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255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255B1
KR101216255B1 KR1020060025867A KR20060025867A KR101216255B1 KR 101216255 B1 KR101216255 B1 KR 101216255B1 KR 1020060025867 A KR1020060025867 A KR 1020060025867A KR 20060025867 A KR20060025867 A KR 20060025867A KR 101216255 B1 KR101216255 B1 KR 10121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bursts
maximum number
burst
rep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572A (ko
Inventor
김상효
정동운
김민구
구영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2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46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with iterative decoding
    • H03M13/3753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with iterative decoding using iteration stopping criteri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57Turbo codes and decoding
    • H03M13/2975Judging correct decoding, e.g. iteration stopping criter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들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ERATIVE DECODING, 터보부호, LDPC부호, THROUGHPUT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ITERATIVE DECOD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의 반복 복호 결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 반복 복호 결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의 반복 복호 결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 반복 복호 결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호 제어기의 반복 복호 횟수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반복 복호(Iteractive Decoding)가 가능한 채널 부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식에서는 통상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저장매체에 저장 및 재생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대표적 기술로는 `오류정정부호(error correcting code)'가 있으며, 이는 디지털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핵심요소기술요소 중 하나이다.
상기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터보 부호, LDPC(Low Density Parity Check)부호와 같은 반복 복호 가능한 부호를 사용한다. 반복 복호를 사용하는 부호에서는 미리 결정되는 최대 반복 복호 횟수가 중요하며, 전체 시스템의 복호 처리율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이것은 반복 복호 중단 알고리듬이 적용된 복호기라 하더라도, 복호 프레임 데이터에 따라 최대 반복 복호 횟수에 해당하는 반복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시스템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반복 복호 횟수는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터보 부호의 복호에 있어서, 예를 들어, 8번의 반복 복호를 행하면, 복호 성능이 거의 수렴하여 추가적인 반복 복호를 행하더라도, 성능의 향상이 미미하게 된다. 상기 반복 복호 가능한 채널 부호에 고정된 최대 반복 복호 횟수가 결정되면, 복호에 걸리는 시간 및 복호에 주어지는 시간에 의해 시스템이 제공 가능한 최대 처리율(throughput)이 제한된다. 즉, 주어진 채널 복호기 혹은 다수의 채널 복호기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최대 반복 복호 횟수가 큰 경우에는 낮은 처리율만을 제공하게 되며, 최대 반복 복호 횟수가 작은 경우에는 높은 처리율을 제공할 수 있으나, 성능의 열화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IEEE 802.16e에 기반한 와이브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버스트는 내부에 다수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PDU는 헤더에 어느 단말에 필요한 것인지를 결정해주는 연결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정보서비스(CID))를 포함하고 있다. 단말의 MAC 계층에서는 PDU의 CID를 확인한 후, 자신에게 해당되는 PDU만을 취하게 된다. 하나의 버스트 내에는 하나의 CID만을 갖는 PDU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고, 다양한 CID를 갖는 PDU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IEEE 802.16e와 같은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다운링크 맵(이하 DLMAP라 한다.)이라는 제어 버스트가 존재한다. 상기 DLMAP에서는 각각의 버스트에 대한 기술자(descriptor)가 있으며, 상기 기술자 내에는 버스트 내의 PDU들이 갖는 CID를 포함한다. 즉, 상기 DLMAP는 버스트 할당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의 구성정보를 갖고 있다.
단말은 기술자를 분석하여 CID를 조사하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CID를 갖는 버스트 만을 복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가장 낮은 부호율로 부호화되는 DLMAP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하여 버스트 기술자에서는 CID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버스트 기술자에서 CID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물리 계층에서는 무조건 버스트를 복호해야 하며, MAC 계층에서 PDU별로 CID를 확인한 후, 해당 CID만을 취하게 된다.
상기 경우에 복호기를 포함하는 물리계층은 실제적으로 상위계층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율보다 훨씬 높은 처리율을 보여야 한다. 이러한 최대의 데이터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채널 복호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효율적인 자원관리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가 가능한 채널 부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조절하여, 시스템에 제공 가능한 최대 처리율(throughput)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CINR 추정값, MCS 레벨정보, 버스트들의 데이터 량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들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추정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와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제어정보를 복호하는 채널 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값을 토대로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버퍼와,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정보 분석기와,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들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복호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는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제어정보 버스트를 복호하는 채널 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값을 토대로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버퍼와,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정보 분석기와,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추정값을 생성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와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복호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는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반복 복호에서의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이브로의 길쌈 터보 부호 및 복호기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모든 반복 복호 부호에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충분히 높은 반송파 대 간섭파 잡음비(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 CINR이라 한다.)영역에서는 작은 횟수의 반복 복호만으로도, 충분히 낮은 프레임 오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5/6의 부호율과 같이 높은 부호율에서는 반복 복호 횟수 감소에 따른 성능 열화가 낮은 부호율인 경우보다 훨씬 작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CINR 추정값이나, 변조 및 부호(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한다.)레벨정보, 버스트들의 데이터 량을 입력받아 적응적으로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설정해주는 것이다.
