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093B1 -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 Google Patents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093B1
KR101217093B1 KR20100044492A KR20100044492A KR101217093B1 KR 101217093 B1 KR101217093 B1 KR 101217093B1 KR 20100044492 A KR20100044492 A KR 20100044492A KR 20100044492 A KR20100044492 A KR 20100044492A KR 101217093 B1 KR101217093 B1 KR 10121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case
vibration absorbing
mass
mas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990A (ko
Inventor
이인호
정세명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2010004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093B1/ko
Priority to PCT/KR2010/004454 priority patent/WO2011043536A1/ko
Publication of KR2011012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부와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질량체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질량체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질량체의 진동 시 케이스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Linear vibrator having vibration absorption part}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량체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질량체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형은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성 기능과 기기를 떨게 하는 진동기능이 있다. 이 중 특히 진동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기를 구동시켜, 그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진동기는 단순히 멜로디를 대신한 착신기능을 넘어 가상의 터치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 또는 게임기에 착장된 진동기는 긴 수명, 작은 사이즈, 우수한 진동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FPCB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회전형 진동기(10)에서 운동체(20)에 구비된 코일(25)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선(17)을 통해 회전형 진동기(10)에 전원이 공급된다. 리드선(17)은 FPCB(유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5)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FPCB(15)에는 전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은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FPCB(15)는 일단에 리드선(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 연결단자(15a)가 형성되고, 타단에 브러쉬 타입의 전원연결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연결단자(15b)가 형성된다.
한편 운동체(20)에는 코일(25)이 위치해 있고, 코일(25)은 회로기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5)은 전원연결부(12)가 전기적으로 미끄럼 접촉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정류자 패턴(1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형 진동기(10)는 외부전원이 리드선(17)을 통해 공급되면 FPCB(15)와 브러쉬 타입의 전원연결부(19)를 통해 운동체(20)에 배치된 회로기판(15)에 전달된다. 그리고, 운동체(20)의 회로기판(13)에 전달된 전원은 회로기판(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25)로 전달되게 된다.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운동체(20) 및 회로기판(15)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되며 브러쉬 타입의 전원연결부(19)와 회로기판(15)은 마찰 운동을 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15)은 회전자(14)가 회전 시 적절히 정류작용을 하면서 코일(25)에 전원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정류자(16)가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운동체(20)가 샤프트(21)를 중심으로 지지되어 회전함으로써 베어링(23)과 샤프트(21)의 높은 정밀도로 소음을 감소시키고 샤프트(21)와 베어링(23) 사이에 베어링(23)에서 나온 오일로 윤활을 좋게 하고 소음을 줄였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샤프트(2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음을 줄일 수 있으나 샤프트(21)가 없는 구조에서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운동하는 물체가 샤프트(21) 등의 지지축이 없음으로써 불안정한 상태에 있고 움직이면서 케이스(11)의 상, 하, 좌 우 면에 부딪치면서 소음을 크게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부와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질량체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질량체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는 영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코일부와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양단이 평평하고 양단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단이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고 상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질량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마주보는 상, 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는 영구자석 및 회로기판이 각각 구비되는 케이스, 스프링으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질량체, 상기 질량체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부 및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질량체와의 마찰면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grease)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에 공기가 포함된 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흡수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수평진동 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댐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좌, 우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질량체가 진동하면서 상기 케이스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질량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2 댐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부와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질량체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질량체와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질량체의 진동 시 케이스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진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FPCB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분해사시도.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제조하는 금형 및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진동 거리와 힘 사이의 관계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제조하는 금형 및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100)는 영구자석(113), 코일부(125), 회로기판(115)이 구비된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질량체(121a, 121b) 및 진동흡수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는 'ㄷ'자 형상을 갖는 하부 케이스(111a)와 상부 케이스(111b)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110)는 상, 하부면, 전, 후측면, 좌, 우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0)의 마주보는 상, 하부면의 중앙부에는 영구자석(113)이 각각 부착된다. 이때, 영구자석(113)의 크기는 케이스(110)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마주보는 전, 후측면에는 회로기판(115)이 각각 부착된다. 회로기판(115)은 하부 케이스(111a)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16)에 형성된 회로패턴(117)과 연결되고, 회로패턴(117)은 외부로부터 연결된 리드선(119)과 연결된다.
한편, 케이스(110)의 전, 후면에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123a, 123b) 사이에는 각각 제1 댐핑부(150)가 회로기판(115)에 부착되어 코일부(125)가 스프링(123a, 123b)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평진동 시 케이스(110)에 접촉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좌, 우측면에는 각각 제2 댐핑부(160)가 부착되어 질량체(121a, 121b)가 좌, 우 수평진동 시 케이스(110)에 접촉할 때 생기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질량체(121a, 121b)는 한 쌍이 구비되며 양단에 구비된 스프링(123a, 123b)에 의해 회로기판(115)에 연결된다. 코일부(125)는 한 쌍의 질량체(121a, 121b) 사이에 구비된다. 코일부(125)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부재 내부에 코일이 감겨 있을 수 있으며 코일 연결부(127)에 의해 질량체(121a, 1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질량체(121a, 121b)는 리드선(119)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부(125)와 영구자석(113)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한다. 이때, 질량체(121a, 121b)는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모두 진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선(119)에 연결된 돌출부(116)의 회로패턴(117)을 통해 선형진동기(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전기신호가 회로기판(115)을 통해 스프링(123a)과 질량체(121a)에 전달되고, 질량체(121a)에 연결된 코일부(125)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코일부(125)의 반대편 질량체(121b) 및 스프링(123b)를 통해 회로기판(115)과 연결됨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질량체(121a, 121b)가 진동한다.
