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69B1 -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69B1
KR101215369B1 KR1020060080990A KR20060080990A KR101215369B1 KR 101215369 B1 KR101215369 B1 KR 101215369B1 KR 1020060080990 A KR1020060080990 A KR 1020060080990A KR 20060080990 A KR20060080990 A KR 20060080990A KR 101215369 B1 KR101215369 B1 KR 10121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ftkey
menu
fun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130A (ko
Inventor
류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내의 한 메뉴가 선택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이 단말기 소프트키에 할당되는 할당 단계, 및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이 청각적으로 안내되는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가용 화면 공간을 좀더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장애자가 단말기 사용에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60080990
단말기, 안내, 메뉴, 소프트키

Description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METHOD FOR SELECTING A MENU AND MOBILE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택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 단말기 10: 입력부
13: 키패드 15: 마이크
20: 메모리부 23: 디스플레이부
25: 스피커 30: 출력부
40: 무선송수신부 50: 제어부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고,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인 키오스크(KIOSK)는 이제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생활기기가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도 현대 사회에서 생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기기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버전스의 경향이 확대되어 가고 있음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합적 요소가 합쳐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단말기에는 소위 "소프트키"(또는 "가변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소프트키라 함은 단말기의 메뉴(예컨대, 카메라폰 메뉴, MP3 재생 메뉴 등)에 따라 한 키에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될 수 있는 기능키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제 1 소프트키 및 제 2 소프트키가 단말기 상에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카메라폰 메뉴에서는 제 1 소프트키 및 제 2 소프트키에 각각 "줌인", "줌아웃" 기능이 할당되지만, MP3 재생 메뉴에서는 제 1 소프트키 및 제 2 소프트키에 각각 "재생", "정지"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버전스의 영향으로 많은 메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매 메뉴마다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되는 기능을 단말기 사용자가 일일이 외우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최근 단말기에서는 각 메뉴가 선택될 때마다 각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에 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부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이 디스플레이부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설명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용 화면 크기가 그만큼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각장애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설명을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인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많이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단말기에서 소프트키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하지 않고서도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내의 한 메뉴가 선택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이 단말기 소프트키에 할당되는 할당 단계, 및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이 청각적으로 안내되는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프트키를 갖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입력부, 단말기 사용자에게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 단말기 메뉴에 관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단말기 메뉴가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 상기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내의 한 메뉴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을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하고,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키오스크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 및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 메모리부(20), 출력부(30), 무선송수신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에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예를 들면, 카메라모듈, 이동방송수신모듈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각각 살펴보면, 상기 입력부(10)는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에 각종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10)는 키패드(13) 및 마이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패드(13)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키패드(13)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는 3개의 소프트키, 즉 제 1 소프트키(13-1), 제 2 소프트키(13-2), 및 제 3 소프트키(13-3)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13)은 바람직하게는 "헬프키"(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헬프키(13-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이들 소프트키들 및 헬프키 이외에도 상기 키패드(13)는 각종 명령 또는 정보 입력에 필요한 키들(예를 들면, 네이게이션키(13-5), 숫자키(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들 및 이에 따른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상기 출력부(3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23), 및 오디오 출력부인 스피커(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실시간 동작 상황, 및 상기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에 따른 출력을 단말기 사용자가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스피커(25)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소프트키들에 각기 할당된 기능에 관한 설명을 출력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0)는 상기 단말기가 외부와 음성통신 또는 단문메시지(SMS) 등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입력부(10), 상기 메모리부(20), 상기 출력부(30),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40)를 포함한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 다. 특히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이동단말기(1)에서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택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택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택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도 3의 (3-1)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화면에서는 "메뉴" 아이콘(110), "매직" 아이콘(130), 및 "선택" 아이콘(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아이콘들(110, 130, 150)은, 상기 이동 단말기(1)의 대기 상태에서의 각각 제 1 소프트키(13-1), 제 2 소프트키(13-2), 및 제 3 소프트키(13-3)에 할당된 기능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 1 소프트키(13-1)를 누른 후 적절한 메뉴 선택 조작을 통해 "메시지 관리" 메뉴로 진입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는 도 3의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메시지 관리 메뉴에서 각 소프트키들(13-1, 13-2, 13-3)에 할당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이콘화(210, 230, 250)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헬프키(13-4)를 누르면, 상기 메시지 관리 메뉴에서 상기 소프트키들에 할당된 기능들이 상기 스피커(25)를 통해 청각적으로 안내된다. 