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505B1 -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505B1
KR101216505B1 KR1020100075621A KR20100075621A KR101216505B1 KR 101216505 B1 KR101216505 B1 KR 101216505B1 KR 1020100075621 A KR1020100075621 A KR 1020100075621A KR 20100075621 A KR20100075621 A KR 20100075621A KR 101216505 B1 KR101216505 B1 KR 10121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bamboo
heat
fa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573A (ko
Inventor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장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규 filed Critical 장성규
Priority to KR102010007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5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 온열기 구조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쑥의 연기를 이용한 쑥좌훈 및 열기를 이용하는 온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대나무 받침판(10)과; 상기 대나무 받침판(10) 상면에 부착 구비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는 내열용기(20)와; 상기 내열용기(20) 내의 바닥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하며 일정 높이로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사재(30)와;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30) 상부에 구비되는 쑥분말(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A MOXIBUSTION WARM DEVICE STRUCTURE AN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쑥뜸 온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쑥좌훈 및 온열쑥뜸에 이용하여 건강과 피부미용에 유익한 효능을 나타내기 위한 쑥뜸 온열기 구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은 쌍떡잎식물의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이른 봄부터 싹이 돋아나 7-9월경에 꽃이 피고 10월경부터 열매가 익으면서 한해살이를 마감하게 되며, 이러한 쑥은 이른 봄에 성장하는 어린순은 떡이나 된장국 및 쑥국과 같은 음식용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약재로 사용하기 위한 쑥은 통상 5월경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채취하여 말린 쑥은 복통, 토사(吐瀉), 지혈제로 쓰고 특히 여성들의 냉으로 인한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옛 부터 전해저 내려오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도 이러한 쑥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말화 하여 응집시켜 원추형상으로 만들어 환부(통증부위)에 부착한 후 쑥이 연소 되도록 함으로서 연소 되는 열에 의하여 환부의 기를 통하도록 하여 혈액순환이 용이하도록하는 것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쑥성분이 인체 내로 흡수되도록 하는 뜸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뜸재료는 작은 크기의 원추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환부에 다수개의 뜸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뜸재료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훈증과 열기가 환부에 전달되는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쑥뜸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쑥을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열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환부에 찜과 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이용하여 훈증에 이용할 수 있는 쑥뜸 온열기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쑥뜸 온열기는,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대나무 받침판과; 상기 대나무 받침판 상면에 부착 구비되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는 내열용기와; 상기 내열용기 내의 바닥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하며 일정 높이로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사재와;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 상부에 구비되는 쑥분말;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쑥뜸 온열기 제작과정은,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대나무 받침대를 준비하는 1단계와; 상기 대나무 받침대 상면에 원통형상의 내열용기를 부착 결합시키는 2단계와; 상기 내열용기의 바닥부위에 원적외선 방사재를 일정 높이로 충진하는 3단계와;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 상부에 쑥분말을 충진하는 4단계와; 상기 쑥분말에 불을 붙여 점화하는 5단계와; 상기 점화가 이루어진 온열기를 배연기에 넣고 강제 송풍을 실시하여 초기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쑥뜸 온열기는, 쑥의 연기와 열을 이용하여 몸속의 냉기와 습기를 다스리는 쑥좌훈 및 온열쑥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건강은 물론 복부비만 해소 및 피부미용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 후 쑥분말 만을 교체하여 쑥뜸 온열기의 연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숙성 과정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쑥뜸 온열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쑥뜸 온열기의 제조과정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1단계: 대나무 받침판 준비>
먼저, 대나무를 엮어서 통기성을 갖도록 하며 상면이 오목하도록 일정 곡률면을 형성하는 바구니 형태로 제작된 대나무 받침판(10)을 준비한다.
대나무 받침판(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손잡이부(11)를 구비시킴으로서, 전체적인 강도를 강화시킴과 함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 내열용기 부착>
그리고, 준비된 대나무 받침판(10) 상면에 도자기재료로 제작된 내열용기(20)를 도 2에서와 같이 안착시킨다.
즉, 이때 사용되는 내열용기(20)는 뚝배기와 같은 내열성의 도자기 재질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되며, 하부 둘레를 따라 실리콘(15)을 이용하여 대나무 받침판(10)과 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3단계: 원적외선 방사재 충진>
이후, 내열용기(20) 내에 원적외선 방사재(30)를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로 충진시키게 된다.
이때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사재(30)는 일정 크기로 파쇄되어진 맥반석, 황토볼, 수정, 산호, 호박, 세라믹볼이 일정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료를 사용함으로서 각 재료가 가열되어짐으로 인해 발산되는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나타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원적외선 방출을 통해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세포조직의 생성을 도와주어 건강은 물론 복부비만 해소와 피부비용에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재료에 더하여 전기석(토르말린)을 혼합시킬 경우, 상부 쑥분말(40)의 점화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짐에 따라 각 전기석 입자의 양단부가 양/음으로 대전되어지게 되어 피부보습 및 탈취효과를 더할 수 있게 된다.
<4단계: 쑥분말 충진>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30) 상부에 쑥분말(40)을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내열용기(20)의 상단부 높이까지 충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쑥분말(40)은 강화사자발 약쑥을 사용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함을 극대화하였다.