이때, 질량체(121a, 121b), 스프링(123a, 123b)의 재질은 모두 전기를 통하는 도체로 전자기력이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흡수부재(130)는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의 마주보는 상, 하부면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진동흡수부재(130)는 양단이 평평하고 가운데 부분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운데의 볼록한 부분이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 사이에 위치하여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다.
특히, 가운데 부분과 양단이 이어지는 부분은 직각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어 질량체(121a, 121b)와 접촉할 때 탄성력이 발생하고 질량체(121a, 121b)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130)는 점착성 테이프, 본딩 또는 열 압착을 통해 부착된다.
진동흡수부재(130)는 질량체(121a, 121b)가 질량체(121a, 121b)의 운동방향과 다른방향, 특히 수직방향으로 진동할 때 케이스(110)의 상, 하부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총 4개가 구비되어 질량체(121a, 121b)과 케이스(110)의 사이에 각각 부착된다. 진동흡수부재(130)는 박판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질량체(121a, 121b)의 수직방향의 진폭을 줄여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의 충돌을 방지하고 질량체(121a, 121b)의 수직진동 시 소음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질량체(121a, 121b)는 진동 시 진동흡수부재(130)와 상호 미끄럼 작용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진동흡수부재(130)가 없다면 질량체(121a, 121b)가 자유롭게 왕복운동을 하기 위해서 질량체(121a, 121b)와 상하로 맞닿아 있는 케이스(110) 사이에는 어느 정도 간격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 사이의 간격 때문에 질량체(121a, 121b)는 왕복운동 시 스프링(123a, 123b)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 즉, 상, 하방향으로도 진동하게 된다. 질량체(121a, 121b)가 수직진동하게 되면 케이스(110) 내부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진동흡수부재(130)는 질량체(121a, 121b)의 수평진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질량체(121a, 121b)의 수직방향 진동은 진동의 세기 또는 진폭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케이스(110)와 질량체(121a, 121b)의 직접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제조하는 금형 및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진동흡수부재(130)는 금형틀(180)에 탄성을 갖는 원판(131)을 삽입한 후 압착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가 형성된 상형(181) 및 볼록부가 형성된 하형(183) 사이에 원판(131)을 삽입하고, 상형(181) 및 하형(183)을 필요한 진동흡수부재(130)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접하도록 밀착시켜 금형틀(18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진동흡수부재(130)를 성형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13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플리프로필렌, 플리스틸렌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흡수부재(130)는 표면의 코팅 등의 처리를 통해 진동흡수부재(130)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질량체(121a, 121b)와의 마찰 시 효과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질량체(121a, 121b)와 접촉하는 부분(a)은 평면 형상으로 케이스(110)에 이격되게 부착되어 진동흡수부재(130)와 질량체(121a, 121b) 사이의 마찰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고, 스프링(123a, 123b)에 대응하는 부분(c)은 케이스(110)에 밀착되게 부착된다. 또한, a 부분과 c 부분 사이의 곡선을 이루는 부분(b)은 a 부분을 케이스(110)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부분으로 이로 인해 진동흡수부재(130)의 탄성력이 발생된다. b 부분의 곡률이나 길이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진동 거리와 힘 사이의 관계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1구간은 케이스(110)의 상, 하부면에 설치된 진동흡수부재(130)와 질량체(121a, 121b) 사이의 간격보다 질량체(121a, 121b)가 움직이는 거리가 작은 경우로 질량체(121a, 121b)는 진동흡수부재(13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진동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질량체(121a, 121b)가 진동흡수부재(130)로부터 받는 힘은 거의 '0'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구간은 질량체(121a, 121b)가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이 커져서 질량체(121a, 121b)의 위, 아래에 구비된 진동흡수부재(130)를 누르게 되는 경우로 진동흡수부재(130)로부터 탄성력이 발생하여 질량체(121a, 121b)의 진동이 억제됨으로써 소음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아직 2구간은 질량체(121a, 121b)의 진동 시 케이스(110)에 접촉하지는 않는 구간이다. 2구간에서는 질량체(121a, 121b)의 진동 시 진폭이 클수록 진동흡수부재(130)의 탄성력이 더 크게 발생하여 질량체(121a, 121b)의 진동을 억제한다.