물론, 미리 사전 설정된 단순 알람음 형태로 안내될 수도 있겠지만, 바람직하게는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헬프키(13-4)를 누르면 "제 1 소프트키는 '메뉴'이고, 제 2 소프트키는 '선택'이고, 제 3 소프트키는 '이전'입니다"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3-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이게이션키(13-2)를 이용하여 "2. 받은 문자"에 커서가 오도록 한 후 제 2 소프트키(13-2)를 눌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는 도 3의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2. 받은 문자" 메뉴에서 각 소프트키들(13-1, 13-2, 13-3)에 할당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이콘화(310, 330, 350)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헬프키(13-4)를 누르면, 상기 "2. 받은 문자" 메뉴에서 상기 소프트키들(13-1, 13-2, 13-3)에 할당된 기능에 대한 안내가 출력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사용 중에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이 상기 소프트키들에 할당되어 있는 상황을 필요에 따라 상기 헬프키(13-4)를 누름으로써 청각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 사용자는 안내 내용을 바탕으로 각 메뉴마다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파악하여 단말기 이용을 편리하게 계속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단말기에 헬프키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단말기 헬프키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키패드 상의 특정 키조작이 있는 경우(예를 들면 상기 키패드(13)의 숫자키들(13-6) 중에 "*"키와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 상기 소프트키에 대한 음성 안내가 나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 음성인식장치(Voice Recognition Device)(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10)의 마이크(15)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특정 음성(예컨대, "안내"라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소프트키에 대한 음성 안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헬프키을 누르거나 상기 특정 키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메뉴로 들어갈 때마다 디폴트로 음성 안내가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는 많이 쓰는 메뉴의 경우에는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 모든 메뉴에 대해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에 대한 설명을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 화면 공간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소프트키에 대한 아이콘을 없애고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소프트키에 대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안내가 나오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가용 화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단말기 메뉴에서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에 관한 설명이 아이콘화되어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필요하면 상기 설명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아이콘 크기 만큼 디스플레이부의 가용 화면 크기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장애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각 단말기 메뉴에서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에 관한 설명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에 더욱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단말기 내의 한 메뉴가 선택되는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이 단말기 소프트키에 할당되는 할당 단계; 및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이 청각적으로 안내되는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계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키패드 상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키조작이 있는 경우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소프트키 기능 안내 요구를 위한 헬프키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헬프키가 선택되는 경우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계는,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이 음성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6. 소프트키를 갖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입력부;
    단말기 사용자에게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
    단말기 메뉴에 관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단말기 메뉴가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 상기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내의 한 메뉴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메뉴를 위한 기능을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하고,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상에서의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키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소프트키 기능 안내 요구를 위한 헬프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헬프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키에 할당된 기능을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60080990A 2006-08-25 2006-08-25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21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90A KR101215369B1 (ko) 2006-08-25 2006-08-25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990A KR101215369B1 (ko) 2006-08-25 2006-08-25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30A KR20080019130A (ko) 2008-03-03
KR101215369B1 true KR101215369B1 (ko) 2012-12-26

Family

ID=3939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990A KR101215369B1 (ko) 2006-08-25 2006-08-25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749B1 (ko) * 2014-11-13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30A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2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368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electronic appliance
US6198939B1 (en) Man machine interface help search tool
US20010015721A1 (en) Method for searching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65860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CA2601719A1 (en) Adaptive menu for a user interface
KR2008007980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0544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6861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90303185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US20130012268A1 (en) Interfac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7096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executing features in a personal wireless handset
KR20120016184A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RU2366113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клавиш
KR101215369B1 (ko) 메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500828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설정 방법
KR20030055855A (ko)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CN110392878B (zh) 一种控制声音的方法及移动终端
WO200709745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言語選択方法
KR100664241B1 (ko) 멀티 편집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KR100606784B1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JP2006277467A (ja) 携帯情報端末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20090063455A (ko) 터치스크린 동작 인식을 이용한 기능키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