한편, 선택적으로는 충진된 쑥분말에 이후의 점화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이산화탄소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나노은 용액을 스프레이 분사할 수도 있게 된다.
<5단계: 점화>
상기와 같이 내열용기(20) 상부에 충진이 완료된 쑥분말(40)에 토치 등의 점화수단을 이용하여 불을 붙여 점화를 실시하면, 쑥분말(40)의 표면부터 내부로 서서히 불이 옮겨붙게 된다.
<6단계: 숙성>
한편, 점화가 이루어지면 불이 쑥분말(40) 전체에 완전히 옮겨질수 있도록 함과 함께 점화초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산화탄소 배기를 위한 숙성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점화가 이루어진 본 발명의 쑥뜸 온열기를 도 5에서와 같이 배연기(100)의 선반(110)에 올려놓고 강제 송풍을 실시하여 초기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되는데, 배연기(100)는 상부덕트(120)에서 하부덕트(130)로 공기의 강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부덕트(130)측에 배기팬(미도시)을 장착시킴으로서 쑥분말(4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원적외선 방사재(30)와 대나무 받침대(10)를 거쳐 이동된 후 하부덕트(120)를 통해 하향으로의 배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향의 배연작업을 통해 쑥분말(40)의 상부 표면에서 시작된 불씨가 하부로 신속하게 전달되어 전체 쑥분말에 점화가 단시간에 이루어지게 됨으로 점화 완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최종 점화 및 숙성작업을 통해 제작이 완료된 본 발명의 쑥뜸 온열기는 쑥분말(40)에서 발생되는 쑥의 연기를 이용하는 쑥좌훈을 실시함으로서 연기 및 열을 이용하여 몸속의 냉기와 습기를 다스리게 되고, 이후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인체의 특정 부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온열 쑥뜸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쑥뜸 온열기는 쑥이 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원적외선 방사재(30)에서 장시간 보관되어지게 됨으로 지속적인 쑥뜸 온열효과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대나무 받침판(10)에 의해 직접적인 열기의 전달이 차단되어지게 됨으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되면 쑥분말재와 원적외선 방사재(30)를 내열용기(20)로 부터 분리시킨 후, 쑥분말재는 버리고 원적외선 방사재(30)는 물세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쑥분말을 제외한 재료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10 : 대나무 받침판 11 : 손잡이부
15 : 실리콘 20 : 내열용기
30 : 원적외선 방사재 40 : 쑥분말
100 : 배연기 110 : 선반
120 : 상부덕트 130 : 하부덕트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대나무 받침대를 준비하는 1단계와;(ST 1)
    상기 대나무 받침대 상면에 원통형상의 내열용기를 부착 결합시키는 2단계와;(ST 2)
    상기 내열용기의 바닥부위에 맥반석, 황토볼, 수정, 산호, 호박, 세라믹볼 및 전기석 혼합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재를 일정 높이로 충진하는 3단계와;(ST 3)
    상기 원적외선 방사재 상부에 쑥분말을 충진하되, 이산화탄소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충진된 쑥분말에 나노은 용액을 스프레이 분사하는 4단계와;(ST 4)
    상기 나노은 용액이 분사되어진 쑥분말에 불을 붙여 점화하는 5단계와;(ST 5)
    상기 점화가 이루어진 쑥뜸 온열기를 배연기에 넣고 강제 송풍을 실시하여 초기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되, 쑥뜸 온열기를 배연기의 선반에 올려놓고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의 강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쑥분말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원적외선 방사재와 대나무 받침대를 거쳐 배연기의 하부덕트를 통해 하향으로의 배연작업이 이루어지는 6단계;(ST 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00075621A 2010-08-05 2010-08-05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KR10121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621A KR101216505B1 (ko) 2010-08-05 2010-08-05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621A KR101216505B1 (ko) 2010-08-05 2010-08-05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573A KR20120013573A (ko) 2012-02-15
KR101216505B1 true KR101216505B1 (ko) 2012-12-31

Family

ID=4583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621A KR101216505B1 (ko) 2010-08-05 2010-08-05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3987B (zh) * 2019-08-20 2024-02-13 上海朗俊旭美美容器械有限公司 清洗方便的艾灸颈椎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573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KR200453429Y1 (ko)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EP0674895B1 (en) Pain treatment device
CN108617719B (zh) 烧烤用烤炉的制造方法及由此制造的烤炉
KR101216505B1 (ko) 쑥뜸 온열기 제작방법
CN207693905U (zh) 艾灸丰胸仪器及艾灸丰胸组合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109846709A (zh) 一种控烟艾灸盒
KR20110055123A (ko) 온열 쑥뜸기
KR100606426B1 (ko) 다목적 쑥뜸장치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KR101366058B1 (ko) 쑥뜸봉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054839U (zh) 一种艾灸器
CN211434135U (zh) 新型艾灸贴
KR100522447B1 (ko) 토기제 쑥뜸기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CN107440901A (zh) 一种可控温艾灸凳
KR20100006225U (ko) 훈증기
CN106667754A (zh) 新型艾灸装置
KR100227816B1 (ko) 쑥뜸기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CN213219143U (zh) 一种艾灸罐
KR20120036784A (ko)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온구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100876545B1 (ko) 이중구조의 소금 쑥뜸기
CN108261329A (zh) 一种中药调温灸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