질량체(121a, 121b)가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힘이 더 커져서 진동흡수부재(130)의 탄성력보다 더 커지게 되면 질량체(121a, 121b)는 결국 케이스(110)와 닿게 되어 케이스(110)가 질량체(121a, 121b)의 운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에는 질량체(121a, 121b)와 케이스(110)의 접촉에 의해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질량체(121a, 121b)의 진동 시 소음을 줄이기 위해 가능하면 질량체(121a, 121b)는 1구간이나 2구간에 해당되도록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제조하는 금형 및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흡수부재(230)는 단차를 갖도록 성형되어 질량체(121a, 121b)와의 접촉 시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진동흡수부재(130)는 a 부분 전체가 질량체(121a, 121b)와 접촉하는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흡수부재(230)의 A 부분만 질량체(121a, 121b)와 접촉하므로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된다.
이때에도 진동흡수부재(230)는 원판(231)을 상형(281) 및 하형(283)으로 구성되는 금형틀(280) 사이에 삽입하여 압착함으로써 성형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동흡수부재(230)는 내부에 공기가 내포되는 공간부를 가질 수 있고, 공간부에 공기가 포함된 상태로 밀폐되어 진동흡수부재(230) 자체 뿐만 아니라 공기에 의해서도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동흡수부재(2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흡수부재(330)의 표면에는 질량체와의 마찰면을 줄이기 위한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333)에는 윤활유(335) 또는 그리스(grease)가 채워져 진동흡수부재(230)와 질량체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흡수부재(23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400)는 케이스(410)와 진동흡수부재(430)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440)의 케이스(410)의 마주보는 상, 하부면에 부착된다. 보강부재(440)는 낙하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갑자기 질량체(421a)가 진동흡수부재(430)에 충격을 주어 그 충격으로 진동흡수부재(430)의 변형이 야기되는 경우, 진동흡수부재(43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선형진동기(400)의 기능을 안정화하도록 설치된다. 보강부재(440)는 평상시에는 질량체(421a)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흡수부재(430)를 보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110 : 케이스 121a, 121b : 질량체
123a, 123b : 스프링 130 : 진동흡수부재
140 : 보강부재 150 : 제1 댐핑부
160 : 제2 댐핑부

Claims (11)

  1. 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코일부와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질량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마주보는 상, 하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4. 케이스의 내부에 영구자석, 코일부 및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코일부와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질량체가 진동하는 선형 진동기에 있어서,
    영구자석 및 회로기판이 각각 구비되는 케이스;
    스프링으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질량체;
    상기 질량체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부; 및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운동방향과 다른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질량체와의 마찰면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윤활유 또는 그리스(grease)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7.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재질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8.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에 공기가 포함된 상태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흡수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부의 수평진동 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댐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좌, 우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질량체가 진동하면서 상기 케이스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질량체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2 댐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KR20100044492A 2009-10-05 2010-05-12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KR10121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4492A KR101217093B1 (ko) 2010-05-12 2010-05-12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PCT/KR2010/004454 WO2011043536A1 (ko) 2009-10-05 2010-07-08 선형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4492A KR101217093B1 (ko) 2010-05-12 2010-05-12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90A KR20110124990A (ko) 2011-11-18
KR101217093B1 true KR101217093B1 (ko) 2013-01-11

Family

ID=4539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4492A KR101217093B1 (ko) 2009-10-05 2010-05-12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05B1 (ko) 2012-04-06 2013-06-17 싸니코전자 주식회사 넓은 주파수 동작 대역의 선형 진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624B (zh) * 2016-08-12 2018-09-2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双振动系统的线性振动器
CN112600381A (zh) * 2020-12-21 2021-04-02 天津富禄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线性振动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101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20110049385A (ko) * 2009-11-05 2011-05-12 이인호 선형진동기의 노이즈 감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101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20110049385A (ko) * 2009-11-05 2011-05-12 이인호 선형진동기의 노이즈 감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05B1 (ko) 2012-04-06 2013-06-17 싸니코전자 주식회사 넓은 주파수 동작 대역의 선형 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90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8899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CN10620860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204425166U (zh) 振动电机
US10170967B2 (en) Vibration motor
CN102244452B (zh) 线性振动器
KR20120054685A (ko) 선형 진동기
CN204392054U (zh) 振动电机
KR101184545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852093B1 (ko) 선형 진동자
CN205725396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1217093B1 (ko) 진동흡수부재를 갖는 선형진동기
KR101184502B1 (ko) 선형 진동자
KR20120078550A (ko) 선형진동모터
KR20140128525A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1095565B1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20100021987A (ko) 수직 선형 진동기
KR20120033038A (ko) 수평 선형 진동기
CN104467528B (zh) 振动器
KR20120018405A (ko) 수평 선형 진동기
CN215580855U (zh) 一种y向线性振动马达
KR20110126278A (ko) 자성 부재를 이용한 선형 진동기
KR101274405B1 (ko) 넓은 주파수 동작 대역의 선형 진동기
KR102339115B1 (ko) 탄성 사출 프레임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자
KR101362586B1 (ko) 소형의 기능성 진동발생장치
KR101325938B1 (ko) 선형 진동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