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만큼, 구조의 소형, 간략화가 유리하게 실현될 수 있고, 게다가 설치 비용과 러닝 코스트의 저하가 매우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actness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ly realized since the accessory device such as the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is not used, and furthermore,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running cost are reduced. Can be achieved very advantageously.

또한, 상기와 같은 몇 가지의 효과를 얻으려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수중에서 그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이야말로 중요하고, 그 회전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0rpm 이상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rpm 이상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 속도는, 실용상 5000rpm 이하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some of the effect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o rotate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about its axis in water, and the rotational spee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500 rpm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00 rpm or more. And this rotation speed becomes about 5000 rpm or less practically. As a result, a better effect can be exhibited more reliably.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 날개 (82) 의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와의 일체 회전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주위의 물이 교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미세 기포가 수중의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한층 더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그 결과로서, 수중으로의 미세 기포의 분산에 의해 얻어지는 원하는 효과가 보다 높은 레벨로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게 된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around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stirred by integral rotation with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of the stirring blade 82. For this reason, the microbubble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is disperse | distributed more efficiently over the wider range in water. As a result, the desired effect obtained by dispersion of fine bubbles in water can be reliably achieved at a higher level.

이에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에서는, 긴 원통형 의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가, 수중에서 지지 기구 (12) 에 의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상태에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미세 기포가 수중에서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ongated cylindrical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horizontally by the support mechanism 12 in water. It is supposed to be placed in the state. By this, fine bubbles e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can be efficiently dispersed in water.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의해 전혀 제약받지 않는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structure of this invention was explained in full detail, this is only an illustration to the last and this invention is not restrict | limited by the said description at all.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 (15) 의 흡기 튜브 (94) 의 도입구 (96) 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었지만,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도입구 (96) 에 대하여 컴프레서 등의 압축 공기 공급원 (98) 을 접속시켜도 된다. 이로써,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압축 공기가 강제적으로 도입되고, 이로써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비회전 상태 하에서도,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 기포를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되는 본 실시형태,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되는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가 된 부위 및 부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 과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inlet 96 of the intake tube 94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15 was open | released to air | atmosphere, as shown in FIG. 4, with respect to this inlet 96 You may connect compressed air supply sources 98, such as a compressor. As a result, compressed air is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whereby microbubbles are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even under a non-rotating stat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10. Can be released reliably and stably.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also some embodiment shown in FIGS. 5-8 mentioned later, about the site | part and member which became the same structure as the said 1st embodiment, FIGS. By attach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 흡기 튜브 (94) 의 도입구 (96) 가 압축 공기 공급원 (98) 에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대기에 개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회전은 반드시 연속적으로 실시될 필요는 없으며, 간헐적으로 실시하도록 해도 된 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let 96 of the intake tube 94 is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source 98 or is open to the atmosphere,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It may be done intermittently.

또한, 교반 날개 (82) 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주위의 물을 교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형성 위치, 형성 개수 등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stirring blade 82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nd can stir the water arou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the shape, the formation position, the number of formation, etc. It is not limited at all.

즉,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제 2 캡 (25) 에 장착되는 지지 기구 (12) 의 축 부재 (76) 의 클램프부 (78) 의 저부 외면에 직사각 평판형의 교반 날개 (82) 를 복수 개 (여기에서는 4 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That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clamp portion 78 of the shaft member 76 of the support mechanism 12 mounted to the second cap 25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 plurality of rectangular stir blades 82 (here, four)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또,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에 대하여, 긴 직사각 평판상의 교반 날개 (82) 의 복수 개 (여기에서는 2 개) 를 제 1 캡 (24) 과 제 2 캡 (25)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eg, two) of long rectangular flat plate stirring blades 82 (here, two)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25) may be formed to span.

또한,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만곡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반 날개 (82) 의 복수 개 (여기에서는 2 개) 를 제 1 캡 (24) 과 제 2 캡 (25)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ith respect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 plurality of the stirring blades 82 (here two) made of a curved plate extending in a spiral manner are provided with the first cap 24. It may also be formed so as to span between the second cap 25.

이들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조로 교반 날개 (82) 가 형성되는 어느 경우에나 원통형 부직포층 (48) 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미세 기포가 수중의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한층 더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수중으로의 미세 기포의 분산에 의해 얻어지는 원하는 효과가 보다 높은 레벨로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되는 교반 날개 (82) 는, 그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제보다 큰 사이즈로 과 장되어 기재되어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In any case where the stirring blades 82 are formed in these structures as shown in FIGS. 5 to 8, the fine bubbles emit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48 are dispersed more efficiently over a wider range of water. do. As a result, the desired effect obtained by dispersion of fine bubbles in water can be reliably achieved at a higher level.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tirring blade 82 shown in FIG. 1, FIGS. 5-8 is exaggerated and described in larger size than actual in order to make the structure easy to understand.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그 축심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중 모터 (14) 이외에도, 공지된 각종의 회전 구동 기기가 적절히 채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회전 구동 수단은,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반드시 자동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일 필요는 없으며, 충분한 회전 속도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예를 들어 핸들 조작 등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채용될 수 있다. As the rotation drive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round its axi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underwater motor 14, various known rotation drive devices can be appropriately employed. Moreover, such rotation drive mean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rotate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automatically, and if sufficient rotational speed is obtained, for example,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is manually operated by steering wheel operation or the like. Rotating may also be employed.

