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493B1 - backfire prevention burner - Google Patents

backfire prevention b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493B1
KR101216493B1 KR1020100051316A KR20100051316A KR101216493B1 KR 101216493 B1 KR101216493 B1 KR 101216493B1 KR 1020100051316 A KR1020100051316 A KR 1020100051316A KR 20100051316 A KR20100051316 A KR 20100051316A KR 101216493 B1 KR101216493 B1 KR 10121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ombustion chamber
fuel supply
combust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1732A (en
Inventor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주) 에코프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프론트 filed Critical (주) 에코프론트
Priority to KR102010005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493B1/en
Publication of KR2011013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10Flame flash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켜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이고,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킬 수 있으며,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관형상의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콘형상의 내부 공간 형성체;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의 상부에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후기 연소 내관; 및 상기 연소실 내부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fuel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to burn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with small particles, and to provide a flashback prevention burner that can prevent backfir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combustion chamber; An inner space forming body loca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A post combustion inner tube connected inside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fuel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o as to supply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Description

역화방지 버너{BACKFIRE PREVENTION BURNER}Flashback Burner {BACKFIRE PREVENTION BURNER}

본 발명은, 역화방지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 등을 가열하기 위한 역화방지 버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back bur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shback burner for heating a boiler or the like.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는 산업용 보일러에서부터 가정용 보일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구조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보일러는 동절기나 이른 봄 또는 늦가을과 같이 기온이 낮은 계절에 실내공간을 쾌적하고 따뜻하게 난방시키기 위한 난방수단으로서, 밀폐된 용기 내의 물이나 열매체를 연소열 또는 그 밖의 열원에 의해 가열시켜 가열된 물 또는 증기와 같은 열매체가 난방라인으로 순환되면서 실내공간을 난방시키게 된다. 온수 가열을 위한 연료로는 기름이나 가스, 고체 연료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특히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의 경우에 고체 연료 사이의 공간이 적어 고체 연료와 공기와의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 지지 않음으로써 고체 연료의 불완전 연소, 및 연소 효율과 가열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Currently used boilers have various structures from industrial boilers to domestic boilers. In general, a domestic boiler is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door space comfortably and warmly in a low temperature season such as winter season, early spring or late autumn, and is heated by heating water or heat medium in a closed container by combustion heat or other heat source. Heat medium such as water or steam is circulated to the heating line to heat the indoor space. Oil, gas, or solid fuel may be used as a fuel for hot water heating. Among them,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mall particle solid fuel, the space between the solid fuels is small and sufficient contact between the solid fuel and the air is not achieved. Incomplete combustion of a solid fuel and a reduction in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are caused.

또한,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는 한 번에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큰 용적으로 쌓여있는 고체 연료의 중심부로 공기가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고체 연료 더미의 외측만 연소되므로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역화방지 버너에 적용하기 불가능하다.In addition, when small-particle solid fuel is burned in large quantities at one time, air does not reach the center of the solid fuel accumulated in a large volume. Thus, only the outside of the solid fuel stack is burned, making it impossible to apply to a flashback burner that burns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또한, 버너의 연소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가 과도한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 금속의 부식과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made of a metal such as a burner of a burner is exposed to excessive high temperatures, corrosion of the metal and degradation of durability occur.

더하여, 배기구 측으로부터 불꽃이 역화하는 경우에 연소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연료 공급관 측으로 역화함으로써 아직 버너 내부로 공급되지 않은 고체 연료를 발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flame backfires from the exhaust port side, the combustion efficiency decreases, and in particular, by backfired toward the fuel supply pipe side, it is possible to ignite solid fuel that has not yet been supplied into the burner.

본 발명은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shback burner capable of burn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with small particles.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고체 연료와 공기와의 접촉을 균일하게 최대화하여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shback prevention burner that can maximiz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by minimizing incomplete combustion by uniformly maximizing the contact between continuously introduced solid fuel and air.