<제 1실시예>
제 1실시 예에서는 정해진 구간 내에 복호해야 하는 총 블록의 데이터 량을 계산하여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채널 부호의 반복 복호 결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반복 복호 결정 장치는 한 개 이상의 반복 복호 횟수 결정기 및 제어기(115) 그리고, 한 개 이상의 채널 복호기(12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에서 채널 복호기(120)는 다수의 채널 복호기를 대표한다.
구체적인 동작절차를 살펴보면, MAP 분석기 혹은 제어정보 분석기(105)에서는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정해진 구간 혹은 프레임 내에 복호해야 하는 버스트들의 정보를 알아낸다. 상기 버스트들의 정보는 각 버스트를 이루는 데이터의 양이다. 복호 제어기(115)에서는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105)로부터 전달받은 버스트 데이터의 총량을 기반으로 채널 복호기의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한다. 상기 채널 복호기(120)는 상기 복호 제어기(115)로부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받아서 그에 해당하는 복호를 행하는 것으로서, 복조기(110)로부터 출력된 복조된 데이터 프레임을 복호하여 출력버퍼(125)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출력버퍼(125)는 상기 채널 복호기(120)로부터 복호된 데이터를 통하여 맵(MAP) 데이터 즉,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105)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120)는 한 개 이상의 반복 복호 정지기준이 적용되어 있는 채널 복호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 반복 복호 결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205단계에서 채널 복호기는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버스트를 복호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복조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제어신호로서, 예를 들어, DLMAP의 터보 복호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IEEE 802.16e에서는 DLMAP이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DLMAP을 터보 복호기에서 복호한 후에 이를 다시 MAP을 이루는 정보 단위별로 분석을 해야하는 것이다.이 때, 상기 제어정보에 대해서는 성능열화가 미미한 수준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한다. 이값은 6~8정도의 값이 적당하다. 상기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버스트의 복호 후에는 출력버퍼에서 제어정보 분석기로 제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가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버스트에 대한 정보를 알아낸다. 이를 통하여, 프레임 내의 총 데이터 량 즉, 버스트의 수 N, 버스트의 MCS 레벨 정보 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총 데이터 량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 제어기는 215단계에서 데이터 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며, 정해진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220단계에서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i번째 버스트를 적용된 반복 횟수 만큼 복호한다. 상기 225단계에서 i번째 버스트가 총 버스트의 수 N보다 작다면, 상기 220단계로 복귀하여 i+1번째 버스트의 복호를 수행하고, 상기 N이 i와 같다면, 모든 버스트에 대한 프레임 복호가 끝난 것으로서 종료한다.
<제 2실시예>
 제 2실시예에서는 채널의 품질을 평가하는 블록을 따로 두어 채널이 충분히 좋은 경우에만, 복호 횟수를 줄이도록 한다. 이 경우, 채널이 충분히 좋지 않은 경우는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그대로 두고, 복호 구간이 끝난 경우 남은 블록은 복호하지 않는다. 이때, 버려진 블록들은 상위계층의 ARQ의 시간초과에 의하여 재전송될 것이다.
또한 버스트 별로 MCS레벨 정보를 파악하여, 버스트 별로 각기 다른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율에 따라 반복 복호의 횟수감소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다. 높은 부호율의 경우에 수렴이 빠르기 때문에 약간의 성능 열화로 큰 처리율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채널 부호의 반복 복호 결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절차를 살펴보면, MAP분석기 혹은 제어정보 분석기(305)에서는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정해진 구간 혹은 프레임 내에 복호해야 하는 버스트들의 정보와 각 버스트별 MCS레벨정보를 알아낸다. 상기 버스트들의 정보는 각 버스트를 이루는 데이터의 양이다. 또한 CINR 추정기(310)에서는 채널의 품질을 CINR로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CINR값을 복호 제어기(320)로 전달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CINR을 추정하여 채널의 품질을 평가하지만, 상기 채널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다른 모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호 제어기(320)에서는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305)로부터 받은 데이터의 량 혹은 MCS레벨 정보와 CINR 추정기(310)로부터 받은 CINR값을 기반으로 채널 복호기(325)의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한다.