기체 도입 기구 (15) 의 구조도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0) 의 내측 공간 (42) 안으로 기체를 외부로부터 도입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예시한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s for the structure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15, if gas can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ner space 42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10,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what was illustrated at all.

그 밖에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수정, 개량 등을 부가한 양태에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또 그러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바이다. Although not listed separate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n aspect in which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improvements, and the like are added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embodiments are provided unless such embodiments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less to say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도를 포함하는 정면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explanatory diagram including some cutaway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축 방향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used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3 은 도 1 의 Ⅲ-Ⅲ 단면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확대 설명도이다. FIG. 3 is an enlarged explanatory diagram of an end face in section III-III of FIG. 1.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의 부분 확대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corresponding to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 은 도 5 의 Ⅵ-Ⅵ 단면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설명도이다. 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nd face in the VI-VI cross section of FIG. 5.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미세 기포 발생 통체 12 : 지지 기구 10 fine bubble generating cylinder 12 support mechanism

14 : 수중 모터 15 : 기체 도입 기구 14: underwater motor 15: gas introduction mechanism

16 : 통형상 기재 23 : 통기 구멍 16: tubular base material 23: vent hole

42 : 내측 공간 44 : 도입 구멍 42: inner space 44: introduction hole

46 : 필름 원통체 48 : 원통형 부직포층 46: film cylindrical body 48: cylindrical nonwoven fabric layer

50 : 사상체 82 : 교반 날개 50: filamentous body 82: stirring blade

94 : 흡기 튜브 96 : 도입구 94: intake tube 96: inlet

98 : 압축 공기 공급원 98: compressed air source

Claims (7)

수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 미세 기포를 수중으로 방출하여 분산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로서,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which generates fine bubbles in a state arranged in water, and releases and disperses the fine bubbles in water, 통벽을 관통하여 외주면에 개구되는 통기 구멍을 구비한 통형상 기재의 외주면에, 고분자 수지 필름에 크레이즈를 생성하여 이루어지는 통기성 필름의 원통체가 외삽되고, 또한 그 원통체의 외주면 상에 친수성 부직포층이 적층 형성되어, 그 통형상 기재의 상기 통기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가 상기 원통체 및 부직포층의 통과 중에 미세화되어, 50 ㎛ 이하의 미세 기포가 형성되도록 한 미세 기포 발생 통체와,A cylindrical body of a breathable film formed by forming a craze in a polymer resin film is extrapola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substrate having a vent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ylinder wall, and a hydrophilic nonwoven layer is lamin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which is formed, wherei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vent hole of the tubular base material is refined during passag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so that microbubbles of 50 µm or less are formed;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를 그의 축심 둘레로 회전시켜,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 하에서, 상기 부직포층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미세화된 기포를 잘라내어, 수중으로 분산시키도록 한 회전 구동 수단과, Rotation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around its axis and cutting the micronized bubbles out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under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and dispersing them in water;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의 회전속도는 500 rpm 이상이고,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drive means is 500 rpm or more, 상기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의 회전 하에서,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 기구를 갖고, 상기 부직포층의 외주부의 전체면에 친수성 사상체가 감겨져, 그 부직포층 전체가 그 사상체에 의해 죄어져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Under the rot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by the rotation drive means, a gas introduction mechanism for introducing gas from the outside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substrate, the hydrophilic filament is wound a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 which the whole nonwoven fabric layer is clamped by the filamentous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직포층이 부직포의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원통형 부직포층이 상기 통기성 필름의 원통체에 외삽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The nonwoven fabric layer is made of a cylindrical body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n which the cylindrical nonwoven layer is extrapolated to the cylindrical body of the breathable fil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body so as to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기체 도입 기구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대기에 개방되어, 그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대기가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An inlet for introducing a gas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is opened to the atmosphere, and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allows the atmosphere to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substr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기체 도입 기구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원에 접속되고, 그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압축 공기가 상기 통형상 기재의 통 안의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An introduction port for introducing the gas of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is connected to a compressed ai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nd the gas introduction mechanism allows fine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1 축 둘레의 회전에 의해 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가, 상기 미세 기포 발생 통체에 대하여 그 미세 기포 발생 통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The microbubble generator which is formed so that the stirring blade which stirs water by rotation about 1 axis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said microbubble generating cylinder.
KR1020090059631A 2009-02-17 2009-07-01 Micro bubble generator KR1012173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3479A JP5390212B2 (en) 2009-02-17 2009-02-17 Microbubble generator
JPJP-P-2009-033479 200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11A KR20100094311A (en) 2010-08-26
KR101217301B1 true KR101217301B1 (en) 2012-12-31