또한, 본 발명은 부식을 최소화시키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flashback burner that can minimize corrosion and increase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역화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shback prevention burner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flashback.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관형상의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콘형상의 내부 공간 형성체;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의 상부에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후기 연소 내관; 및 상기 연소실 내부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combustion chamber; An inner space forming body loca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A post combustion inner tube connected inside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fuel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o as to supply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공급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 송풍관을 개폐하는 제1 체크 밸브; 및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을 개폐하는 제2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fuel supply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fuel supply pipe to supply air into the fuel supply pipe; A first check valve positioned in the fuel supply pipe,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uel supply blower pipe; And a second check valve positioned in the fuel supply pipe and opening and closing a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콘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의 외측을 감싸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부 공간 형성체; 및 상기 후기 연소 내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후기 연소 내관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의 상부에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기 연소 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space having a cone shape of the upper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nd a late combustion appearance spaced apart from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와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송풍관; 및 상기 후기 연소 외관과 상기 후기 연소 내관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후기 연소 외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송풍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first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to supply air between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and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And at least one second blower tube connected to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to supply air between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and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송풍관; 상기 연소실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연소실의 외측을 감싸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연소실의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송풍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소실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third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ly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A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nd at least one fourth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body to supply air between the body and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히터;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송풍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er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 for igniting the fuel; A blower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And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를 통하여 공기를 강제 공급하는 보조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lower connected to a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and forcibly supplying air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크 밸브에 공기를 강제 공급하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송풍기를 연결하는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pipe connecting the air blower and the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to forcibly supply air to the second check val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체크 밸브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으로의 사이를 차단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heck valve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unit and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and the third check valve may include the blower unit and the first to fourth controllers in a first position. It is possible to cut off between the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between the blower and the fuel supply unit at a second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공급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uel supply pip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supply pipe.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연료와 공기의 접촉을 최대화하여 고체 연료의 열분해 가스를 고온으로 연소시켜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극대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이전에 적용이 불가능하였던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버너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체 연료의 고온 열분해를 통하여 가스를 연소시켜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키고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온실 가스의 배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체 연료 연소 중에 분진, 및 이물질 제거가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점화 초기에 정상 연소 온도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고온에 노출되는 구성 요소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성 요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연료 공급관 측으로의 역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투입 고체연료 발화와 이로 인한 화재 사고 및 장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ntact between the fuel and the air to burn the pyrolysis gas of the solid fuel to a high temperature to minimize the incomplete combustion, thereby maximiz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heating performance, thereby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burner to burn large amounts of small solid fuel, which was not applicable to the particles. In addition, the combustion of the gas through the high-temperature pyrolysis of the solid fuel can minimize incomplete combustion,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heating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in real time during solid fuel combustion, and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normal combustion temperature at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the component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s, and preventing backfire to the fuel supply pipe side, thereby preventing uninjected solid fuel ignition and resulting fire accidents and device dama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좌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측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측의 부분확대도, 및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측의 부분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front view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d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a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side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A and 6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side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좌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측면 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front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left side view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d is a right side view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ash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burner,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내부 공간 형성체(120), 연소실(100), 및 송풍기(240)를 포함한다.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space forming body 120,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a blower 240.

연소실(100)은 원통형이고, 연소실(100) 내부 중앙부에는 콘형상의 내부 공간 형성체(120)가 구성되며, 내부 공간 형성체(120)의 외측에는 내부 공간 형성체(1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콘형상의 외부 공간 형성체(121)가 위치한다. 내부 공간 형성체(120)의 상단에는 후기 연소 내관(130)이 연결되는데, 내부 공간 형성체(120)와 내부에서 통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후기 연소 내관(130)의 외측에는 후기 연소 내관(13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후기 연소 외관(131)이 위치하는데, 외부 공간 형성체(121)와 내부가 통하도록 외부 공간 형성체(121)의 상단과 연결된다. 또한, 후기 연소 외관(131)과 후기 연소 내관(130)의 상단은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 부위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The combustion chamber 1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cone-shaped inner space forming member 12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1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120. The cone-shaped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is located. The upper combustion inner tube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120, and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120. In addition,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the late combustion outer tube 131,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and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 Is connected to the top.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ate combustion exterior 131 and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연소실(100)의 외측에는 연소실(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원통형의 연소실 외관(110)이 구성된다. 연소실 외관(110) 외측에는 연소실 외관(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 몸체(210)가 구성되고, 내부 몸체(210)의 외측에는 내부 몸체(2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몸체(200)가 구성된다. 또한, 연소실(100)의 상부에는 연소실(100)과 통하도록 가스 배출 내관(140)이 연결되고, 가스 배출 내관(140)의 외측에는 가스 배출 내관(14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가스 배출 외관(141)이 구성된다. The out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The inner body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and the body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dy 2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ody 210. do. In addition,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141 is configured.