상기 채널 복호기(325)는 상기 복호 제어기(320)로부터 반복 복호 횟수를 전달받아 그에 해당하는 복호를 행하는 것으로, 복조기(315)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데이터 프레임을 복호하여 출력버퍼(330)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출력버퍼(330)는 상기 채널 복호기(325)로부터 입력된 MAP데이터 즉,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305)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325)는 한 개 이상의 반복 복호 정기기준이 적용되어 있는 채널 복호기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채널 부호 반복 복호 결정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는 버스트 별로 각기 다른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버스트별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데에는, CINR정보, MCS레벨정보, 및 버스트별 데이터 량을 이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5단계에서 우선 채널 복호기는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버스트를 복호한다. 이때, 상기 제어정보에 대해서는 성능열화가 미미한 수준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한다. 상기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버스트의 복호 후에는 출력버퍼에서 제어정보 분석기로 제어정보를 전달하고, 410단계에서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가 상기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버스트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고, CINR 추정기에서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CINR값을 생성한다. 이를 통하여, 버스트의 수 N, 버스트 별 데이터 량과 MCS 정보, CINR 값 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트 별 데이터 량과 MCS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 제어기에서는  415단계에서 버스트 별로 각기 다른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420단계에서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각 버스트를 상기 각 버스트 별로 적용된 반복 횟수만큼 복호한다.
이때, 상기 415단계에서 버스트 별 데이터 량과, MCS레벨 정보들에 의해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시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CINR값에 따라 반복 복호 횟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즉, 채널이 충분히 좋은 경우에만, 복호 횟수를 줄이도록 하고, 채널이 충분히 좋지 않은 경우는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변동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420단계에서 I번째 버스트를 복호한 후, 425단계에서 복호한 i번째 버스트가 총 버스트의 수 N보다 작다면, 상기 415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i+1번째 버스트의 반복 횟수를 결정하여 복호를 수행하고, 상기 N과 i번째 버스트가 같다면, 프레임 복호를 끝낸다.
상기와 같은 반복 복호 결정 장치는 터보 부호 이외에 LDPC부호등 반복 복호가 가능한 모든 복호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호 제어기의 반복 복호 횟수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는 상기 제 1실시 예와 같이 505단계에서 버스트 데이터의 총량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510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총량 X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A보다 적거나 같다면, 535단계로 진행하여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데이터 총량이 임계값보다 많은 경우 540단계로 진행하여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현재의 설정된 반복 복호 횟수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 예와 같이 515단계에서 버스트별 데이터 량과 각 버스트별 MCS레벨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520단계에서 상기 MCS레벨정보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부호율 B보다 높다면, 5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부호율이 높은 버스트에 대한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부호율 임계값 B보다 낮거나 같다면, 5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부호율이 낮거나 같은 버스트에 대한 반복 복호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현재의 설정된 반복 복호 횟수대로 설정한다.
또한 525단계에서 채널 추정값 CINR을 입력받아 530단계에서 입력된 채널상태가 좋다면, 즉, 미리 설정된 CINR값 C보다 충분히 높은 CINR값이 입력된 경우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임계값 C보다 같거나 낮은 CINR값이 입력된 경우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반복 복호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현재 설정된 반복 복호 횟수대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535 내지 540단계에서 결정된 최대 반복 복호 횟수는 545단계에서 채널 복호기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도 5에서는 각각의 입력된 신호를 토대로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고 있으나, 상기 505단계와 525단계의 정보가 같이 입력되거나, 상기 515단계와 525단계의 정보가 같이 입력된다면, 버스트 데이터와 채널상태에 따라 복합적인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버스트 데이터별 또는 부호율별 결정된 반복 횟수를 채널 상태값에 따라 반복 복호 횟수의 감소, 증가, 고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가 좋은 경우를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만,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단축시키고, 그 외 경우에는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대신에 복호 제어기에서 데이터 량이나 부호율별, 채널 추정값등의 크기 범위에 따라 복호 횟수를 나타내는 최대 반복 복호 횟수 룩업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입력된 값을 상기 최대반복 복호 횟수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값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룩업테이블은 모의실험이나 통상적인 최대최소 한계범위를 정의하여 그에 따른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의 복잡도 추가 없이, 채널의 상태나, 부호율, 버스트량에 따라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채널이 좋을수록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켜 더 높은 처리율의 달성이 가능하며, 낮은 처리율에서는 적응적인 최대의 반복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처리율 향상과 전력 소모를 감소시켜 최적의 성능을 얻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들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의 수와,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 정보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같거나 작다면,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다면,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버스트들 각각에 대해 해당 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높다면, 상기 부호율이 높은 버스트의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에 대해 해당 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부호율이 작거나 같은 버스트의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추정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와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 또는 MCS 레벨의 부호율에 따라 해당 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중 제1버스트의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 량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채널 추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중 제1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높다면,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채널 추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 보다 같거나 낮은 경우,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방법.