Family

ID=4246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631A KR101217301B1 (en) 2009-02-17 2009-07-01 Micro 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90212B2 (en)
KR (1) KR101217301B1 (en)
CN (2) CN10180430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9665A1 (en) * 2009-02-17 2011-12-28 Nakashima Kogyo Corporation Micro-bubble generation device
JP5390212B2 (en) * 2009-02-17 2014-01-15 有限会社中島工業 Microbubble generator
JP2013166107A (en) * 2012-02-15 2013-08-29 Nakajima Kogyo:Kk System for producing water containing superfine high pressure ozone gas bubbles and method for treating polymer material surface by using produced water containing superfine high pressure ozone gas bubbles
CN103518663B (en) * 2013-09-29 2015-04-01 郑龙镇 Underwater gas fog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JP6574785B2 (en) * 2014-11-24 2019-09-11 有限会社中島工業 Method for producing affected part penetrating drug composition
JP6027153B2 (en) * 2015-01-28 2016-11-16 日新技研株式会社 Gas-liquid mix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fine bubble mixture
JP6459782B2 (en) * 2015-05-29 2019-01-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Bubble-containing liqui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CN109821273B (en) * 2019-04-10 2023-08-25 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环境医学与作业医学研究所 Decompression blocking removal device for enrichment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water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562B2 (en) * 1990-06-20 2001-01-31 株式会社東芝 Magnetic resonance imaging equipment
JP2003102325A (en) * 2001-09-27 2003-04-08 Nakajima Kogyo:Kk Oxygen supplier for aquarium of ornamental fish and portable oxygen supplier
JP2007268390A (en) 2006-03-31 2007-10-18 Kubota Corp Bubble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30322D0 (en) * 1999-12-22 2000-02-09 Univ Leeds Rotating membrane
JP2002263680A (en) * 2001-03-13 2002-09-17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Air diffuser
CN1715208A (en) * 2004-06-28 2006-01-04 上海万森水处理有限公司 Diaphragm microporous aerator with over pressure protection
JP2006015275A (en) * 2004-07-02 2006-01-19 Nishihara:Kk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907551A (en) * 2005-08-01 2007-02-07 陈翼孙 Micro bubble generation device
US8858682B2 (en) * 2005-12-28 2014-10-14 Shimadzu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difference bubble transfer
JP2008194663A (en) * 2007-02-13 2008-08-28 You Tec:Kk Fine gas-liquid mixer
JP5390212B2 (en) * 2009-02-17 2014-01-15 有限会社中島工業 Microbubble ge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562B2 (en) * 1990-06-20 2001-01-31 株式会社東芝 Magnetic resonance imaging equipment
JP2003102325A (en) * 2001-09-27 2003-04-08 Nakajima Kogyo:Kk Oxygen supplier for aquarium of ornamental fish and portable oxygen supplier
JP2007268390A (en) 2006-03-31 2007-10-18 Kubota Corp Bubble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11A (en) 2010-08-26
CN201505514U (en) 2010-06-16
CN101804308A (en) 2010-08-18
JP2010188247A (en) 2010-09-02
CN101804308B (en) 2013-05-01
JP5390212B2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301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1297538B1 (en) Micro-bubble generation device
KR100382012B1 (en)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KR100523778B1 (en)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ank type filtration apparatus which use the cartridge
CA2345892A1 (en) Degassing a liquid with a membrane contactor
JP2004008981A (en)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WO2009145077A1 (e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method of membrane separation,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JP4498373B2 (en)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ank typ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192973B1 (en) Disc type filtration device with aeration plates
JPH09220446A (en) External pressure type hollow yarn membrane module
JP2015093253A (en) Diffuser pipe and method for cleaning diffuser pipe
JP4269171B2 (en) Filtration method of external pressure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aeration flushing
KR100542865B1 (en) Aerator
JP2011110498A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11938448B2 (en) Impeller driven hollow fiber membrane separator
KR200378887Y1 (en) Aerator
RU174040U1 (en) AERATOR
US8646757B1 (en) Submersible aeration pump
JP5030690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20150127927A (en) Hybrid typed water treatment membrane module
KR20130128945A (en) Rotational micro and/or nano bubble generator and system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 using the same
IL153377A (en) Hollow thread film cartridge, hollow thread film module using the cartridge and tank type filter
JPS6362598A (en) Surface aeration r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