연소실(100)의 하부에는 하부 연소실(150)이 연결되는데, 하부 연소실(150)은 콘형상으로서 연소실(100) 내부로 투입되는 고체 연료는 하부 연소실(150)로부터 적층된다. 또한, 고체 연료가 연소된 분진은 하부 연소실(150)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연소실(150)의 하단에는 한 쌍의 배출 롤러(160)가 구성되는데, 배출 롤러(160)의 정지 시에는 분진의 배출이 차단되고, 배출 롤러(160)의 회전 시에는 분진이 배출됨으로써 분진의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연소실(150)의 하부와 소정 간격을 가지는 온도 측정부가 위치하여 하부 연소실(150) 하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측정부는 온도 센서 또는 온도 측정용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200)의 하부에는 배출부(220)가 연결되어 배출 롤러(160)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진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 롤러(160)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배출 롤러(160) 사이의 틈이 존재하는데, 배출부(220)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부 송풍관(260)을 통하여 강제 유입되는 공기가 하부 연소실(150) 내부로 유입되어 고체 연료의 연소를 돕는다.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has a cone shape and solid fuel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is stacked from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n addition, dust in which the solid fuel is combusted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A pair of discharge rollers 16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When the discharge rollers 160 are stopped, the dust is blocked, and when the discharge rollers 160 are rotated, the dusts are discharged. The emission of can be controlled. Although not shown,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may be positioned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or 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00 may discharge the dus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roller 160. In addition, the discharge roller 160 is not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 gap between the discharge roller 160, the air forcibly introduced through the fuel supply unit blowing pipe 260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220 is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t is introduced inside to help the combustion of solid fuel.

연료 공급관(230)은 연소실(100) 내부로 고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공급관(23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가 구성되어 고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관(230)의 일측에는 연료 감지 센서(410)가 구비되어 고체 연료의 투입여부, 및 투입량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uel supply pipe 230 is for supplying the solid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crew (not shown)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fuel supply pipe 230 to supply the solid fuel.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230 is provided with a fuel detection sensor 410 can detect whether the solid fuel, and the input amount.

송풍기(240)는 연소실(100), 하부 연소실(150) 등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송풍관(25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관(250)은 연소실(100), 하부 연소실(150), 내부 몸체(210), 후기 연소 외관(131), 가스 배출 외관(141), 외부 공간 형성체(121), 및 연료 공급관(230)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연소실(100)에 연결되는 송풍관(250b)에는 제2, 및 제3 히터(301, 302)및 가 구성되고, 하부 연소실(150)에 연결되는 송풍관(250e)에는 제1 히터(300)가 구성되어 연소실(100), 및 하부 연소실(150)에 투입되는 고체 연료를 점화시킨다. 또한, 각각의 송풍관(250)에는 밸브(420)가 구성되는데, 각각의 밸브(42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송풍관(250)을 통한 공기 공급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연료의 투입량, 연소 상황, 및 연소 진행 단계 등에 따른 최적의 연소가 가능하다. The blower 240 is for supplying fresh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and the like, and supplies air to the plurality of blower tubes 250. The blower tube 250 includes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he inner body 210, the late combustion exterior 131, the gas discharge exterior 141,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and the fuel supply pipe 230. Is connected to each. In addition, the blower tube 250b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includes second and third heaters 301 and 302, and the blower tube 250e connected to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ncludes the first heater 300. Is configured to ignite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n addition, each blower pipe 250 is configured with a valve 420, by operating each valve 420 individually,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through each blower pipe (250). Therefore, optimum combus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of the solid fuel, the combustion situation, the combustion progression stage, and the like.

한편, 연소실(100), 하부 연소실(150), 외부 공간 형성체(121), 후기 연소 외관(131), 및 가스 배출 내관(140)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공은 고체 연료가 통과할 수 없는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실 외관(110)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원할한 흐름을 위하여 연소실 외관(110)의 관통공은 연소실(100)의 관통공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the late combustion external appearance 131, and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through hole preferably has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solid fuel cannot pass.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s of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s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for a smooth flow of air. It is preferable to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2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연료 공급관(230)의 일측에 구성되는 연료 공급부 송풍관(260)을 통하여 공급되고, 제1 체크 밸브(271)는 연료 공급부 송풍관(26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개방된다. 펠릿 등의 고체 연료는 제1 체크 밸브(271)를 지나 연소실(100) 내부로 투입된다. 투입되는 고체 연료는 하부 연소실(150)로부터 적층되어 연소실(100) 내부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연소실(100) 중앙부에 구성되는 내부 공간 형성체(120)의 내측에는 고체 연료가 쌓이지 못하고 공간이 형성된다. Operation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240 is supplied through the fuel supply part blower 260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230, and the first check valve 271 is supplied to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uel supply part blower 260. Is opened. Solid fuel such as pellets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rough the first check valve 271. The solid fuel to be injected is stacked from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o be accumul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0. At this time, the solid fuel does not accumulate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internal space forming member 120 configured at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