  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제어정보를 복호하는 채널 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값을 토대로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버퍼와,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정보 분석기와,
    상기 제어정보 분석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들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복호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는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의 수와,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 정보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 최대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은,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같거나 작다면,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고,
    상기 버스트들의 총 데이터 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다면,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 최대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은,
    상기 버스트들 각각에 대해 해당 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높다면, 상기 부호율이 높은 버스트의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버스트들 각각에 대해 해당 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부호율이 작거나 같은 버스트의 상기 최대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제어정보 버스트를 복호하는 채널 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값을 토대로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출력버퍼와,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과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변조 및 부호(MCS)레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정보 분석기와,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추정값을 생성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에 대한 정보와 MCS 레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결정하는 복호 제어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채널 복호기는 상기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적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버스트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 최대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각각의 데이터 량 또는 MCS 레벨의 부호율에 따라 해당 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18. 삭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 최대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중 제1버스트의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 량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채널 추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제어기에서 최대 반복 복호 횟수의 결정은,
    상기 채널 추정값이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버스트들 중 제1버스트에 대한 MCS 레벨의 부호율이 미리 설정된 부호율보다 높다면,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채널 추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채널 추정값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버스트의 최대 반복 복호 횟수 값을 유지하거나 증가하는 동작을 포함함을특징으로 하는 반복 복호 제어 장치.
KR1020060025867A 2006-03-21 2006-03-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1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67A KR101216255B1 (ko) 2006-03-21 2006-03-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67A KR101216255B1 (ko) 2006-03-21 2006-03-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572A KR20070095572A (ko) 2007-10-01
KR101216255B1 true KR101216255B1 (ko) 2012-12-28

Family

ID=3880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867A KR101216255B1 (ko) 2006-03-21 2006-03-2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26B1 (ko) 2007-10-30 201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반복 복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879A (ja) 2000-07-05 2002-01-25 Seiko Epson Corp データ誤り訂正装置
JP2003018019A (ja) 2001-06-29 2003-01-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ディ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の復号装置
JP2003032123A (ja) * 2001-07-11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ーボ符号の誤り訂正復号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879A (ja) 2000-07-05 2002-01-25 Seiko Epson Corp データ誤り訂正装置
JP2003018019A (ja) 2001-06-29 2003-01-1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ディ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の復号装置
JP2003032123A (ja) * 2001-07-11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ーボ符号の誤り訂正復号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572A (ko)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096B2 (en) Scaling and quantizing soft-decision metrics for decoding
KR10086189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디코더의 전력 소비를 절감하는 방법 및장치
US8271842B2 (en) Reducing harq retransmissions using peak power management techniques
EP185539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relaying either soft information or hard decoded bits
KR100900744B1 (ko) 터보 디코딩을 위해 정지 규칙을 이용한 고속 h-arq긍정응답 생성 방법
US20190349129A1 (en)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RU220215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качества услуг на каналах передачи в цифровой системе передачи
KR19990080592A (ko) 통신시스템의 반복 복호 제어기를 이용한 채널 부호/복호 장치및 방법
US8553546B2 (en) Technique for soft bit scaling
KR100886994B1 (ko) 반복 디코딩을 사용하여 수신기에서 에러율을 추정하는 방법
KR20200042375A (ko) 조기 종료를 위해 극성 코드에서 분산 crc를 인터리빙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0067439A1 (en) Estimation method, receiver and decoder, of channel condi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1265389B1 (en) Method of impairment mitig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5323039A (zh) 用于迭代解码数据传送结构的方法和设备
KR20080010609A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의 오류 정정 장치 및 방법
US20080117996A1 (en)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64517A1 (en) Complexity management in a multi-user communications system
KR1012162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반복 복호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0017808A (ja)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US7734983B2 (en) Input control device and input control method
US8645805B2 (en) Conditional decoding receiver
KR20070043361A (ko) 시변 이동무선 채널 특성에서 비디오 전송시 소스-채널부호율을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Orti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urbo decoding algorithms in wireless OFDM systems
KR101363411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수신 장치 및 방법
Yao et al. Turbo codes-based image transmission for channels with multiple types of dist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