투입된 고체 연료는 제1 내지 제3 히터(300, 301, 302)에 의해 점화되는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는 제3 체크 밸브(273)를 개방시키고, 송풍관(250b, 250e)을 통하여 연소실(100), 및 하부 연소실(150)로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됨으로써 고체 연료가 점화된다. 한편, 고체 연료의 효율적인 발화를 위하여 하부 연소실(150)에만 고체 연료를 쌓고, 하부 연소실(150)의 고체 연료가 점화된 후에 고체 연료를 더 투입하여 연소실에 고체 연료를 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1 히터(300)를 먼저 작동시켜 하부 연소실(150)의 고체 연료를 점화시킨 후, 제2, 및 제3 히터(301, 302)를 작동시켜 연소실(100)의 고체 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다. 점화가 종료된 후에는 제1 내지 제3 히터(300, 301, 30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The injected solid fuel is ignited by the first to third heaters 300, 301 and 302, and the air from the blower opens the third check valve 273 and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rough the blower pipes 250b and 250e. ,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s heated to ignite the solid fuel. Meanwhile, the solid fuel may be stacked only i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for efficient ignition of the solid fuel, and the solid fuel may be further charged after the solid fuel i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s ignited to stack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In this case, the first heater 300 is operated first to ignite the solid fuel i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and then the second and third heaters 301 and 302 are operated to operate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100. Can ignite. After the ignition is finished,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heaters 300, 301, and 302 is stopped.

한편, 고체 연료의 원할하고, 완전한 연소를 위하여 공기가 공급되는데, 외부 공간 형성체(121)에 연결되는 송풍관(250c)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는 외부 공간 형성체(121)의 관통공을 통하여 고체 연료에 공급된다. 후기 연소 외관(131)에 연결되는 송풍관(250d)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는 후기 연소 외관(131)의 관통공을 통하여 고체 연료에 공급된다. 또한, 내부 몸체(210)에 연결되는 송풍관(250a)을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는 연소실 외관(110), 연소실(100), 및 하부 연소실(150)의 관통공을 통하여 고체 연료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히터(300, 301, 302)가 구성되는 송풍관(250b, 250e)을 통하여 연소실(100), 및 하부 연소실(150)에 공기가 공급된다. 각각의 송풍관(250)은 원할한 공기 공급을 위하여 구성되는 위치와 개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히터(300, 301, 302) 또한 점화 성능을 고려하여 위치와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ir is supplied for smooth and complet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and the air conveyed through the blower pipe 250c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is soli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Supplied to the fuel. The air transferred through the blower pipe 250d connected to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131 is supplied to the solid fuel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131. In addition, the air transported through the blower tube 250a connected to the inner body 210 is supplied to the solid fuel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he air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hrough the blower pipes 250b and 250e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heaters 300, 301, and 302. Each blower tube 250 may be changed in position and number configured for smooth air supply, and the first and third heaters 300, 301 and 302 may also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ignition performance. have.

고체 연료가 열분해되면서 생성되는 고온의 가스는 가스 배출 내관(140)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가스는 불완전 연소 가스가 섞여 있으며, 불완전 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공간 형성체(120)는 고체 연료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내부 공간 형성체(120) 내부는 매우 높은 온도이며, 강한 화염과 완전 연소 가스가 발생된다. 내부 공간 형성체(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완전 연소 가스는 후기 연소 내관(130)을 따라 배출되며, 내부 공간 형성체(120) 내부의 강한 화염 또한 후기 연소 내관(130)을 따라 분출된다. The hot gas generated while the solid fuel is pyrolyzed i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inner tube 140, wherein the gas is mixed with incomplete combustion gas, and it is preferable to completely burn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Since the internal space former 1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olid fuel, the interior of the internal cavity 120 is at a very high temperature and strong flames and complete combustion gases are generated. The high temperature complete combustion gas generated inside the inner space former 120 is discharged along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and a strong flame inside the inner space former 120 is also ejected along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

이때, 가스 배출 내관(140)을 지나는 불완전 연소 가스는 후기 연소 내관(130)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온의 화염, 가스 배출 외관(141)에 연결되는 송풍관(250g)으로부터 공급되어 가스 배출 내관(140)의 관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및 후기 연소 내관(130)과 후기 연소 외관(131) 사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완전 연소된다. At this time, the incomplet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inner pipe 140 is supplied from the high-temperature flame ejected from the late combustion inner pipe 130, the blowing pipe (250g) connected to the gas discharge outer tube 141 of the gas discharge inner pipe 140 It is completely combust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and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131.

연소된 고체 연료의 분진과, 고체 연료에 묻어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은 하부 연소실(150)의 하부로 배출된다. 연소된 고체 연료의 분진, 및 이물질은 연소 중인 고체 연료보다 온도가 낮다. 따라서, 온도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값 이하이면 하부 연소실(150)의 하부 내측에 분진이 쌓여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배출 롤러(160)가 작동된다. 배출 롤러(160)의 작동에 따라 하부 연소실(150) 하부의 분진이 배출부(220)로 배출되는데, 이때 분진, 및 분진 중의 이물질 등이 롤러에 의하여 보다 조밀하게 분쇄된다. 분진의 배출 중에 온도 측정부(40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값 이상이면 연소 중인 고체 연료로 볼 수 있으며, 배출 롤러(160)의 작동이 멈춘다. Dust of the burned solid fuel and foreign matter such as sand buried in the solid fuel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The dust, and foreign matter, of the solid fuel burned is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solid fuel in combustion.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i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seen that dust is accumulated inside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n which case the discharge roller 16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160, the dust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20,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dust is more densely pulverized by the roller.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400 during the discharge of the dust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can be seen as a solid fuel in combustion,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roller 160 is stopped.

한편, 연소되는 고체 연료의 중앙부는 외측보다 온도가 더욱 높으며, 고체 연료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외부 공간 형성체(121) 등의 금속이 과도한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 부식,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되는 외부 공간 형성체(121)와 내부 공간 형성체(120)의 사이, 및 후기 연소 외관(131)과 후기 연소 내관(130)의 사이에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lid fuel to be burned is higher than the outside, and problems such as corrosion and deterioration may occur when a metal such as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lid fuel is exposed to excessive high temperatures. Can be. Therefore, the air flows between the spaced outer space forming body 121 and the space space 120, and between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131 and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0 to prevent excessive temperature rise. Can be.

마찬가지로 연소실(100)과 연소실 외관(110)의 사이, 하부 연소실(150)과 내부 몸체(210)의 사이, 및 가스 배출 내관(140)과 가스 배출 외관(141)의 사이에 흐르는 공기에 의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들의 과도한 고온 노출을 방지하여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Similarly, the metal is caused by the air flowing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betwee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50 and the inner body 210, and between the gas exhaust inner tube 140 and the gas exhaust exterior 141.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igh temperature exposure of the components consisting of corrosion and degradation of durability.

한편, 고체 연료가 주로 연소되는 연소실(100)은 공기의 공급, 및 흐름이 매우 중요한데,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몸체(210)로 공급되는 공기는 연소실 외관(110)의 관통공을 통과하고, 연소실(100)의 관통공을 지나 고체 연료로 공급된다. 이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연소실 외관(110)의 관통공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연소실(100)의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고, 고체 연료와 공기의 접촉을 균일하게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킴으로써 공기의 유속이 빠를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고체 연료의 흩날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고체 연료와 공기의 접촉을 균일하게 극대화함으로써 연소 효율 증가, 및 불완전 연소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공기가 연소실(100) 외면에 골고루 도달함으로써 연소실(100)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내부 몸체(210)에 연결되는 송풍관(250a)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 유동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과장하여 나타내었다.
Meanwhile, in the combustion chamber 100 in which solid fuel is mainly combusted, the supply and flow of air is very important. Referring to FIG. 4, the air supplied to the inner body 210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The fuel cell is supplied as a solid fuel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is allows the air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bustion chamber exterior 110 and the through-hole of the relatively small combustion chamber 100, thereby slowing the flow rate of the air and uniformly contacting the solid fuel with the air. Is to maximize. By lowering the air flow 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solid fuel which may occur when the air flow rate is high, and by increasing the contact between the solid fuel and the air uniform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and reduce incomplete combustion. In addition, since the air rea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evenly,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0. In FIG. 4,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s briefly exaggera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air flow supplied through the blower pipe 250a connected to the inner body 210.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측의 부분확대도이다. 연소가 진행될 때 버너 외측의 기압이 버너 내측보다 높은 경우 등에 역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화염이 연료 공급관(230) 측으로 역류하는 경우에 연료 공급관(230) 측이 가열되고, 연소실(100)로 미쳐 공급되지 못한 고체 연료를 발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시되지 않은 연료 공급 장치 등의 손상과 화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송풍기(240)가 작동하고, 제1 및 제3 체크 밸브(271, 273)가 개방되며, 송풍기(2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제1 및 제3 체크 밸브(271, 273)를 지나 연소실(100)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보조 송풍기(280)는 정지되어 있고, 제2 체크 밸브(272)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다.5A and 5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side of a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bustion proceeds, a backfire may occur whe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burner is higher than the inside of the burner. In this case, in particular, when the flame flows back to the fuel supply pipe 230 side, the fuel supply pipe 230 side is heated, and may go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to ignite the solid fuel that has not been supplied, thereby fuel not shown Damage to the supply system and fire accidents may occur. Referring to FIG. 5A, the blower 240 is operated, the first and third check valves 271 and 273 are opened,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240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third check valves 271 and 273. )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side. At this time, the auxiliary blower 280 is stopp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272 is closed.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송풍기(24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3 체크 밸브는 폐쇄된 상태이고, 화염이 연료 공급관(230)으로 역화하는 경우에 연료 공급관(230)의 온도는 상승된다. 따라서,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290)에 의해 연료 공급관(230)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에, 보조 송풍기(280)가 작동한다. 보조 송풍기(280)는 연료 공급부 송풍관(260)을 관통하여 제2 체크 밸브(272) 측과 연결되며, 공기가 제2 체크 밸브(272)를 통하여 연료 공급관(230) 내부로 공급되어 화염을 저지함으로써 역화가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체크 밸브(271, 272, 273)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공기의 유동이 없을 시에는 자중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 무게추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크 밸브(271)는 고체 연료에 의해 역시 개발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blower 240 is stopped, the third check valve is clo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fuel supply pipe 230 is increased when the flame backs into the fuel supply pipe 230.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supply pipe 230 is measured by the fuel supply pipe temperature measuring unit 290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auxiliary blower 280 operates. The auxiliary blower 2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eck valve 272 through the fuel supply blower 260 and air is supplied into the fuel supply pipe 230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272 to block the flame. Flashback is thereby prevented.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check valves 271, 272, and 273 are opened by the flow of air, and closed by their own weight when there is no flow of air, or not shown. It can be closed by an elastic member, a weigh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check valve 271 can also be developed by solid fuel.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측의 부분확대도로서,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261)이 연료 공급부 송풍관(260)을 관통하여 제2 체크 밸브(272) 측으로 직접 연결된다. 송풍기(240)를 통하여 연소실(100) 내에 공기를 강제 공급할 때에는 제3 체크 밸브(273)가 개방되는데, 도 6a를 참조하면 제3 체크 밸브(273)가 오른쪽으로 완전히 회전하는 경우에, 제3 체크 밸브(273)가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261)을 폐쇄하고, 송풍기(240)가 작동하여 연소실(100) 측으로 외기를 공급한다. 6A and 6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the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side of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tube 261 penetrates through the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260 to provide a second check valve 272. )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When forcibly supplying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through the blower 240, the third check valve 273 is opened. Referring to FIG. 6A, when the third check valve 273 is completely rotated to the right, the third check valve 273 is opened. The check valve 273 closes the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tube 261, and the blower 240 operates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도 6b를 참조하면, 연소실(100) 측으로의 강제 공기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송풍기(240)가 정지하고 제3 체크 밸브(273)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되고,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261)은 개방된다. 이때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290)에 의해 역화가 감지되면 송풍기(240)가 작동하고, 외기가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261) 및 제2 체크 밸브(272)를 통하여 연료 공급관(230) 내부로 공급되어 화염을 저지함으로써 역화가 방지된다. 한편, 제3 체크 밸브(273)는 모터 등의 작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when the forced air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100 is stopped, the blower 240 is stopped and the third check valve 273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to close the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tube. 261 is opened. At this time, when backfire is detected by the fuel supply pipe temperature measuring unit 290, the blower 240 is operated,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fuel supply pipe 230 through the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pipe 261 and the second check valve 272. Backfire by preventing flames. Meanwhile, the third check valve 273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and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motor.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는 입자 사이의 공간이 크지 못하다. 적은 양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체 연료를 한번에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큰 용적으로 쌓여있는 고체 연료의 중심부로 공기가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고체 연료 더미의 외 측만 연소되고 중심부는 연소가 곤란하므로, 현재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역화방지 버너를 구현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연소실 등과 같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가 과도한 고온에 노출되므로 구성 요소의 부식과 내구성 저하를 유발한다. Small particle solid fuels do not have a large space between the particles. There is no problem when burning a small amount of solid fuel, but when burn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at a time, air does not reach the center of the solid fuel accumulated in a large volume. Therefore, since only the outer side of the solid fuel pile is burned and the central portion is difficult to burn,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a flashback burner that burns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at present.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fuel is burned, a component made of metal such as a combustion chamber or the like is exposed to excessive high temperature, thereby causing corro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고체 연료 더미의 외측은 물론 중심부 또한 공기와 최대로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키고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임으로써 입자가 작은 고체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역화방지 버너를 구현할 수 있다.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aximum uniform contact with air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solid fuel pile continuously introduced, thereby minimizing incomplete combustion and increasing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nti-flash burner capable of burning a large amount of small solid fuel.

또한, 고체 연료의 고온 열분해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시키고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온실 가스의 배출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burning the high-temperature pyrolysis gas of the solid fuel can minimize the incomplete combustion,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heating performance, it can also minimize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또한, 연료를 대량으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데, 이에 따라 금속 또는 내화재로 제작되는 연소실 등이 과도한 고온에 노출됨으로써 부식, 및 내구성 저하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고체 연료에 공급되는 공기가 연소실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구성 요소와 충분히 균일하게 접촉함으로써 구성 요소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성 요소가 과도한 고온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식과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fuel is burned, the temperature rises excessively, and thus, a combustion chamber made of a metal or a refractory material is exposed to excessive high temperature, thereby causing corrosion and deterioration of durability. However,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l the components by making the air supplied to the solid fuel contact the components made of metal such as a combustion chamber sufficiently uniformly. Therefore, corrosion and durability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component from being exposed to excessive high temperatures.

또한, 고체 연료가 연소된 후 발생하는 분진, 및 이물질이 연소실 내부에 적체되는 경우에 고체 연료로의 공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등,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역화방지 버너는, 고체 연료 연소 중에 분진, 및 이물질 제거가 실시간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arises a problem that combustion efficiency is lowered, such as dust generated after the solid fuel is burned, and air supply to the solid fuel is not smooth when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wever, the flashback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because dust and foreign matter removal are removed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during solid fuel combustion.

또한, 고체 연료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매우 크고, 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점화 초기에 정상 연소 온도까지의 소요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소 효율, 및 가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olid fuel and the air is very large and it is possible to make uniform contac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the normal combustion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of ignition. Therefor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연료 공급관 측으로의 역화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미투입 고체 연료의 발화, 연료 공급관 측의 내구성 저하 및 연소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화재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fire to the fuel supply pipe side can be reliably preven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gnition of unfilled solid fuel, lower durability of the fuel supply pipe side, and lower combustion efficiency, and in particular,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ire accident.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연소실 110: 연소실 외관
120: 내부 공간 형성체 121: 외부 공간 형성체
130: 후기 연소 내관 131: 후기 연소 외관
140: 가스 배출 내관 141: 가스 배출 외관
150: 하부 연소실 160: 배출 롤러
200: 몸체 210: 내부 몸체
220: 배출부 230: 연료 공급관
240: 송풍기 250a~250g: 송풍관
260: 연료 공급부 송풍관 261: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
271: 제1 체크 밸브 272: 제2 체크 밸브
273: 제3 체크 밸브 280: 보조 송풍기
290: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
300: 제1 히터 301: 제2 히터
302: 제3 히터 410: 연료 감지 센서
420: 밸브
100: combustion chamber 110: combustion chamber appearance
120: internal space formation 121: external space formation
130: late combustion inner tube 131: late combustion appearance
140: gas discharge inner tube 141: gas discharge appearance
150: lower combustion chamber 160: discharge roller
200: body 210: inner body
220: discharge portion 230: fuel supply pipe
240: blower 250a-250g: blower
260: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261: fuel supply part blower tube
271: first check valve 272: second check valve
273: third check valve 280: auxiliary blower
290: fuel supply pipe temperature measuring unit
300: first heater 301: second heater
302: third heater 410: fuel detection sensor
420: valve

Claims (11)

관형상의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콘형상의 내부 공간 형성체;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의 상부에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후기 연소 내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관;
상기 연료 공급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료 공급부 송풍관; 및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 송풍관을 개폐하는 제1 체크 밸브
를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ubular combustion chamber;
An inner space forming body loca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A post combustion inner tube connected inside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fuel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ly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At least one fuel supply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fuel supply pipe to supply air to the fuel supply pipe; And
A first check valve located in the fuel supply pip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uel supply blower pipe;
Flashback bur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을 개폐하는 제2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check valve located in the fuel supply pipe and opening / closing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콘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의 외측을 감싸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외부 공간 형성체; 및
상기 후기 연소 내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후기 연소 내관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의 상부에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기 연소 외관
을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of claim 2,
An outer space forming body having an upper cone shape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The late combustion exterior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와 상기 내부 공간 형성체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공간 형성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송풍관; 및
상기 후기 연소 외관과 상기 후기 연소 내관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후기 연소 외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송풍관
을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first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so as to supply air between the outer space forming body and the inner space forming body; And
At least one second blower tube connected to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to supply air between the late combustion appearance and the late combustion inner tub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송풍관;
상기 연소실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연소실의 외측을 감싸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연소실의 사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4 송풍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역화방지 버너.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third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o as to supply air to the combustion chamber;
A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nd
At least one fourth blower pipe connected to the body to supply air between the body and the combustion chamb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is a flame prevention burn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히터;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송풍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of claim 5,
A heater provi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to ignite the fuel;
A blower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And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 및 제3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체크 밸브를 통하여 공기를 강제 공급하는 보조 송풍부
를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6,
An auxiliary blower connected to a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and forcibly supplying air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밸브에 공기를 강제 공급하도록, 상기 연료 공급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송풍부를 연결하는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
을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uel supply part blower pipe connecting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fuel supply pipe and the blower part to forcibly supply air to the second check valv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체크 밸브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송풍관으로의 사이를 차단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연료 공급부 보조 송풍관 사이를 차단하는 역화방지 버너.
9. The method of claim 8,
A third check valve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first to fourth blower pipes
Further comprising:
And the third check valve blocks a gap between the blower and the first to fourth blowers at a first position, and blocks the blower and the fuel supply auxiliary blower at a second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uel supply pipe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supply pip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연료 공급관 온도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역화방지 버너.
9. The method of claim 8,
Fuel supply pipe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uel supply pipe
Flashback burner further comprising a.
KR1020100051316A 2010-05-31 2010-05-31 backfire prevention burner KR101216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16A KR101216493B1 (en) 2010-05-31 2010-05-31 backfire prevention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16A KR101216493B1 (en) 2010-05-31 2010-05-31 backfire prevention bur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32A KR20110131732A (en) 2011-12-07
KR101216493B1 true KR101216493B1 (en) 2012-12-31

Family

ID=4550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16A KR101216493B1 (en) 2010-05-31 2010-05-31 backfire prevention b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4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52B1 (en) * 2012-01-04 2012-11-14 (주) 에코프론트 Large-capacity burner
KR200469667Y1 (en) * 2012-01-10 2013-10-29 주식회사 예랑이앤씨 Apparatus for landfill gas combustion reinfored backfire prevention function
KR101299029B1 (en) * 2012-01-10 2013-08-27 (주)한성고주파 Burner with anti-backfire device
KR101313761B1 (en) * 2012-05-11 2013-10-01 (주) 에코프론트 Large-capacity bur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89B1 (en) 2007-05-14 2007-10-12 채혁 Safety burner using wood chip or pellet as fu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89B1 (en) 2007-05-14 2007-10-12 채혁 Safety burner using wood chip or pellet as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32A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42646A (en) Gas water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16493B1 (en) backfire prevention burner
CN203848290U (en) Premixed fuel gas positive pressure burning energy-saving steam generator
CN205137852U (en) Gas water heater
KR101099469B1 (en) Downward wood burning boiler
JP5370465B2 (en) Long flame burner and radiant tube heating device
CN103953928A (en) Energy-saving burner for premixed fuel gas to be burnt at positive pressure and steam generator
KR100796434B1 (en) Fuel save boiler
WO2013018954A1 (en) Combustion device
KR101161256B1 (en) Large-capacity burner
KR101201352B1 (en) Large-capacity burner
KR101216492B1 (en) Large-capacity boiler
KR20070096133A (en) Heater for solid fuel
KR101313759B1 (en) Large-capacity burner
KR100840539B1 (en) Easy Ignition and Burning Liquid Fuel Burner
RU2518759C1 (en) Oil-gas burner
KR20120054311A (en) Combustion apparatus for wood pellet
KR102011676B1 (en) Fireplace
KR20140129646A (en) Pellet Combustion Device
KR101250434B1 (en) Combustion device for fire wood boiler
KR101636713B1 (en) The Heating Apparatus Using Pellets
KR101536137B1 (en) Industrial Boiler Combustion Assist
KR200442203Y1 (en) Fuel save boiler
KR101313761B1 (en) Large-capacity burner
KR101722467B1 (en) Boiler with multi bod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